프로게이머에 대한 내용은 이대진(프로게이머)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f73600> |
한화 이글스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군 |
'''· 87
김민호 · 72
박승민 · 74
김경문 [[틀:한화 이글스 감독| ★ ]] · 76
윤규진· 77 박재상 · 78 김남형 · 79 양상문 · 82 김재걸 · 83 김우석 · 88 양승관 · 89 정경배 · 90 김정민''' |
|
2군 | |
'''71
이대진 [[틀:한화 이글스 2군 감독| ★ ]] · 75
박정진 · 80
고동진 · 86
최윤석· 87 추승우 · 100 정현석 · # 쓰루오카''' |
|
잔류/재활군 | |
57 정우람 · 81 김성갑 · 85 정범모 · 91 이상훈 | |
트레이닝파트 | |
이지풍 · 김형욱 · 김연규 · 장세홍 · 최우성 · 김재민 · 김소중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이대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대진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3 | 1996 | 1997 | 2009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
|
2017 | 2022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골든글러브 투수 부문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0ad67>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황태환 OB 베어스 |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염종석 롯데 자이언츠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정명원 태평양 돌핀스 |
이상훈 LG 트윈스 |
구대성 한화 이글스 |
|
<rowcolor=#d0ad67>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임선동 현대 유니콘스 |
신윤호 LG 트윈스 |
|
<rowcolor=#d0ad67>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송진우 한화 이글스 |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
<rowcolor=#d0ad67>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리오스 두산 베어스 |
김광현 SK 와이번스 |
로페즈 KIA 타이거즈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장원삼 삼성 라이온즈 |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
밴헤켄 넥센 히어로즈 |
해커 NC 다이노스 |
니퍼트 두산 베어스 |
|
<rowcolor=#d0ad67>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미란다 두산 베어스 |
|
<rowcolor=#d0ad67> 2022 | 2023 | ||||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
페디 NC 다이노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
KBO 리그 역대 탈삼진 1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노상수 롯데 자이언츠 / 141K |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 220K |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223K |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210K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4K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163K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20K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98K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89K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0K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이강철 해태 타이거즈 / 155K |
김상엽 삼성 라이온즈 / 170K |
정민철 한화 이글스 / 196K |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163K |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 221K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정민철 한화 이글스 / 160K |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183K |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184K |
임선동 현대 유니콘스 / 174K |
에르난데스 SK 와이번스 / 215K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김진우 KIA 타이거즈 / 177K |
이승호 LG 트윈스 / 157K |
박명환 두산 베어스 / 162K |
리오스 두산 베어스 / 147K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47K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04K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78K |
김광현 SK 와이번스 / 150K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50K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87K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178K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10K |
리즈 LG 트윈스 / 188K |
밴덴헐크 삼성 라이온즈 / 180K |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194K |
보우덴 두산 베어스 / 160K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켈리 SK 와이번스 / 189K |
샘슨 한화 이글스 / 195K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189K |
