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02:37:48

권두조

권두조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롯데우승엠블럼V2.jp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1992

보유 기록[1]
단일 시즌 최저 타율 0.162
단일 시즌 최저 출루율 0.237
단일 시즌 최저 장타율 0.188
단일 시즌 최소 안타[2] 49안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c2340>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1982~1983 1984 1985 1986 1987
권두조 김성관
김용희
유두열 정학수
1988 <rowcolor=#ed1c24> 1989~1991 1992 1993~1994 1995
김용철 ?? 한영준
조성옥 한영준
<rowcolor=#000> 1996 1997 1998 1999 2000
김응국 이종운 공필성 박정태
강성우
2001 2002 <rowcolor=#fff> 2003 2004 2005
강상수 조경환 박현승 김대익 염종석
<rowcolor=#fff> 2006 2007 2008 2009~2010 2011
손인호 손민한 정수근 조성환 조성환 홍성흔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김사율 조성환 박준서 최준석 강민호
2017~2018
<rowcolor=#fff> 2019 2020 2021~2022 2023
이대호 손아섭 민병헌 민병헌 전준우 안치홍
<rowcolor=#fff> 2024
전준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d1c24> 초대 2대
3대
4대 5대
임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이성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임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7)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배대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rowcolor=#000> 6대 7대
8대
9대
우용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1)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김정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이재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2003)
감독 대행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rowcolor=#fff>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감독 대행
박영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박영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정영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8)
<rowcolor=#fff>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양상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박정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윤학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정인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22대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8)
강진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서튼 파일:미국 국기.svg
(2020~2021)
감독 대행
정호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정호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rowcolor=#fff> 23대 24대 25대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배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24대 한정 총괄 코치로 직함 변경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2군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최정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4)
류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감독 대행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류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박현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9대
박용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6)
김영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1998)
이광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rowcolor=#fff>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감독 대행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김용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rowcolor=#fff>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김영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김기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김영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노찬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3)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rowcolor=#fff> 19대 20대 21대 22대 23대
조계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김동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송구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김동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rowcolor=#fff> 24대 25대 26대 27대 28대
이종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서용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김정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이병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2군
역대 감독
(SK 와이번스 시절 포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김종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조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박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2004)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김동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계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10)
이만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계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이만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3)
박경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세이케 파일:일본 국기.svg
(2015)
<rowcolor=#fff>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김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8)
이종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0)
조원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김석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rowcolor=#fff> 21대 22대 23대 24대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플레처 파일:미국 국기.svg
(2022)
이대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손시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2025~)
20대부터 22대까지는 총괄코치 직함 사용. }}}}}}}}}

{{{#ed1c24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6번}}}
팀 창단 권두조
(1982~1983)
박영태
(1984~1992)
{{{#ff9933 [[삼미 슈퍼스타즈|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13번}}}
최홍석
(1983)
권두조
(1984~1988)
양상문
(1989~1993)
{{{#000000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5번}}}
이성득
(1988~1989)
권두조
(1990~1996)
문동환
(1997)
문동환
(1997)
권두조
(1999)
이동욱
(2004~2005)
{{{#000000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오대석
(1997~1998)
권두조
(2000~2001)
강병철
(2006~2007)
LG 트윈스 등번호 71번
정삼흠
(1997~2001)
권두조
(2002)
정삼흠
(2003)
{{{#fff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78번}}}
김봉근
(2003~2004)
권두조
(2005)
황병일
(2006)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6번
박영태
(1993~2010)
권두조
(2012~2014)
전병우
(2015)
}}} ||
파일:권두조.jpg
권두조
權斗祚 | Kwon Doo-jo
출생 1952년 6월 10일 ([age(1952-06-10)]세)
경상북도 포항시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부산중앙초 - 부산동성중 - 경남상고 - 중앙대
포지션 유격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2년 롯데 자이언츠 창단 멤버
소속팀 제일은행 야구단 (1975~1981)
롯데 자이언츠 (1982~1983)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태평양 돌핀스 (1984~1988)
지도자 태평양 돌핀스 플레잉코치 (1988)
OB 베어스 수비 인스트럭터 (1989)
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1990~1996)
한화 이글스 1군 수비코치 (1997~1998)[3]
한화 이글스 2군 수비코치 (1998)[4]
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1999~2001)[5]
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2001)[6]
LG 트윈스 2군 감독 (2002)
SK 와이번스 1군 수비코치 (2005)[7]
SK 와이번스 2군 감독 (2005)[8]
부경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7~2011)
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2012)
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2013)
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2014)[9]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감독 (2020)
거제BC 감독 (2022~)
프런트 한화 이글스 육성팀장 (2011)
롯데 자이언츠 스카우트 (2014~2020)

1. 개요2. 선수 경력3. 연도별 성적4. 지도자 경력
4.1. 롯데 자이언츠 2기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국프로야구 롯데 자이언츠,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에서 활동했던 내야수이자 야구 지도자.

2. 선수 경력

1975년부터 실업야구 제일은행에서 활동했으며, 1982년 한국프로야구 출범에 따라 롯데 자이언츠의 원년 멤버이자 첫 주장으로 이름을 남기게 되었다. 원년에 모든 경기에 출장하였으나 이미 30세였던 그는 당시에는 상당한 노장 축에 속했던 선수였고,[10] 더불어서 상당히 왜소한 체격이었던 탓에 홈런은 전무했으며 타격은 2할대 초반의 타율을 기록하였다.

그의 최고의 강점은 선구안으로, 원년 시즌 삼진 27개를 당하는 동한 볼넷은 36개를 얻어 냈으며 통산기록도 삼진 159개, 볼넷 157개로 차이가 단 2개뿐이었다.

