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대구광역시를 본관으로 한 성씨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원도심 지역 | |||||||||||
대구 백씨 | 달성 서씨[지역] | 대구 서씨 | 대구 이씨 | |||||||||
수성구 지역 | ||||||||||||
수성 빈씨[이칭] | 수성 나씨 | |||||||||||
달성군 지역 | ||||||||||||
달성 배씨 | 달성 하씨 | 하빈 이씨 | ||||||||||
현풍군(現.달성군) 지역 | ||||||||||||
현풍 곽씨 | ||||||||||||
군위군 지역 | ||||||||||||
군위 오씨 | 효령 사공씨 | |||||||||||
의흥군(現.군위군) 지역 | ||||||||||||
부림 홍씨 | 의흥 박씨 | 의흥 예씨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60><tablebordercolor=#008080> 달성 서씨 |
}}} | |
<colcolor=#fbe673><colbgcolor=#008080> 관향 | 대구광역시 | ||
시조 | 서진(徐晉) | ||
집성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대구광역시 달성군· 동구· 북구· 수성구 울산광역시 중구· 울주군 충청북도 청주시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안군· 익산시· 장수군 전라남도 고흥군· 구례군· 광양시· 순천시· 여수시 경상북도 경산시· 고령군· 구미시· 문경시· 상주시· 안동시· 영주시· 영천시·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칠곡군· 포항시 경상남도 고성군· 거제시· 남해군· 밀양시· 양산시· 의령군· 진주시· 창녕군· 창원시· 함양군· 합천군 |
||
황해도 황주군 평안남도 덕천시· 성천군 함경남도 갑산군· 이원군 |
|||
인구 | 407,431명 (2015년) | ||
링크 |
달성서씨대종회 달성서씨감찰공파종회 |
[clearfix]
1. 개요
대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대구라는 지역은 본래 달구화(達句火), 달불성(達弗城) 또는 달구벌(達句伐)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는데, 신라 경덕왕 때에 대구(大丘)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되었다.( 대구광역시누리집, 지식백과)달성 서씨의 시조인 서진(徐晉)은 고려에서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으며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고 전한다. 묘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 문양역 인근에 위치해 있다.
달성 서씨의 5세인 서침(徐沉)은 세종대에 당시 달성 서씨의 세거지였던 달성(達城)을 국가가 경상도의 요새로 삼기 위해 필요로 하자 기꺼이 헌납한 공으로 포상을 받게 되었으나, 그는 포상 대신에 환곡(還穀)의 이자를 경감해 주도록 건의하여 허락받았다. 달성공원의 수령 300년이 넘는 회화나무는 서침의 정신을 기리는 뜻에서 '서침나무'로 명명되었다.( 대구역사문화대전)
2. 서한(徐閈)과의 관계
관향이 같은 대구 서씨의 시조 서한(徐閈)은 고려조에 중랑장(中郞將)과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냈다고 하는데, 이 인물이 달성 서씨의 원조(遠祖: 먼 조상)로 거론된다. 달성 서씨와 대구 서씨를 같은 집안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판도판서 서진이 시조인 달성 서씨를 ‘판도공파’로, 군기소윤 서한이 시조인 대구 서씨를 ‘소윤공파’로 일컫는다.대구 서씨에서도 “달성서씨와 근원이 같지만 분파된 시기는 확실히 고증할 수 없다.”라고 하여, 서한과 서진의 직접적인 관계를 밝히지 않았다. 그런데 일설에는 달성 서씨 시조 서진(徐晉)이 대구 서씨 시조 서한(徐閈)의 후손이라고 한다. 『공주만성보』에 따르면
달성군 서유행(徐惟行) → 군기소윤 서한(徐閈) → 검교군기감 서신(徐愼) → 밀직사사 서무질(徐無疾) → 판도판서 서진(徐晉)
으로 계보가 이어진다. 그러나 서한과 서진 사이에 있는 서신(徐愼)과 서무질(徐無疾)의 존재가 다른 문헌에서는 보이지 않기에 신원이 불분명하다는 문제가 있다.한편 달성 서씨는 동시에 이천 서씨 서희의 후손이라고도 한다. 네이버 블로그 연구에 따르면 이천 서씨 족보에는 막내아들이자 달성군파(達城君派)의 시조로 기록된 서유행(徐惟行)이 있다. 고려사 서희 열전에 따르면 서희의 서자로 서주행(徐周行)이 있는데, 서유행이 이 서주행과 동일인이라는 주장이다.[1]
1846년 발행된 이천서씨족보(利川徐氏族譜)에는 서희의 아들로 서눌(徐訥) 한 명만 기록되어 있고, 서유걸(徐維傑/徐惟傑)과 서유위(徐維偉/徐惟偉)는 서희의 아들이 아니라 서눌의 아들로 잘못 기록되었다. 이 족보에는 서유행(서주행)이 없다.
