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23:49:52

장유(지역)

장유1동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법정동인 장유동에 대한 내용은 장유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569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영읍 대동면 상동면 생림면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569F> 내외동 내동 외동
동상동 동상동
부원동
시청
부원동
북부동 구산동 대성동 삼계동
불암동 불암동 지내동
삼안동 삼방동 안동
장유1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내덕동 무계동 부곡동 신문동 유하동 }}}
장유2동 대청동 삼문동
장유3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유동 관동동 수가동 율하동 응달동 }}}
칠산서부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동 명법동 이동 전하동 }}}
풍유동 화목동 흥동
활천동 삼정동 어방동
회현동 봉황동 서상동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478><colcolor=#fff> 북부 구산신도시 삼계신도시 나전지구
북서부 진영신도시
중부 내외신도시 주촌선천지구 지구
서부 진례시례지구
동부 안동1지구 어방지구 지구
남서부 장유신도시 율하신도시 ( 1 지구 | 2지구)
무계지구 내덕지구 신문지구 }}}}}}}}}
김해시 출장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파일:김해시 CI.svg
장유출장소
長有出張所
Jangyu Liaison Office
}}}
<colbgcolor=#00569F><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 김해시
행정표준코드 5350152
관할 행정동 3
하위 행정구역 12법정동 162통 886반
면적 55.18㎢
인구 169,386명[A]
인구밀도 3,069.7명/㎢
출장소 소재지 부곡로 57
김해시청 장유출장소 홈페이지
1. 개요
1.1. 역사 문화재
2. 장유면 시절
2.1. 분동 이후
3. 교통4. 기타5. 공공/교육기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장유출장소.png
신축 이전 장유출장소의 모습
경상남도 김해시의 남서부에 위치하는 장유1동, 장유2동, 장유3동 지역을 일컬어 부르는 명칭이다. 북쪽으로는 진례면 주촌면, 서쪽으로는 창원시 성산구, 동쪽으로는 김해시 칠산서부동, 남쪽으로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지사동)에 인접해 있다. 옛 장유면 지역이며, 2013년 7월 1일부터 행정동인 장유1, 2, 3동으로 분동되었다. 각 법정리는 법정동으로 전환. 기사

장유신도시는 인근 창원 지역으로의 인구집중을 막고 동남권 도시의 부족한 택지 문제와 주택난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4년부터 6여 년에 걸쳐 조성됐다. # 실제로 창원터널만 지나면 바로 창원으로 진입이 가능할 정도로 매우 가까이 있고 이때문에 창원국가산단에 직장을 두고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많다.

장유 사람들은 이나 로 구분하지 않고, 통상 마을이름으로 지역을 구분한다.[2] 갑오마을, 팔판마을[3], 젤미마을, 석봉마을, 월산마을, 율현마을, 율상마을, 율곡 마을, 죽림마을, 용산마을, 모산마을, 태정마을, 응달마을, 수가마을, 용두마을이 있다.

지명의 유래를 살펴보면 고려 시대 장유촌(長遊村), 유하촌(柳下村), 제을미향(齋乙彌鄕, 절미향)으로 부르는 마을이 형성되었고, 조선 시대 이 지역이 유하면(柳下面), 유등야면(柳等也面)으로 불리다가 고종 즉위 이후인 1885년 장유면이 설치되었고, 1888년에 장유면 8개 리와 수남면(水南面) 4개 리로 분리되었다가 다시 일제강점기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수남면이 장유면에 흡수되었다. 이후 부산경남경마공원을 조성하면서 2000년 1월 12일 장유면 수가리 가동마을이 부산광역시 강서구 범방동에 편입되고, 반대로 강서구 범방동에 속해 있던 장전마을이 장유면에 편입되면서 맞교환되었다.

2013년 7월 1일, 장유면이 장유1·2·3동 3개 행정동으로 분할되었고, 행정동 분할과 함께 12개 법정리()는 각각 12개의 법정동()으로 전환되었다. 각 행정동이 관할하는 법정동은 아래와 같다.
  • 장유1동: 내덕동, 무계동, 부곡동, 신문동, 유하동
  • 장유2동: 대청동, 삼문동
  • 장유3동: 관동동, 수가동, 장유동, 율하동, 응달동,동대동

1.1. 역사 문화재

파일:정부상징.svg 장유 문화재
무계리 지석묘 장유1동 경상남도 기념물 제151호
유하패총 장유1동 경상남도 기념물 제45호
김해 능동 석인상 및 상석 장유2동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1호
장유화상사리탑 장유2동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1호
간재 전우 초상화 장유3동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40호
김해 월봉서당 장유3동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64호
김해 월봉서원 고문서 장유3동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69호
김해 일신재 장유3동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49호
김해 화산정사 장유3동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50호

