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4:04:10

시흥 버스 5602

{{{#!wiki style="margin:-10px auto" <tablebordercolor=#ed6c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광역콜
직행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마을
}}}}}}}}} ||

파일:시흥5602_3142.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시흥시 CI_White.svg 시흥시 일반시내버스 560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시흥 5602 노선도.png
기점 [출발]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이마트)
[도착]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한국공학대학교.시흥터미널)
종점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구로디지털단지역(중))
종점
첫차 05:30 기점
첫차 06:20(평일)
07:00(주말)
막차 22:40 막차 00:00
평일배차 15~25분 주말배차 25~30분[1]
운수사명 시흥교통 인가대수 14대
노선 ( 한국공학대학교. 시흥터미널 ←) - 정왕시장 - 경기스마트고등학교 - 시흥푸르지오6차 - 거무개삼거리 - 거모동동보아파트 - 군자중.군자디지털과학고 - 녹원아파트 - 시흥시노인종합복지관 - 능곡고등학교 - 시흥시청역 - 시흥등기소 - 시흥고등학교 - 물왕삼거리 - 목감중심상업지구 - 목감사거리 - 목감IC - 서해안고속도로 - 일직JC - 제2경인고속도로 - 석수IC - 석수역(중) - 시흥사거리(중) - 금천구청.금천경찰서(중) - 금천우체국(중) - 구로디지털단지역(중)
중간 출발 정류장
구로디지털단지역 방향 시흥시청역평일05:30, 05:45, 06:00
시화 방향 목감사거리.농협평일06:10~06:40, 주말06:10~07:10

2. 개요

시흥교통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8.9km이다.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 2011년 5월 20일에 신설됐다. 인가 자체는 몇 년 전에 이미 받았으나, 기사 부족과 차고지 용량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어 실제 신설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신설 당시의 인가대수는 6대였고, 모든 차량을 舊 5601번에서 빼왔다. 관련 기사
  • 2012년 12월 21일에 1대가 증차됐다.
  • 2013년 6월 17일에 2대가 증차됐다.
  • 2015년 6월 23일에 2대가 증차됐다.
  • 2016년 5월 30일에 1대가 추가 투입됐다. 또한 평일에 한해 목감에서 중간 출발하는 차량을 운행한다. 처음 2주간은 7시 20분 출발이었으나, 이후 시간표 조정을 통해 10분 당겨졌다.
  • 2017년 3월 23일에 3대가 증차됐다. 또한, 평일에 한해 능곡에서 출발하는 차량이 3회(7시 정각, 10분, 20분) 추가됐다.
  • 2017년 8월 28일에 능곡 출발 시간대가 사라지고, 전부 기점에서 출발하는 걸로 바뀌었다. 그리고 운행횟수도 1회 감소했다.
  • 2018년 8월 20일에 구로디지털단지역 첫차가 7시에서 7시 5분으로 조정됐다.
  • 2018년 11월에 2대가 증차됐다. 이로써 신설 당시보다 3배 늘어난 총 18대로 운행하게 된다. 동시에 첫차는 10분 당겨지고, 주말 막차가 20분 늦춰졌다. 하지만 이듬해 2월에 주말 막차가 다시 15분 당겨졌다.
  • 2022년 1월 9일부터 구로디지털단지역 환승센터가 신안산선 공사로 인해 폐쇄 및 철거에 돌입하면서 종점 정차지가 구로디지털단지역(중)으로 변경됐다.
  • 2023년 12월 11일부터 시흥시청역에서 구로디지털역방향으로 중간출발 차량이 2회(5시 45분, 6시) 추가되었다.
  • 2024년 1월 1일부로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한다.