하지만 MBC 청룡에서 김재박에게 자리를 내준 내야수 정영기가 포수 차동열을 상대로 트레이드[11]되어 롯데로 이적함으로서 권두조는 주전 유격수 자리를 내놓게 되었다. 결국 1983년 시즌 후 삼미 슈퍼스타즈의 투수 임호균이 롯데로 이적할 당시 4명의 반대급부 선수 중 한명으로 지목되어(권두조, 박정후, 우경하, 김정수) 팀을 옮겨서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였다. 1984년에는 타율 0.267을 기록하여 타율 20위 안에 들었으며, 청보 핀토스에서 1987년까지 인천 야구의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였다. 하지만 1986년에는 타율 .162를 기록, 한 시즌 최저 타율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12]

태평양 돌핀스로 팀이 바뀌기 전에 은퇴하고 수비코치로 부임하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다. 현역 시절에는 희생번트 등의 팀 플레이를 잘 했고 1983년 중반부터 은퇴하기 전이었던 1987년까지 지속되었던 역대 7위에 해당하는 433경기 연속 출장 등의 성실함철밥통으로 인정받았던 선수였다.

스탯티즈 기준 1500타석 이상 기록한 타자 중에서 뒤에서 네 번째의 통산 타율, 뒤에서 두 번째의 통산 장타율을 기록하였고, 마찬가지로 1500타석 이상 기록한 타자 중에서 WAR 최하위를 기록했었다. 단일시즌 WAR 최하위 기록도 가지고 있었으나(1986년도) 2024년 3월 22일 스탯티즈 WAR 공식이 바뀌게 되어서 2016 이대형에게 그 자리를 물려주게 되었다.

3.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출루율 장타율
1982 롯데 80 .223 59 15 1 0 35 40 7 36 7
(5위)
.329 .287
1983 81 .168 30 5 2 0 10 21 1 10 0 .209 .218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출루율 장타율
1984 삼미 100 .267 97 10 2 1 25 38 3 36 3 .337 .314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출루율 장타율
1985 삼미 / 청보 110 .237 71 12 2 0 19 21 8 30 6 .319 .291
1986 청보 108 .162 49 6 1 0 11 14 2 27 3 .237 .188
1987 108 .237 46 5 1 0 12 15 3 18 2 .307 .273
KBO 통산
(6시즌)
587 .220 352 53 9 1 112 149 24 157 21 .296 .266

4. 지도자 경력

은퇴하자마자 태평양 돌핀스의 수비코치를 맡아 한 시즌을 재직했으며 OB 베어스, 그 이후 친정 팀이었던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 SK 와이번스 등에서 계속해서 2001년까지 팀은 옮겼지만 코치 생활을 계속하였으나 백인천 감독이 부임하자 팀을 떠나 2004년까지는 야인으로 지내게 된다. 2005년 조범현 감독의 SK 와이번스의 수비코치로 계약했으나 팀의 부진이 지속되자 5월 말에 2군 감독으로 보직 개편되어 2군 감독으로 한 시즌을 보낸 후 다시 팀에서 나왔고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모교인 부경고등학교의 감독을 맡았다가 2011년 8월 한화 이글스의 육성 팀장으로 임명된다.

4.1. 롯데 자이언츠 2기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서 롯데 자이언츠 프런트 양승호 감독을 보좌할 수석코치로 권두조를 점찍어 영입했다. 1년 전에 제리 로이스터를 해고하고 프런트 경험이 있었던 양승호 감독을 영입했던 점으로 미루어 감독의 권한을 최소화하는 대신 프런트 야구를 지향하려 한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었다. 그럭저럭 1년동안 수석코치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그러다가 양승호 감독이 포스트시즌 이후 전격적으로 감독에서 사퇴하자[13] 이후 새로 선임된 김시진 감독이 권영호 영남대학교 감독을 수석코치로 발탁하자 2군 감독으로 보직 이동되었다. 그러나 한 시즌 만에 다시 권영호 1군 수석코치와 보직을 맞바꾸어 다시 1군 수석코치로 돌아오게 되었다.[14]

이후 롯데 자이언츠 선수단 CCTV 사찰 사건 당시 주동자로 알려져 큰 비난을 받았으나 진짜 문제는 권두조가 아니라 사장이었던 최하진이었던 게 드러났다! 이후 프런트에서 스카우터로 6년간 일했고 2020년부터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동년 11월쯤에 투수코치이던 이문한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사임했다.

5. 관련 문서



[1] 이 모든 기록들이 무난하게 깨어질 듯 했으나, 규정타석에 못 미치다 결국 2군으로 쫓겨나면서 무산되었다. [2] 규정타석 기준 [3] ~7월 8일 [4] 7월 9일~ [5] ~6월 9일 [6] 6월 10일~ [7] ~5월 26일 [8] 5월 27일~ [9] ~5월 26일 [10] 전문 트레이너들의 체계적인 피지컬 트레이닝를 도입한 1994년의 LG 트윈스 이광환 감독 이전까진 30대 초반이면 대부분 선수 생명의 끝줄이었다. 지금은 30대 초반은 아직 전성기지만 40여년 전에는 사실상 중년에 가까웠다. [11] 선수 간 트레이드 1호다. KBO 트레이드 1호 이적 선수인 서정환은 현금 트레이드 1호이다. [12] 하도 존재감이 없었던 선수여서인지는 몰라도, 엄연히 규정타석을 채운 최저타율 기록이었음에도 한 시즌 최저타율 기록 보유자를 박진만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13] 고려대학교 감독 시절 입시비리에 대한 혐의로 구속되었는데, 이것 때문에 양 감독이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 사임했다는 설이 매우 유력하다. [14] 참고로 권영호는 2군 감독 부임 1주일 만에 구단 프런트와 훈련방식에서 마찰을 일으켜 결국 해임되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