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제역 | ||
역명 표기 | ||
교외선 |
벽제 Byeokje 碧蹄 / [ruby(碧蹄, ruby=ピョクチェ)] |
|
주소 |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1430번길 8-15 (舊 대자동 산139-4)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421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 능곡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
운영 기관 | ||
교외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교외선 | 1961년 7월 10일 | |
승강장 구조 | ||
1면 1선
단선 승강장 대피선 2선 |
||
철도거리표 | ||
능곡 방면
삼 릉 ← 4.2 ㎞ |
교외선 벽 제 |
의정부 방면
일 영 4.7 ㎞ → |
[clearfix]
1. 개요
교외선의 철도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1430번길 8-15(舊 대자동 산139-4번지) 소재.2. 역 정보
<colbgcolor=#ccc><colcolor=#000> 벽제역사 (1961년 준공, 2024년 철거) |
역명은 벽제읍에서 유래되었으며,[1] 1961년 5월 30일에 역사가 준공되었고, 같은 해 7월 10일에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64년 1월 1일부로 보통역으로 승격했다가 1983년 10월 1일부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1986년 1월 7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1995년 9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중지, 2004년 4월 1일부로 여객엉업이 중지되었다.
2010년부터 2011년 7월까지 원당천 생태보호 차원의 확장공사와 도로확장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자 철교를 철거하면서 벽제- 삼릉역 사이의 선로가 일시 단절된 적이 있었다.
2015년 5월 29일부로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332호에 의해 화물 취급이 중단되었고, 일부 군용화물만 간간히 들어오고 있다.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교외선의 모든 역들 중 노선 동결에서 살아남은 부류에 속한다.
2020년 발표된 교외선 재개통안의 정차역에서 제외됨에 따라 여객 열차의 무정차 통과가 예정되어 있다, 물론 여객열차 운행중단 뒤에도 화물 수요가 남아있어서 없어지지는 않는다.
교외선이 교통이 불편한 벽제( 관산동, 고양동) 바로 앞을 지나가고 있지만 해당 구간에 정차역은 없고 역간 거리도 길어, 개통 이후 삼릉역을 관산동쪽으로 이전하여 관산역을 신설하거나 벽제역 인근에 여객열차를 정차시켜 달라는 요구가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다.[2]
일영 지역보다 벽제 지역이 인구가 더 많아 일영역을 고양동 쪽으로 옮기려고 했었고, 고양동 중심지에서 장흥역과 소요시간은 비슷하지만 이쪽으로 오는 버스가 더 많이 다니며 관산동쪽과도 연결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있다.[3]
역사는 물류업체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가 2024년 기준으로 교외선 재개통 공사 현장사무소가 입주했으나 같은 해 11월 노후화 문제 때문인지 화장실 건물과 승강장[4]을 제외한 모든 시설물이 전부 철거, 역 부지에는 공사 사무실이 들어섰다.
재개통 관련해서 말만 많다가 벽제역을 비롯한 고양시내 교외선 역들 영업재개에 관한 타당성 검토 용역 예산안 1억 5천만 원이 고양시의회를 통과했다. 용역에는 1년이 걸리므로 용역을 통과한 역들은 빠르면 2026년 내로 개통할 것으로 보인다. #
2.1. 연장 계획
2.1.1. 초기 3호선 계획과 벽제역
[5]1980년대 서울 지하철 3호선 초기 노선안에선 기점으로 선정되었다가 수익성 문제로 구파발역으로 단축되어 건설하고 이후로도 벽제역 연장 계획이 있었으나, 1990년대에 일산신도시 교통대책으로 일산선을 건설하여 연계하면서 결국 백지화되었다.
원래 3호선은 벽제역에서 수서를 지나 분당까지 갈 예정이었으나 분당 구간은 3호선이 아니라 분당선이라는 별도의 노선을 만들어서 수서역이 종점이 되었다.