스트레일리 롯데 자이언츠 / 205K |
미란다 두산 베어스 / 225K |
|
<rowcolor=#fff> 2022 | 2023 | 2024 | |||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 224K |
페디 NC 다이노스 / 209K |
하트 NC 다이노스 / 182K |
|||
* 탈삼진왕은 1993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 |
투수 마일스톤 기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0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김시진 (1983~1992) 1987년 / 124승 |
최동원 (1983~1990) 1990년 / 103승 |
선동열 (1985~1995) 1990년 / 146승 |
장호연 (1983~1995) 1993년 / 109승 |
윤학길 (1986~1997) 1994년 / 117승 |
||||
정삼흠 (1985~1996) 1996년 / 106승 |
이강철 (1989~2005) 1996년 / 152승 |
조계현 (1989~2001) 1996년 / 126승 |
송진우 (1989~2009) 1997년 / 210승 |
김용수 (1985~2000) 1998년 / 126승 |
|||||
정민철 (1992~2009) 1999년 / 161승 |
김상진 (1989~2003) 1999년 / 122승 |
이상군 (1986~2001) 2000년 / 100승 |
한용덕 (1987~2004) 2000년 / 120승 |
정민태 (1992~2008) 2000년 / 124승 |
|||||
김원형 (1991~2011) 2005년 / 134승 |
임창용 (1995~2018) 2007년 / 130승 |
김수경 (1998~2012) 2007년 / 112승 |
이상목 (1990~2009) 2008년 / 100승 |
손민한 (1997~2015) 2009년 / 123승 |
|||||
이대진 (1993~2012) 2009년 / 100승 |
박명환 (1996~2015) 2010년 / 103승 |
배영수 (2000~2019) 2012년 / 138승 |
장원삼 (2006~2020) 2015년 / 121승 |
윤성환 (2004~2020) 2016년 / 135승 |
|||||
김광현 (2007~) 2016년 / 170승 |
장원준 (2004~2023) 2016년 / 132승 |
양현종 (2007~) 2017년 / 179승 |
송승준 (2007~2021) 2017년 / 109승 |
니퍼트 (2011~2018) 2018년 / 102승 |
|||||
차우찬 (2006~2023) 2019년 / 112승 |
유희관 (2009~2021) 2021년 / 101승 |
류현진 (2006~) 2024년 / 108승 |
300세이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오승환 (2005~) 2021년 / 400세이브 |
2000탈삼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송진우 (1989~2009) 2008년 / 2048탈삼진 |
양현종 (2007~) 2024년 / 2076탈삼진 |
같이 보기: KBO 리그 타자 마일스톤 기록 |
보유 기록 | |
최다 연속 탈삼진 | 10타자[1] |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26번 | ||||
이종택 (1991) |
→ |
이대진 (1993~1999) |
→ |
홍세완 (2000~2006) |
해태/
KIA 타이거즈 등번호 11번
|
||||
김상진 (1996~1999) |
→ |
이대진 (2000~2004) |
→ |
임준혁 (2005) |
KIA 타이거즈 등번호 45번 | ||||
장준영 (2002~2004) |
→ |
<colcolor=#fff> 이대진 (2005~2011.7.22.) |
→ |
송산 (2011.8.~2011) |
LG 트윈스 등번호 34번 | ||||
김준호 (2010~2011.5.19.) |
→ |
<colbgcolor=#000000> 이대진 (2011.7.30.~2012) |
→ |
심재윤 (2013) |
한화 이글스 등번호 75번 | ||||
문동환 (2011~2012) |
→ |
이대진 (2013) |
→ |
임수민 (2014~2017) |
KIA 타이거즈 등번호 78번 | ||||
이순철 (2012~2013) |
→ |
이대진 (2014~2019) |
→ |
최희섭 (2020~) |
SSG 랜더스 등번호 85번 | ||||
염경엽 (2019~2020) |
→ |
이대진 (2021~2022) |
→ |
김동호 (2023~2024) |
한화 이글스 등번호 71번 | ||||
이동걸 (2021~2022) |
→ |
이대진 (2023~) |
→ | 현역 |
}}} ||
|
|
<colbgcolor=#f73600><colcolor=#ffffff> 한화 이글스 No.71 | |
이대진 李大振 | Lee Daejin |
|
출생 | 1974년 6월 9일 ([age(1974-06-09)]세) |
광주광역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광주서림초 - 진흥중 - 진흥고 - ( 한국사이버대) |
포지션 | 투수, 외야수[2]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93년 고졸 연고구단 자유계약 ( 해태) |
소속팀 |
해태-
KIA 타이거즈 (1993~2011) LG 트윈스 (2011~2012) |
지도자 |
한화 이글스 1군 투수코치 (2013) KIA 타이거즈 1군 불펜코치 (2014)[3] KIA 타이거즈 1군 투수코치 (2014~2018)[4] KIA 타이거즈 2군 투수코치 (2018)[5] KIA 타이거즈 1군 투수코치 (2018~2019)[6] KIA 타이거즈 잔류군 투수코치 (2019)[7] SSG 랜더스 1군 불펜코치 (2021~2022) 한화 이글스 1군 수석코치 (2023) 한화 이글스 2군 감독 (2024~) |
병역 | 제31보병사단 방위병 (1995~1996)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現 한화 이글스 2군 감독. 선수 시절 포지션은 투수.이종범, 홍현우와 함께 해태 타이거즈의 후기 전성기에 기여한 대표적인 90년대 데뷔 선수로 조계현, 이강철과 함께 선발진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이강철, 이종범, 장성호와 함께 해태 타이거즈와 KIA 타이거즈를 잇는 프랜차이즈 스타였으며, 특히 역대 타이거즈 투수진에서는 가장 오랜 기간 동안 활동한 선수이다.[8] 특히 현대 유니콘스를 상대로 기록한 10타자 연속 탈삼진 기록은 지금까지도 그의 투수 시절에 최고의 순간으로 기억된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대진/선수 경력 | |||
1993~1998년 | 1999~2008년 |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
이대진의 전매 특허인 파워커브 |
전성기 시절 강속구와 커브를 앞세워 리그 최상위권 투수로 명성을 떨쳤으나, 치명적인 부상을 겪으며 과거의 기량을 보이지 못하게 되자 기교파 투수로 변신하여 롱런한 유형의 투수.
