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여당 | ||||||
→ | → | |||||
자유당 (1951.12.17.~1960.4.26.) |
민주당 (1960.8.13.~1961.5.16.) |
민주공화당 (1963.12.17.~1979.10.26.) 유신정우회 (1973.3.10.~1979.10.26.) |
(창당) | → | 민주당 | → | (해산) |
→ |
민주당 (민주당 신파) |
|||
→ |
신민당 (민주당 구파) |
|||
민주국민당 (개별 합류) |
→ |
통일당 (개별 합류) |
||
→ |
민주공화당 (개별 합류) |
|||
자유당 (개별 합류) |
→ | → |
보수당 (개별 합류) |
|
→ |
신정당 (창당준비위원회) |
민주당 | |
<colcolor=#000080,#ddd> 영문명 | <colbgcolor=#fff,#1F2023>Democratic Party (DP) |
창당일 | 1955년 9월 18일 |
해산일 | 1961년 5월 16일 ( 5.16 군사정변으로 해산.) |
선행조직 |
(사사오입 개헌 반대 세력 통합)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59번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12) |
당색 |
남색 (#000080)
|
당기 |
[clearfix]
1. 개요
|
|
창당발기인 대회 | 창당 당시 민주당 지도부 |
대한민국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에서 활동한 정당. 한국 헌정사상 최초의 단일 야당이자 한국 정당 정치의 주요 계열 중 하나인 ' 민주당계 정당'의 시초로 사실상 평가받고 있다.
이승만 대통령의 장기 집권을 위해 집권여당인 자유당이 사사오입 개헌을 강행하자, 이에 반발한 제1야당 민주국민당과 자유당 내 개헌 반대파, 기타 재야 인사들이 '반(反)독재'를 기치로 단결하여 1955년 9월 18일에 창당하였다. 이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과 자유당이 몰락하고 들어선 제2공화국의 첫 선거에서 압승하여 절대적 다수당의 지위를 획득하였지만, 봇물처럼 터져나오던 사회 개혁 요구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한 채 계파 갈등으로 분열되었고 집권 1년여 만에 5.16 군사정변으로 실각한 뒤 강제 해산되었다.[1]
강경한 반공 우익 성향의 이승만· 자유당에 대항해서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했다는 이미지와 오늘날의 민주당계를 창시한 정당으로 대우받는다는 상징성 때문에 활동 당시 진보· 개혁 진영의 대표 격이었을 것이라고 오해할 수 있으나, 자유당과 같이 엄연히 철저한 반공을 내세운 보수 우익 정당이었다. 물론 집권기인 장면때야 양원제가 도입, 광역단체장 직선제 도입, 언론자유 전면보장, 교원노조 합법화 등으로 이승만에 비해서야 많이 개혁적이기는 했지만, 1년도 안되어 전복되어서, 평가하기가 애매했다.
2. 역사
2.1. 창당과 통합
<rowcolor=#fff> 사건 순서 | 민주당(1955년)의 창당 과정 | |||
1 | 민주국민당 | 흥사단계( 장면, 정일형 등) | 자유당 탈당파( 현석호, 이태용 등) | 무소속 일부 |
2 | 1955년 9월 18일 민주당(1955년) 창당 |
한편 민주당 창당에는 이승만 정권에 참여했으나 권력투쟁 과정에서 밀려나있던 우익 정치인 장택상 전 국무총리와 초대 농림부 장관으로 농지개혁을 주도했으나 노선갈등으로 물러난 뒤에 독자적으로 활동하던 혁신계(진보세력)의 조봉암도 참여하려 했다. 장택상과 조봉암은 사상적으로 정반대였지만, 사적으로는 대단한 절친으로 장택상이 조봉암은 혁신계지만 사상적으로는 투철한 반공주의자라고 보증하고 김성수도 호응하면서 민주당에 참여시키려고 하였다. 그러나 김성수는 민주당 창당 직전 사망하고, 구 한민당, 민국당 출신들은 장택상의 보증에도 불구하고 "사상이 의심스러운 조봉암은 안 된다"면서 거부하면서 조봉암은 민주당에서 배제된다. 이렇게 되자 조봉암의 절친인 장택상도 민주당 창당에서 빠지고 자유당으로 돌아가버렸다. 한편 조봉암은 혁신계를 결집시켜서 독자적으로 진보당 창당에 나선다.
