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01:51:42

조석

조수간만차에서 넘어옴
1.
1.1. 지역별 차이1.2. 천문학적 원리1.3. 생활에 끼치는 영향
1.3.1. 조석변화 표기법
1.4. 체크하는 방법1.5. 관련 문서
2. 3. 대한민국 육군 제65보병사단 밀물부대4. 동명이인
4.1. 실존 인물4.2. 가상 인물

1.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 자전 주기) · 공전( 공전 주기) · 중력( 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 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 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 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 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 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 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 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 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 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태양계 천문학· 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arkOrange><colcolor=#fff> 태양계
태양 햇빛 · 태양상수 · 흑점( 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 지구 구형론( 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 자극점 · 지자기극점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자기 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 후기 대폭격
월식( 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 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 엄폐
소행성체 소행성( 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 플루토이드) · 혜성( 크로이츠 혜성군)
별똥별 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 크레이터 · 천체 충돌 · 광조)
우주 탐사 심우주 · 우주선( 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 테라포밍
천문학 가설 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 벌칸 · 티케 · 니비루) · 후기 대폭격
음모론 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 행성( 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 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 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 골디락스 존( 온실효과 폭주)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 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 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

潮汐
밀물과 썰물/조수간만
Tide
미세기(순우리말)/ うしお( 일본어)

태양 중력으로 발생한 기조력[1]의 영향으로 해수면의 높낮이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현상. 지구 표면에 액체 상태로 떠 있는 바다가 지구 중심을 형성하는 고체층과 서로 다른 중력 가속도를 받기 때문에 생긴다.[2]

해수면이 최고조에 달할 때를 만조(滿潮, 밀물), 가장 낮아졌을 때를 간조(干潮, 썰물)라 하며, 만조와 간조의 차이를 조수 간만의 차(조차, 潮差)라 한다. 간조에서 만조까지 바닷물이 밀려오는 현상을 밀물, 만조에서 간조까지 바닷물이 나가는 현상을 썰물이라고 한다.

1.1. 지역별 차이

우리나라 서해 세계구급으로 조석이 굉장히 뚜렷하게 드러나는 곳이고[3] 그래서 갯벌이 잘 발달했다. 반면 동해는 아예 언제가 밀물이고 언제가 썰물인지 느끼지도 못할 정도다. 남해는 동해보다는 서해의 특징에 좀 더 가까운 편이며, 남해와 동해 바다가 만나는 부산광역시에서는 도시 안에서도 다대포해수욕장이 있는 서부산과 해운대해수욕장, 송정해수욕장 등이 있는 동부산 해안의 조석 변화 차이가 눈에 띌 정도다.

한반도 서해안은 남해안, 동해안에 비해 조차가 크게 나타난다. 대체로 아산만 일대가 가장 큰 조차를 보이며, 인천, 군산 등이 그 다음이고, 목포, 남포 등은 비교적 작게 나타난다.

조차가 지역/해안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조석이 파동(조석파)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인데, 쓰나미 등에서도 나타나는 현상과 기본적으로 비슷한 부분이 있다. 즉 해저 및 해안 지형에 따라 조차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수심이 깊으면 면적당 에너지 전달이 작아져 조차가 작게 나타나는 반면, 수심이 얕아질수록 조차가 크게 나타난다. 또한 파장이라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 조석파가 서로 상쇄되어 조차가 0인 지점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무조점(Amphidromic point, 또는 tidal nodes)이라고 부른다. 세계적으로 조차가 작은 바다로는 지중해, 카리브해, 동해 등이 꼽히며, 반대로 조차가 큰 바다로는 황해, 서유럽 대서양 연안, 호주 북서부, 파나마만, 캐나다 뉴브런즈윅 펀디 만 등이 꼽힌다.

1일 2회의 고조와 2회의 저조가 있으나(반일주조) 이들의 조위와 주기가 각각 다른 현상을 일조부등이라고 한다.

