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xt-align:left" |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 행정구역 | |
서울 | 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 |
경기 | 개성시북 · 개풍군북 · 고양군 · 과천군부 · 교동군부 · 교하군부 · 남양군부 · 남양주군95 · 동탄면 · 마전군부 · 미금시95 · 반월면 · 부천군 · 부평군부 · 북포천군 · 삭녕군부 · 서울시승 · 송탄시95 · 시흥군 · 안산군부 · 양근군 · 양성군부 · 양주군승 · 양지군부 · 양천군부 · 연백군북 · 영평군부 · 오포읍 · 옹진군북 · 음죽군부 · 인천시승 · 일산구 · 장단군북 · 적성군부 · 죽산군부 · 지평군 · 태안읍 · 통진군부 · 평택군95 · 풍덕군부 | |
강원 | 간성군부 · 강원도승 · 금성군부 · 김화군북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평강군북 · 평해군부 | |
충북 | 문의군부 · 연풍군부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안군부 · 청원군 · 구 청주시 · 청풍군부 | |
충남 | 결성군부 · 공주군95 · 노성군부 · 대덕군 · 대전시승 · 대천시95 · 덕산군부 · 면천군부 · 목천군부 · 보령군95 · 비인군부 · 서산군95 · 아산군95 · 연기군승 · 연산군부 · 온양군부 · 온양시95 · 은진군부 · 정산군부 · 직산군부 · 천안군95 · 한산군부 · 해미군부 · 홍주군부 | |
전북 | 고부군부 · 고산군부 · 김제군95 · 만경군부 · 무장군부 · 옥구군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전라북도승 · 정읍군95 · 정주시95 · 태인군부 | |
전남 | 광산군 · 광양군95 · 광주시승 · 나신면 · 나주군95 · 낙안군 · 돌산군부 · 동광양시95 · 선도면 · 송정시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지도군부 · 창평군부 | |
경북 | 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내동면 · 대구시승 · 문경군95 · 선산군95 · 순흥군부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榮川郡)부 · 영천군(永川郡)95 · 영풍군95 · 예안군부 · 울도군 · 월곡면 · 점촌시95 · 진보군부 · 풍기군부 · 풍서면 · 하양군부 · 현풍군부 | |
경남 | 거제군95 · 김해군95 · 동래군 · 마산시 · 밀양군95 · 부산시승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언양군부 · 영산군부 · 울산군95 · 울산시승 · 울주구 · 웅상읍 · 웅천군 · 원량면 · 장승포시95 · 장유면 · 진양군95 · 진해군 · 진해시 · 창원군95 · 구 창원시 · 충무시95 · 칠원군 · 통영군95 | |
제주 | 남제주군 · 대정군부 · 북제주군 · 정의군부 · 제주도(濟州島) · 제주도(濟州道)승 | }}}}}}}}} |
토론주소1=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1=본 틀에 대한제국 선포(1897년 10월 12일) 이후 폐지된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2=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2=대한제국 선포부터 광복(1945년 8월 15일) 전까지 폐지된 행정구역 가운데 현재 휴전선 이남에 위치했던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3=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3=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행정구역을 원칙적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4=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4=단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에 위치했으나 휴전 후 북한 치하에 들어간 경우와 일부 영역을 수복했으나 인접 시군에 편입시켜 휴전선 이남에 실효지배하는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한해 등재한다.,
토론주소5=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5=명칭 변경 사례를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6=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6=폐지된 행정구역의 소속 도(道)는 폐지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단 제주도에 소재했던 행정구역에 한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으로 표기한다.,
토론주소7=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7=폐지된 행정구역이 행정구역 명칭과 단위가 같은 행정구역으로 다시 설치된 경우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8=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8=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폐지된 동명의 행정구역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9=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9=폐지된 동·읍·면은 원칙적으로 등재할 수 없다. 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0=YouthfulTangibleDryClam, 합의사항10=1995년 이전에 폐지된 읍·면이라도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1=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1=1995년 후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이라도 군 전체가 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읍·면이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없다.,
토론주소12=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2=1995년 이후에 군이 폐지되고 해당 지역에 동명의 새로운 시를 설치한 경우 이전의 군을 틀에 등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틀에서 경기도 광주군을 제외한다.),
)]
광주시의 폐지된
읍 오포읍 五浦邑 | Opo-eup |
|||
<colbgcolor=#33b54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540030 | ||
관할 법정리 | 7리 | ||
하위 행정구역 | 47행정리 262반 | ||
면적 | 46.92㎢ | ||
인구 | 114,634명[1] | ||
인구밀도 | 2,406.18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주시 을 | |
|
임종성 (재선) | ||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 |||
|
오창준 (초선) | ||
광주시의원 | 다 선거구 | |||
|
최서윤 (초선) | ||
|
황소제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오포로859번길 29[2] | ||
존속기간 | 2001년 3월 21일 ~ 2022년 8월 31일[3] |
[clearfix]
1. 개요
오포읍 추자리에 있었던 오포행정복지센터(현 오포1동 행정복지센터)[4] |
경기도 광주시 서남부에 2022년 8월 31일까지 있던 읍이다. 현재 오포1동과 오포2동으로 나뉘었으며, 2001년 시 승격과 동시에 읍으로 승격됐다. 지명이 경안천을 중심으로 역말, 양촌, 허산이, 딴뫼, 구머니 5개 갯마을이 형성되어 오포라고 칭한 데서 유래했다.