그런데 이천서씨절효공파족보 利川徐氏節孝公派族譜, 갑편 1권(1973)에는 1846년의 족보와는 달리 서눌의 아들로 초휘(初諱)가 유행(維行)인 서주행(徐周行)이 추가되었다. 더불어 그 후손으로 서한이 추가되었다. 그는 족보에 '달성파(達城派)'라는 문구와 함께 기록되었다.
1995년 발행된 이천서씨수룡공파보(利川徐氏隨龍公派譜)[2]에는 서희의 아들로 초휘(初諱)가 유행(維行)인 서주행이 등재되어 있고 '달성파(達城派)'라는 문구가 표기되어 있다. 정작 서한은 해당 족보에 없다.
세 족보의 기재를 요약하면, 1973년 '이천서씨절효공파족보 利川徐氏節孝公派族譜'에는 서한이, 1995년 발행된 족보에서는 서주행(서유행)이 달성파로 기록되었다. 반면에 1846년의 족보에는 서유행이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1846년 족보에 기록된 딸들의 남편으로 대구 배씨(大邱裵氏)가 많이 나타난다는 점이 주목된다. 1846년 족보의 264페이지에 배의도(裵𠋣度), 265페이지의 배덕룡(裵德龍), 270페이지의 배수첨(裵壽瞻), 273페이지 배유도(裵有道), 그리고 1973년판 이천서씨절효공파족보 갑편 1권 13장의 배흠련(裵欽練) 등이 있다. 대구 배씨는 대구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인데, 이천과 대구는 서로 220km가량 떨어져 있는데도 이천 서씨와 대구 배씨의 혼인이 다수 발견되는 것이다. 이는 이천 서씨 족보에 달성 서씨 인물이 섞여 들어갔거나 최소 이천 서씨의 한 일파가 대구 지역에 세거하였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서유위의 7대손이자 서효손(徐孝孫)의 아들로 서진(徐晉)이 있는데[3], 달성 서씨 시조 서진과는 동명이인이다. 이쪽 서진의 부인은 숙부인(淑夫人) 평강 채씨로 공조판서 광록(光祿)의 딸이다.
3. 계파
- 현감공파(縣監公派) - 파시조: 서제(徐濟)
- 학유공파(學諭公派) - 파시조: 서도(徐渡)
- 판서공파(判書公派) - 파시조: 서섭(徐涉)
- 감찰공파(監察公派) - 파시조: 서근중(徐近中)
- 진사공파(進士公派) - 파시조: 서석련(徐錫蓮)
- 생원공파(生員公派) - 파시조: 서석명(徐錫蓂)
- 진사공파(進士公派) - 파시조: 서석령(徐錫笭)
- 참판공파(參判公派) - 파시조: 서종일(徐宗一)
- 현감무사(縣監無嗣) - 파시조: 서종오(徐宗五)
- 종사랑공파(從仕郞公派) - 파시조: 서진(徐震)
===# 상계 계보 #===
각 인물의 아들을 하위 항목으로 편성하여 기재하였다. 이름 앞의 번호는 세수를 나타낸다.
-
서진(徐晉): 고려조(高麗朝)에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으며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했다.
부인: 초계 주씨(草溪周氏), 검교장군(檢校將軍) 주치(周穉)의 딸 -
서기준(徐奇俊): 서진(徐晉)의 아들, 승봉랑(承奉郞)과 도관좌랑(都官佐郞)을 지냈으며 문하시중찬성사(門下侍中贊成事)에 추봉(追封)되고 달천군(達川君)에 봉해졌다.
