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승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8번}}} | ||||
홍순기 (1994) |
→ |
박현승 (1995~1997) |
→ | 결번 | |
결번 | → |
박현승 (1999~2004) |
→ |
노장진 (2005~2006)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번 | |||||
박연수 (2003.4.26.~2004) |
→ |
박현승 (2005~2009) |
→ |
박진환 (2010~2012)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1번 | |||||
고정식 (2006~2007) |
→ |
박현승 (2010~2015) |
→ |
프랑코 (2016~2020) |
|
|||
박현승 朴玄升 | Park Hyun-Seung |
|||
출생 | 1972년 9월 12일 ([age(1972-09-12)]세) |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現 부산광역시 남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대연초 - 대천중 - 경남고 - 동아대[1] | ||
포지션 | 내야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1995년 2차 1라운드 (전체 4번, 롯데) | ||
소속팀 | 롯데 자이언츠 (1995~2009) | ||
지도자 |
롯데 자이언츠 2군 수비코치 (2010~2012) 롯데 자이언츠 2군 작전·주루코치 (2013)[2] 롯데 자이언츠 1군 작전·주루코치 (2013)[3] 롯데 자이언츠 2군 수비·주루코치 (2014) 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2015)[4] 롯데 자이언츠 2군 수비코치 (2015)[5] 경남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7~)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 밀양 박씨 | |
응원가 | 멕시코 민요 《 라쿠카라차》[가사][7]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내야수였다.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경남고 시절에는 청소년대표, 동아대 시절에는 국가대표를 지낼 정도로 유망한 선수였으며 아마시절의 활약을 바탕으로 1995년, 1억 원의 계약금을 받고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한다.2.2. 롯데 자이언츠 시절
18번 등번호 사용 시절(출처 : 포토로) | 5번 등번호 사용 시절(출처 : 포토로) |
입단 당시 박현승이 받은 1억원은 당시 기준으로 야수 최고 계약금에 해당한다. 팀이 그에게 얼마나 기대를 걸고 있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롯데의 2루에는 박정태, 3루에는 공필성이 있었기에 박현승의 자리가 쉽게 나지 않았다. 하지만 그해 지명타자이자 선수생활 말년에 접어든 김민호가 부진하면서 김용희 감독은 다음 시즌부터 수비가 불안했던 공필성을 백업 및 지명타자로 돌리고 3루 자리를 박현승에게 주기로 결정한다.
어엿한 주전으로 발돋움하게 된 1996 시즌. 개막전부터 8번타자 3루수를 꿰찬 박현승은 그 해 .288의 타율과 102개의 안타, 8홈런 51타점 10도루의 좋은 활약을 펼치며 롯데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박현승이 자리를 잡으면서 롯데는 박현승( 3루수) - 김민재( 유격수) - 박정태( 2루수) - 마해영( 1루수)라는 젊은 내야진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1997 시즌에는 더욱 발전한 모습을 보이며 0.301의 타율에 19홈런 63타점 12도루로 맹활약하며 감독 추천으로 올스타전까지 출장한다.
이렇게 최고의 시즌을 보낸 후 박현승은 군에 입대하고, 1999 시즌 중반에야 팀에 다시 합류한다. 하지만 군에 다녀온 후 예전의 날카로운 타격이 완전히 사라져버리면서 롯데 팬들의 안타까움을 샀다. 2001년 0.288의 타율을 기록하면서 부활의 조짐을 보이기도 했으나 이후에는 계속 신통찮은 성적을 냈다. 특히 2003년에는 주장까지 역임하며 118경기에 출장해 팀의 주전 내야수로 활약했으나 홈런 없이 타율 0.235에 0.551의 OPS를 기록할 정도로 부진했다. 그나마 이 시즌 팀의 15연패를 끊은 끝내기 안타를 때려냈다[8].
2004년 양상문 감독이 부임한 이후엔 아예 전력 외 선수로 취급되기 시작한다. 실력이 모자랐다기보단 양상문이 팀 리빌딩을 명목으로 의도적으로 고참 선수들을 기용하지 않았던 탓.
이대로 잊혀지는 선수가 되는 듯 했던 박현승은 2006년, 강병철 감독이 취임한 이후에 다시 기회를 잡는다. 강병철 역시 양상문 못지 않게 고참 선수보다는 유망주를 선호하는 감독이었지만, 주전 2루수였던 신명철이 시즌 초 타율이 1할도 안 될 정도로 끔찍한 부진에 빠졌고[9] 대신 출전시킨 정보명도 영 시원찮은 활약을 보이자 다시 박현승을 기용하게 되었다. 2007 시즌에도 박현승은 주전 2루수로 기용되었고, 0.325의 타율과 98안타를 기록하며 극적으로 부활한다. 역대 4위에 해당하는 25경기 연속 안타, 역대 2위에 해당하는 14경기 연속 득점까지 기록한다. 시즌 중 안지만의 공에 팔꿈치를 맞아 부상을 당한 것이 아쉬웠지만, 10년 만에 올스타에 다시 뽑히는 등 자신의 존재 가치를 알리기에는 충분한 시즌이었다.
