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bgcolor=#000>
제1차 세계 대전의
평화 조약 ||
독일 제국 |
'''[[오스트리아 제국#s-5| 오스트리아 제국 ]]'''
|
헝가리 왕국 | 불가리아 왕국 | |||
'''[[베르사유 조약| 베르사유 조약 ]]'''
|
'''[[생제르맹 조약| 생제르맹 조약 ]]'''
|
'''[[트리아농 조약| 트리아농 조약 ]]'''
|
뇌이 조약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오스만 제국 | 소비에트 러시아 | 루마니아 왕국 | ||||
세브르 조약 → 로잔 조약i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ii | 부쿠레슈티 조약ii | }}} | |||
i :
튀르키예 독립 전쟁을 통해 재협상 ii : 협상국의 일원이었으나 단독 평화 협정을 맺음 같이 보기: 파리 강화 회의, 베르사유 조약, 빅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66666, #00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22><colcolor=#fff> 주요 사건 | |
제1차 세계 대전의 끝 (1918~1920) |
<colcolor=#000,#ddd> 부쿠레슈티 조약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 세브르 조약 · 로잔 조약 · 뇌이 조약 · 트리아농 조약 · 생제르맹 조약 · 베르사유 조약 | |
전간기 초기 (1918~1931) |
러시아 내전 · 외몽골 출병 · 카프 폭동 · 로마 진군 · 루르 점령 · 메멜 점령 · 리프 전쟁 · 독일-폴란드 무역 전쟁 ·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 로카르노 조약 · 국민혁명( 제1차 국공합작) · 황고둔 사건 · 켈로그-브리앙 조약 · 대공황 | |
만주사변 (1931~1933) |
만주사변 · 제1차 양광사변 · 나카무라 사건 · 만보산 사건 · 제3차 초공작전 · 류탸오후 사건 · 천진사변 · 영월합작 · 진저우 침공 · 사쿠라다몬 의거 · 마옥산 사건 · 제1차 상하이 사변 · 훙커우 공원 의거 · 송호정전협정 · 이시모토 사건 · 열하사변 · 당고정전협정 | |
나치당 집권 후 (1933~1939) |
복건사변 · 라이히스탁 방화 사건 · 수권법 통과 · 장검의 밤 · 신강 침공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스페인 내전 · 라인란트 재무장 · 수정의 밤 · 오스트리아 병합 · 하산 호 전투 · 뮌헨 협정 | |
중일전쟁 (1937~1939) |
루거우차오 사건 · 상하이 전투 · 난징 전투 · 난징 대학살 · 파나이 호 사건 · 트라우트만 공작 | |
국제 기구 | ||
}}}}}}}}}}}} |
|
트리아농 조약과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분할된 오헝 제국의 영토. 붉은 선과 붉은 글씨가 분할 이후의 국경이다.[1] |
|
트리아농 조약을 비난하는 헝가리
우표[2] 빨강색은 헝가리인이 다수인 지역, 분홍색은 독일인 비율이 높은 지역이다. |
[clearfix]
1. 개요
|
컨트리볼 만평[3] |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협상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중 헝가리 왕국이 체결한 조약. 협상국은 각각의 조약을 통해 패전한 동맹국의 영토를 분할했다.
- 독일 제국: 베르사유 조약
- 오스트리아 제국: 1918년 9월 10일에 생제르맹 조약으로 단독 강화 후 이중제국을 해체했으며 미국과는 별도로 1921년 8월 21일에 평화협정을 체결했다.
- 헝가리 왕국: 트리아농 조약
- 불가리아 왕국: 뇌이 조약으로 그리스에 서트라키아를 할양했고, 세르비아에 극소량의 마케도니아 영토를 할양했다.