부인: 만경 노씨(萬頃盧氏), 언부(讞部) 의랑(議郞) 도염서령(都染署令) 노종복(盧宗福)의 딸 -
서영(徐穎): 서기준(徐奇俊)의 아들, 호는 노남(櫓南)이며 시호는 충정공(忠靖公)이다. 중대광(重大匡)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으며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 문하시중찬성사(門下時中贊成事)에 올랐다.
고려사마
부인: 익양군부인(益陽郡夫人) 영천 이씨, 승동정(丞同正) 경안공(景安公) 이영유(李永儒)의 딸 -
서균형(徐鈞衡): 서영(徐穎)의 아들, 충혜왕 경진년(1340)에 출생하여 공양왕 신미년(1391)에 사망했다. 자는 상경(商卿), 호는 학암(鶴巖)이며 시호는 정평(貞平)이다. 난계(蘭溪)
김득배(金得培)의 문인이었으며 공민왕 경자년(1360)에 진사(進士) 합격, 동년에 정몽주와 함께 문과에 급제했다. 정당문학(政堂文學),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양광도관찰사(楊廣道觀察使) 등을 역임했다.
참고2:대구역사문화대전
부인: 광산 김씨, 김영리(金英利)의 딸[4] -
서침(徐沉): 서균형(徐鈞衡)의 아들로, 자는 성묵(聖默/黙), 호는 구계(龜溪)와 구암(龜巖)이다.
한국고전종합DB 정몽주의 문인으로 성리학을 배웠으며, 세종조에 조봉대부(朝奉大夫)와 전의소감(典醫少監)을 지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부인: 고성 이씨, 동궁(東宮) 첨사(詹事) 이을방(李乙芳)의 딸로, 판우군(判右軍) 이백(李伯)의 손녀이자 도총제(都摠制) 이윤주(李允柱)의 증손녀이다. -
서문한(徐文翰): 서침(徐沉)의 장남이며, 호는 쌍죽당(雙竹堂) 또는 남강(南岡)이다. 승사랑(承仕郞) 광흥창부승(廣興倉副丞)을 역임했으며 현감(縣監)을 지냈다. 문과 급제
손자-서지원
부인: 숙부인(淑夫人) 창원 황씨(昌原黃氏), 군자감(軍資監) 직장(直長) 황봉조(黃鳳朝)의 딸 -
서제(徐濟): 서문한(徐文翰)의 아들이며 하양(河陽) 현감(縣監)을 지냈는데,
계유정난 때 3등 공신에 녹훈되었으나 단종이 승하하자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부인: 숙부인(淑夫人) 밀양 박씨 -
서도(徐渡): 서문한(徐文翰)의 아들로, 자는 군즙/군집(君楫), 호는 호민재(好敏齋) 또는 월촌(月村)이다. 성화(成化) 을유년(1465)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무공랑(務功郞)과 성균관(成均館) 권지(權知) 학유(學諭)를 임했다.
문과자료
부인: 안인(安人) 월성 정씨, 상주판관(尙州判官) 정차온(鄭次溫)의 딸 참고자료-정차온 -
서섭(徐涉)[5]: 서문한(徐文翰)의 삼남으로, 호는 남애(南崖/南厓)이며 후에 남은(南隱)으로 개호하였다. 세종조에 관직에 등제하여 자헌대부(資憲大夫) 행이조판서를 지냈다. 단종조에 간신들을 물리치라는 척간소(斥姦疏)를 올렸다.[6] 그로 인해 유배를 갔던 그는 영월사변(寧越事變) 때 「문영월사변통곡(聞寧越事變痛哭)」이라는 시를 남기고 낙향한 후, 은둔생활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서섭의 존재는 1920년 중반 즈음에 본인의 후손에 의해 유고(遺稿)와 그 행장(行狀)이 발견되면서 수면 위로 드러나게 되었다.
참고자료1
참고자료2
부인: 정경부인(貞敬夫人) 인천 채씨, 예조참의(禮曹參議) 채윤(蔡倫)의 딸 한국고전종합DB -
서문간(徐文幹): 서침(徐沉)의 차남으로, 현감(縣監)을 지내다 통정(通政)에 이르렀다. 문과 중시에 급제.