2. 장유면 시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xt-align:left"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 행정구역
서울 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경기 개성시 · 개풍군 · 고양군 · 과천군 · 교동군 · 교하군 · 남양군 · 남양주군95 · 동탄면 · 마전군 · 미금시95 · 반월면 · 부천군 · 부평군 · 북포천군 · 삭녕군 · 서울시 · 송탄시95 · 시흥군 · 안산군 · 양근군 · 양성군 · 양주군 · 양지군 · 양천군 · 연백군 · 영평군 · 오포읍 · 옹진군 · 음죽군 · 인천시 · 일산구 · 장단군 · 적성군 · 죽산군 · 지평군 · 태안읍 · 통진군 · 평택군95 · 풍덕군
강원 간성군 · 강원도 · 금성군 · 김화군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평강군 · 평해군
충북 문의군 · 연풍군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안군 · 청원군 · 구 청주시 · 청풍군
충남 결성군 · 공주군95 · 노성군 · 대덕군 · 대전시 · 대천시95 · 덕산군 · 면천군 · 목천군 · 보령군95 · 비인군 · 서산군95 · 아산군95 · 연기군 · 연산군 · 온양군 · 온양시95 · 은진군 · 정산군 · 직산군 · 천안군95 · 한산군 · 해미군 · 홍주군
전북 고부군 · 고산군 · 김제군95 · 만경군 · 무장군 · 옥구군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전라북도 · 정읍군95 · 정주시95 · 태인군
전남 광산군 · 광양군95 · 광주시 · 나신면 · 나주군95 · 낙안군 · 돌산군 · 동광양시95 · 선도면 · 송정시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지도군 · 창평군
경북 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내동면 · 대구시 · 문경군95 · 선산군95 · 순흥군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榮川郡) · 영천군(永川郡)95 · 영풍군95 · 예안군 · 울도군 · 월곡면 · 점촌시95 · 진보군 · 풍기군 · 풍서면 · 하양군 · 현풍군
경남 거제군95 · 김해군95 · 동래군 · 마산시 · 밀양군95 · 부산시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언양군 · 영산군 · 울산군95 · 울산시 · 울주구 · 웅상읍 · 웅천군 · 원량면 · 장승포시95 · 장유면 · 진양군95 · 진해군 · 진해시 · 창원군95 · 구 창원시 · 충무시95 · 칠원군 · 통영군95
제주 남제주군 · 대정군 · 북제주군 · 정의군 · 제주도(濟州島) · 제주도(濟州道)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1=본 틀에 대한제국 선포(1897년 10월 12일) 이후 폐지된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2=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2=대한제국 선포부터 광복(1945년 8월 15일) 전까지 폐지된 행정구역 가운데 현재 휴전선 이남에 위치했던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3=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3=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행정구역을 원칙적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4=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4=단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에 위치했으나 휴전 후 북한 치하에 들어간 경우와 일부 영역을 수복했으나 인접 시군에 편입시켜 휴전선 이남에 실효지배하는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한해 등재한다.,
토론주소5=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5=명칭 변경 사례를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6=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6=폐지된 행정구역의 소속 도(道)는 폐지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단 제주도에 소재했던 행정구역에 한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으로 표기한다.,
토론주소7=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7=폐지된 행정구역이 행정구역 명칭과 단위가 같은 행정구역으로 다시 설치된 경우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8=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8=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폐지된 동명의 행정구역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9=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9=폐지된 동·읍·면은 원칙적으로 등재할 수 없다. 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0=YouthfulTangibleDryClam, 합의사항10=1995년 이전에 폐지된 읍·면이라도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1=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1=1995년 후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이라도 군 전체가 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읍·면이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없다.,
토론주소12=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2=1995년 이후에 군이 폐지되고 해당 지역에 동명의 새로운 시를 설치한 경우 이전의 군을 틀에 등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틀에서 경기도 광주군을 제외한다.),
)]

인구만 보자면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이 아니라 경상남도 장유시라고 불러도 어색하지 않았을 정도였다. 한때 우편번호, 영문주소 검색시 지번주소 면소재지 예시는 100% 장유면이었다.[4]

2013년 6월 30일까지 존재했던 행정구역. 전국 행정동 단위 읍면동 인구에서 몇 년째 1위를 고수했다.

장유신도시가 본격적으로 개발된 1999년부터 2018년까지 20년간의 인구를 보면 다음과 같다.
1999년 부터 2018년까지 장유의 인구 변화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연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인구 11,484 18,006 20,597 47,199 55,391 73,614 84,916 90,279 96,471 102,731
증감 ... +6,522 +2,591 +26,602 +8,192 +18,223 +11,302 +5,363 +6,192 +6,260
성장률 ... 56.8% 14.4% 129.2% 17.4% 32.9% 15.4% 6.9% 6.9% 6.5%
연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인구 117,673 123,150 126,572 132,108 140,299 144,577 144,710 145,629 149,633 151,740
증감 +14,942 +5,477 +3,422 +5,536 +8,191 +4,278 +133 +919 +4,004 +2,107
성장률 14.5% 4.7% 2.8% 4.4% 6.2% 3.0% 0.1% 0.6% 2.8% 1.4% }}}