- 오스만 제국: 무드로스 정전협정으로 1918년 10월 30일에 항복했다. 그 후 세브르 조약을 체결, 아나톨리아 일부 지역만을 건사할 뻔했지만 튀르키예 독립 전쟁의 결과로 로잔 조약에서 지금의 영토를 보장받고 튀르키예 공화국이 세워지며 멸망한다. 그리고 1939년에 알렉산드레타가 있는 하타이 지방이 추가로 튀르키예에 병합된다.
트리아종은 조약이 체결된 장소의 지명이 아닌 건물 이름 프티 트리아농(Petit Trianon)으로,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의 정원에 있는 별궁을 말한다.
2. 조약 내용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분할되면서 헝가리도 대규모 영토 손실이 있었다. 헝가리는 조약의 체결로 인해 72%의 영토를 잃어 전쟁 전 325,441km2에 달하던 헝가리의 영토는 93,073km2가 되었으며,[4] 64%의 인구를 잃어 2,090만 명에서 760만 명이 되었다.그리고 국경의 변화로 1,070만 명의 헝가리인 중 31%인 330만 명이 헝가리 국경 외부에서 살게 되었는데, 헝가리 고유의 영토라고 할 수 있는 부분까지 민족 구성을 핑계로 루마니아 왕국이나 체코슬로바키아, 세르비아 왕국 등으로 넘어갔기 때문이었다.[5] 특히 에르데이(Erdély)의 헝가리계 민족들은 루마니아인들 사이에 포위당한 형국이 되었고, 같은 패전국인 오스트리아에게도 쇼프론을 제외한 외르비데크(Őrvidék)를 빼앗겨야 했다. 헝가리 밖의 헝가리인들 중 1921년까지 헝가리 영내로 이주하지 않은 사람은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헝가리 국적이 박탈되고 거주 국가의 국적이 부여되었다.[6]
또한 철도에 있어서도 타격이 매우 컸는데, 국토 여기저기로 뻗어 있던 철도망의 상당 부분을 상실하고 부더페슈트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노선만 남게 되었다. 또한 복선 철도의 부설도 조약으로 금지되어 물류 수송에도 상당한 지장을 주었다.
3. 조약 이후와 빈 중재(Wienner Schidsspruch)
당연히 헝가리는 트리아농 조약에 대해 불평등한 조약이라고 분노했으며 전쟁을 일으킨 건 오스트리아인데 왜 헝가리까지 희생양이 되어야 하느냐고 주장하였다. 사실 이렇게 생각한 것도 당연한 게 전쟁 발발 직전 오헝 제국 내에서 헝가리는 전쟁을 반대하였기 때문이었다.그러나 헝가리도 결국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었는데, 제위/왕위 계승자의 죽음으로 인해 무조건 반대를 외치기는 힘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헝가리는 세르비아와 싸워서 이기더라도 세르비아의 주권과 영토는 유지할 것이라는 조건을 걸었고 오스트리아가 이를 수용하면서 헝가리도 전쟁을 지지하게 된 것이었다. 헝가리도 역시 전쟁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받아들인 후에는 적극적으로 전쟁수행에 동참하였다. 문제는 헝가리가 내건 조건을 오스트리아가 국가의 위신을 이유로 비밀로 해버렸다는 것. 당시 독일 제국과 전쟁에 대해서 상의한 오헝 제국은 빌헬름 2세의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받을 수 있었고, 이런 백지 수표를 받은 오스트리아는 전쟁 준비에 돌입했으며 세르비아가 받아들이지 못할 조건을 내세워 최후통첩을 전달했기에 전쟁을 하고자 했던 오헝 제국이 이를 공표할 이유는 적었다.
