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11:15:58

최주환

최주딱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보이그룹 TFN의 멤버에 대한 내용은 최주환(200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최주환의 2024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최주환/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키움 히어로즈
2025 시즌 내야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김태진 · 5 이재상 · 10 김웅빈 · 17 이원석
· 23 김병휘 · 24 송성문 [[주장|
C
]] · 26 이승원 · 27 강진성
· 34 이명기 · 39 염승원 · 44 고영우 · 53 최주환
· 60 오선진 · 70 양현종 · 71 권혁빈 · 86 송지후
· 91 심휘윤 · 92 어준서 · 93 여동욱 · 97 전태현
· 98 서유신'''
최종 편집: 2025년 1월 14일
프런트 코칭스태프 투수 포수내야수 외야수 군 입대 선수 등록 선수 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최주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브리온컴퍼니 로고(투명,화이트).png
브리온컴퍼니 소속 운동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진종오 김정환 구본길 오상욱 나아름 김수지
곽윤기 임효준 정재원 백승호 최주환 한유섬
박민호 서진용 하주석 김민성 이창진 오선우
이형종 이정용 김영준 이보근 김성욱 최정원
이종욱 김민혁 김재웅 최지훈 김민종 김사윤
이호준 이태양 이찬솔 박민서 김라경 김성윤
김아랑 홍지원 임은빈 문정민 김윤교 최예본
정주리 이세희 박도은 문도엽 김홍택 박승
박서령 유영 윤동희 이유빈 박태준 서건우 }}}}}}}}}

최주환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4.svg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5.svg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6.svg 파일:SSG 랜더스 우승 엠블럼 V5.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15 2016 2019 2022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10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격왕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로고(가로형,유색배경).svg 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홈런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002561>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김홍기
태평양 / 8개
길홍규
OB / 5개
김원근 외
4명(A)
5개
이전진 외
1명(B)
5개
이보형
OB / 8개
<rowcolor=#002561>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공의식
현대 / 14개
임노병
LG / 16개
안재만
LG / 12개
추성건
두산 / 12개
문희성
두산 / 14개
<rowcolor=#002561>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강병식
상무 / 9개
정원석
1명(C)
9개
장익현
상무 / 10개
김재구
상무 / 13개
최길성
LG / 13개
<rowcolor=#002561>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김상현
상무 / 23개
최형우
2명(D)
22개
박병호
1명(E)
24개
조영훈
경찰 / 24개
최주환
상무 / 24개
<rowcolor=#002561>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문선재
상무 / 21개
김회성
경찰 / 18개
최승준
LG / 19개
김사연
KT / 23개
한동민
상무 / 21개
<rowcolor=#002561>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이성곤
경찰 / 19개
윤대영
경찰 / 24개
이성규
경찰 / 31개
허정협
1명(F)
10개
이재원
LG / 13개
<rowcolor=#002561>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이재원
LG / 16개
김민혁
2명(G)
10개
홍성호
두산 / 15개
전의산
SSG / 15개
A: 김원근, 황대연( 빙그레), 소상영( OB), 김성기( LG)
B: 이전진, 곽연수( OB)
C: 정원석( 상무), 윤형국( SK)
D: 최형우, 곽용섭( 경찰), 박석민( 상무)
E: 박병호( 상무), 조영훈( 경찰)
F: 허정협( 고양), 국해성( 두산)
G: 김민혁, 홍성호( 두산), 주성원( 고양)
}}}}}}}}} ||


파일: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jpg 2018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기량발전상

