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6:32:17

고양 BRT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102589> 신교통형
BRT
세종특별자치시 BRT(바로타)
일반형
BRT
고양 BRT 청라-강서 BRT
청라국제도시 GRT 부산광역시 BRT
대구광역시 BRT 광주-나주 BRT
광주광역시 BRT 대전광역시 BRT
전주 BRT
Super
BRT
세종특별자치시 BRT(바로타)
실증사업
창원 S-BRT 인천 S-BRT
계양-대장 S-BRT 성남 S-BRT
}}}}}}}}} ||


{{{#!wiki style="margin: -10px auto" <tablebordercolor=#02574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고양시
}}}
{{{#!wiki style="margin: 0 -10px"
{{{#02574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 행신( 행신발 KTX) · 대곡( 서해선 KTX)
무궁화호 대곡 · 원릉
파일:Seoulmetro3_icon.svg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파일:GJLine_icon.svg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경의선/한국항공대~수색 중간역
파일:SeohaeLine_icon.svg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킨텍스 · 대곡 · 창릉
교외선 능곡 · 대곡 · 대정 · 원릉 · 삼릉 · 벽제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00.svg 수도권제1순환선 · 파일:Expressway_kor_17.svg 평택파주선 · 파일:Expressway_kor_130.svg 인천국제공항선 · 양재고양선
국도 1( 통일로) · 39( 호국로) · 77( 자유로)
지방도 78 · 98 · 356 · 357(제2자유로) · 359 · 363 · 367
버스 고양종합터미널 · 화정터미널 · 일산읍터미널(명성)
고양 BRT · 고양시 시내버스 · 고양시 마을버스
공유자전거 쏘카일레클 · 카카오 T 바이크 · 지쿠 · 피프틴
공유킥보드 Beam · Lime · SWING · 씽씽 · 지쿠터
경기도의 교통
}}}}}}}}}}}} ||

한국어: 고양시 간선급행버스체계
영어: Goyang Bus Rapid Transit.

1. 개요2. 간략한 역사3. 특징4. 정류장 목록5.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고양버스철.jpg
BRT 구간에서 가장 붐비는 일산동구청 정류장의 모습.

2006년 10월 27일에 정식 개통한 경기도 고양시 간선급행버스체계, 사실상 중앙버스전용차로 기능을 한다. 고양시 교통망의 중추라고 할 수 있다.

구간은 경기도 고양시 대화동 ~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까지 총 15.6km이다.

2. 간략한 역사

원래 이 구간은 가라뫼~화전~수색 구간을 제외하면 일산신도시 건설 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도로였으나, 1990년대 일산신도시와 화정지구, 행신지구 등의 개발과 함께 만든 신도로이다. 이 구간은 중앙버스전용차로보다 먼저 일산선 대화~ 대곡 구간이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일부로 개통했으며,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포함한 간선급행버스체계 2006년 10월 27일 정식 개통하였다. 개통 이후 이 구간을 통과하는 버스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며, 이에 따라 이용객도 늘고 있다. 또한 서정마을 등 일부 정류장이 신설되기도 하였다.

2016년 6월 1일 중앙로 고양 BRT의 지선격인 권율대로 지축 BRT(행신~원흥~삼송)가 개통하였다.

2024년 8월 13일 기존 가변 정류장이던 대화역 정류장에 중앙차로 정류장을 추가하여 광역/직행좌석버스 전용 정류장으로 개통하였다. M급행버스는 이 정류장에 들어오지 않는다.

3. 특징

파일:고양버스철2.jpg

입체 교차로나 간선급행버스체계 전용 버스인 굴절버스 등 진보된 소프트웨어나 버스 정류장 등은 없는, 말 그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중앙버스정류소만 갖춘 초급 BRT다. 단, 이 구간에 버스 전용 신호는 몇 군데 있으며, 저상버스도 당연하다시피 일부 노선에 운행을 하고 있다. 별도의 BRT급행 노선만이 BRT차로에 들어갈 수 있는 세종 BRT와 달리, 고양 BRT는 버스전용차로 전 구간에 걸쳐 진입하는 버스의 제한이 없다. 이 구간을 경유하는 시외버스, 광역급행버스, 경기순환버스, 간선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일반좌석버스, 일반시내버스에 마을버스까지 거의 대부분의 버스들이 다 함께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며, 덕분에 마두역, 일산동구청, 주엽역 정류장은 쉴새없이 터져 나가기 시작했다. 시내버스가 신설되지를 못해 마을버스를 노변으로 빼야 할 필요성이 늘고 있다. 게다가 학원 통학버스, 고양시 시티투어버스, 전세버스, 통근버스까지 몰려들어온다!