그리고 2008 시즌 부임한 제리 로이스터 감독은 사회복무요원에서 소집해제되고 돌아온 조성환을 2루수로 기용하는 대신 박현승을 주전 1루수 겸 3번 타자로 기용한다. 하지만 박현승은 슬럼프에 빠지고, 타순 조정을 거치다가 끝내 주전에서 밀려난다.[10] 그나마 선구안은 살아있어서 출루율은 괜찮았지만, 심각한 타격 부진을 커버하기엔 역부족이었다. 그래도 롯데의 호성적에 힘입어 올스타에 뽑혔다.
2009 시즌 개막 이후 줄곧 2군에 머물렀는데, 2군에서 0.362의 좋은 타율을 기록했지만 이미 롯데의 전력 구상에 노장 박현승의 자리는 없었다. 홈런 타자들이 건재한 데다, 홍성흔의 존재가 너무 강했다. 결국 한 번도 1군에 오르지 못했다. 롯데는 박현승을 2009 시즌 후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했고, 박현승은 결국 당해를 끝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한다.
앞서도 소개됐지만 박현승은 롯데에서는 보기 드문 내야 유틸리티 플레이어였다. 프로 첫해 2루수를 시작으로, 주전이 되기 위해 3루수로 전업, 이후 다시 2루수, 1루수를 봤다. 유격수로는 그가 뛰던 시절에 김민재와 박기혁이 버티고 있어 거의 출장하지는 않았다. 야수로서는 평균 이상의 안정된 수비를 보여줬다. 타자로서는 전형적인 작전형 2번타자, 혹은 6,7번 타자로 나왔다.
응원가는 라 쿠카라차[11]를 개사한 곡으로, 2010년 시즌부터 박종윤에게 물려줬는데 그 뒤 박종윤의 응원가가 바뀌었다. 그리고 이 곡은 이우민에게 넘어갔다가 이우민이 은퇴한 이후 이병규의 임시 응원가로 쓰이고 있다.[12]
2012년 4월 14일 두산전에서 최기문 배터리 코치와 함께 은퇴식을 가졌다.
3. 지도자 경력
3루 주루 코치를 맡으면서 대책없이 주자를 홈까지 돌리는 이해 못할 주루플레이로 수많은 홈 비명횡사를 만들어 내며 선수시절 좋았던 이미지를 홀라당 다 까먹고 있다. 이에 모 팬이 ' 눝포인트가 부족했다. 이해해달라.' 라고 드립친것이 흥하면서 눝현승이라고 까이고 있다.[13]2014년에는 KBO 퓨처스리그 수비, 주루코치로 내려갔으며, 2015년부터 공필성 수비코치가 불미스러운 일로 사임하면서 공석이 된 1군 수비코치를 맡게 된다.
별로 주목받지 않는 수비코치여서 그냥저냥 넘어가고 있으나 수비코치로서의 능력도 박영태나 공필성을 능가하는 최악의 수비코치다. 수비코치 부임 후 내야 수비가 전체적으로 더 나빠졌고, 오승택의 심리적인 부담감을 덜어주지 못했다는 점 때문에 욕을 바가지로 먹는 중.