두산 베어스 등번호 67번
김수훈
(2004~2005)
최주환
(2006~2008)
지승민
(2010)
두산 베어스 등번호 3번
안경현
(1992~2008)
최주환
(2009)
고영민
(2011)
두산 베어스 등번호 9번
이대수
(2007.4.29.~2009)
<colbgcolor=#ed1c24><colcolor=#fff> 최주환
(2011)
정수환
(2013)
두산 베어스 등번호 7번
김동길
(2011)
최주환
(2012~2016)
이병휘
(2017~2018)
두산 베어스 등번호 53번
김진형
(2014~2016)
최주환
(2017~2020)
오명진
(2021~2021. 3. 24.)
SSG 랜더스 등번호 53번
고종욱
(2020)
최주환
(2021~2023)
김성민
(2024)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53번
예진원
(2021. 8. 25.~2023)
최주환
(2024~)
현역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2020 도쿄 올림픽
김경문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 고영표 · 11 조상우 · 15 김진욱 · 18 원태인
19 고우석 · 21 오승환 · 23 차우찬 · 32 박세웅
48 이의리 · 55 김민우 · 61 최원준
포수 25 양의지 · 47 강민호
내야수 2 오지환 · 3 김혜성 · 10 황재균 · 13 허경민
44 오재일 · 50 강백호 · 53 최주환
외야수 17 박해민 · 22 김현수 · 37 박건우 · 51 이정후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경문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재현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이종열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종국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6 진갑용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정대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키움 최주환 프로필.jpg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키움 히어로즈 No.53
최주환
崔周煥|Choi Joo-Hwan
출생 1988년 2월 29일[1] ([age(1988-02-29)]세)
광주광역시 남구[2]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광주학강초 - 광주동성중 - 광주동성고
신체 178cm|85kg| A형 왼손잡이
포지션 내야수( 1루수, 2루수, 3루수)[3], 지명타자
투타 우투좌타[4]
프로 입단 2006년 2차 6라운드 (전체 46번, 두산)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06~2020)
SSG 랜더스 (2021~2023)[5]
키움 히어로즈 (2024~)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9년 11월 30일~2011년 9월 21일)
계약 2025 - 2026 / 6억원[6]
연봉 2025 / 3억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빅뱅 - 〈 FANTASTIC BABY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응원가 심신 - 〈오직 하나뿐인 그대〉[가사]최주환 히어로즈의 최주환 안타 날려버려 워어어~ ×4]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70514><colcolor=#fff> 가족 아내 김수연(2020년 12월 5일 결혼 ~ 현재)
본관 경주 최씨[8]
소속사 브리온컴퍼니 }}}}}}}}}
파일:키움 히어로즈 심볼.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clearfix]

1. 개요

키움 히어로즈 소속 내야수.