마을버스나 시내버스를 제외하면 대략적인 진입 계통은 다음과 같다.
1. 일산서구의 대화지구, 가좌지구 등을 기종점으로 삼고 중앙로를 따라 대화역을 지나 고양 BRT에 진입
2. 일산서구 탄현동, 일산동 등을 기종점으로 삼고 고봉로를 통해 고양 BRT에 진입

진출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게 된다.
1. 덕양구 정류소들을 경유하지 않고 대곡역 인근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진입 - 자유로 진입 (강남 및 영등포행 버스, 경기순환버스)
2. 고양 BRT의 종점까지 운행하여 수색로 - 성산로(여기까지 중앙버스전용차로로 이어짐) - 사직로를 통해 도심 진입 (도심행 버스 - 덕양구 구간에서 고양경찰서, 행신초등학교, 행신동, 소만마을, 서정마을 5개소 정차)

위에 언급되었던 대로 서울특별시 중앙버스전용차로 중 하나인 수색로- 성산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산 구간에서는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일부인 일산선이 지하로 지나간다. 일산선 대곡역에서 화정 방향으로 선형이 굽어 있다. 경의중앙선과는 대곡역에서 연계된다. 이후 덕양구 구간에서는 고양 BRT와 경의중앙선이 약 1k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북서-남동 방향으로 향한다. 강매역 인근에서 합류한 후 평행하게 진행하여 화전역에서 다시 만난다. 서울특별시 구간까지 합치면 연세대학교앞까지 거의 평행하게 진행한다.[1]

명성운수[2] 가온누리엠, 신성교통, 고양교통, 신일여객, 선진버스, 선진운수, 서울매일버스같은 광역버스 직행좌석버스 회사들의 레이싱 현장이다(...) 3호선 따위도 그냥 제치는 일산 광역버스들... 심지어 동해운수 700번, 760번, 771번이나 신촌교통 7727번 같은 간선이나 지선버스도 참전하는 경우가 더러 보인다. 하지만 경의중앙선은 이기지 못한다.하지만 여기는 배차가...

최근에는 시각장애인 보도블럭이 훼손된 채 방치되어 기사화되었다.[3]

3기신도시 중 하나로 덕양구 창릉신도시를 만들기로 한 계획이 발표되자 마을버스를 노변으로 빼기로 결정했다는 주장을 담은 정체 불명[4]의 문서가 마을버스에 붙어있었으나 대다수 내용이 사실 관계에 문제가 있다.[5]

고양시청에서는 진짜로 2019년 하반기 고양시 마을버스들을 중앙버스전용차로에서 뺄 생각을 했다. 덕분에 2019년 말 ~ 2020년 초 한동안 고양시 마을버스 내부에 고양시마을버스조합에서 "가변차로 정차 반대 호소문"을 붙이고 운행하였다. 워낙 마을버스 노선이 많고 마을버스를 시내버스로 대체하기 어려워서 2020년 해당 안건을 그냥 백지화시켰다.

4. 정류장 목록

4.1. 중앙로 본선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중앙로
대화역
20434
대화역
20470
백병원
20136
백병원
20135
문촌마을
20111
문촌마을
20114
주엽역
20136
주엽역
20135
강선마을
20161
강선마을
20166
일산동부경찰서
20206
일산동부경찰서
20203
일산동구청
20227
일산동구청
20224
마두역
20247
마두역
20249
호수마을
20493
흰돌마을
20491
알미공원
20494
안산공원
20323
백석역
20311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20353
백석동.요진와이시티
20352
대곡역
19007
대곡역
19010
고양경찰서
19065
고양경찰서
19345
행신초등학교
19348
행신초등학교
19346
행신동
19349
행신동
19134
소만마을
19565
소만마을
19564
서정마을
19403
서정마을
19404
화도교
19177
화도교
19178
화전파출소
19189
화전파출소
19190
덕은초.덕양중학교
19198
덕은초.덕양중학교
19200
덕은동
19210
덕은동
19212
▼ 수색로 | 서울시계
}}}}}}}}} ||
정류장명 광역급행버스· 경기순환버스· 간선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정차 여부
M7119 M7412 1000 1001 1100 1500 200 3300 3800 5000 8109 8407 9700 9707 9711
대화역















백병원[6]
문촌마을



주엽역
강선마을
일산동부경찰서[7]
일산동구청[8][9]
마두역 [10]
호수마을 흰돌마을



알미공원[11] -
백석역[12] 안산공원
백석동.요진와이시티
대곡역 미운행 미운행 미운행 미운행
정류장명 광역급행버스· 간선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정차 여부
M7129 1000 1100 1200 1900 3200 9700 9711
고양경찰서.토당청소년수련관 [13] [14]
행신초등학교 [15]
행신동
소만마을 [16] [17]
서정마을







화도교
화전파출소[18]
덕은초.덕양중학교
덕은동

4.2. 권율대로 - 삼송로 지선

2016년 6월 1일에 개통은 하였으나 현재 BRT 구간으로 지정된 신도시 지구들이 개발이 끝나지 않아서 개점휴업 상태로 방치 중이다.[19] 지축지구 개발이 완전히 끝나는 시점에 BRT 노선이 본격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간단하게 구간만 설명한다. 아래 서술된 모든 정류장 명칭은 가칭이다.