동쪽으로 초월읍, 서쪽과 북서쪽으로 성남시 분당구[5], 남쪽으로 용인시 모현읍, 남동쪽으로 도척면[6], 남서쪽으로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7], 북쪽으로 경안동, 광남동과 마주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읍 중 양산시 물금읍과 남양주시 화도읍에 이어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113,257명, 2021년 8월) 읍이었으며 꾸준히 인구가 증가하고 있었다.[8]
정작 행정구역 분할은 물금읍, 화도읍보다 앞서 이루어졌는데, 이는 물금읍은 주민 의견이 갈리고 있어서 추진에 난관이 있고, 화도읍은 지리적 특성상 본격적인 분동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57번 지방도로 성남시 분당구, 43번 국도로 수지구, 45번 국도로 용인시( 처인구)과 연결되는데다 분당구에 비해 저렴한 집값으로 인해 분당구 혹은, 서울로 통근/통학하는 인구가 많이 몰려 있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었다. 결국 비대해진 인구로 인해 행정 서비스가 어려워짐에 따라 4개의 행정동으로 분동하는 계획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승인되었고[9] 2022년 9월 각 동별 행정복지센터를 개청하면서 오포읍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관련 영상
인구가 10만명이 넘는 대규모 읍이었지만, 애시당초 도시 계획 자체가 없는 상태에서 아파트도 아닌 신축 빌라들이 마구잡이로 들어서면서 난개발이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지역이기도 했다. 관련기사 난개발로 엄청난 홍역을 치렀던 2000년대 용인시 수지구 지역과 맞먹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다. 위성지도로 능평리, 신현리 등을 보면 심각한 상황인데, 57번 지방도를 강줄기로 하여, 마치 작은 하천들이 흘러들어가는 듯 작은 소형 도로들에 빌라들이 다닥다닥 지어져있었다. 때문에 모든 출퇴근 수요가 57번 지방도로 집중되어 가까운 거리에 비해 출퇴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편이었다. 사실 분당과 가장 근접한 능평리, 신현리 등은 계곡 지형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었긴 하다.
묘역이 상당히 많았는데, 판교공원묘지, 분당추모공원 휴, 한남공원묘지, 광주공원묘지, 납골묘역인 분당스카이캐슬 등이 있었다. 세계사이버대학과 롯데칠성공장도 이곳에 있었다. 군사시설로는 특수전학교가 위치해 있었다.
인근에 분당, 수지같은 인구 밀집지역의 배후지이기 때문에 가구산업을 위시한 공장지대도 굉장히 많았다. 심지어 특수전학교 인근에는 공장지대가 산골짜기를 타고 형성되어 있기도 하였다!
분당구와는 57번 지방도로 연결되어 있다[10]. 신현리와 능평리 일부[11]는 광주시의 다른 지역과 다르게 전화번호 국번을 성남시와 공유한다. 이는 남한산성면 산성리, 검복리, 불당리, 오전리 지역도 마찬가지. 실제로 오포읍 신현리, 능평리 일부와 남한산성 지역은 2000년 지역번호 개편 이전에는 지역번호가 0347이 아닌 성남의 0342를 사용했다.
