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51:16

비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비노(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FFD918><tablebgcolor=#FFD918> 파일:노무현-투명.svg 노무현
관련 문서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D918,#2d2f34><colcolor=#010101,#FFCB08> 일생 일생
발언 민주평통 제50차 상임위 연설 (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 · 이기야 · 응딩이) · 제가 뭐 경제 살리겠다고 말이나 했습니까 · 노무현의 시대가 오겠어요? · 이쯤 가면 막 하자는 거지요 · 야 기분 좋다 · 우흥
가족 아버지 노판석 · 아내 권양숙 · 형 노영현 · 형 노건평 · 아들 노건호 · 사위 곽상언 · 손녀 노서은
역대 선거 제16대 대통령 선거 ( 노풍)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사건 사고 부림사건 · 제5공화국 청문회 ( 노무현 명패 사건) ·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 후보 단일화 협의회) · 검사와의 대화 ·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 · 박연차 게이트 ·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사건 ( 유서)
재단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시민센터 · 노무현리더십학교
별명 · 밈 별명 ( 노짱 · 꿈과 희망의 군국주의자) · 고인드립 ( MC무현) · 꽃이 진 뒤에야 봄이었음을 압니다 · MH세대 ·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 · 물은 셀프 · 너 노사모지
다큐멘터리
무현, 두 도시 이야기 · 노무현입니다 · 노무현과 바보들 · 물의 기억 · 시민 노무현 · 노무현과 바보들: 못다한 이야기
창작물 변호인 · 초선의원 · 고(故)노무현 前대통령 추모웹툰
기타 여담 · 자택 · 선거 로고송 · 노무현 갤러리 ( 노무현 대통령 미니 갤러리) · 노사모 · 친노 ( 역사 · 비판과 반론) · 비노 · 봉하마을 ( 부엉이바위) · 법무법인 부산 · 깨시민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참여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참여정부 참고
}}}}}}}}} ||
비노무현
비노 / 반노
<colbgcolor=#00AA7B> 형성 2002년
해체 2015년
수장 김한길, 정동영, 김종인
정치적 이념 자유보수주의[A]
중도개혁주의
경제적 이념 경제적 자유주의[A]
신자유주의[A]
주요 정치인 박지원
이낙연
추미애
천정배
이인제[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새천년민주당
민주당
중도통합민주당
민주당 대통합민주신당
통합민주당
민주당
민주통합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해체 }}}}}}}}}

1. 개요2. 상세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친노의 반대 개념. 민주당계 정당 정치 세력 중에서 친노 계파가 아닌 노무현 세력에 속하는 정치인들을 일컫는다. 주로 동교동계 정치인들이 비노 세력으로 알려져 있다. 대체로 " 중도개혁주의" 성향을 드러내며[5][6], 현재는 비문세력으로 불린다. 다만 친노세력에서도 친문과 비문으로 나뉜다.

2. 상세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 자살 사건 이후, 문재인 제18대 대통령 선거에 나오면서 비문으로 많이 옮겨간 상태다.

몇몇은 친노를 경계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일명 '범친노'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종종 '범친노'는 친노 성향이 너무 짙지 않은 경우를 칭하는 말이라 이 표현을 '친노를 경계하지 않는 비노'에게 쓰는 것이 적절한 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다만 친박을 파트너로 여기는 비박 홍준표를 '범친박'이라고 부르듯이, 이런 류의 비노를 '범친노'라고 부르는 것은 이상하지는 않다.

여느 계파들이 그렇듯 비노도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범친노 계통은 정동영계, 김한길계 등이 있다. 김종인계의 경우는 완전한 비노이고, 2014년 전후로는 일명 친안철수가 등장하면서 비노계의 주류로 자리잡았다. 이중 친안철수는 바른미래당으로, 정동영계를 비롯한 비안철수는 민주평화당으로 다시 흩어진다.

2016년 언론에서는 박영선, 김영춘, 김부겸, 송영길을 민주당내 대표적인 비노 출신 정치인으로 꼽았다.

그런가하면 비노이면서도 친문 성향을 보이는 경우 또한 있는데 대표적으로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하지 않았던 이낙연, 추미애, 김효석, 김영호나 아예 보수정당에서 넘어온 진영[7], 권민호, 양동인, 혹은 표창원, 김병관, 조응천[8], 양향자를 비롯한 영입인사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노무현과 친노를 결사반대하는 반노도 있는데 예전에는 자주 사용했으나 지금은 그리 많이 사용되지 않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노무현과 대선 경선후보로 경쟁했던 이인제 노무현 탄핵 소추를 이끌었던 조순형 등이 있다. 친노에서 반노로 전향한 탈노도 있는데, 김경재, 함승희, 이해성 등이 대표적인 예. 반노, 탈노의 상당수는 지금 오히려 국민의힘과 같은 보수정당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3. 둘러보기

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민주당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재명 김선민(대행)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집권정부 장면 내각(윤보선 정부)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정치인 대통령 윤보선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부통령 김성수 · 장면
대통령 후보 신익희 · 조병옥 · 김창숙 · 송요찬 · 유치송 · 김영삼 · 정동영 · 이재명
국무총리(내각제) 장면
국무총리 김석수 · 고건 · 이해찬 · 한명숙 · 한덕수 · 이낙연 · 정세균 · 김부겸
국무위원 장면 내각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소속 정치인 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 당대표
정파 친노/ 친문 친문 ( 비문) · 친노 ( 비노) · 친낙 · 정세균계 · 안희정계 · 양승조계 · 조국계
친명 친명 ( 비명) · 박주민계 · 정동영계
동교동계 동교동계 · 박지원계 · 호남계
보수파 김한길계 · 친안 · 손학규계
진보파 민평련 · 박원순계
정당연대 더불어시민당 · 더불어민주연합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진보동맹(진보) · DJP연합(보수)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진보)
역사 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참여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윤석열 · 계파 역사
관련 정당 기후민생당 · K정치혁신연합당 · 소나무당 · 열린민주당 · 새미래민주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 진보 · 보수)
}}}}}}}}}}}} ||