1.2. 천문학적 원리

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자전을 하면서 동시에 태양 주위를 도는 공전을 하고, 달은 이러한 지구 주위의 궤도를 따라 공전하면서 만유인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원심력은 원운동 하는 물체가 바깥쪽으로 튕겨져 나가려는 힘인데 지구는 자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한다. 그런데 지구에서 바깥쪽으로 쏠리는 원심력은 모든 방향에서 같지만, 달 쪽을 향한 인력은 달의 중심을 향하므로 방향이 있게 된다.
그래서 지구에서는 달을 마주보는 편에서의 인력과 반대편에서의 인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 인력에 이끌려 지구와 달이 마주 보는 부분으로 지구의 바닷물이 모이게 된다. 그리고 지구와 달이 마주 보는 부분의 반대쪽 부분도 원심력에 의하여 바닷물이 부풀어 오른다.
그 결과, 달이 당기는 부분과 그 반대편이 밀물이 되고 그 외의 부분은 물이 빠져나가 수심이 얕아지는 썰물이 된다.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 자전하기 때문에 달의 인력과 지구의 원심력에 의해 하루에 두 번의 밀물이 나타나게 된다.

밀물과 썰물은 달과 태양의 인력에 의해 발생하는데, 달의 인력이 태양의 인력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을 이루는 합삭(음력 29일 전후), 만월(음력 15일 전후) 때에 조차가 크게 일어나며, 직각을 이루는 상현, 하현 때에 조차가 작게 일어나는데[4] 조차가 크게 일어나는 때를 대조(大潮, 사리[5]), 작게 일어나는 때를 소조(小潮, 조금)라고 한다.

파일:external/oceanservice.noaa.gov/springtide.gif

달이 지금보다 가까웠던 선캄브리아대에는 조수 간만의 차도 지금보다 훨씬 큰 수십 m에 달했으리라 추정된다. 그런 식으로 밀물과 썰물이 자전하고 있는 지구를 바깥쪽으로 끌어당기면서 지구의 자전속도가 느려져 하루에 해당하는 약 24시간이 6만 2500년에 1초씩 가량 길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1.3. 생활에 끼치는 영향

밀물과 썰물 현상은 대체로 6시간 간격으로 하루 두 차례 반복되며 어업 종사자 및 해안가 거주자들의 삶 및 생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를테면 어선이 밀물 때에 맞춰 입출항하는 것, 물빠짐이 심한 지역을 운항하는 연안여객선이 썰물 때를 최대한 피해서 입출항 시간표를 짜는 것, 갯마을 주민들이 썰물 때에 갯벌에 나가 어패류를 채취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밀물 때에 만조 수위가 상승하여 해안가에 침수 피해가 일어나는가 하면 밀물 때에 드러나지 않았던 육지와 섬, 혹은 섬과 섬을 연결하는 바닷길이 썰물 때에 열려 이 길을 통해 두 지역이 서로 왕래하기도 한다.[6] 이 때문에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매우 큰 인천, 태안, 군산, 목포 등 서해안 지역 어촌에서는 만조와 간조 시간(일명 '물때')이 매일 적어둔 달력을 집에 걸어놓고[7] 이를 매일 확인한다. 인천항에 설치된 갑문식 도크와 군산항에 설치된 부교(浮橋) 역시 조수 간만의 차이에 따른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설치된 시설물이다.

섬과 육지, 섬과 섬 사이에 좁은 수로(해협)가 있을 경우 밀물과 썰물 때에 급격한 흐름이 생기기도 한다. 대표적인 곳이 전라남도 해남과 진도 사이의 울돌목으로 이순신 장군은 이 흐름을 이용해 명량 해전의 승리를 이끌기도 했다.

바다와 강이 만나는 하구에서는 썰물 때에 강물의 유속이 빨라지는가 하면 밀물 때에는 바닷물이 강으로 역류해 들어와 주변 지역에 염해를 입히기도 한다. 이 역류의 흐름이 심할 때는 그냥 바닷물이 스며드는 수준이 아니라 급류를 이루기도 한다. 아마존 강 포로로카, 중국 첸탕강(錢塘江)의 해소(海嘯) [8]가 그 예이다. 조석 간만의 차이가 큰 지역에서는 강물에 쓸려온 토사들이 해안가에 퇴적하여 갯벌이 형성되는데,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큰 서해안에서 이러한 갯벌이 많이 형성되었다. 때문에 하안에 농경지가 많다면 이 염해를 막고 민물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수중보나 하구둑 등을 건설한다. 함수가 담수보다 밀도가 높아 무겁기 때문에 수중보에 가로막히므로 안정적으로 민물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전근대에는 내륙수운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밀물을 타면 굳이 바람을 타거나 노를 젓지 않아도 손쉽게 배를 상류까지 몰고 갈 수 있기 때문에, 이 조수 영향권의 종착점이 주요 교역지로 번성했다. 영산강의 영산포, 금강의 강경포[9], 한강의 송파나루, 대정강의 진두장, 섬진강의 화개장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런 조수를 이용하지 않아도 쉽게 항구에서 내륙으로 이동할 수 있는 근대 육상교통이 등장하자 내륙 포구들은 빠르게 쇠퇴했다.