위 그래프와 함께 1966년부터 현재까지의 인구를 추가하면 다음과 같다(1999년부터는 위의 통계를 따라 1년 단위로 올림)
장유면 인구 추이(1966년~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66년 12,387명
1970년 11,197명
1975년 10,662명
1980년 9,745명
1985년 9,990명
1990년 11,663명
1995년 11,638명
1995년 5월 10일 김해시· 김해군 통합으로 김해시 장유면 조정. 1999년도 중반 장유신도시 입주 시작
1999년 11,484명
2000년 6월 25일 김해시 장유면 수가리 일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범방동과 맞교환
2000년 18,006명
2001년 20,597명
2002년 47,199명
2003년 55,391명
2004년 73,614명
2005년 84,916명
2006년 90,279명
2007년 96,471명
2008년 102,731명
2009년 117,673명
2010년 123,150명
2011년 126,572명
2012년 132,108명
2013년 7월 1일 김해시 장유면장유1동~장유3동 전환
2013년 140,299명 (장유1동 55,468명 + 장유2동 34,850명 + 장유3동 49,981명)
2014년 144,577명 (장유1동 55,006명 + 장유2동 35,045명 + 장유3동 54,526명)
2015년 144,710명 (장유1동 54,606명 + 장유2동 34,973명 + 장유3동 55,131명)
2016년 145,619명 (장유1동 55,087명 + 장유2동 35,082명 + 장유3동 55,460명)
2017년 149,633명 (장유1동 57,046명 + 장유2동 36,130명 + 장유3동 56,457명)
2018년 151,740명 (장유1동 56,597명 + 장유2동 38,016명 + 장유3동 57,127명)
2019년 160,810명 (장유1동 56,662명 + 장유2동 37,034명 + 장유3동 67,114명)
2020년 165,079명 (장유1동 56,598명 + 장유2동 36,500명 + 장유3동 71,981명)
2021년 166,048명 (장유1동 56,720명 + 장유2동 36,269명 + 장유3동 73,059명)
2022년 165,846명 (장유1동 55,943명 + 장유2동 35,945명 + 장유3동 73,958명)
2023년 167,707명 (장유1동 56,046명 + 장유2동 37,680명 + 장유3동 73,981명)
2024년 8월 169,386명 (장유1동 58,033명 + 장유2동 37,642명 + 장유3동 73,7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당시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값은 20만 명 }}}}}}}}}

사실 애초엔 창원터널과 함께, 바로 산 하나 건너 옆인 창원시 성산구 베드타운 정도 되는 위치로 개발되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수도권의 여느 1기 신도시마냥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기 시작한 이후로 인구가 미친듯이 불어나고 있으며, 2010년 4월 현재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면(面)으로는 최초로 12만 명을 돌파했다. 신도시 개발 이전, 1995년 통계청 조사 기준 장유면 지역의 인구는 11,638명이었으니, 정말 가파른 인구 증가를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오래 전부터 장유에 살던 원주민은 정말 찾기 힘들며, 때문에 애향심도 거의 없다. 동 전환 직전인 2013년 6월 당시 기준으로는 134,481명. 같은 경남에 위치한 밀양시, 사천시의 인구를 능가하며 부산의 신도시인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 정관신도시의 인구를 능가한다.

한마디로, 일개 하나에 어지간한 시(市) 인구가 있는 셈. 아예 장유보다 인구가 적은 시들도 많았다. 들은 거의 절대 다수가 장유보다 적다. 2012년 7월 기준 장유면보다 인구가 많은 군은 광역시 산하의 군과 현재 통합된 청원군 뿐이다.

실제 김해의 타 동부분과 좀 떨어져 있는 느낌이라[5] 어차피 최근 20년 동안 인구의 50% 이상이 외부에서 유입된 것이기 때문에, 김해 시내지역 사람이나 장유 사람이나 서로에 대해 관심이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6]

이 때문에 오래 전부터 으로의 승격이나 몇 개의 동으로 쪼개자는 분동 논의가 있어왔으나 이 곳 주민들은 농어촌특별전형 등 여러가지 혜택을 뺏기기 싫어서 그것을 거부하고 오랫동안 면으로 남았다.[7]

멀리 갈 것도 없이, 옆동네 양산시 웅상읍 2007년 4월 1일에, 거제시 신현읍 2008년 7월 1일에 각각 4개의 행정동으로 분할되었다. 게다가 웅상읍 신현읍의 분동 당시 인구는 7만 정도. 예나 지금이나 7만이란 인구도 이미 읍면 수준은 한참 초월한 수치였지만 장유면은 이미 그의 두 배 가까이 찍고 있었으며, 그 때문에 장유면의 이런 현상은 지역 이기주의라는 비판도 많았다.[8]

