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22:37:44

고천문학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 자전 주기) · 공전( 공전 주기) · 중력( 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 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 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 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 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 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 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 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 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 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古天文學
Archaeoastronomy

1. 개요2. 고천문학 연구
2.1. 대한민국에서의 고천문학 연구
3. 관련 문서

1. 개요

고천문학이란 이야기나, 그림, 유적, 유물 등을 분석하여 어떤 시기에 어떤 천문 현상이 일어났고, 어떤 문화를 가졌는지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고고학이나 인류학을 천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연구하는 학문.

천문학의 범위에 들어있기는 하지만 고고학이나 사학 등과의 융합학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실제 서로 교류도 잦다. 그래서 영문 명칭은 고고학(Archaeology)+천문학(Astronomy)인 고천문학(Archaeoastronomy)이다. 연구 분야가 사료나 유적, 역법 등이다보니 주로 천문학보다는 고고학이나 사학 쪽에 기여하는 바가 상대적으로 크다.

아무래도 문과 학문과 이과 학문의 결합이다보니 천문학 분야에서도 굉장히 존재감이 떨어지는 분과로 이 분과의 존재를 모르고 졸업하는 천문학 전공자도 흔하다. 반대로 고고학 쪽에서도 고천문학의 존재를 모르는 경우도 많은 모양이다. 게다가 일반적인 천문학에서 요구하는 지식이 매우 폭넓기 때문에 고대 언어 독해 능력 등등을 요구한다. 함부로 접근하기도 힘든 분야이다보니 이쪽을 전공으로 하는 사람의 수는 매우 적다.

2. 고천문학 연구

천문학은 다른 학문보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지구 곳곳 인류의 손이 닿은 곳에는 어김없이 천문 관련 유적이나 기록 등이 발견되고는 한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농경을 위한 천문학이 발달했고, 그와 동시에 하늘을 신성시하는 문화의 발생으로 고대 유적들의 곳곳에 천문학의 흔적들이 남아있는데, 이것은 고고학자들만이 독자적으로 연구하기는 힘들었고 그에 따라 천문학자들과의 동업을 시작하게 된 것이 이 분야의 등장 계기이다. 이 학문의 발달로 미묘했던 각종 유적들의 용도나 의미를 올바른 형태로 규명했다.

기록을 바탕으로 연구할 때 가장 유용한 것은 동서양, 혹은 인접한 각 국가의 기록을 교차검증을 통하여 해당 기록이 작성 된 시기를 알아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역법을 사용하는 문명들을 하나의 역법으로 통일시키는 것을 하기도 한다.

또한 각 국가의 고천문학자들은 자국의 기록을 바탕으로 연구를 하는 경우가 많다.

고천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성과 중 하나로는, 게 성운의 생성 연대를 1054년으로 특정해낸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팽창 속도를 통해 측정한 생성 연대를 설명할 수 있는 시기에, 같은 방향에서 관측된 초신성 폭발 기록을 통해 생성 연대를 특정할 수 있었다.

2.1. 대한민국에서의 고천문학 연구

한국의 조선 시대는 천체 관측의 기록이 상당히 상세하고 풍부한다. 주로 역관들이 기록해둔 사료를 바탕으로 연구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 우리 역관들은 "XXX성 주변에 OO만한 별이 나타났다."(OO는 주로 과일을 집어넣었고, 이는 별의 크기, 즉 밝기를 기록한 것이다.)는 식으로 특별한 별의 관측 결과를 기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어떤 천문현상이 일어났는지에 대해서 추측하고 실제 관측이나 계산을 통해 이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통해 변광성의 기록이나 유성우, 혜성 , 초신성 폭발등의 현상을 추리해낸다. 이런 연구를 타인에게 일일이 해석해달라고 할 수는 없기에 상당한 수준의 한문 독해 능력을 필요로 한다.

역관들의 기록 외에도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전설 수준의 이야기도 연구의 대상이 되고, 삼국유사에 비해 훨씬 현실적인 삼국사기 역시 훌륭한 연구 대상이다.

사료 외에도 특이한 천문학 현상이 나타나는 자료는 모조리 연구 대상이 되는데, 조선시대의 화가 신윤복의 ' 월하정인'에는 손톱달이 정확히 위를 향하여 뜬 초승달도 그믐달도 아닌 이상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이는 정조 당시 일어났던 부분 월식의 형태와 일치하며, 일부는 신윤복이 당시의 달의 모습에서 영감을 받아 이 그림을 그린 것이 아닌가 추측하기도 했다.[1]

3. 관련 문서


[1] 이 경우 신윤복 생전 월식은 2번으로 그중 한번은 날씨가 비가 왔기에 정확한 날짜가 구할 수 있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