2. 역사
- 1360년 조선조 건국 후 경안천을 중심으로 5개 (역말, 양촌, 허산이, 딴뫼, 구머니)의 보가 형성되고 있어 오포라고 칭함
- 1577년 이후에 남면에서 오포면 분면
- 1915년 10월 28일에 경기도 고시 제8호로 법정리 8개리로 동리 폐합
- 1925년에 면청사가 을축년 대홍수로 유실되어 고산리 438번지에 신축하여 면정을 수행
- 1954년에 면청사를 고산리 254번지로 신축, 이전하여 현재에 이름
- 1973년 7월 1일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목리가 광주읍에 편입되어 법정리 7개리가 됨
- 1979년에 면청사를 1층 45평, 2층 15평으로 증개축
- 1984년에 면회의실 2층 30평 증축
- 1985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현 1,2리에서 3,4리로 분리되어 행정리 20개리로 됨
- 1987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능평2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1개리가 됨
- 1989년에 면청사 1층 14.5평, 2층 14.5평 증축
- 1990년 면창고 40평 개축, 면 복지회관 205평 신축
- 1991년 면회의실 3층 59평 증축, 중대본부 20평 신축
- 1997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문형 3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2개리가 됨
- 2001년 3월 21일에 광주시로 승격되고 오포면이 오포읍으로 승격되었다.
- 2003년 4월 14일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능평 4리가 분리되어 행정리 23개리가 됨
- 2006년 3월 27일에 오포읍 인구 5만명 돌파
- 2006년 10월 23일에 읍청사를 고산리 254번지에서 추자리 102-16 (당시 산6-4 번지)로 신축이전
- 2011년 5월 20일에 오포읍 인구 6만명 돌파
- 2011년 12월 30일에 양벌8리를 증설하여 행정리 30개리로 조정
- 2013년 7월 11일에 오포읍 인구 7만명 돌파
- 2014년 7월 3일에 양벌9리를 증설하여 행정리 31개리로 조정
- 2014년 12월 23일에 고산3리를 증설하여 행정리 32개리로 조정
- 2015년 10월 12일에 고산4리, 신현6리, 능평6리, 문형5리, 문형6리를 증설하여 행정리 37개리로 조정
- 2016년 1월 14일, 직제개편으로 2개과(행정지원과, 안전도시과) 10개팀으로 조정
- 2016년 12월 28일, 오포읍출장소 개소
- 2016년 12월 30일, 능평 7리를 증설하여 행정 38개리로 조정
- 2017년 5월 10일, 신현 7리, 신현 8리를 증설하여 행정 40개리로 조정
- 2017년 8월 오포읍 인구 98,844명 (주민등록 인구통계)
- 2018년 4월 오포읍 인구 10만명 돌파
- 2018년 10월 오포읍 인구 102,288명 (주민등록 인구통계)
- 2019년 7월 12일, 신현 9리, 능평 8리를 증설하여 행정 42개리로 조정
- 2019년 8월 오포읍 인구 109,421명 (주민등록 인구통계)
- 2020년 1월 3일, 문형7리, 양벌10리를 증설하여 행정 44개리로 조정
- 2022년 9월 1일 오포1,2동, 신현동, 능평동 4개 행정동으로 분동되어 폐지 출처
2019년 9월에 오포읍을 4개 동으로 분동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기사에 따르면 2020년 하반기가 목표였지만, 실제 분동은 이뤄지지 않았다. 좀 더 시간을 지켜두고 봐야 할 일이다. 광주시 쪽에선 국도와 국가지원도로 계획안을 보고 그를 지원받을 수 있는가 여부를 확인하고 분동을 진행하는 게 나아서 미뤘다고 한다. #
2021년 연말에 분동을 다시 목표로 하고 있었고 # 결국 2022년 9월 1일부로 분동되었다. 오포읍이 신현동(신현리), 능평동(능평리), 오포1동(고산리, 추자리, 문형리) 및 오포2동(양벌리, 매산리)의 4개 행정동으로 분동되고 오포읍 소속 법정리는 일괄 법정동이 됐다.(○○리 -> ○○동)
분동 이후에도 네이버 지도에는 분동된 행정구역이 아닌 이전의 오포읍으로 나왔다가 일자 미상으로 수정되었다.
