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성윤(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김성윤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김성윤/선수 경력/2024년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74ca1> |
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외야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5
구자욱 [[주장| C ]] · 13
이성규 · 24
김재혁 · 25
김태훈· 31 윤정빈 · 32 김헌곤 · 39 김성윤 · 58 김지찬 · 104 주한울 · # 박승규 · # 함수호 · # 이진용 · # 홍현빈 · # 김태근''' |
||
최종 편집: 2024년 12월 2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1군 엔트리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김성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김성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종목 금메달 |
|||||||||||||||||||||||||||||||||||||||||||||||||||||||||
2022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
2023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9번 | ||||
김건한 (2014. 6. 26.~2016) |
→ |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김성윤 (2017~2018) |
→ |
김용하 (2019)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7번 | ||||
김시현 (2017~2018) |
→ |
김성윤 (2020~2021) |
→ |
이해승 (2022. 5. 31.~2023. 5. 7.)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9번 | ||||
몽고메리 (2021. 6. 16.~2021) |
→ |
김성윤 (2022~) |
→ | 현역 |
A대표팀 참가 경력 | |||||||||||||||||||||||||||||||||||||||||||||||||||||
|
|
|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39 | |
김성윤 金盛閏 | Kim Seong-Yoon |
|
출생 | 1999년 2월 2일 ([age(1999-02-02)]세) |
부산광역시 연제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창신초(부산진구리틀) - 원동중 - 포항제철고 |
신체 | 163cm[1], 62kg[2] |
포지션 | 외야수[3]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2017년 2차 4라운드 (전체 39번, 삼성)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2017~) |
병역 | 대한민국 해군 상근예비역 (2018~2020) |
연봉 | 2024 / 1억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등장곡 | Fat Joe, Remy Ma - 〈All The Way UP〉 |
|
|
응원가 | 허니크루 - 구단 자작곡[가사] |
MBTI | ISFP |
소속사 | 브리온컴퍼니 |
| |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외야수.2. 선수 경력
김성윤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김성윤/선수 경력 | |||
2017년 | 2018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2023년 AG | 2023년 APBC |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
같은 최단신 후배인 김지찬과는 컨택과 기동력이 기반이라는 것은 비슷하나 출루가 강점인 김지찬과는 반대로 출루 능력은 떨어지지만 체급에 어울리지 않는 장타 포텐을 갖고 있는 선수다. 체격은 작지만, 빠른 배트 스피드와 벌크업으로 다진 신체를 이용해 한 방을 날릴 수 있는 펀치력이 있다.
또한 김지찬 못지않게 리그 최상위권의 주력을 가지고 있어 발로 상대 배터리를 뒤흔들 수 있는 주루 능력을 가졌다.[5] 다만 BQ가 다소 부족해 좋은 주력을 가졌음에도 잦은 주루사가 나오는 등의 뇌주루가 자주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었다. 허나 후술하겠지만 BQ의 문제가 해결되며 주루에선 뛰어난 모습을 보이고 있다.[6]
수비에서는 빠른 발을 이용하여 공을 끝까지 쫓아가거나 엄청난 다이빙 캐치하는 모습을 종종 보여준다. 소녀어깨 속성이 있는 김지찬과는 달리 상당한 강견으로, 코너 외야수 중에선 두드러지지 않으나 어깨 요구치가 비교적 낮은 중견수 자리에서는 평균 이상인 편이다.
2023 시즌 들어 많은 기회를 받으며 크게 성장한 모습이다. 중요한 순간마다 호수비는 물론이고 득점권에서도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해내며 타선에서 알토란 같은 활약을 이어나가고 있다. 후반기부터는 상술한 BQ 문제가 거의 해결되었고 타격에서 강한 타구를 자주 만들어내는 등 재능을 개화하여 류지혁, 구자욱과 함께 후반기 삼성의 주축이 되고 있다.
특히 타격에서의 접근법 변화가 두드러지는데 과거 2022년까지만 해도 장타를 만들기 위한 스윙을 주로 했으나 2023년부터는 컨택에 더 집중된 접근을 하고 있고[7] 그 결과 많은 인플레이 타구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웨이트로 다진 근력이 워낙 강하다 보니 타구질이 강하게 형성됐고 설사 내야 땅볼이 되더라도 빠른 주력을 살려 어떻게든 살아나가는 모습이 보이면서 타격 지표가 급상승하는 원동력이 된 것으로 추측된다.