부인: 숙부인(淑夫人) 해평 김씨(海平金氏) - 서근중(徐近中): 서문간(徐文幹)의 아들로, 휘는 일명(一名) 용(溶)이며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임했다.
- 서습(徐漝): 서균형(徐鈞衡)의 아들, 문과에 급제하여 송화(松禾)의 부사(府使)를 지냈다. 문과자료(慶尙道固城府叢瑣錄)-48p,R(徐漝/達城人/文科/官-府使) 참고2
- 서문덕(徐文德): 생부(生父)는 서침(徐沉)이며, 서습(徐漝)의 아들로 출계했다. 자(字)는 자일(子一)/여일(予一), 호는 무우당(無憂堂)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정랑(吏曹正郞)과 만경현감(萬頃縣監)을 역임했다. 문과자료-48p,R(徐文德/漝之子/文科/官-正郞)\
-
서석련(徐錫蓮): 서문덕(徐文德)의 아들로, 자는 후백(后伯), 호는 둔재/돈재(遯齋)이다. 단종 선위일에 태학(太學) 제생(諸生)에서 하직한 뒤 의령(宜寧)으로 돌아가 조정에 나아가지 않았다. 진사(進士).
부인: 의인(宜人) 청송 심씨 -
서석령(徐錫苓): 서문덕(徐文德)의 아들, 자는 계백(桂伯), 호는 검계(儉溪)이다. 세조가 왕위를 무력으로 찬탈한 이후 파산(巴山=지금의 함안咸安)에 은거하였다. 진사(進士).
부인: 의인(宜人) 함안 조씨 -
서석명(徐錫蓂): 서문덕(徐文德)의 아들, 자는 형백(馨伯), 호는 남호(南湖)/남조(南潮)이다.
생원자료-48p,R(徐錫蓂/文德之子/生員)
부인: 고성 이씨 -
서환(徐渙): 서균형(徐鈞衡)의 아들, 초휘(初諱)는 좌(坐)이다. 성균학생(成均學生)이었으며 1380년 고려 문과에 급제했다. 전교부령(典校副令)과 보문각직제학(寶文閣直提學)을 임했다.
고려문과
고려사마
부인: 안동 권씨, 권청(權清)의 딸 - 서세주(徐世柱): 서환(徐渙)의 아들. 우윤(右尹)
- 서종일(徐宗一): 서세주(徐世柱)의 아들. 참판(參判)
- 서종오(徐宗五): 서세주(徐世柱)의 아들. 현감(縣監)
- 서유(徐宥)/서지유(徐之宥)[7]: 서진(徐晉)의 아들, 고려조에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사(密直使) 겸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와 상호군(上護軍)을 역임했다.
-
서고(徐翺): 서유(徐宥)/서지유(徐之宥)의 아들, 상주(尙州) 목사(牧使)를 지냈다. 봉익대부(奉翊大夫). 정포은(鄭圃隱=정몽주)이 '상주 서 목사에게 주다: 贈尙州徐牧使'라는 제목의 이별 시를 기증했다.
한국고전종합DB-포은집 제2권
부인: 평양 조씨, 상호군(上護軍) 조일서(趙一舒)의 딸 - 서원(徐遠): 서진(徐晉)의 아들, 생원(生員)
- 서충(徐衷): 서원(徐遠)의 아들, 문과에 갑과(甲科)로 급제하여 대사간(大司諫)을 지냈다. 언사(言事)로 벼슬에서 물러나 화원현(花園縣) 마이산(馬耳山)으로 이주해 여생을 보냈다. 한국고전종합DB[8]
- 서사달(徐士達): 서충(徐衷)의 아들. 감찰(監察)
- 서사민(徐士敏): 서충(徐衷)의 아들. 지청도군사(知淸都郡事)에서 통훈대부(通訓大夫)에 이르렀다.
4. 집성촌
달성 서씨는 수도권을 제외하면 대구광역시와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에 많이 살고 있으며, 그 외 충청북도와 전라남·북도 등지에도 흩어져 살고 있다.4.1. 충북
4.2. 전라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지성리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금평리
-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상왕등리·치도리
- 전라북도 익산시 현영동: 독립유공자 서정만이 이 마을 출신.