4. 특징

  • 또한 산업단지 산업단지를 잇는 노선이다. 자연히 이것으로 노선의 성격이 설명이 되는데, 노선 중간에 위치한 주거지역들에서 양 끝에 위치한 산업단지로 출퇴근하는 수요가 클 수밖에 없다. 물론 그 중간의 주거지역이 과하게 넓고 택지지구를 다수 경유(거모지구, 능곡지구, 목감지구)하며, 정차 정류장이 많아서 구간수요가 더 크게 발생하고 있다.
  • 96번 5601번과 함께 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경기도 일반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다. 덕분에 목감사거리에서 석수역까지 막히지만 않는다면 10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덕분에 시흥시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데 실제로 이용해 보면 10분이라는 짧은 시간에 다른 세계로 워프한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그럴 만도 한 것이 고속도로를 타기 전과 후의 풍경과 생활권 모두 확연히 다르기 때문.[3] 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점 때문에 안전벨트도 설치되어 있으니, 좌석에 앉으면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 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대략적인 소요시간은 다음과 같다. 물론 교통량과 시간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평소에도 수요가 꽤 있는 노선이지만 특히 출근시간대에는 구로디지털단지역 방향으로, 퇴근시간대에는 고속도로/목감 방향으로 꽉꽉 채워나간다.
  • 아침에 목감사거리에서 출발하는 시간대가 존재한다. 원래는 연성2지구 시흥고등학교에서 평일과 토요일에 6시 반과 7시, 일요일에 7시 출발이었으나 토요일 6시 반 출발 시간대가 사라졌다가 출발지와 시간표가 상단 노선정보표와 같이 바뀌었다. 이렇게 중간에 출발하는 시간대가 있는 이유는 이 노선이 개통되면서 기존 25번의 역할을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정왕동 방향으로 첫차는 7시에 출발하는데, 이게 시흥고까지 오려면 40분 가량 걸리므로 중간에서 출발하는 시간이 별도로 있는 것이다.
  •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회차하는데, 이곳은 추월차로가 없어 장기정차가 불가하기 때문에 승하차가 끝나면 시간표와 관계없이 바로 출발한다. 다행히도 시간표보다 5~10분 늦게 들어오는 경우가 많으며, 시간표보다 일찍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면 아예 문성초등학교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대기하다가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오기도 한다. 다만, 시간대에 따라 조금 일찍 정류소를 떠나기도 하고, 간혹 정류소 진출 후 인근 마을버스 정류장에서 시간 될 때까지 대기하는 경우도 보인다.[4]
  • 일반시내버스이므로 고속도로 입석 금지 대상은 아니다. 다만, 빈 자리가 있는데도 차량 운행 중 미리 일어나서 통로로 나올 경우 운행사원이 앉으라고 제지할 수도 있다.
  • 정왕동으로 올 때는 시흥종합버스터미널에서 하차가 가능하지만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갈 때는 이 곳에서 승차할 수 없으며, 시화이마트 정류소를 이용해야 한다.
  • 차량 주박 및 가스 충전은 오이도차고지에서 한다.
  • 경기도 일반시내버스 노선 중 두 번째로 가장 큰 번호를 가진 노선이다. 더 높은건 평택 6396번.

4.1. 시간표

평일 시간표(2024년 5월 1일 기준)
토요일/공휴일 시간표(2024년 5월 4일 기준)
  • 기·종점 출발시각은 차량, 기사 사정 및 서울 시내 교통정체로 인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수 있어 경기버스정보 앱이나 카카오, 네이버 앱 등을 통해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4.2. 노선