서정마을(중) 정류장에서 분기
←성사IC 서오릉로 서오릉로 서울(서오릉고개)
도래울마을(중) 도래울마을(중)
←삼송11단지 원흥3로 권율대로 신원동→
원흥역 원흥역(중) 원흥역(중) 원흥역
삼송마을(중) 삼송마을(중)
←삼송초등학교 동세로 동세로 동산동→
삼송동(중) 삼송동(중)


5. 관련 문서


[1] 여기에 해당하는 역은 경의선 신촌역이다. [2] 당장 1000번 문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7권역이 과속의 성지가 된 이유를 잘 알려주는 시발점 격 노선이다. 명성운수/과속문제 문서 참고. [3] 다만 현재 해당 정거장의 시각장애인 보도블럭은 수리되었다. 애초에 정거장 내 나무가 심어져 있어서 잡초도 많은 편. [4] 버스에 따라 1기신도시마을버스연합회라거나 일산마을버스협회등의 단체 명이 붙어 있었는데 해당 단체는 없다. 또한 고양시에는 경기도마을버스조합의 지부로써 고양시마을버스조합이 있을 뿐 일산 혹은 덕양구 지역만의 마을버스 단체는 없다. [5] 우선 진짜 고양시민이라는 것은 마치 고양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비고양시민도 있다는 식의 선동적 발언이고, 일산지역에서 서울로가는 광역버스(빨강, 경기 파랑) 노선 중 2000번과 1500번등 극소를 제외하면 대부분은 출발지가 일산이다. 시내버스(경기 청색, 서울 파랑)까지 포함해도 파주에서 출발하는 노선보다 일산에서 출발하는 노선이 훨씬 많다. 그리고 BRT를 운행하는 노선의 수는 출퇴근시간과 그외시간간의 차이가 없다. 탑승객의 수에는 차이가 있으나, 마을버스를 가로로 빼려고 하는 것은 탑승객의 문제가 아니라 차량의 문제이기 때문에 출퇴근시간에만 붐빈다고 해도 상관이 없다. 그리고 만일 출퇴근시간대와 그외시간대 정차 정류장을 다르게 한다고 하면 그 대로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BRT에서도 비오는 날은 내릴때 우산을 펴야 한다. 쉘터와 차량간 공백이 생기기 때문. 그리고 무엇보다 일부 지역 정치인들이 마을버스를 가로변으로 빼자고 주장은 하였으나 고양시 당국에서 공식적으로 검토된적은 없다. [6] 이전 이름은 일산서구청.백병원이였으나, 2019년 2월 25일 일산서구청이 이전하면서 일산서구청 부분이 빠졌다. [7] 과거 정류장명은 일산경찰서였으나, 2016년 일산서부경찰서 신설로 인해 일산경찰서의 공식 명칭이 일산동부경찰서로 변경되었다. [8] 정발산역과 연계되나, 다른 정류장들처럼 바로 인접해있지는 않고 반 블럭 정도를 걸어야 한다. [9] 일산동구청 정류장 앞쪽을 일산동구청 제1정류장, 뒷쪽을 제2정류장으로 지정하고, 앞쪽(제1정류장)에서는 마을버스, 일반시내버스, 일반좌석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를 승하차하고, 뒷쪽(제2정류장)에서는 광역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버스를 승하차한다. [10] 부천터미널 방향은 가변 정류장 정차 [11] 서울 방향으로만 있는 정류장이다. [12] 여긴 일산동구청 정류장에서 정발산역 가는 것보다 거의 두 배의 거리를 걸어야 한다 약 한 블럭 정도. 실제로는 백석동 정류소가 백석역에 더 가깝다. [13] 일산터미널 방향은 옥빛마을16단지 가변 정류장 정차 [14] 성사고등학교 방향 한정 옥빛마을16단지 가변 정류장 정차 [15] 행신초등학교 가변 정류장에서 연계 [16] 서정마을입구 가변 정류장에서 연계 [17] 강남 방향은 서정마을입구 가변 정류장 정차 [18] 구 화전역앞. 인근 화전역이 한국항공대역으로 변경으로 이곳도 명칭변경 [19] 정확히는 BRT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이 아직 한 대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