-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명덕리
-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남성리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금내리
-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용곡리
- 전라남도 순천시 대대동·안풍동
-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원창리
-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창무리
4.3. 대구·경북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도동·숙천동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독립유공자 서상락· 서오룡이 이 마을 출신.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
- 경상북도 경산시 중방동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오사리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곽촌리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동산리
-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리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무곡리·평천리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덕곡리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묵상리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지동리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용혈리
- 경상북도 영천시 본촌동·봉동
-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어은리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장국리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다로리·삼신리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평리: 독립유공자 서고락·서효격·서효달·서효신·서효원(독립운동가) 등이 이 마을 출신.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관리·덕천리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구만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가안리
4.4. 부산·울산·경남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
-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9]: 서병수 의원이 이 마을 출신.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사연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삼정리
- 경상남도 고성군 영현면 연화리
-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한내리
-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율천리
- 경상남도 거제시 하청면 연구리: 독립유공자 서환수가 이 마을 출신.
-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소정리
-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서대리: 서천호 전 경찰대학장이 이 마을 출신.
-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좌삼리: 독립유공자 서두성· 서병희가 이 마을 출신.
- 경상남도 의령군 궁류면 평촌리
- 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예둔리
- 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동·수정동·평안동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조산리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신당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원계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호계리
-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대남리
-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웅평리
-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덕암리
- 경상남도 합천군 덕곡면 병배리
- 경상남도 합천군 청덕면 적포리
4.5. 북한
- 황해도 황주군 인교면 소매리
- 평안남도 덕천시 풍덕면 신흥리
- 평안남도 성천군 대구면 별창리
- 함경남도 갑산군 산남면 포치리
- 함경남도 이원군 남면 유성리
5. 항렬자
볼드체는 대동항렬이다.[10] 회색은 대구 서씨와 겹치는 항렬자이므로 이 항렬자를 쓰는 경우 달성 서씨인지 대구 서씨인지 속단하기 어렵고 계보 대조가 필요하다.세수 | 항렬자 | |
19세 | 건(楗)○ | ○재(在), 간(幹)○, 상(相)○ |
20세 | ○열(烈) | ○흠(欽), 병(炳)○, 광(光)○, 병(丙)○ |
21세 | ○곤(坤) | ○규(奎), ○태(泰), 기(基)○, 정(廷)○, 재(載)○ |
22세 | ○석(錫) | ○화(和), ○진(鎭), 종(鐘)○ |
23세 | 영(永)○, ○수(洙) | ○원(源), ○호(浩) |
24세 | 정(正)○ | 동(東)○, 병(柄)○, 상(相)○ |
25세 | ○교(敎) | ○환(煥) |
26세 | 보(輔)○ | 규(逵)○, 민(民)○, 재(在)○ |
27세 | ○덕(德) | |
28세 | 영(永)○ | |
29세 | ○걸(杰) | |
30세 | 현(炫)○ | |
31세 | ○준(埈) | |
32세 | 용(鎔)○ | |
33세 | ○락(洛) | |
34세 | 병(秉)○ | |
35세 | ○혁(焃) | |
36세 | 재(在)○ | |
37세 | ○호(鎬) | |
38세 | 홍(洪)○ | |
39세 | ○정(楨) | |
40세 | 하(夏)○ |
6. 인명
항렬자를 근거로 항렬을 추정한 것이 대다수이므로 사실과 다를 수 있다. 또한 계보가 불확실한 관계로 대구 서씨 인물이 여기에 기재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계보 대조 후 대구 서씨 인물들은 삭제 후 대구 서씨 문서로 옮기기 바란다.6.1. 20세
- 서병희: 독립운동가
6.2. 21세
6.3. 22세
6.4. 23세
- 서건수: 일제강점기 시대의 독립운동가
- 서병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갑 국회의원, 서석인의 아들/서범수의 형
- 서범수: 울산광역시 울주군 국회의원, 서석인의 아들/서병수의 동생
- 서승환
- 서세원
- 서오룡: 독립운동가
- 서윤홍: 대법관
- 서천호
- 서형수: 경상남도 양산시 을 국회의원
6.5. 24세
- 서지영: 가수
- 서배준: 서지영의 오빠이자 배우
- 서동민: 야구 선수
- 서동주: 미국변호사, 작가, 방송인
- BIG Naughty: 래퍼. 본명은 서동현.