2.1.2. 조리금촌선
파주시에서는 3호선의 지선 형태로 벽제를 지나가는 조리금촌선을 추진하고 있는데, 통일로를 따라 건설될 예정이라 지금의 벽제역하고는 떨어져 있다.송도역처럼 전철화와 노선 개량으로 역이 이설한 예도 있고, 강매역처럼 폐역 후 다시 역이 부활하면서 위치가 바뀐 경우도 있기에 만약 조리금촌선이 현실화된다면 통일로 인근으로 이설되어 부활할 수도 있었지만 조리금촌선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검토사업으로만 반영돼 가능성이 매우 낮아졌다.
2.1.3. 6호선 연장
응암순환선을 개량하여 기자촌, 은평뉴타운을 지나 삼송지구를 거쳐 벽제역에서 끝나는 노선이다.그러나 애초에 교외선 연계를 노리고 있고, 응암순환선 일부 구간을 폐쇄하지 않는 이상 실현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2.2. 승강장
↑ 일영 | |||||
- | ㅣ | ↖ | |||
ㅣ | ㅣ | ㅣ | |||
↘ | ㅣ | - | |||
삼릉 ↓ |
- | 미사용 승강장 |
↖ | 하행(의정부방면) 선로 본선 합류 |
↘ | 상행(대곡, 능곡방면) 선로 본선 합류 |
2024년 10월 1일부터 교외선 운행 재개를 위한 시운전으로 모터카나 공사 열차를 비정기적으로 운행하고 있다.
2024년 11월 역사가 철거된 이후 승강장에 펜스를 설치하여 접근을 차단하였다.
3. 역 주변 정보
벽제화장터로 알려진 서울시립승화원이 직선거리로 300m, 보행자통로로 돌아가도 650m 정도 떨어져 있다.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가 벽제역 남쪽으로 달라붙어 있다. 통일로IC로 진출한 후 대자로로 바로 우회전하면 벽제역이다.
국군고양병원, 제1군단 사령부가 벽제역 남북으로 둘러싸고 있다.
인근에 벽제유원지가 있었기 때문에 여객열차 운행 시절에는 행락객들이 많이 이용했다.
역에서 의정부 방면으로 약 330미터 떨어진 곳에 방객현터널이 있다.
4. 연계 교통
벽제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구분 | 노선 |
벽제역 (19259) 역 앞 정류소 |
<colcolor=#ffffff> 마을 | |
시내 | ||
맞춤형 | ||
간선 | ||
벽제역 (19258) 역 건너편 정류소 |
마을 | |
시내 | ||
맞춤형 | ||
간선 | ||
벽제역 (57320) 부대앞 방면 정류소 |
마을 | |
벽제역 (57477) 선유동 방면 정류소 |
마을 | [6] |
5. 사건 사고
2016년 6월 9일 인근 건널목에 군용차량과 화물열차가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6. 둘러보기
교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능곡† - -
대정† - -
삼릉† -
벽제† - - -
온릉† - - - |
}}}}}}}}} |
[1]
'벽제'는
조선시대
명나라 사신이 머물며 휴식을 취했던 벽제관(碧蹄館. 현재는 터만 남음)이라는 곳의 이름을 딴 것.
임진왜란 당시에는
벽제관 전투가 일어난 격전지이기도 했다. 벽제관에서는 제일 가까운 역이지만 이름이 같은 벽제동과는 거리가 2㎞정도 있다.
[2]
#
#
[3]
벽제역 활용 방안 관련 건의 답변에 의하면 아직 정차역이 확정된 게 아니라 활용 방안을 구상하기 어렵다고 한다.
[4]
연석 등은 보존되어 있으나 안내판이 달려있던 기둥은 철거됐다.
철거 전
철거 후
[5]
문래(현재 신도림)에서 김포공항까지 연결하는 노선은 초기 5호선이고 1992년에 일부 구간은 신정지선으로 대체되었다. 망우역에서 화곡동을 잇는 노선은 구 8호선이며 강북과 일부 강남구간 7호선과 상당히 겹치고 여의도 구간은 현 5호선과 겹친다. 또한 계획되었다가 취소된
남부순환선도 있다.
[6]
벽제역에서 양주시 장흥면 방향으로 가려면 반드시 이 버스를 타고 비석거리에서 환승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