바다 낚시를 즐기는 사람에게는 매일, 매달의 조석 변화가 조황과 자리 선택, 공략 어종 선택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므로, 스마트폰에 앱을 반드시 깔아 놓고 있다. 자리가 물에 잠기느냐 아니느냐가 달라지는 서-남해안은 말할 것도 없고, 간만차가 심하지 않은 동해안에서도 조석에 따른 물고기의 이동과 활동 시간은 달라지기 때문. 심지어 사리 때와 조금 때 조황이 달라지기도 한다. 밀물 때 바닷물이 올라오는 강 하구 기수역 또한 마찬가지.

1.3.1. 조석변화 표기법

어업인들에겐 더욱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서 해안 지역에서는 아예 달력에 매일매일의 예상 물때(조석변화)를 기록해놓는다. 물때는 달의 위상에 따라 결정되므로 해안가에서 음력은 필수요소이다.

한국에서는 1물, 2물 ... 5물, 6물(사리), 7물 ... 12물, 13물, 14물(조금), 15물(무시)로 수협 달력에 주로 표시하며 음력 1달에 2번 정도 반복한다. 보통 6물(사리)은 음력 15일( 보름), 30일( 그믐)이고 조수간만의 차가 최대인데 반해, 조금(14물)은 음력 8일, 23일( 반달)이고 조수간만의 차가 최소이다. 참고 그러나 지역별로 관습 표기의 차이가 있어 중구난방일 수 있다. 참고

일본은 大, 中, 小, 長, 若로 표기된 고유의 표기법이 있다. 참고 블로그

외국도 마찬가지로 물때표(tide table)를 만들어 배포하지만, 한국과 달리 각 물때(무쉬, 1물, 2물 등등)를 지칭하는 용어는 따로 없다.


1.4. 체크하는 방법

1.5. 관련 문서

2.

주야(晝夜)와 같이 아침 저녁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하루라는 뜻으로 통한다.

3. 대한민국 육군 제65보병사단 밀물부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65보병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동명이인

4.1. 실존 인물

4.1.1. 만화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석(만화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2. 기업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석(기업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가상 인물



[1] 만유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저 천체들에 의해 받는 힘은 지표면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2] 즉, 지구 중심에 걸리는 달의 중력과 지구 표면에 걸리는 달의 중력에 차이가 생겨서 발생하는 것. 지각이나 맨틀 같은 암석층은 결합력이 훨씬 크기 때문에 달이 움직여도 꿈쩍 않지만, 유체인 물은 달을 따라서 출렁인다. 흔히 슈퍼문이 떴을 때 보도되는 '달이 접근하면 지진 등 재앙이 일어난다.'는 속설 역시, 달이 너무 가까이 오면 기조력이 강해져서 고체인 지각에도 영향을 줄 거라는 속설에서 생긴 것. [3] 그래서 시화호에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 발전소가 들어섰다. [4] 대체로 만월 때는 밀물이 많이 들어오고 합삭 때는 썰물이 많이 빠진다. [5] 매년 음력 7월 15일 백중 때 조차가 가장 크다. 그래서 이 무렵만 되면 일기예보를 통해 백중사리라는 말을 쉽게 들을 수 있다. 이 시기는 만조 시기 물 높이가 1년 중 가장 높아지는데 가뜩이나 물 높이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파도까지 세게 치면 해안 월파 사고와 해수 침수 등 안전사고가 일어난다. 하필 백중 시기가 찾아오는 양력 8월 하순에서 9월 초는 비바람을 동반한 태풍 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 등 태평양 연안 국가에 몰아치는 때인데 백중사리 시기에 태풍까지 몰아치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6] 가장 유명한 곳이 전라남도 진도의 바닷길이지만 이와 같은 바닷길 현상은 서해안 곳곳에서 소규모로 드물지 않게 나타난다. [7] 보통 지역의 농협, 수협, 새마을금고에서 배포하는 달력에 물때가 적혀 있다. [8] 참고로 해소(海嘯)와 관련된 서울신문 기사이다. [9] 사실 그보다는 좀 더 상류인 공주나 대평리, 심지어는 오근장까지도 영향이 미쳤지만 논산평야의 농산물들이 집결할 수 있는 강경에 장이 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