2. 선수 경력

최주환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최주환/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상무 야구단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
2021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최주환/플레이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최주환/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 굉장한 엘나쌩이다. LG 팬들 사이에서는 아예 김재호와 함께 악마 1호기, 2호기로 불린다. 상무 시절부터 LG 2군을 후드려패고 다녔다고 한다. 고향 가면 날아다니는 기나쌩이며 양의지, 허경민과 함께 광주 트리오라고 불리기도 한다. 재미있는 것은 트리오 셋이 출신고교가 각각 다른데 양의지가 진흥고, 허경민이 광주일고, 최주환이 동성고를 나왔다. 그리고 이 셋은 2021년 이후 NC, 두산, SSG로 소속팀이 다 달라졌다.[9] 2018 시즌 엘롯기한테 모두 강했다.
  • 과거에는 두산에서, 지금은 키움에서 같은 팀 선수인 이원석과 초-중-고 모두 1년 차이로 같이 다녔고 최주환이 1년 후배이다. KIA 양현종도 같은 테크트리로, 양현종은 최주환의 1년 후배이다. 재미있는 것은 최주환과 양현종은 생일 하루[10] 차이로 선후배가 갈렸다는 점이다.
  • 캐스터들이 나주환과 헷갈리는 일이 많다.[11] 포지션과 이름 탓인 듯하다. 2006 시즌과 2007 시즌 초에는 같은 팀이었다.
  • SNS에서 사고를 친 전적 때문에 타 팀 팬들에게는 은근 묻히는 부분이 있는데, 두산 팬들은 다 알지만 활달하기로 유명한 두산 선수단 안에서도 특출나게 친화력 좋고 싹싹한 모습을 자주 보여주고, 웬만하면 그 김재호 못지 않게 항상 밝은 표정을 유지하고 있는 선수이다. 호르헤 칸투부터 시작해서 안 친한 외국인 선수가 없고 특히 외국인 타자들에게는 대단한 인싸력을 자랑한다. 페르난데스 영입 이후 대화를 하기 위해 스페인어 시간 내서 배울 정도. 비단 외국인 선수 뿐만 아니라 국내 선수들하고도 친해서 본인보다 훨씬 어린 선수들과도 잘 어울리고 챙겨주기도 잘 챙겨주며[12], 선수단을 넘어서 철웅이나 베어스포티비 PD와도 친한 모습이 굉장히 자주 엿보인다.[13]. 2군 선수단 강연을 위해 이천 베어스 파크에 온 SBS스포츠 정우영 캐스터도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강연하면서 인사성과 인터뷰의 좋은 예시로 최주환을 꼽았을 정도. 이러한 친화력으로 인해 오재원 김재호 세대의 뒤를 이을 두산의 차기 주장감으로 평가받았었다. 아울러 2015년에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임정우에게 사구를 맞았는데 임정우를 보고 씨익 웃으면서 따봉을 날릴 정도였다.[14]
  • 시타자로 나서서 시구를 쳐버린 적이 있다. 1:04부터. 그러나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제대로 받아쳐서 공이 앞으로 날아가거나 그런 건 아니다. 그냥 적당히 헛스윙 하려고 대충 돌렸는데 바운드된 공이 배트로 와서 맞아버렸고, 최주환 본인도 스윙에 공이 맞는 모습이 보이자 급하게 배트를 세우며 공도 힘을 안 받고 그냥 옆으로 튀어 굴러갔다. 또한 예상하지 못한 듯 적잖이 당황한 기색을 보였다. 이에 베어스포티비시구까지 쳐버리는 절정의 타격감이라는 즉흥적인 발언을 했다.
  • 덕분에 챌린지 로고가 붙은 발목보호대를 착용하고 다닌다.
  • 2020년 12월 5일 1살 연상의 신부 김수연 씨와 결혼식을 올렸다. 옛 두산 동료였던 최재훈이 소개시켜줬다고 한다. 다만 FA 시장이 열리던 중에 웨딩화보가 공개됐는데 하필 두산 베어스 유니폼을 입고 찍었다. 마지막 두산 유니폼을 입은 것으로 엿새 후에 SK로 이적했다.
  • 2017년부터 달고 있는 본인의 등번호 53번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23] 여기에도 각 숫자 5와 3에 의미가 있는데 5는 상무 피닉스 야구단 시절 달았던 번호이고 3은 광주동성고등학교 시절 달았던 번호라고 한다. 두 번호를 조합해서 처음에는 35번을 달까 했는데 조합을 뒤집어서 53이라는 숫자를 보니 숫자의 형상이 35보다 53이 더 예뻐서 53번을 등번호로 정했다고 한다. 마침 SK로 이적하는 과정에서도 53번을 손쉽게 따냈는데 원래 53번 주인이던 고종욱이 스스로 등번호를 38번으로 바꾸겠다는 의사를 밝혀서 53번을 자연스럽게 가져가게 됐다.[24]
  • FA 계약 거의 직후에 SK 와이번스가 신세계의 인수 후 SSG 랜더스로 리브랜딩됨에 따라 SK 유니폼을 입고 정식 경기에서 뛰는 모습은 영원히 볼 수 없게 되었다.[25] 따라서 그의 SK 유니폼을 산 400여명의 팬들의 유니폼은 하루아침에 레어 아이템이 되었다.
  • 친정팀 두산 시절 동료이자 후배였던 송승환과 친하다고 한다. 2022 시즌이 끝난 이후에는 개인적으로 식사 자리까지 마련해주며 챙겨준 모양.
  • 팬들의 DM에 답장을 보내기도 한다. 플로리다 스프링캠프에서 자신의 타구 속도가 몇일지 물어보는 퀴즈를 스토리로 내고 3번(180km/h)이라고 답한 팬에게 정답이라며 답장을 보내 주기도.
  • 2022 시즌 이적 후 최악의 성적을 내고 2023 시즌을 준비하며 자존심 회복을 위해 절치부심했는데 오프시즌 기간 중에 자신의 타격이 가장 좋았던 시즌과 2022년 시즌의 영상을 계속 돌려보며 차이점을 찾았다고 한다. 그리고 타격 부진의 이유를 하체가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는 데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야구 아카데미가 아닌 육상 아카데미에 찾아가서 하체를 단련하고 밸런스를 바로잡기 위한 개인 훈련에 매진했다고 한다.
  • 경기중 타석에서 준비자세를 취할 때 몸을 한 차례 움찔하며 비트는 버릇이 있다.
  • 최주환의 가족으로 추정되는 한 네티즌이 올린 글이 인터넷 커뮤니티에 돌아다니며 야구팬들에게 화제를 모았다. 해당 글에는 최주환 관련 미담, 에피소드, 상술한 주루 플레이에 대한 내용도 적혀있었는데, 해당 네티즌에 따르면 느린 건 유전이라 어쩔 수 없다고 한다. 관련 게시물