2.1. 분동 이후

파일:김해시 엠블럼.svg 장유1동
長有一同 | Jangyu 1-dong
파일:김해시 엠블럼.svg 장유2동
長有二同 | Jangyu 2-dong
파일:김해시 엠블럼.svg 장유3동
長有三同 | Jangyu 3-dong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 김해시 기초자치단체 김해시 기초자치단체 김해시
행정표준코드 5350211 행정표준코드 5350212 행정표준코드 5350213
통·리·반 5법정동 63통 322반 통·리·반 2법정동 32통 177반 통·리·반 5법정동 61통 349반
인구 58,033명[A] 인구 37,642명[A] 인구 73,711명[A]
면적 13.51㎢ 면적 19.70㎢ 면적 21.97㎢
국회의원
김정호
국회의원
김정호
국회의원
김정호
도의원
박병영
도의원
주봉한
도의원
손덕상
시의원
①안선환
시의원
①정희열
시의원
①이혜영[12]

②강영수

②김주섭

②허윤옥

주정영

③김진일
홈페이지 장유1동 행정복지센터 홈페이지 장유2동 행정복지센터 홈페이지 장유3동 행정복지센터

전국 면 인구 1위는 정관신도시가 위치한 기장군 정관면으로 넘어갔다. 그리고 정관면이 정관읍으로 승격하면서 면 인구 1위는 순천시 해룡면이 가져갔다.

여담으로, 2021년 기준 분동한지 8년 이상 지났지만 아직까지 장유면의 흔적이 인터넷과 장유 관내에 많이 남아있다. 제작된지 오래된 사이트에 접속하다 보면 심심찮게 '장유면'이라는 표기가 등장하고, 면사무소에서 장유1동 주민센터로 바뀐 건물도 현재도 주민센터가 아니라 면사무소라고 불리는 경우를 볼 수 있다.

3. 교통

파일:김해시 CI_White.svg 장유신도시 경유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직행좌석
좌석
58[A]
59[A]
97[A][B]
98[A][B]
770[A][B]창원
일반
13[B]
15[B]
21[A]
21-1[A][B]
44[A][B]
[A] 김해관광유통단지 미경유
[B] 율하지구 미경유
}}}}}}}}}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이 장유를 중앙에서 관통해서 지나간다. 장유 원 시가지는 고속도로 기준 북쪽에 있고 신도시는 대부분 남쪽에 있기 때문에 고속도로를 사이에 두고 바로 딱 붙어있는 삼문동(젤미), 부곡동(월산) 정도를 제외하면 양쪽이 분위기가 조금 다르다. 창원터널로 통하는 1020번 지방도도 장유를 관통[13]하며, 이 둘이 장유IC에서 접속한다. 덕분에 부산, 창원으로의 왕래가 편리하다.

특히 창원 쪽으로 가는 1020번 지방도( 창원터널)는 장유의 경제인구의 대부분이 창원에 직장을 가지고 있어, 출퇴근시간대 헬게이트가 더 심각한 상태. 따라서 1020번 지방도의 헬게이트 해결을 위한 부산과 창원을 잇는 1030번 지방도가 동의 남쪽을 관통하는 형태로 개통되었다. 그런데 그래봤자 거기는 유료도로라서 창원터널 정체현상은 변함이 없다.

대중교통편은 김해나 창원 방면으로는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지만, 강서구 아래쪽을 제외한 부산으로의 교통은 불편해서 장유1동 지역은 동 내부를 관통하고 사상으로 가는 시외노선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대신 이 사상행 시외버스가 굉장히 자주 와서, 다른 시내버스 중 가장 자주 오는 21번 버스가 15~20분 간격(70회)으로 다니는데 반해 사상 시외버스 부산서부-김해장유은 10~15분으로 다닌다.(73+8회) 실질적으로 장유의 모든 대중교통 중 가장 자주 온다. 어느정도냐면 주말이나 출퇴근 때가 되면 고속도로를 달리는 좌석시외(터미널 종착)버스 주제에 무려 입석(!)까지 세우고 다닌다. 물론 불법이지만, 워낙 수요가 많아서 경찰도 묵인했다. 남해고속도로 하도 막혀서 50km/h 이상을 찍을때가 거의 없었던 것도 원인.[14] 요금은 최근에 인상되어서 성인 2,300원, 청소년 1,800원, 어린이 1,200원. 거의 10/15분 배차로, RH때는 버스가 2~3대 연달아 들어오기도 할 정도의 빗자루 배차로 운행한다.[15]

지금은 입석을 세우지 않는 대신 배차를 줄였다.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이 확장되어 고속주행을 하는 터라 위험해서 하지 않는다고. 그래도 진영행 막차와 심야버스는 여전하다. 확장이 끝난 이후, 시외버스가 고속도로 위에서 막히는 경우가 크게 줄어들었다. 또한 이전에는 교통카드조차 지원하지 않고 현금을 요금에 맞춰 내던 시절이 있었는데, 교통카드 시스템이 정착되고 입석 문제도 해결되며 차내 환경이 과거에 비해 크게 쾌적해졌다.