2.1.1. 창당에 동원된 정당과 계파
2.2. 두 번의 대통령 선거
|
하지만 민주당은 조봉암을 밀어주기보다는 신익희에 대한 추모표를 던져달라고[3] 유세하였고 이승만이 당선되게 된다. 반면 진보당 창당을 추진하던 인사들은 자신들 쪽 부통령 후보 박기출을 사퇴시키면서까지 민주당의 부통령 후보 장면을 밀어주었고, 2.4%p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장면이 승리해 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1960년 제4대 대통령 선거에서 조병옥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였으나, 역시 선거 도중 사망한다. 조봉암은 진보당 사건으로 인해 사형당했고, 이승만의 당선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대통령 선거보다 부통령 선거가 더 주목을 받게 된다. 부통령 선거 결과 이기붕이 장면을 압도적인 차이로 제치고 부통령에 당선되었지만, 부정선거 의혹이 제기되어 역사에 3.15 부정선거로 기록되었다. 4.19 혁명의 결과 이승만이 하야한다.
2.3. 제2공화국 시기
4.19 혁명 이후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의석의 약 75%를 차지하는 압승을 거둔다.[4] 민주당은 제2공화국의 집권 여당이 되었다.그러나 민주당의 신-구 갈등은 더욱 악화되어 따로 원내교섭단체를 등록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1960년 11월, 민주당을 탈당한 구파세력이 신민당을 창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그래도 신파가 의석수를 늘려가며 사실상 집권여당으로써 역할을 했지만, 고작 집권 1년차에 5.16 군사정변이 터져서 1961년 5월 22일 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 제6호로 인해 해산되었다. 헌정이 재개된 이후로는 절차부심해서 1963년 대선에서 윤보선을 단일후보로 내세웠지만 석패했고, 의회권력도 단일화 실패로 결국 민주공화당이 차지하고야 만다.
3. 구파와 신파
자세한 내용은 민주당 구파와 신파 문서 참고하십시오.4. 現 더불어민주당의 시조
오늘날 한국의 양대 정당 중 하나이자 민주당계 정당을 대표하는 더불어민주당은 이 당을 본인들의 시작점으로 보고 매년 9월 18일 창당 기념일 행사를 연다. 오랜 기간 동안 이합집산을 반복하며 법적으로는 여러 정당이 뒤섞였지만, 뿌리를 되짚어 올라가면 성질이나 계파 등 많은 요소가 이 정당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창당 기념 행사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은 본인들이 이승만 - 박정희 - 전두환 정권에 맞서 싸웠던 '반독재 민주정당'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5]
|
{{{#ffffff 2015년 열린 첫 번째 기념 행사.}}} |
|
{{{#ffffff 2016년, 신익희 생가에서 열린 기념 행사.}}} |
|
{{{#ffffff 2022년 열린 기념 사진전.}}} |
5. 역대 지도부
대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080,#7ffeff> 임시 곽상훈 |
초대 신익희 |
권한대행 곽상훈 |
제2-5대 조병옥 |
제6대 장면 |
}}}}}}}}}}}} |
대수 | 직함 | 이름 | 임기 | 비고 |
임시 | 의장 | 곽상훈 | 1955년 9월 19일 ~ 1955년 9월 20일 | |
초대 | 대표 | 신익희 | 1955년 9월 20일 ~ 1956년 5월 5일 | 서거 |
권한대행 | 곽상훈 | 1956년 5월 6일 ~ 1956년 7월 18일 | ||
제2대 | 조병옥 | 1956년 7월 18일 ~ 1956년 9월 28일 | ||
제3대 | 1956년 9월 28일 ~ 1957년 10월 18일 | |||
제4대 | 1957년 10월 18일 ~ 1958년 10월 30일 | |||
제5대 | 1958년 10월 30일 ~ 1959년 11월 27일 | |||
제6대 | 장면 | 1959년 11월 27일 ~ 1961년 5월 16일 | 5.16 쿠데타로 정당 해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margin-bottom: -36px;" |
제1~2대 이석기 |
3대 오위영 |
제4대 유진산 |
제5대 김의택 |
제6대 이석기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6. 출신 대통령
대한민국 대통령 | ||||||
번 | 이름 | 대 | 임기 | 선출 방식 | 정당 | |
취임일 | 퇴임일 | |||||