한편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독립하여 세워진 신생 헝가리 제1공화국은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직후의 혼란을 수습하지 못한 채 무너지고 공산주의 정권인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이 들어섰는데 국내 상황도 제대로 수습 못한 상태에서 세계 혁명을 외치면서 루마니아와 체코슬로바키아와 세르비아 등 공산화의 공포에 떠는 주변 국가들을 모두 적으로 돌리고 말았다. 결국 공산 정권 제압 겸 트란실바니아 영유권 확보를 위해 루마니아가 직접 나섰다. 그리고 백군과 협상국을 모두 물리치는데 성공한 소련과 달리 협상국의 지원을 얻은 루마니아군, 그리고 공산정권 수립 저지를 위해 루마니아군과 연합한 헝가리 보수파에게 오합지졸 헝가리 적군은 완패했고 수도 부더페슈트까지 함락당하고 만다.
루마니아와의 전쟁에서 패하면서 헝가리는 빼도 박도 못 하는 패전국이 되었고 보수파에 의해 재건된 헝가리 왕국은 트리아농 조약의 모든 내용을 수용해야 했다. 하지만 헝가리 내부에서는 억지로 수용해야 했던 조약을 인정하지 않아 "Nem, nem, soha! (안돼, 안돼, 절대로!)"나 "Mindent vissza! (모두 반환해라!)"라는 슬로건이 유행했다.
나중에 추축국이 주요 세력으로 등장하자 헝가리 왕국은 고토 회복을 위해 추축국에 가담, 뮌헨 협정과 빈 중재, 유고슬라비아 침공 등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때 빼앗긴 땅을 조금이나마 되찾았다.[7]
당시 극장 상영용 뉴스 인트로(Magyar Világhíradó, 헝가리 국제 뉴스). 잃어버린 영토와 '되찾은' 영토를 꼬박꼬박 표시하여 '언젠가는 다 되찾겠다'는 의지를 담아냈다. 한편 1944년 3월부로는 더이상 영토가 표출되지 않는데, 이는 독일의 마가레타 작전으로 인하여 헝가리 전역이 사실상 점령 상태에 놓여버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추축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했고, 헝가리는 또다시 패전국이 되어 회복한 영토를 다시 반환했다. 따라서 현대 헝가리의 면적은 대한민국보다 약간 작은 정도다.
4. 현재
헝가리는 이 조약에 대해 지금도 큰 불만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행사와 기념물을 통해 잊지 말자고 기리고 있다. 특히 재외 헝가리인이 160만 명 가량으로 제일 많이 거주하고 있는 루마니아와의 국민감정이 매우 나쁘다. 반대로 루마니아는 2020년부터 트리아농 조약의 날이라는 공휴일을 만들어 기념하고 있다. 현재 헝가리 총리 오르반 빅토르와 그 지지자들이 공유하는 '대헝가리주의' 역시 이 조약 이전의 헝가리 왕국 영토를 회복하자는 주장으로, 최근에 급조된 이념이 아니라 100년 전 트리아농 조약 체결 직후부터 있어왔던 유서깊은 실지회복주의다.다만 불만이 큰 것과는 별개로 실제로 실지를 회복할 가능성은 낮다. 땅을 달란다고 이웃국들이 넙죽 내줄 리도 없고, 이를 현실화하기에는 헝가리의 국력과 군사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상황에서[8] 동유럽 전반의 인구 유출로 더 이상의 획기적인 국력 증진을 꾀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단지 실지 회복을 외치면서 주변국의 신경을 건드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는 것이 헝가리의 현 주소이다. 반대로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등 헝가리 왕국의 영토를 흡수한 이웃국가들도 이런 헝가리의 주장이 불쾌하면서도 이를 멈추게 할 만한 압도적인 국력은 없기 때문에[9] 현재 상태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그래도 헝가리 정부 차원에서 국외에 잔존한 헝가리인에 대한 지원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탸주인데, 베레호베[10] 같은 헝가리인 다수 거주지역은 피데스의 지원금에 의존하는 형편이다. 이렇게 헝가리 정부의 지원을 받는 국외 유민들은 헝가리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며 살아가지만, 반대로 해당 거주국가의 언어를 전혀 배우지 않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외교적으로 문제가 되기도 한다. 슬로바키아 남부 헝가리인 다수 거주지역만 하더라도 슬로바키아어는 전혀 배우지 않고 헝가리어만 사용하며 작은 사회를 이루고 살기 때문에, 슬로바키아와 헝가리의 관계를 긴장 상태에 빠뜨리고 있다.
