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2e0,#333020><tablebgcolor=#fff2e0,#33302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2e0,#333020><tablebgcolor=#fff2e0,#333020> | }}}}}} |
{{{#fff,#ddd {{{#!wiki style="min-height: 28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68808,#331D00>
총칙 總則篇 |
법원 · 신의성실의 원칙 · 인 · 인격권* · 인격표지영리권* ( 초상권 · 음성권 · 성명권) · 법인 ( 이사) · 사단인 법인 · 비법인사단 · 물건 · 법률행위 ( 의사표시( 흠 있는 의사표시) / 대리( 표현대리· 무권대리) / 무효 / 무효행위의 전환 / 취소 / 부관 / 조건과 기한) · 기간 · 소멸시효 · 제척기간 | ||
물권편 物權篇 |
물권 · 물권법정주의 · 물권적 청구권 · 변동 ( 등기 / 인도 / 소멸) · 점유권 ( 선의취득) · 소유권 ( 합유 · 총유 · 공유 · 부합 · 취득시효) · 지상권 ( 법정지상권 / 분묘기지권) · 지역권 · 전세권 · 유치권 · 질권 · 저당권 ( 근저당권) · 비전형담보물권 ( 가등기담보 / 양도담보 / 동산담보 / 채권담보) | |||
채권편 債權篇 |
종류 ( 특정물채권 / 종류채권 / 선택채권 / 임의채권 / 금전채권 / 이자채권) · 채무불이행 ( 선관주의의무 / 이행불능( 대상청구권) / 이행지체 / 불완전이행) · 채권자지체 · 사해행위 · 효과 (이행청구 / 강제집행 / 손해배상( 손해배상액의 예정)) · 보전 ( 채권자대위( /판례) / 채권자취소) · 다수채권관계 ( 분할채권 / 불가분채권채무/ 연대채무 / 보증채무) · 채권양도 · 채무인수 · 소멸 ( 변제( 대물변제/ 변제자대위) / 공탁 / 상계 / 경개 / 면제 / 혼동) · 지시채권 · 무기명채권 | |||
계약 (유형: 증여 /
매매 /
교환 /
소비대차 / 사용대차 /
임대차(
대항력) /
고용 /
도급 /
여행계약 / 현상광고 /
위임 /
임치 /
조합 / 종신정기금 /
화해 /
디지털제품*) ·
담보책임 (
학설 /
권리담보책임(
타인권리매매) /
하자담보책임 /
기타담보책임) ·
동시이행의 항변권 ·
위험부담 ·
제삼자를 위한 계약 ·
해제 ·
해지 개별쟁점: 부동산 이중매매 / 명의신탁 |
||||
사무관리 · 부당이득 ( 삼각관계의 부당이득 / 전용물소권) · 불법행위 ( 위자료 / 감독자책임 / 사용자책임 / 명예훼손) · 과실책임의 원칙 · 과실상계· 손익상계 | ||||
친족편 親族篇 |
가족 · 혼인 ( 약혼 / 이혼 / 사실혼 / 혼인무효 / 혼인취소) · 부모와 자 ( 자의 성과 본 / 친생자 / 양자 / 친양자 / 파양 / 친생추정) · 친권 · 후견 (미성년후견 / 성년후견 / 한정후견 / 특정후견 / 후견계약) · 부양 | |||
상속편 相屬篇 |
상속 ( 상속회복청구권 / 상속인 / 공동상속 / 분할 / 승인 / 포기 / 재산의 분리) · 유언 ( 유증) · 유류분 | |||
부칙 附則 |
확정일자 | |||
(* 민법 개정안의 내용) 공법 | 행정법 | 형사법 | 민사법 | 현행 법률 [[틀:대한민국 헌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f7f5; font-size: .9em;" |
}}}}}}}}}}}} |
1. 개요
손익상계(損益相計, Vorteilsausgleichung)이란 채무불이행이나 불법행위을 원인으로 하여 피해자(채권자)[1]에게 손해가 발생하기도 하였지만 동시에 이익도 발생한 경우, 손해배상액을 산정하면서 이익금을 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민법상 규정은 없으나 판례에 의해서 인정된다. ( 2000다37296판결) 예를 들어, 가해자가 물건을 훼손시켜 이를 수리하였는데 오히려 가치가 증가한 경우, 그 가치의 증가분만큼은 배상액에서 제외된다.( 2002다39456판결)법원이 손익상계를 인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채무불이행 또는 불법행위에 의하여 채권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것과 동시에 이익 역시 생긴 경우에는, 그만큼 채권자의 손해가 감소하였다고 봐야 하므로, 공평의 원리에 따라 손해배상액을 산정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이익액을 공제하는 것이다.