2 |
윤보선 (1897 ~ 1990) |
4 | 1960년 8월 12일 | 1962년 3월 24일 |
1960년 대선 간선 82.2% |
무소속[6] |
7. 출신 부통령
대한민국 부통령 | ||||||
번 | 이름 | 대 | 임기 | 선출 방식 | 정당 | |
취임일 | 퇴임일 | |||||
4 |
장면 (1899 ~ 1966) |
4 |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5일 |
1956년 부선 직선 46.40% |
민주당 |
8. 출신 국무총리(내각제)
대한민국 국무총리 | ||||||
번 | 이름 | 대 | 임기 | 선출 방식 | 정당 | |
취임일 | 퇴임일 | |||||
4 |
장면 (1899 ~ 1966) |
7 | 1960년 8월 19일 | 1961년 5월 18일 |
장면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안 간선 52.0% |
민주당 |
9. 역대 선거
- 1956년 제3대 대통령 선거
-
대통령 신익희 사망 - 부통령 장면 46.43% 당선
- 1956년 지방선거
- 시장 0/6
- 읍장 1/30
- 면장 9/544
- 시의원 54/416
- 읍의원 57/990
- 면의원 231/16,051
- 특별시·도의원 98/437
-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 79/233 33.9%
-
1960년 제4대 대통령 선거 -
대통령 조병옥 사망 -
부통령 장면 17.5% 낙선 -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민의원 175/233 75.1%
- 참의원 31/58 53.4%
- 국무총리 장면 117/225 당선
- 1960년 제4대 대통령 선거
- 대통령 윤보선 208/263 당선
- 1960년 지방선거
- 특별시장·도지사 6/10
- 시장 12/26
- 읍장 23/82
- 면장 297/1,359
- 특별시·도의원 195/486
- 시의원 129/420
- 읍의원 142/1,055
- 면의원 2,510/15,376
9.1. 대통령 선거
연도 | 선거명 | 후보자 | 득표수 (득표율) | 결과 |
1956년 | 3대 | 신익희 | 사망 | |
1960년 |
|
조병옥 | ||
1960년 | 4대 | 윤보선 | 208 (79.09%) | 당선 |
9.2. 부통령 선거
연도 | 선거명 | 후보자 | 득표수 (득표율) | 결과 |
1956년 | 3대 | 장면 | 4,012,654 (46.43%) | 당선 |
1960년 |
|
장면 | 1,843,758 (17.51%) | 낙선(2위) |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이승만 정부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7.~1951.12.) →
자유당 (1951.12.~1960.4.) 한국민주당 (1948.7.~1949.2.) 민주국민당 (1949.2.~1949.11.) 대한국민당 (1949.11.~1951.12.) |
장면 내각 | 민주당 (1960.8.~1961.5.) | |
박정희 정부 |
민주공화당 (1963.12.~1979.10.) 유신정우회^[1]^ (1973.3.~1979.10.) |
|
전두환 정부 | 민주정의당 (1981.1.~1988.2.) | |
노태우 정부 | 민주정의당 (1988.2.~1990.1.) → 민주자유당 (1990.1.~1992.10.) | |
문민정부 | 민주자유당 (1993.2.~1995.12.) → 신한국당 (1995.12.~1997.11.) | |
국민의 정부 |
새정치국민회의 (1998.2.~2000.1.) →
새천년민주당 (2000.1.~2002.5.) 자유민주연합 (1998.2.~2001.9.) 민주국민당 (2001.4.~2001.9.) |
|
참여정부 | 새천년민주당 (2003.2.~2003.9.) → 열린우리당 (2004.5.~2007.2.) | |
이명박 정부 | 한나라당 (2008.2.~2012.2.) → 새누리당 (2012.2.~2013.2.) | |
박근혜 정부 | 새누리당 (2013.2.~2017.2) → 자유한국당 (2017.2.~2017.3.) | |
문재인 정부 |
더불어민주당 (2017.5.~2022.5.) 더불어시민당^[A]^ (2020.3.~2020.5.) |
|
윤석열 정부 |
국민의힘 (2022.5.~현재) 국민의미래^[A]^ (2024.2.~2024.4.) |
|
[1]
대통령이 임명하는 국회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교섭단체. [A] 비례대표 득표용 위성정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000080; border-right: 10px solid #000080"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000080,#fff><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 인사 |