특히 그의 파워커브는 전성기 시절에는 엄청난 위력과 낙차를 선보였으며, 그를 1990년대 중후반의 해태 타이거즈의 ACE of ACE로 만들어 준 특급 변화구였다.
4. 지도자 경력
자세한 내용은 이대진/지도자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4.1. 평가
자세한 내용은 이대진/평가 문서 참고하십시오.5. 수상
수상 |
한국시리즈 우승 4회 (1993, 1996, 1997, 2009)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1997) 탈삼진 1위 2회 (1995, 1998) |
6. 연도별 성적
역대 투수 기록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WHIP |
1993 | 해태- KIA | 31 | 124⅓ | 10 | 5 | 2 | - | 3.11 | 113 | 8 | 63 | 97 | 1.39 |
1994 | 31 | 137 | 7 | 8 | 3 | - | 4.20 | 115 | 20 | 61 | 90 | 1.25 | |
1995 | 24 | 168⅓ |
14 (5위) |
6 | 0 | - | 2.57 | 131 | 14 | 51 |
163 (1위) |
1.04 (2위) |
|
1996 | 31 | 159⅔ |
16 (3위) |
8 | 3 | - |
2.37 (3위) |
114 | 13 | 45 | 146 |
0.97 (2위) |
|
1997 | 28 |
180⅔ (3위) |
17 (2위) |
6 | 1 | - | 3.14 | 154 | 14 | 75 |
140 (3위) |
1.22 | |
1998 | 28 |
179⅓ (5위) |
12 | 11 | 0 | - | 3.26 | 173 | 17 | 64 |
183 (1위) |
1.27 | |
1999 | 1 | 3⅔ | 0 | 0 | 0 | - | 2.45 | 3 | 0 | 4 | 0 | 1.94 | |
2000 | 37 | 105 | 8 | 6 | 13 | 0 | 3.17 | 96 | 12 | 47 | 117 | 1.32 | |
2001 | 1군 기록 없음 | ||||||||||||
2002 | |||||||||||||
2003 | 4 | 13⅓ | 1 | 1 | 0 | 0 | 9.45 | 18 | 3 | 8 | 13 | 1.91 | |
2004 | 3 | 7⅔ | 0 | 1 | 0 | 0 | 10.57 | 9 | 4 | 9 | 7 | 2.50 | |
2005 | 1군 기록 없음 | ||||||||||||
2006 | 1 | 1 | 0 | 0 | 0 | 0 | 18.00 | 3 | 1 | 1 | 1 | 4.00 | |
2007 | 17 | 76⅔ | 7 | 6 | 0 | 0 | 4.11 | 65 | 5 | 49 | 47 | 1.44 | |
2008 | 20 | 85⅔ | 5 | 10 | 0 | 0 | 4.83 | 88 | 5 | 57 | 37 | 1.62 | |
2009 | 10 | 42⅔ | 3 | 5 | 0 | 0 | 6.33 | 45 | 6 | 27 | 25 | 1.59 | |
2010 | 14 | 22 | 0 | 0 | 0 | 2 | 6.55 | 31 | 1 | 24 | 14 | 2.27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WHIP |
2011 | KIA/ LG | 2 | 1 | 0 | 0 | 0 | 0 | 0.00 | 0 | 0 | 2 | 1 | 2.00 |
2012 | LG | 1 | 3⅓ | 0 | 1 | 0 | 0 | 13.50 | 5 | 0 | 5 | 0 | 2.90 |
KBO 통산 (17시즌) |
283 | 1311⅓ | 100 | 74 | 22 | 2 | 3.57 | 1163 | 123 | 592 | 1081 | 1.29 |
역대 타자 기록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2000 | 해태- KIA | 1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2002 | 23 | 36 | .083 | 3 | 1 | 1 | 0 | 4 | 2 | 0 | 2 | .167 | .132 | |
KBO 통산 (2시즌) |
24 | 37 | .081 | 3 | 1 | 1 | 0 | 4 | 2 | 0 | 2 | .162 | .128 |
7. 여담
- 2013년 11월 30일, 문학 야구장에서 개최된 2013 한일 레전드 슈퍼게임에서 중간 계투에 등판하여 2이닝을 깔끔하게 틀어막으며 아직도 살아있는 기량을 과시했다. 특히 중간중간 섞어서 던지는 폭포수 커브는 정말 이 사람이 은퇴한 선수가 맞는지 의구심이 들 정도. 실제로 2011년에 LG 트윈스가 이대진을 영입한 이유가 아직도 2군에서는 타자들을 갖고 논다는 정보 때문이었다고. 실제로 2군에서는 가히 날아다녔던 걸 감안하면 왕년의 짬밥이 결코 무시할 수준은 아니었던 모양.