6. 관련 문서


[1] 1988년 2월 29일 출생인데 출생신고를 할 때 4년에 한 번 돌아오는 날로 할 수 없어서 일부러 생일을 2월 28일로 하루 당겼다고 한다. 여담으로 초중고 후배 양현종과는 생일이 딱 하루 차이지만 최주환이 빠른 1988년생이라 최주환이 선배, 양현종이 후배가 됐다. 반면 생일이 1년 가까이 차이나는 김성현과는 동기 관계다. 프로필은 KBO에 등록된 프로필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2]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지만 어렸을 때 잠시 울산광역시에서 산 적도 있다고 한다. 다시 광주광역시로 돌아가서 야구를 시작했다. [3] 주 포지션은 2루수고 이 때문에 SSG 계약 당시에 주전 2루수를 보장받고 싶어했지만, 김성현이 있던 팀 사정상 1루수 출장이 꽤 있었다. 키움 이적 이후에는 1루수로만 출장하고 있다. 3루수는 두산 시절 서브 포지션이었으나 수비가 좋지 않고 허경민이 있어서 주전으로 도약한 이후에는 상황이 여의치 않을 때만 기용됐다. SSG 시절에는 최정이 있어서 나오지 않았다. [4] 정식으로 야구를 시작하기 전에는 좌투좌타였다고 한다. [5] FA 계약은 SK 와이번스와 맺었으나 며칠 후 팀이 SSG에 인수되었다. 정규 시즌 경기는 치르지 않았으므로 따로 소속팀에 SK를 서술하지 않는다. [6] 2+1+1년 연봉 3억, 상호 옵션 충족 시 1년씩 연장되어 최대 4년 12억원까지 수령가능. [가사] [8] 출처 [9] 2022시즌이 끝나고 양의지가 두산으로 돌아와서 잠시 최주환만 팀이 다르던 시기도 있었으나, 2024시즌 이후 허경민이 kt로 이적해서 다시 세 명 모두 다른 팀이 되었다. [10] 2월 29일-3월 1일 [11] 헷갈리기 쉬운 이름은 대표적으로 장성호 장성우/ 정상호, 나주환 나지완/최주환이 있다. [12] 베어스포티비의 스프링캠프 프로듀스 베어스를 보면 저녁에 할 고기 파티를 위해 소고기를 살 때 후배들 먹일 고기까지 다 사놨다는 에피소드가 있다. 옆에서 후배들을 잘 챙긴다는 룸메이트 조수행의 코멘트는 덤. [13] 특히 철웅이와는 2018년 올스타전에서 둘이 러브코미디 한 편 찍었다. [14] 사실 별다른 의미를 두지 않고 한 행동으로 보이지만 이로 인해서 LG 트윈스 팬들에게 오해와 비호감을 사기도 하였다. [15] 주환은 전이 이야. [16] 2016년까지만 해도 최대딱(최주환은 대타가 딱이야)으로 많이 불렸다. 최주환이 이적한 이후 현재 두산의 최대딱은 최용제. 다만 최용제의 경우에는 마사카, 용제폐하 등 다른 별명이 더 유명해서 최대딱으로는 잘 불리지 않는다. [17] 2014년 두산에 새로 영입된 외국인 타자인 호르헤 칸투가 최주환을 보고 피카츄를 닮았다며 붙여준 별명으로, 두산 팬들 사이에서도 가끔 쓰이곤 한다. [18] 피카츄란 별명을 의식했는진 몰라도 후일 2015년 어린이날에 피카츄가 붙어있는 어린이용 종이 왕관을 썼다! 링크 [19] 호수비 후 뿌듯해하는 표정을 보고 돡갤에서 붙은 별명. [20] 최주환과 이름이 비슷한 나주환의 별명이 놀부여서. 공교롭게도 둘은 2007년까지 같은 팀 두산 베어스 소속이었다. [21] 타율은 1할을 치면서 수비는 개판인 와중에 sns에 대게 먹는 사진을 올려 생긴 별명. 물론 까이는 분위기는 아니지만 좋은 거 먹었으면 잘 좀 하라는 뜻에서 붙은 별명이다. 링크 [22] 최주환이 SSG로 이적한 후 보상선수로 강승호가 지명되었는데, 2022년 들어 최주환이 극도로 부진하고 강승호가 3할 타율을 기록하는 등 날아다니는 바람에 갑자기 생긴 별명. [23] 사실 53번은 좌타자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크다. 또한 최주환 역시 좌타자다. [24] 이후 두산의 53번은 LG에서 트레이드되어 영입된 양석환의 번호가 되었다. [25] 연습경기 때 SK 유니폼을 입고 뛰기는 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