그나마 21세기 초반 즈음하여 헝가리를 비롯한 중부유럽 국가들이 대체로 유럽연합- 솅겐 협정으로 묶이면서 헝가리 국경을 사이에 두고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2023~) 내 헝가리인들과의 인적 교류는 아주 편리해졌다.[11] 인적 교류의 편리함과 민족적 영토에 대한 아쉬움은 별개지만 같은 민족끼리 완전히 적국으로 나뉜 것보다는 나은 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유럽연합이긴 하지만 솅겐 협정 가입국은 아닌 루마니아,[12] 유럽연합 가입이 아직 요원한 세르비아, 우크라이나와는 인적 교류가 여전히 불편하다.
- 2022년 11월 오르반 빅토르 총리가 이 대헝가리주의에 따른 영토를 수놓은 목도리를 하고 축구를 응원해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등의 항의를 한꺼번에(...) 받았다.
- 2023년 4월 20일에는 헝가리 외무장관 시야르토 페테르(Szijjártó Péter, 1978~)가 연설하면서 배경으로 대헝가리 지도를 띄워놓았다.
[1]
갈리치아는
폴란드,
트란실바니아/부코비나는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보이보디나는
유고슬라비아, 이스트리아/쥐트티롤은
이탈리아에 할양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가 독립했으며
오스트리아와
헝가리가 분리되었다.
[2]
우표 속 사람은
마차시 1세이며, 조약으로 줄어든 헝가리 영토에는 조약 전후의 영토 변화와 조약을 비난하는 문구인 Nem! Nem! Soha! (
헝가리어로 안돼! 안돼! 절대로!라는 뜻)를 넣었다.
[3]
저 컨트리볼은 현대 국가들이라 당대 국가들에 할양된 모습과는 다르다. 오늘날 크로아티아 영토인 지역은 세르비아에게, 오늘날 우크라이나 영토인 지역은 체코슬로바키아에게 할양된 지역이다.
[4]
즉,
한반도보다 컸었던 나라가
남한보다도 작아진 것이다.
[5]
물론 이 3국은 헝가리의 영토를 받는 대가로 헝가리가 내야 할 전쟁 배상금 일부를 대신 내야 했다.
[6]
1918년부터 1924년까지 헝가리의 새 국경 안으로 35만 명이 이주했다.
[7]
아이러니하게도 루마니아 역시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추축국에 가담하면서 헝가리와 루마니아는
소련군의 진군으로 연합국으로 전환하기 전까지 전장에서 함께 싸웠다. 물론 루마니아가 소련에 항복하고 연합국으로 전향하면서 이 동맹은 다시금 깨지게 되고 독일은 헝가리군을 루마니아에 투입시켜 재점령을 꾀하고, 실패로 돌아가자 반대로 소련이 루마니아군을 헝가리 점령에 투입하는 등 다시 서로 싸웠다.
[8]
2020년대를 기준으로 이런 것이 가능하고 실제로 시도하는 나라는
러시아뿐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러시아가 그렇듯이
완벽한 자기 편을 제외한 전세계를 적으로 돌릴 각오를 해야 한다.
[9]
그나마 2020년대에 유럽 전역에
반러 기류가 강해지면서 반러 공조를 깨뜨리는 헝가리에 대해
유럽연합 측에서 우려를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10]
Берегове, 헝가리어: Beregszász
[11]
비슷한 이유로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통일이 금지되어 있지만 이제 와서는 굳이 통일을 하나 안 하나 별 차이는 없어졌다.
[12]
위에서 보듯 재외 헝가리인은 루마니아에 제일 많이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