요약하자면 데뷔 초반에는 BQ 문제로 가지고 있는 툴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했으나 BQ 문제가 해결된 이후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선수이다. 체구는 163cm로 작지만 웨이트로 단련된 신체에서 나오는 강한 힘으로 갭파워가 있으며, 주력도 리그 최상급이기에, 파워가 향상되고 선구안이 조금 떨어진 김지찬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하다.
4. 연도별 성적
김성윤의 역대 KBO 기록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sWAR |
2017 | 삼성 | 22 | 14 | 1 | 0 | 0 | 1 | 3 | 2 | 0 | 2 | 7 | .083 | .214 | .333 | .547 | 25.0 | 0.06 |
2018 | 1 | 2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00 | .000 | .000 | .000 | - | -0.05 | |
2019 | 군 복무(상근예비역) | |||||||||||||||||
2020 | 9 | 9 | 2 | 1 | 0 | 0 | 1 | 0 | 0 | 1 | 1 | .286 | .444 | .429 | .873 | 151.7 | 0.01 | |
2021 | 30 | 19 | 3 | 0 | 0 | 0 | 7 | 2 | 0 | 0 | 5 | .167 | .158 | .167 | .325 | -38.8 | -0.55 | |
2022 | 48 | 49 | 8 | 3 | 0 | 1 | 14 | 2 | 10 | 5 | 10 | .190 | .292 | .333 | .625 | 74.9 | -0.30 | |
2023 | 101 | 272 | 77 | 4 | 6 | 2 | 40 | 28 | 20 | 14 | 35 | .314 | .354 | .404 | .758 | 109.0 | 1.93 | |
2024 | 32 | 89 | 18 | 4 | 0 | 0 | 15 | 6 | 3 | 9 | 16 | .243 | .326 | .297 | .623 | 65.0 | -0.03 | |
KBO 통산 (7시즌) |
243 | 454 | 109 | 12 | 6 | 4 | 80 | 40 | 33 | 31 | 75 | .273 | .330 | .363 | .693 | 82.5 | 1.07 |
5. 여담
- 당시에 있었던 빠른 1999년생으로, 주로 1998년생들과 친구이다.
- 고교 시절에는 프로필 상 신장이 165cm로 표시되었으나, KBO 리그 선수 등록 때는 163cm로 표기되어 KIA의 유격수 김선빈보다도 신장이 작은 KBO 리그 역대 최단신[8] 선수로 기록되었다. 그래도 유급하지 않은 빠른 생일이라 지명 동기들에 비해서도 한 살 어린 만큼 아직 체격에 있어 더 성장할 가능성은 남아있다. 그러나 군복무를 마치고 복귀해서도 프로필 신장이 163cm로 그대로인 것을 보면 결국 더 성장하지는 못한 듯.
- 탁구를 상당히 잘 친다고 한다.
- 상당한 노력파인 듯하다. 트레이너들이 운동을 그만 하라고 말릴 정도.
- 같은 해 LG의 2라운더였던 이창율과 친분이 있다고 한다. 포철고 동기이기 때문인 듯. 그리고 KT의 이채호는 원동중학교 시절 힘든 시간을 같이 견뎌내 전국대회 우승을 이끌기도 했다.[9]
- 같은 최단신 선수인 김지찬과 김성윤을 비교했을 때 체격은 김성윤이 더 굵고 다부지다. 약한 타구질로 지적받는 김지찬과 달리 김성윤은 체격 대비 힘이 좋은 편이라 타구질도 나쁘지 않고 일발장타력도 있다. 다만 타격 재능과 야구 센스는 대체로 김지찬 쪽이 더 높은 평가를 받는 편이다. 또 허삼영 감독 말에 따르면 김지찬이 김성윤보다 조금 작다고 한다. 시범경기에 일일해설로 나온 동료들의 말로는 깻잎 6장 차이라고. 주력은 둘 다 매우 뛰어난 편이다.
- 현역으로 군복무를 마쳤는데, 군적이 운동선수 중에는 흔치 않은 해군 수병이다. 보통 현역으로 가는 운동선수들은 절대 다수가 육군, 드물게 해병대를 가는데 꽤 드문 케이스.[11][12] 아마도 집이 경상권이라 해군을 선택한 것으로 추측된다.[13] 해군 상근예비역이어서 집에서 출퇴근을 했다고 한다.