물론 시외버스만 있는것은 아니고 부산으로 가는 시내버스 노선들도 있다. 김해 220번 좌석버스 하단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다만 배차간격이 40분이나 되는데다가 장유의 일부 지역만 지나다녀서 장유1동에서는 어디서든 도보로 정류장까지 갈 수 있는 시외버스에 비해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듣보잡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다만 장유IC와 거리가 좀 있는 장유3동(율하)지역에서는 시외버스가 안 와서 꽤나 이용한다. 이 때문에 부산 사람들 중에서는 장유와 부산을 시내버스로 오갈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실제로 주민들 중 220번이나 221번을 봤다는 사람이 잘 없다. 과거에는 덕천역까지 운행하던 207번도 있었으나 승객 부족으로 아예 폐선되었다. 예전에는 신도시 입주민들 중심으로 서면 등지로 갈 수 있는 시내버스 노선 개설 요구가 높았지만 요즘은 그냥 포기한 듯. 앞으로 경전선 복선전철이 개통되면 많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2024년부터는 914번이 개통되어 지사 지역과 명지 등으로 가거나 율하2지구에서 부산 가기가 더 수월해진 대신 지사터널을 경유하는 관계로 입석이 금지된다.

서울 용인에서 출발하여 김해여객터미널로 가는 고속버스와, 오산/ 수원/ 안산에서 역시 김해여객터미널로 가는 버스도 장유를 경유하며, 서울남부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서부산으로 가는 버스도 5회 장유를 경유한다.[16] 그 이외에 김해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리무진 버스도 운행중이다.[17] # 2015년 3월에는 동래 경유 해운대행 시외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장유IC로 진출입한다.

시내버스는 장유 내를 운행하는 노선인 22, 23, 24번과 장유를 순환하는 25, 26번이 있고, 김해 시내와 장유 사이를 잇는 노선인 21번, 3-1번 등이 있으며, 김해-장유-창원 노선 58, 59, 97, 98(이상 김해노선), 770( 창원노선)번도 있다.

이들 노선에는 비화가 있는데, 원래 97, 98번은 창원과 김해가 공동 배차하던 노선이었다. 그런데 김해시에서 독단적으로 이들 노선을 김해시내까지 연장하자, 창원시측이 이에 반발하여 97, 98번에서 발을 빼고 독자적으로 58, 59번을 창원시내에서 연장했다. 그 후 2005년 창원시 버스노선 대개편을 하면서, 창원시에서는 창원-장유 노선으로 다시 170, 171번을 따로 만들었고, 그후 두 노선이 통합되었고, 2023년 대개편 때 170번이 770번 직행좌석버스로 형간 전환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또한 58, 59번은 창원시에서 시내버스 노선 대개편을 실시하면서 김해시가 단독 배차하게 되었고 그 뒤 58, 59번을 점차 연장하게 되어 하사촌에서 출발하는 형태로 정착된 것. 지금은 삼계동 공원묘지입구에서 출발한다. 그 외에도 3번, 21번이 장유동을 종점으로 삼으며, 진영읍으로 가는 44번이 경유한다. 그러나 진영/진례로 가는 버스가 44번 한 노선인데다가 배차간격도 좋지 않아서 시외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진영읍, 한림면, 김해 원도심에도 있는 구 마산으로 바로 가는 버스노선은 시내, 시외를 불문하고 없다. 장유신도시와 구 마산을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는 인구가 적어서 그런지 개설 요구가 많이 나오진 않는다. 구 마산 지역으로 정기적으로 다니는 사람들은 여기보다는 내서읍이나 함안군에 집을 두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것도 있다.

다시 정리하면, 시내버스로 3, 3-1, 21, 21-1,22, 23, 24, 25, 26, 44, 58, 59, 97, 98, 220, 221, 770, 914번이 있으며, 시외/고속버스는 김해여객이 부산(사상), 창원(창원,마산), 김해(진례,진영), 정류장 경유는 인천, 오산, 수원, 안산, 선산휴게소, 서울, 세원공항리무진에서 김해국제공항행 버스가 운행 중이다. 문제는 시내버스가 창원행은 97, 98번 합쳐야 20분이 된다는 것과 배차간격이 21번은 20분, 25,26번은 15분(이지만 둘러둘러 다닌다), 24번은 20분, 770번은 20분, 58, 59, 97, 98은 40분이라 대부분 배차가 길다는 것. 또한 창원터널 화물차 폭발 사고 이후 창원터널을 통과하는 노선 모두 입석금지를 시행하고 있다.

부산신항선이 개통되어 내덕동에 장유역이 문을 열긴 했지만, 아직은 화물 전용역이라 의미가 없다.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장유역을 지나 경전선과 합류하여 마산역까지 운행할 예정이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2021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터널 붕괴 사고로 인해 개통이 차일피일 연기되는 중이다.