2. 손익상계의 범위
기본적으로 채무불이행 또는 불법행위와 상당인과관계 있는 이익만을 손해액으로부터 공제한다.( 2005다3229판결) 즉, 피해자(채권자)가 얻은 이익은 손해의 범위에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를 당한 피해자가 치료기간 동안 직장에 근무해서 획득한 보수 등은 사고와 관계없이 어차피 획득할 보수였으므로 상당인과관계가 부정되어 손익상계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92다31361판결)손익상계와는 반대로 채무불이행에서는 손해액을 산정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비용은 제외된다. ( 61다1359판결) 예를 들어, A가 B에게 밀가루를 100만원에 팔려고 한다. 그런데 B는 이를 C에게 150만원에 되팔려고 한다. A가 이행지체를 할 경우 A는 B에게 150만원을 전보배상[2]이 된다. 그런데 B가 C에게 되파는데 20만원의 추가비용이 있다면 이는 배상액에서 공제되어 총 130만원이 배상액으로 결정된다.
과실상계와 손익상계가 둘 다 존재할 경우, 과실상계를 먼저 적용하고 손익상계를 나중에 적용한다. 이는 가해자(채무자)의 배상책임을 더는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2021다299594판결에 의해 판례가 변경되어, 국민연금공단 등이 피해자에게 연금을 지급할 경우엔 이 순서가 뒤바뀌어 손익상계 후 과실상계 방식을 적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단 참조.
3. 판례
- 상해보험 등 보험사가 지급하는 보험금은 손익상계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이는 상해보험의 보험금은 보험료의 대가적 성질을 갖기 때문이다. 즉, 가해자의 가해행위로부터 보험금을 수령한 것이 아닌, 자신이 납입한 보험료의 대가로서 보험금을 수령한다고 보기 때문에 손익대상이 되지 않는 것이다. ( 98다25061판결) [출처]
- 반대로 보험사가 가해자에게 받은 배상금을 이유로 손익상계하는 것은, 피해자의 손해가 전부 보전될 때에만 한한다. 판례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자면, 김나무가 이위키를 차로 치어서 이위키가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하고 김나무 상대로 소송을 걸어 이겼다. 그런데 보험사가 지급한 보험금으로는 이위키에게 발생한 손해가 충분히 전보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그 상황에서 보험사는 "김나무한테 승소해서 받은 배상금을 우리가 지급할 보험금에서 손익상계로 공제하겠습니다"고 한 사안이다. 물론 보험사가 졌다. 보험사는 일종의 자기부담금을 부담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김나무로부터 받은 배상금을 손익상계한다는 전제 하에 공제된 금액만을 보험금으로 지급했지만[4], 대법원은 보험금으로 전보되지 않은 손해가 있다면 가해자로부터 배상받은 금전을 손익상계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 2014다46211판결)
- 물건이 훼손되어 그 가치가 감소한 잔존물은 이는 손해액 산정 과정에서 공제하는 것이 맞고, 이를 손익상계로 볼 수는 없다. 예를 들어, 피해자가 갖고 있던 시가 100만원짜리 도자기를 가해자가 깨뜨려 잔존가치가 30만원이 되었다고 해보자. 이러면 그냥 손해액을 70만원으로 산정하면 된다. 가해자가 100만원짜리 손해액이 있고, 이를 팔았으므로 30만원의 손익상계가 된다는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 91다17894판결)
[1]
불법행위에서는 피해자,
채무불이행에서는 채권자가 된다.
[2]
이행이익이라고도 한다. 채무가 이행되었을 때의 채권자가 획득할 이익이 된다.
[출처]
백경일, 알기 쉽게 풀어 쓴 채권총론, 고래시대 2015, 441면
[4]
이러한 법리는 이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이 나오기 전의 대법원 판례의 입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