여당 | 민주당 | |
정책 및 방향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시안 · 반공임시특별법 ( 데모규제법) · 의원내각제 · 양원제 · 지방자치제도 | |
평가 | 평가 | |
타임라인 | ||
1960년 | 1960년 지방선거 · 경무대 개칭 | |
1961년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시안 · 반공임시특별법 통과 시도 ( 데모규제법) · 5.16 군사정변 · 군사혁명위원회 출범 ( 국가재건최고회의) | }}}}}}}}}}}} |
민주당계 정당 | |||||||||||||||||||||||||||||||||||||||||||||||||||||||||||||||||||||||||||||||||||||||||||||||||||
제1공화국 ~
제4공화국 (1948 ~ 1981)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 정부 수립 이전 | ||||||||||||||||||||||||||||||||||||||||||||||||||||||||||||||||||||||||||||||||||||||||||||||||||
대동청년단 | 서북청년회 | 백의사 | 한국민주당 | ||||||||||||||||||||||||||||||||||||||||||||||||||||||||||||||||||||||||||||||||||||||||||||||||
대한청년단 | |||||||||||||||||||||||||||||||||||||||||||||||||||||||||||||||||||||||||||||||||||||||||||||||||||
대한국민당 | |||||||||||||||||||||||||||||||||||||||||||||||||||||||||||||||||||||||||||||||||||||||||||||||||||
민주국민당 | |||||||||||||||||||||||||||||||||||||||||||||||||||||||||||||||||||||||||||||||||||||||||||||||||||
민주당 | |||||||||||||||||||||||||||||||||||||||||||||||||||||||||||||||||||||||||||||||||||||||||||||||||||
신민당 | 통일당 | 민주당 | |||||||||||||||||||||||||||||||||||||||||||||||||||||||||||||||||||||||||||||||||||||||||||||||||
강제 해산 (5.16 군사정변) | |||||||||||||||||||||||||||||||||||||||||||||||||||||||||||||||||||||||||||||||||||||||||||||||||||
민정당 | 자유민주당 | 민주당 | 국민의당 | ||||||||||||||||||||||||||||||||||||||||||||||||||||||||||||||||||||||||||||||||||||||||||||||||
민정당 | 민주당 | ||||||||||||||||||||||||||||||||||||||||||||||||||||||||||||||||||||||||||||||||||||||||||||||||||
민중당 | |||||||||||||||||||||||||||||||||||||||||||||||||||||||||||||||||||||||||||||||||||||||||||||||||||
민중당 | 신한당 | ||||||||||||||||||||||||||||||||||||||||||||||||||||||||||||||||||||||||||||||||||||||||||||||||||
신민당 | |||||||||||||||||||||||||||||||||||||||||||||||||||||||||||||||||||||||||||||||||||||||||||||||||||
자진 해산 (신민회) | |||||||||||||||||||||||||||||||||||||||||||||||||||||||||||||||||||||||||||||||||||||||||||||||||||
신민당 | 국민당 | ||||||||||||||||||||||||||||||||||||||||||||||||||||||||||||||||||||||||||||||||||||||||||||||||||
강제 해산 (10월 유신) | |||||||||||||||||||||||||||||||||||||||||||||||||||||||||||||||||||||||||||||||||||||||||||||||||||
신민당 | |||||||||||||||||||||||||||||||||||||||||||||||||||||||||||||||||||||||||||||||||||||||||||||||||||