그래서 KTX를 타려면 다른 곳으로 넘어가야 한다. 김해 버스 97이나 김해 버스 58을 타고 창원지방법원에 내려서 창원 버스 221로 갈아타면 창원중앙역이 나오며, 반대로 장유로 돌아올 때는 창원 버스 220을 타고 창원지방법원에서 김해 버스 98이나 김해 버스 59를 타면 된다. 또는 김해 버스 13, 15를 타고 진영역으로 갈 수도 있다. 환승할 필요가 없고 소요시간이 창원으로 가는 것 대비 짧지만 버스의 배차 간격이 좋지 않고 KTX 편이 적어서 시간 안맞으면 창원으로 가야 한다. 김해 본시가지에서는 구포역이 더 가깝지만 장유에서는 창원중앙역이 낫다. 만약 순천역이나 진주역 방향으로 열차를 타야 한다면 창원으로 가는 버스 아무거나 타고 남산중학교에 하차하여 108번으로 환승해서 창원역이나 마산역으로 가자.[18]

고속도로 하행선을 타고 김해 쪽으로 오다보면 부산신항 쪽으로 빠지는 곳이 있다. 민자도로인데다가, 그 길로 발을 들이는 순간, 장유나 율하 방면으로 빠질 수 있는 길이 없다. 아직까지는 그렇게 가는 방법과 율하IC에서 불모산터널 장유방면 요금소를 지나면서 가는 방법 밖에 없다.

2018년 율하와 부산 강서구 지사동과 창원 진해구를 잇는 58번 국도(지사 터널, 웅동 터널)가 개통되어 지사동 부산과학산업단지 및 부산신항 출퇴근이 훨신 수월해졌다. 추가로 2024년에는 지사터널 경유 시내버스노선 914번이 신설돼 대중교통으로 가기도 좋아졌다.

4. 기타

유흥문화가 기형적으로 발달해 있고[19], 가격이 싸기에 룸이라든지 궁에 원정온다는 말도 있다.

2002년 4월에 개관한 장유도서관과 2011년 11월 개관한 김해기적의도서관이 각각 대청동과 율하동에 있어 지역 주민들이 많이 이용한다. 대형마트의 경우 롯데마트 장유점이 대청동에 있고, 신문동에 농협하나로클럽(김해농수산물유통센터), 롯데프리미엄아울렛 김해점이 있다. 이중 롯데마트 장유점 홈플러스 김해점김해에서 돈을 끌어모을 정도로 장사가 매우 잘된다고 한다. 백화점은 창원 롯데백화점과 내외동의 신세계백화점으로 많이 나가는 분위기. 영화관도 여태 없었다가 2013년 7월 1일에 신문동에 롯데시네마가 하나 생길 정도로 문화 시설이 극히 부족하다.[20] 2014년에 부원동에 아이스퀘어라는 쇼핑몰과 롯데시네마가 개점한 후 그쪽으로 나가는 사람들도 생겼다. 2015년 대청동에 농협 하나로마트(김해축협)가 새로 문을 열었다.

한편 대청동 중심에 CGV 김해장유점이 롯데시네마 김해아울렛과 동일한 6개 상영관을 준비하고 있다. 지역 커뮤니티에 상가 분양 모집 글을 올린 관계자는 2016년 7월에 준공 예정이라고 썼으나, 실제로는 10월에 준공하였고, 2017년 1월에 드디어 개관하였다. 이후 문화 인프라가 부족하던 지역 주민들에게 단비가 되어주고 있다. 후에 율하신도시에 CGV 김해율하점이 개관하였다.[21] 이로써 장유의 모든동에 영화관 1개씩이 있다.[22]

2018년 여름 율하동에는 김해서부문화센터가 개관했다. 수영장, 헬스장 등 운동시설과 공연, 전시시설이 있다.

신문동에 김해관광유통단지라는 이름으로 대규모의 롯데 기업의 아울렛, 스포츠센터, 테마파크, 호텔, 콘도, 종업원 숙소, 대형마트 시설들이 개장,건설 예정이다. 2014년에는 국내 최대의 워터파크인 롯데워터파크가 개장하였으며 2015년에 완전 개장을 하였다. 바로 옆에 롯데프리미엄아울렛 김해점이 존재하고 롯데리아, 롯데시네마가 3층 4층에있다. 이후에 김해 전국체전이 개최되기 전인 2023년 이전인 2022년 말까지 혹은 2023년 상반기까지 대부분의 시설이 완공 예정이다.

패스트푸드 매장의 경우, 관내에 롯데리아는 7개 매장[23]이 있으며 지역 내 상업지구에는 하나씩 골고루 다 들어가 있다.