- 어렸을 때부터 영어에 관심이 많았고, 어깨 부상으로 인해 한창 재활하던 시절 미국을 여러 번 오가면서 영어를 꽤 익혔는지, 통역없이 외국인 선수와 직접 대화할 정도로 영어 회화에 능통한 편이다.[9] 여담으로 통역을 거치게 되면 서로의 생각을 100% 완벽하게 소통하기 어려운데 직접 대화하는 게 팀 분위기를 좋게 만든다. 한화 수석코치로 영입된 이유도 "능숙한 영어 실력을 가지고 있어 수베로 감독을 충분히 보조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라고. 다만 2016-17년은 그야말로 KIA 불펜진이 최악의 모습을 보여준 점으로 인해 가진 게 영어툴 뿐이라는 비아냥이 거셌다. 심지어 "중국어를 배워볼까 한다"고 했다가 팬들로부터 제발 중국어 배워 중국이나 대만 가서 코치하라는 욕만 먹었다.
- Love Together Shift를 고안한 사람이다. 결과적으로 투수 쪽만 알고 있다보니 수비 시프트에 대한 무지에서 빚어진 해프닝이 되었는데, 문제라면 이걸 여과없이 받아들여서 써먹은 사람은 김기태 감독이라는 것.
- 묘하게 염종석과 비슷한 점이 여럿 있다. 혹사로 여러 번 수술을 했던 점, 루키시즌에 10승 이상을 해서 우승에 공헌한 점, 그리고 마침내 재기에 성공한 것이 있다만, 둘 다 지도자로서는 영 꽝이라는 것도 공통점이다. 다만 염종석은 끝내 2008 시즌까지 93승을 달성하고 방출, 눈물을 흘리면서 부탁을 했지만 롯데에게 그러한 아량은 없어 100승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면 이대진은 끝끝내 구단이 여러 번 기회를 받아 마침내 류현진과의 대결에서 100승을 이루게 되는 점을 차이다.
- 원더리그스타에 이대짐이란 가명으로 등장한다. 게임이 발매될 당시인 94년에는 신인이었다.
- 2020년 10월 박명환야구TV에 출연했다. 진흥고는 당시 팀 전력이 약해 무등기 전국고교야구대회와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 출전했으며 무등기에서는 박명환이 임창용과 김병현에게 안타를 뽑아낸 적이 있다고 한다.
- 비슷한 시기 박명환과 같이 프로동네야구 PDB에도 출연했는데 120km대의 속구를 던졌다.
- 한용덕 前 한화 감독과 외모가 상당히 닮았다. 이 이야기는 본인들도 알고 있는데 이대진의 어머니가 TV에서 한용덕을 보고 '내 아들이 왜 저기서 한화 유니폼을 입고 있나?' 라고 말하시고, 한용덕도 이대진을 볼 때마다 '내 친동생이랑 너랑 정말 닮았다.'라고 닮은꼴을 인정했다.
8. 관련 문서
[1]
조병현과 타이 기록이다.
[2]
2002년에 잠깐 타자로 전향했다가 2003년부터 다시 투수로 전향했다. 전향 당시 포지션은
3루수와 외야수였다.
[3]
~6월 9일
[4]
2014년 6월 10일~2018년 6월 7일
[5]
6월 8일~7월 16일
[6]
2018년 7월 17일~2019년 5월 16일
[7]
5월 17일~5월 20일
[8]
93년 데뷔해서 곧바로 1군 전력으로 쓰였고 95년부터 98년까지 강속구와 커브를 앞세워 리그 최상위권 투수로 자리하며 전성기를 맞았지만, 이후론 부상으로 신음하며 과거의 기량을 보이지 못한다. 팀도 왕년의 스타를 그냥 내치진 않고 타자 전향도 시도하는 등 방법을 찾았지만 존재감은 서서히 옅어졌고 경기도 거의 나오지 못한다. 07년 약간의 반등을 보이기도 하고, 09년엔
조범현 감독의 신임 아래 6선발로 기용되며 고대하던 통산 100승을 거두고 12년만의 팀의 우승도 함께하게 되지만 부상으로 구위와 구속을 잃고 고군분투 하는 모습은 한편으론 팬들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그래도 가장 가슴 아팠을 선수 본인이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모습과 결과적으론 말년에 임팩트 있는 장면까지 만들었기에 역경 끝에 좋은 귀감으로 남았다.
[9]
다만 포수는 못 알아듣기 때문에 투수코치로써 마운드에 방문할 때는 통역을 데리고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