민주당계 정당의 계파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복 ~ 한국민주당 창당
고려민주당 조선민족당 한국국민당
한국민주당 창당 ~ 4당 코뮤니케
민족민주파 한국국민파
4당 코뮤니케 ~ 민주국민당 창당
흥사단 송진우계 김성수계 장덕수계
민주국민당 창당 ~ 민주당 창당
탈당파 흥사단 국민당계 대청계 한민당계
민주당 창당 ~ 장면 제2기 내각
신파 구파
장면 제2기 내각 ~ 장면 제3기 내각
소장파 노장파 합작파 신민당 통일당
장면 제3기 내각 ~ 장면 제4기 내각
신풍회 노장파 정안회 신민당 통일당
장면 제4기 내각 ~ 5.16 군사정변
신풍회 중도파 노장파 정안회 신민당 통일당
5.16 군사정변 ~ 5대 대선
정치 활동 금지
5대 대선 ~ 민중당 창당
민주당 국민의당 민정당 자민당
민중당 창당 ~ 한일기본조약 비준
박순천계 유진산계 윤보선계 김준연계
한일기본조약 비준 ~ 신민당 창당
박순천계 신파계 유진산계 김준연계 신한당
신민당 창당 ~ 71년 전당대회
신파계[1] 이재형계 소장파 유진오계 유진산계 신한계
71년 전당대회 ~ 2차 진산 파동
신파계[2] 범진산계[3] 유진산계 국민당
2차 진산 파동 ~ 76년 전당대회
신파계 구파계 이철승계 유진산계 민주통일당
76년 전당대회 ~ 5.17 내란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기택계 이철승계 신도환계
5.17 내란 ~ 11대 총선
정치 활동 금지
11대 총선 ~ 12대 총선
민권당 민한당
12대 총선 ~ 이민우 구상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철승계 민한당
이민우 구상 ~ 13대 대선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기택계 신한당
13대 대선 ~ 3당 합당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기택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한겨레 신민당 꼬마민주계 박찬종계
14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동교동계 잔류파 새한국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15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15대 대선 ~ 16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이인제계
16대 대선 ~ 열린우리당 창당
친노 동교동 신파 동교동 구파 후단협 이인제계
열린우리당 창당 ~ 17대 총선
친노 민주
17대 총선 ~ 4회 지선
민평련 친노 비노 민주
4회 지선 ~ 17대 대선
민평련 친노 정동영계 민주 김한길계
17대 대선 ~ 18대 총선
민평련 친노 정동영계 민주 손학규계 김한길계 창조
18대 총선 ~ 국민참여당 창당
민평련 정동영계 친노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창조
국민참여당 창당 ~ 민주통합당 창당
정동영계 참여계 민평련 친노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창조
민주통합당 창당 ~ 19대 총선
정동영계 혁통계 민평련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김한길계 창조
19대 총선 ~ 18대 대선
정동영계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박지원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김한길계
18대 대선 ~ 14년 재보선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김한길계 친안
14년 재보선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원외민주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천정배계 구민주계 친안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20대 총선
원외민주 친문 정세균계 구민주계 친안
20대 총선 ~ 국민의당 분당
박원순계 친문 안희정계 양승조계 호남계 친안
국민의당 분당 ~ 민생당 창당
친명 친문 비문 평화 대안 바른
민생당 창당 ~ 21대 총선
친명 친문 비문 민생
더시민위성
21대 총선 ~ 20대 대선
열린 친명 친문 친낙 민생
20대 대선 ~ 더불어민주당 분당
친조 친명 친문 비명
더불어민주당 분당 ~ 22대 총선
혁신 친명 친문 비명 새미래
민주연합위성
22대 총선 ~ 현재
혁신 친명 비명

정당별 계파 (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조국 · 민주 · 기후민생 · 새민주 · 개혁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 진보정당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정당)
}}}}}}}}}}}} ||


[A] 동교동계 성향. [A] 동교동계 성향. [A] 동교동계 성향. [4] 잠시 새천년민주당 소속이었으나 자유민주연합으로 넘어가며 현재는 계파를 이탈했다. [5] 반면에 친노, 친문 참여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 [6] 3당 합당 이전에는 모든 정당이 중도 - 중도보수 성향임을 감안하면 전혀 이상하지 않다. 실제로 대한민국에서 중도좌파 성향이 일정세를 확보하는 것은 평화민주당이 고립되고 김대중이 진보개혁 인사를 등용하고 거기에 국민승리21 등 진보계열 정당이 나온 이후다. [7] 보수 정당 시절에는 친박이였으나, 이후 노인 기초 연금을 두고 박근혜 대통령 및 친박계와 갈등을 빚고 비박으로 전향했다. [8] 다만, 조응천의 경우 문재인 당시 대표가 영입한 인사이긴 하지만 본인이 친문이 아니라고 했고, 더불어민주당 내 소장파인 조금박해의 일원이기도 하기 때문에 친문 성향을 보인다고 하긴 어렵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