타 브랜드로는 맘스터치 매장이 율하지구에 3곳을 포함해 여러 곳에 있으며, 2015년에는 파파이스[24] KFC[25]가 역시 율하 지역에 들어왔다. 예전에 맥도날드가 지금의 김해축협 남부지점 위치에 2층 규모로 있었으나, 어느 순간 2층이 없어지더니 매장자체가 2002년 미국상품 불매운동으로 철수하였다. 14년 후 대청동에 맥도날드 드라이브스루/ 맥 딜리버리 매장 건물을 새로 오픈하여 장유 지역에 재진출했다. 맥렐루야

2018년 4월 18일에 대청동에 버거킹 드라이브스루 매장 건물을 오픈하여 장유에 진출했다. (버거킹 장유DT점) 장유스파랜드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

2021년 7월 28일에 폐점한 KFC 위치에 노브랜드 버거가 들어왔다. (노브랜드버거 김해율하점)

버스 터미널의 경우 명확한 건물없이, 무계동 장유농협 맞은편과 대동황토방 1단지 정문 외 1개소에서 시외 또는 고속버스를 탈 수 있는 임시 승강장이 마련되어 있고, 장유도서관 앞에서 김해공항으로 가는 리무진버스가 있다. 이 때문에 늘어나는 여객수요에 반해 아는 사람만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등 접근성이 크게 제한되어 왔다. 2003년 5월부터 계획한 장유 시외버스터미널은 수익성의 문제로 민간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아 무기한 연장되어 왔다. 드디어 2021년 12월 8일에 첫삽을 떠서 2023년 말에 준공 될 예정이다.

은행이 진짜 없다. 경남은행, 부산은행, 농협은행(지역농협), 새마을금고의 지점은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하나은행, SC제일은행 등은 아예 지점이 없으며, 국민은행은 지점 1곳, 신한은행의 경우 율하지구에 있는 지점 1곳에서, 기업은행 역시 대청동에 있는 지점 하나로 장유 주민들의 업무를 처리하는 중이다. 고로 손님이 몰리는 날의 대기시간은 수십 분을 넘어간다. 오히려 멀리 떨어진 김해시내에 지점이 있다는 이유로 사라지는 추세다. 과거 외환은행 장유지점이 있었으나 현재 ATM 코너만 남겨둔 채 김해지점으로 통합. 2015년 9월에는 우리은행 율하지점도 김해시내의 지점과 통합한다는 공고문을 붙이고 ATM기만 남기고 철수하였다. 또 국민은행 율하지점 역시 ATM기만 남기고 철수했고, 2023년 4월에 신한은행 율하지점 마저도 김해시내의 지점과 통합한다고한다.[26][27]

취업 인구 대부분은 창원의 직장에 취직해서 벌어 먹고 산다. 그 인구들이 퇴근하고 난 뒤 장유로 돌아가기 위해 넘어가는 창원터널의 위엄은… 저녁 퇴근시간이 되면 왕복 10, 12차선에 달하는 창원대로가 장유 방향으로 큰 헬게이트다. 아침 출근시간에도 마찬가지. 경상남도 중에서도 특히 장유가 있는 동남부가 워낙 눈과는 거리가 먼 지역이라 눈이 2~3cm만 와도 교통대란이 벌어지는데, 창원터널을 통과해야 하는 장유 주민들은 다른 창원시민 이상의 헬게이트를 경험해야 한다. 눈 좀 왔다 하면 통과하는 데 2~3시간(…). 놀랍게도 사실이다.

사실 이렇게 교통 대란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장유와 창원이 직접 연결된 도로가 창원터널 뿐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터널 위치상의 문제도 있다. 창원터널은 해발 300m정도 되는 고지대에 위치해 있다. 가장 큰 원인은 공사비를 줄이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소위 제2창원터널로 불리는 불모산터널의 경우는 창원터널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다. 이렇다보니 눈이 조금만 와도 차들이 경사를 올라가지 못 해서 밀리는데다가 터널 안에서의 접촉 사고 등도 빈발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창원터널이 밀리면 장유 전체의 도로가 다 마비된다. 불모산터널 있어봤자 거기는 유료도로이기 때문에 우회하는 차량이 적어 확장은 물론 수요분산조차 안 된다. 창원터널이 아니라 창원지옥이다.

물론 모두 창원으로 출근하는 것은 아니고, 부산으로 출근하는 사무직들도 있다. 인근의 부산 녹산동, 지사 공단이나 신항 쪽으로 출근하는 생산직들이 장유지역에 집을 마련하기도 한다. 율하에서 부산 지사동, 진해구 용원방면으로 가는 터널이 개통하면서 녹산공단이나 부산신항으로 통근하는 인원이 더 늘어났다. 특히 지사, 미음 산단, 율하는 산 하나를 두고 서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터널 개통 후 가까운 생활권이 됐다.[28]

3.1 운동 기간에 만세시위가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3명이 순국하였으며 여러 명이 투옥되었다. 1966년에 내덕동 산 49-1번지에서 이를 기념하기 위한 기념비가 세워졌으나 요즘은 이것의 존재를 아는 사람이 얼마 없다고 한다. 진입로와 탑 경내 등의 관리도 부실한 편. 매년 삼일절이면 이곳에서 기념행사를 한다. 인근 중학교 학생들이 이 행사에 참여하고 태극기 들고 그쪽 인근을 돌면, 주민센터에서 봉사활동 확인증을 끊어주고 빵이랑 우유를 준다.
아파트 인구 밀집지역답게 인구는 충실하고 상업시설-아파트 사이의 간격도 매우 좁은 편이라서 도보로 상업지구로 이동하기가 매우 쉽다. 인프라가 아쉬울 뿐.