신민당 | 민주통일당 | ||||||||||||||||||||||||||||||||||||||||||||||||||||||||||||||||||||||||||||||||||||||||||||||||||
강제 해산 (5.17 내란) | |||||||||||||||||||||||||||||||||||||||||||||||||||||||||||||||||||||||||||||||||||||||||||||||||||
▼ 제4공화국 이후 | |||||||||||||||||||||||||||||||||||||||||||||||||||||||||||||||||||||||||||||||||||||||||||||||||||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보수정당 |
''' 1954.5.31. ~ 1958.5.3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14석
|
|||||||||||
야당 | |||||||||||
15석
|
3석
|
3석
|
|||||||||
무소속 68석
|
|||||||||||
재적 203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31석
|
|||||||||||
야당 | |||||||||||
46석
|
1석
|
||||||||||
무소속 24석
|
|||||||||||
재적 202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 1958.5.31. ~ 1960.7.28.'''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26석
|
|||||||||||
야당 | |||||||||||
79석
|
1석
|
||||||||||
무소속 27석
|
|||||||||||
재적 233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각외 협력 | ||||||||||
68석
|
|||||||||||
야당 | |||||||||||
48석
|
38석
|
1석
|
|||||||||
무소속 40석
|
|||||||||||
재적 195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 1960.7.29. ~ 1961.5.16.'''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31석
175석
|
|||||||||
야당 | |||||||||
1석
4석
|
4석
2석
|
1석
1석
|
|||||||
0석
1석
|
0석
1석
|
1석
0석
|
|||||||
무소속 2석
49석
|
|||||||||
재적 58석 • 233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5.16 군사정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3석
131석
|
|||||||||
야당 | |||||||||
18석
60석
|
0석
28석
|
1석
4석
|
|||||||
1석
1석
|
0석
1석
|
0석
1석
|
|||||||
13석
0석
|
1석
0석
|
1석
0석
|
|||||||
무소속 2석
0석
|
|||||||||
재적 50석 • 233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
좌측은 참의원(상원) 의석 수, 우측은 민의원(하원) 의석 수 |
[1]
이후 '반독재' 단일 야당
신민당 창당 전까지 민주당계 정당들은 이합집산을 반복하게 된다.
[2]
대표적인 인물이
김영삼
전 대통령이다.
[3]
당연히 사망한 후보를 향해 한 투표는 무효표 처리된다. 또한 당시 여론을 분석한 여러 자료에서 당시 민주당을 지지하던 유권자 중 신익희를 향한 기권표를 던지지 않은 상당수가 조봉암이 아니라 이승만을 찍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승만의 자유당이나 박정희의 민주공화당, 전두환의 민주정의당도 달성하지 못했던 마의 3/4선의 의석을 확보한 것이다. 90년대 초반의 민자당이 이에 비견되는 의석비율을 확보하긴 했지만
선거로 이루어진 건 아니었고, 92년 총선에서 149석으로 쪼그라들았다.
[5]
한편 더불어민주당이 1955년 민주당을 기념하는 것과 별개로 현재의 민주당 또는 민주당계 정당의 시초가 어디인가에 관해서는 1945년
한국민주당 혹은
김대중이 창당한 1987년
평화민주당,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라는 등 여러 의견들이 존재하나, 현 민주당의 직접적 기원은 1987년 민주화 이후 창당한 평화민주당 또는 새정치국민회의라고 볼 수 있다.
[6]
선출 당시 당적은 민주당이었으나, 2공화국 헌법상 대통령은 당적을 보유할 수 없었기에 취임 직전에 탈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