파일:시흥시 CI_White.svg 시흥시 일반시내버스 5602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구로디지털단지역(중)
21002
파일:Seoulmetro2_icon.svg
디지털단지입구교차로(경유)
미정차
시흥IC교차로(경유)
미정차
문성초등학교(중)
18002
문성초등학교(중)
18001
금천우체국(중)
18004
금천우체국(중)
18003
말미고개.금천소방서(중)
18006
말미고개.금천소방서(중)
18005
금천구청.금천경찰서(중)
18008
금천구청.금천경찰서(중)
18007
시흥사거리(중)
18010
시흥사거리(중)
18009
박미삼거리.국립전통예술중고(중)
18012
박미삼거리.국립전통예술중고(중)
18011
시흥유통센터(중)
18014
시흥유통센터(중)
18013
석수역(중)
18776 파일:Seoulmetro1_icon.svg
석수역(중)
09040 파일:Seoulmetro1_icon.svg
대림.LG.힐스테이트아파트(중)
09054
대림.LG.힐스테이트아파트(중)
09056
석수IC(경유)
미정차
석수IC(경유)
미정차
광명역IC(경유)
미정차
광명역IC(경유)
미정차
목감IC출입(경유)
미정차
목감IC진입(경유)
미정차
율포마을
25627
율포마을
25629
목감사거리.농협
25617
목감사거리.청도아파트
25616
목감도서관.삼호가든아파트
25614
목감도서관.대명아파트
25615
남왕마을
25610
남왕마을
25612
목감중심상업지구
25603
목감중심상업지구
25602
목감호반더레이크
25753
목감호반더레이크
25739
능골마을
25595
능골마을
25597
물왕삼거리
25731
물왕삼거리
25726
물왕교
25549
물왕교
25550
월미동
25542
월미동
25861
나분들
25728
나분들
25535
나분들
25534
연성초등학교
25532
연성초등학교
25533
시흥고교.태평아파트
25510
시흥고교.태평아파트
25511
시흥등기소
25496
시흥등기소
25495
둔대교차로(경유)
미정차
둔대교차로(경유)
미정차
시흥시청역
25484 파일:SeohaeLine_icon.svg
시흥시청역
25491 파일:SeohaeLine_icon.svg
동원로얄듀크
59051
동원로얄듀크
59052
시흥능곡고등학교
25816
시흥능곡고등학교
25817
능곡도서관
25814
능곡도서관
25815
시흥시노인종합복지관
25811
시흥시노인종합복지관
25813
능곡초교
25781
능곡초교
25780
신안인스빌
25825
신안인스빌
25822
산뒤마을
25489
산뒤마을.차량등록사업소
25490
영각사입구
25478
영각사입구
25479
진덕사입구
18163
진덕사입구
18612
대쟁이
18147
대쟁이
18148
부대앞
18130
부대앞
18131
녹원아파트
25367
녹원아파트
25373
군자파출소
25352
군자우체국앞.군자파출소
25348
아주아파트.군자도서관
25346
아주아파트.군자도서관
25345
군자중.군자디지털과학고
25330
군자중.군자디지털과학고
25331
배우물
25308
배우물
25309
거모동동보아파트
25306
거모동동보아파트
25307
거무개삼거리
25299
거무개삼거리
25301
정촌마을
25268
정촌마을
25267
시흥푸르지오6차1단지후문
25261
시흥푸르지오6차1단지후문
25262
시흥푸르지오6차
25258
시흥푸르지오6차
25257
삼육주유소
25254
삼육주유소
25253
군서초등학교
25250
군서초등학교
25249
경기스마트고등학교
25243
경기스마트고등학교
25244
경기스마트고사거리
25241
경기스마트고사거리
25237
정왕어린이도서관.정왕시장
25231
정왕어린이도서관.정왕시장
25228
군서미래국제학교
25216
군서미래국제학교
25218
시화정형외과
25209
시화정형외과.이철신경외과
25210
금강아파트
25199
이마트(경유)
미정차
이마트
25173
이마트
25174
한국공학대학교.시흥터미널
25854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경기도 휘장.svg 고속도로 경유 경기도 일반형버스
<rowcolor=#373a3c> 고양시 시흥시 양평군
96 5601 5602 33-1, 4, 5 2000-2

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 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간 버스
시흥시 면허
안산시 면허
기타 면허

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 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간 버스
안산시 면허
시흥시 면허
인천시 면허 790
시외/ 공항버스

{{{#!wiki style="margin:-10px auto"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097>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097><colcolor=#fff>
가평
고양 · ·
광명
광주 · ·
구리
김포 ·
남양주 · ·
동두천
부천
성남 ·
수원 · · · ·
시흥
안산 ·
안성 · · · · · · ·
안양 ·
양주 ·
오산
용인
의정부 · · · ·
파주 ·
평택 ·
포천 · ·
하남
화성 · · · · ·
}}}}}}}}} ||


[1] 목감 출발 차량은 20분 [2] 이 노선의 특징으로 전무후무하게 '시흥대로'라는 도로명을 가진 두 개의 도로, 곧 서울의 시흥대로 시흥시의 시흥대로를 모두 지난다. 때문에 이 노선은 후술할 특징을 가진다. [3] 물론, 출퇴근 시간대에는 악명높은 서해안고속도로 일직JC를 지나기 때문에 이구간의 정체는 감수 해야 한다. 또한, 퇴근 시간대에는 석수IC로 빠져 나간 뒤 바로 버스전용차로로 가야하는데 차들로 빽빽해서 들어가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4] 간혹 3대가 1~2정거장 씩 떨어져서 운행하면 시간표 보다 일찍오든 늦게 오든 상관없이 간격을 띄운 채로 순서대로 정류소로 들어온다. 이는 3대 중에서 앞에 2대만 해당될 수 있고, 3대 모두 해당될 수도 있다. 이는 운행사원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5] 시흥시노인종합복지관 하차 후 도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