공필성보다 더한 박현승
결국 염종석, 안상준과 같이 강등되었다. (염종석은 3군으로)
2015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하며 20년 만에 롯데 유니폼을 벗게 되었다. 2017년 모교인 경남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를 맡고 있다.[14]
4.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1995 | 롯데 자이언츠 | 48 | 95 | .221 | 21 | 4 | 1 | 1 | 8 | 12 | 1 | 18 | .316 | .339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1996 | 롯데 자이언츠 | 108 | 354 | .288 | 102 | 22 | 3 | 8 | 51 | 62 | 10 | 45 | .367 | .435 |
1997 | 112 | 379 | .301 | 114 | 19 | 4 | 19 | 63 | 53 | 12 | 42 | .369 | .522 | |
1998 | 군복무 | |||||||||||||
1999 | 100 | 342 | .263 | 90 | 21 | 2 | 6 | 39 | 49 | 12 | 47 | .389 | .351 | |
2000 | 111 | 344 | .241 | 83 | 19 | 2 | 6 | 39 | 40 |
23 (5위) |
52 | .360 | .340 | |
2001 | 123 | 427 | .288 | 123 | 21 |
4 (4위) |
5 | 53 | 76 | 15 | 85 | .391 | .404 | |
2002 | 94 | 346 | .260 | 90 | 15 | 0 | 9 | 35 | 37 | 6 | 27 | .382 | .310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2003 | 롯데 자이언츠 | 118 | 357 | .235 | 84 | 11 | 1 | 0 | 18 | 40 | 7 | 22 | .272 | .279 |
2004 | 61 | 146 | .219 | 32 | 6 | 0 | 1 | 11 | 18 | 2 | 24 | .281 | .327 | |
2005 | 24 | 38 | .211 | 8 | 1 | 0 | 0 | 1 | 3 | 1 | 5 | .237 | .302 | |
2006 | 104 | 298 | .242 | 72 | 9 | 0 | 3 | 26 | 31 | 5 | 37 | .302 | .324 | |
2007 | 91 | 302 | .325 | 98 | 14 | 0 | 3 | 33 | 55 | 1 | 43 | .401 | .398 | |
2008 | 73 | 206 | .218 | 45 | 5 | 1 | 1 | 22 | 27 | 3 | 31 | .267 | .317 | |
2009 | 1군 기록 없음 | |||||||||||||
KBO 통산 (13시즌) |
1167 | 3634 | .265 | 962 | 167 | 18 | 62 | 399 | 503 | 98 | 478 | .372 | .348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41e42> |
롯데 자이언츠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1986년 |
김형운 (1) | 이석규 (1) | 미지명 | 미지명 | 미지명 |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
박태호 | 고정식 | 김인호 |
손길호 유충돌 |
김태석 |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
가득염 | 마해영 | 임수혁 | 박현승 | 김영복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
임봉춘 | 손인호 | 김사율 | 정진수 | 이대호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고효준 | 김대우 | 김수화 | 조정훈 | 나승현 |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
이웅한 | 하준호 | 진명호 | 홍재영 | 김명성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김원중 | 송주은 | 문동욱 | 안태경 | 한승혁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나종덕 | 이승헌 | 고승민 | 홍민기 | 김진욱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
조세진 | 김민석 | 전미르 | 김태현 | ||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
1차 지명 지명자는 1차 지명 선수 문서 참조. | }}}}}}}}} |
박현승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990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 MVP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c2340> |
롯데 자이언츠 역대 주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ed1c24> 1982~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권두조 |
김성관 ★ |
김용희 ☆ |
유두열 | 정학수 | |
1988 | <rowcolor=#ed1c24> 1989~1991 | 1992 | 1993~1994 | 1995 | |
김용철 | ?? |
한영준 ★ |
조성옥 |
한영준 ☆ |
|
<rowcolor=#000>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
김응국 | 이종운 | 공필성 |
박정태 ☆ |
강성우 | |
2001 | 2002 | <rowcolor=#fff> 2003 | 2004 | 2005 | |
강상수 | 조경환 | 박현승 | 김대익 | 염종석 | |
<rowcolor=#fff> 2006 | 2007 | 2008 | 2009~2010 | 2011 | |
손인호 | 손민한 | 정수근 → 조성환 | 조성환 | 홍성흔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김사율 | 조성환 | 박준서 | 최준석 | 강민호 | |
2017~2018
|
<rowcolor=#fff> 2019 | 2020 | 2021~2022 | 2023 | |
이대호 | 손아섭 → 민병헌 | 민병헌 | 전준우 | 안치홍 | |
<rowcolor=#fff> 2024 | |||||
전준우 | }}}}}}}}} |
}}} ||
[1]
1991학번.
[2]
~4월 18일
[3]
4월 19일~
[4]
~7월 16일
[5]
7월 17일~
[가사]
박현승 안~타~ 박현승 안~타~ 롯데 승리 위하여~ ×4
[7]
이후
박종윤,
이우민,
나경민,
이병규의 응원가로 재사용되었다.
[8]
참고로 이 연패가 끊어진 날은
백인천이 롯데 감독직에서 짤린 날이기도 하다.
[9]
시즌 종료 후
강영식과 트레이드 되었다.
[10]
이 해 후반기부터 1루자리는
박종윤이 차지하게 된다.
[11]
박현승 안~타 박현승 안~타! 롯데 승리위하여 (x2)
[12]
이우민 안~타! 이우민 안~타 안타안타 이우민 (×4), 2017년시즌에는 이우민 안~타 이우민 안~타! 롯데 승리위하여 (x2) 2018년부터는 이우민을 이병규로 개사해서 불렀다.
[13]
무슨 말인지 이해를 못하겠다면
참고 할 것.
[14]
전광열 감독, 박현승 수석코치, 정수찬 투수코치, 류은재 야수코치, 오승우 배터리코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