- 학생서씨: 인터넷 방송인. 본명은 서은호, 개명 전 이름은 서동주이다.
- 서상락: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 서상일: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 서상한: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 Springhead: 작곡가. 본명 서병문
6.6. 25세
- 서상교: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대한민국 국회의원
- 서용교: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2018년 7월 14일 백혈병으로 투병하는 도중 사망
- 서찬교: 前 새누리당 정치인
- 그림주녕
6.7. 26세
- 서명옥: 제22대 국회의원
- 서보혁(徐輔焃): 독립운동가 서상교의 아들 / 경북대학교 IT대학 전기공학과 명예교수 #영남일보
- 서보현(徐輔賢): 독립운동가 서상교의 아들 / 독립기념관 비상임이사 #경인일보
6.8. 미상
- 서고락: 독립운동가
- 서두성: 독립운동가
- 서미소랑: 아나운서, 치과의사
- 서아론: 인터넷 방송인
- 서유리: 성우, MC. 개명전 이름은 서영은이다.[11]
- 서장훈: 前 농구선수, 現 MC, 방송인
- 서정민: 前 야구선수, 現 아프리커TV 파트너BJ 롯데자이언츠편파중계, AF베이스볼클럽 대표
- 서정인: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서지수: 가수, 러블리즈의 멤버. '洙'자 항렬로 착각해 23세손이라 생각할 수도 있는데, 한자가 다르다. '수'자가 洙(강 이름 수)가 아닌 秀(빼어날 수)이다. 23세손 항렬자는 洙(강 이름 수). 서지수는 오히려 '지' 돌림으로 항렬을 따르지 않는다. 항목 참조.
- 서지수
- 서지승
- 서지혜: 배우
- 서진용: 야구 선수
- 서현: 가수, 소녀시대 멤버. 본명은 서주현.
- 서현석: 전 프로게이머, 현 트위치 스트리머
- 서현진: 배우
- 서현진: 前 아나운서, 現 방송인
- 수진: 가수
[1]
시조 서진의 부인이 초계 주씨(草溪周氏)인데, 서유행의 부인 역시 초계 주씨라 전해진다.
[2]
인제대학교족보도서관 '利川徐氏隨龍公派譜(이천서씨수룡공파보 상 1/2)'. 167페이지(328쪽)에 1세 서신일이 있다.
[3]
서유위(4세) → 서면(徐冕-5세) → 서린(徐嶙-6세) → 서찬(徐瓚-7세) → 서인(徐諲-8세) → 서욱(徐勗-9세) → 서효손(徐孝孫-10세) → 서진(徐晉-11세).
[4]
족보에는 김영리, 기타 자료에는 김원명(金遠鳴)의 딸이라 기재돼 있기도 하다. 그러나 김약채(金若采)의 조부인 김영리(金英利)가 1314년생이라는 점을 고려하자면 시기상 전자가 더 적합하다.
[5]
涉은 '섭'과 '척'의 두 음을 가지고 있어 어떤 세보에는 서척으로 기재되어 있다.
[6]
자료마다 서섭이 척간소를 올린 시점이 계유정난의 전과 후로 시점이 약간씩 다르다.
[7]
족보에 의하면 한 책은 지유(之宥)라 한다는 내용이 있다. 상촌선생집 제26권 / 묘갈명(墓碣銘)에 "목사 고(翺)의 따님이자 밀직사(密直使) 지유(之宥)의 손녀이고"라고 되어 있다.
[8]
서충의 증손자인 6세 서한정(徐翰廷)과 함께 실려있으며, 서한정의 본관이 화원(花園)이라 서술되어 있으나 서충이 화원현으로 이주했던 과거로 인해 발생한 착오로 생각된다.
[9]
다전으로도 불린다. 달성서씨 감찰공파 집성촌이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 참고.
[10]
출처:
달성서씨세보 197면
[11]
참고로 가수
서영은은 이천 서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