- 김동엽과 같이 3대 700을 친다는 이야기가 있다.
- 부산 출신이고 경남 지역과 경북 지역에서 자랐지만 다른 경상도 출신인 선수들에 비해 사투리 억양이 생각보다 세지 않은 편이다.[14] 원동중 재학 시절에는 사투리 억양이 꽤 있는 편이었다.
- 2022 시즌 후 결혼했다.
- 김현준이 밝히길 초등학교 때 같은 리틀야구 팀에 있었다고 한다.
- 2016 청소년 대표팀 출신 멤버다. #
- 낚시를 좋아한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참가 당시 키움 히어로즈의 김동헌과 룸메이트였다고 한다. # #
- 팬서비스가 엄청나게 좋은 편이다.
- MBTI는 ISFP이다.[16]
- LG 트윈스 박명근과 살짝 닮은 편이다.
- 별명은 페라리윤, 외잼민, 배지환 미니미 등이 있다.
6. 관련 문서
[1]
김지찬과 함께 KBO 리그 공동 최단신. 실제 키는 김지찬보다는 약간이나마 더 크다고 한다.
[2]
KBO 홈페이지에는 아직 62kg으로 나와있으나 군복무를 하면서 10kg 정도를 증량했다고 언급했고 육안으로 봐도 입대 전후의 피지컬 차이가 상당하다. 네이버 스포츠에는 73kg으로 나와있다.
[3]
외야 전 포지션 소화가 가능하며, 2024 시즌부터는 주 포지션을
중견수로 변경했다가, 김지찬의 외야 전향으로 김지찬 선발 출전시
우익수로 나온다.
[가사]
더 멀리! (짝짝) 더 빨리! (짝짝) 치고 달려라~ 최강삼성 김성윤 워어어어어~ (X2) 최강삼성 김성윤~ 넌! 할! 수! 있! 어!
[5]
벌크업을 했음에도 그다지 느려지지 않았다. 엄청난 노력을 한 듯.
[6]
이는 팀에게도 본인에게도 장점이 되었는데,
아무리 타격이 2023 시즌이 플루크였거나 타격에서 슬럼프가 오더라도 1군에서 대주자, 대수비로는 잘 써먹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7]
관련 기사
[8]
김지찬과 함께 공동 최단신이다.
[9]
여기서 족보가 꼬이는데, 김성윤은
빠른 생일이라 학교를 1년 일찍 들어갔고, 이채호는
유급을 해 나이는 이채호가 1살이 많은데 학년은 김성윤이 더 높은 웃지 못할 상황이 일어났다. 당시 원동중은 신생팀이라 실력이 부족한 선수가 많아서 유급을 시키는 경우가 많아서 김성윤과 동갑인 1999년생들이 김성윤이 3학년 때 1학년인 경우가 많았다.
[10]
하지만 2024년부터 김지찬이 중견수를 보면서 김지찬은 잼지찬, 김성윤은 외잼민으로 나뉘어 불렸지만 김성윤이 오랫동안 자리를 비웠던 탓에 외잼민 타이틀이 김지찬 쪽으로 확 기운 추세다.
[11]
육군, 해병대와 달리 해군, 공군은 복무기간이 길어서 선호되지 않는 편이다.
[12]
다만,
해군
상근예비역은
육군,
해병대와 복무기간이 동일하기에 예외로 봐야 한다.
[13]
상근예비역은 본인의 주소지 근처의 부대로 배치됨으로, 본인이 해군을 선택했다기보다는 해군에 선택되었다고 보는 게 더 맞다.
[14]
표투리(표준어+사투리)에 가까운 억양이다.
[15]
현재의 등번호 역시 이종욱의 현역 시절 등번호 39번에서 따온 것이다.
[16]
본인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지만 아내 분이 올린 과거 게시물에서 언급됐다.
[17]
나이는 배지환과 동갑이지만 김성윤이 빠른 생일을 적용해 김성윤이 1년 선배이다. 입단도 김성윤이 1년 빠르다. 단지 키가 작고 플레이스타일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배지환 미니미라고 부르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