장유1동의 신문동과 장유3동의 장유동, 응달동, 수가동과 합쳐서 장유4동으로 분동된다는 설이 있다.[29]

5. 공공/교육기관

6. 관련 문서


[A] 2024년 8월 주민등록인구 [2] 아파트에 쓰여져 있다. 단, 율하2지구에 있는 아파트에는 쓰여져 있지 않다. [3] 팔판마을의 신안계곡은 옛날에는 한센병 환자들이 살았던 마을이었다. [4] 지금은 그 타이틀을 전남 순천시 해룡면이 가져갔다. [5] 개발이 안 된 칠산서부동이 김해 원도심과 장유 사이를 막고 있다. [6] 그래도 천성산이라는 거대한 지형 장벽으로 완벽히 가로막혀 있어 관심을 가지고 싶어도 못 가지는 양산신도시 웅상 간의 관계보다는 훨씬 낫다. [7] 수도권에도 거대 읍/면들이 아직 남아있긴 하다. 남양주시 화도읍 진접읍이 대표적인 예시. [8] 단, 유하동, 응달동, 수가동, 장유동(현재는 율하2지구로 개발이 되었다.) 지역은 분동 당시 완전 농어촌 지역이었다. [A] [A] [A] [12]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당선 [13] 이쪽은 창원터널과 1020지방도를 만들어 놓고 주변을 개발한거라 자연스럽게 장유를 관통한다. [14] 심각하게 막힐 때는, 부산에서 차가 못 넘어오는 바람에 연속으로 5대의 버스가 올 때도 있다. 이럴때는 서김해 → 북부산 → 구포 → 사상으로 넘어간다. 북부산도 막히면 서김해 → 14번 국도 → 구포 → 사상 순. 현재는 확장으로 서부산IC 이후로 막히는 수준으로 널널해져서 그나마 나은 상황이다. [15] 게다가 막차가 새벽 1시 50분에 있어서 1004번 심야막차와 연계도 가능하다. [16] 고속버스는 장유1동주민센터 옆, 시외버스는 장유 농협 맞은편에 정차한다. [17] 장유도서관 근처의 버스 정류장에 정차한다. [18] 이 방법으로 창원종합버스터미널이나 마산시외버스터미널로 갈 수 있으니 장유에서 시외/고속 편이 아쉬우면 이 방법을 이용하자. [19] 장유 거주하는 직장인들이 퇴근하면 다시 창원에 넘어가기도 그렇고 해서 장유 안에서 해결하기 때문. 롯데마트 주변으로 반경 500m는 유흥업소 집결지라고 봐도 무방한 수준. 그렇다고 다른 곳도 그런건 아니다. 롯데마트 주위에 엄청 많고 다른 곳에는 아예 없는 수준이다. [20] 공교롭게도 개관 일이 장유면이 분동된 날이다. [21] CGV 김해율하점은 위 두 상영관과 달리 4개의 상영관에 전 좌석 리클라이너석이다. [22] 장유1동 - 롯데시네마 김해아울렛점, 장유2동 - CGV 김해장유점, 장유3동 - CGV 김해율하점 단, CGV 김해장유점과 CGV 김해율하점은 위탁관이라 쿠폰 사용, 이벤트 등 각종 혜택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말 그대로 그냥 영화만 보는데다. 영화관에서 진행하는 혜택을 원하면 안타깝지만 롯데아울렛에가거나, 김해 혹은 창원으로 나가야한다. 더군다나 김해에는 메가박스가 없기 때문에 메가박스를 원한다면 창원 혹은 사상으로 가야한다. [23] 코아상가사거리 근처(김해장유점), 롯데마트 장유점 구내(롯데마트장유점), 롯데프리미엄아울렛 김해점(롯데김해아울렛점,롯데시네마점) , 율하지구(김해율하점), 롯데워터파크2곳에 하나씩 있다. [24] 2017년 5월 폐점했다. [25] 2018년 12월 31일까지 영업하고 폐점했다. [26] 다만 앞에 은행보다 사정이 나은게 디지털라운지라는 비대면 은행업무 시스템을 율하중심상가지역에 도입하였다. [27] 국민은행, 신한은행은 GS25편의점 ATM기기에서 수수료 없이 돈을 뽑을 수 있다고 한다.(단, 현금카드 기능있는 카드만 이용할 수 있다.) [28] 2017년 남해안대로에 장유 율하-부산 지사(정확히는 부산 생곡동) 간 구간이 개통, 미음터널, 녹산터널이 개통되었다. 미음터널과 녹산터널 사이에 요금소가 있다. [29] 실제로 율하파출소 옆에 부지가 있는데, 거기가 (가칭)장유4동행정복지센터 예정지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