3. 교통
3.1. 철도
신현리 쪽의 경계에서 서현역까지 최소 4km씩 떨어져 있다. 동쪽 경계인 백마산에서 초월역까지는 2km, 서남쪽 경계인 대지산에서 죽전역까지는 4km, 남쪽 경계인 문형리에서 전대·에버랜드역까지는 6km, 북쪽경계인 광주종합운동장에서는 경강선 선로와 나란히 경안천을 건너는 육교로 이어져 경기광주역과 붙어 있다.3.2. 버스
KD 운송그룹의 사실상 독점 구역이다.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분) | 운행회사 | 비고 |
14-3 | 갈담리 | 모현읍사무소ㆍ외대사거리ㆍ문형리ㆍ동림리ㆍ능원리 | 오산리 | 1일 7회 | 경남여객 | |
17 | 송정동 | 광주터미널ㆍ신현리ㆍ효자촌ㆍ서현역ㆍ야탑역ㆍ모란역ㆍ단대오거리역 | 금광동 | 15~40 | 경기고속 | |
17-1 | 송정동 | 경기광주역ㆍ양벌리ㆍ문형리ㆍ신현리ㆍ야탑역ㆍ모란역ㆍ단대오거리역 | 금광동 | 30~120 | 경기고속 | |
17-1A | 송정동 | 경기광주역ㆍ양벌리ㆍ봉골ㆍ신현리ㆍ야탑역ㆍ모란역ㆍ단대오거리역 | 금광동 | 80~125 | 경기고속 | |
17-3 | 송정동 | 보건소ㆍ경안동ㆍ경기광주역ㆍ광남중ㆍ오포읍사무소 | 봉골 | 1일 4회 | 경기고속 | |
2-1 | 지월리 | 경화여고ㆍ경안동주민센터ㆍ경기광주역ㆍ장지사거리 | 양벌리 | 10~30 | 경기고속 | |
20 | 용인터미널 | 둔전역ㆍ포곡읍사무소ㆍ초부리ㆍ외대사거리ㆍ매산리ㆍ양벌리ㆍ경기광주역ㆍ역동사거리 | 경안동 | 12~16 | 경남여객 | |
32-1 | 고산리 | 태전동ㆍ삼동역ㆍ갈현동ㆍ모란역ㆍ수정경찰서 | 태평역 | 10~20 | 대원고속 | |
34 | 송정동 | 경안동ㆍ경기광주역ㆍ추자리ㆍ오포읍사무소ㆍ봉골입구 | 봉골 | 1일 9회 | 경기고속, 대원고속 | |
34-1 | 송정동 | 경안동ㆍ경기광주역ㆍ매산리공원묘지 | 광주공원 | 1일 8회 | 경기고속, 대원고속 | |
34-12 | 송정동 | 경안동ㆍ경기광주역ㆍ광남중ㆍ고산리ㆍ오포읍사무소ㆍ매산리공원묘지 | 광주공원 | 1일 4회 | 경기고속, 대원고속 | |
34-13 | 광주공원 | 매산리공원묘지ㆍ광남중ㆍ경안중ㆍ경기광주역ㆍ경안동 | 송정동 | 1일 1회 | 대원고속 | |
34-16 | 송정동 | 경안동(→ 경기광주역 → 경안중/← 광주경찰서 ← 광남중)ㆍ매산리공원묘지 | 광주공원 | 1일 1회 | 경기고속, 대원고속 | |
38-24 |
(출)경안동 축협 (착)경안동 보건소 |
경기광주역ㆍ광남중ㆍ오포읍사무소ㆍ추자리 | 봉골 | 1일 1회 | 경기고속, 대원고속 | [13] |
60 | 송정동 | 경기광주역ㆍ문형리ㆍ죽전동ㆍ성복역ㆍ경기대후문ㆍ창룡문ㆍ장안문ㆍ경인지방병무청 | 수원역 | 30~60 | 대원고속 | |
119 | 오산리 | 신현리ㆍ효자촌ㆍ이매역ㆍ모란역ㆍ복정역ㆍ잠실역ㆍ광진구청ㆍ어린이대공원 | 군자역 | 40~60 | 경기고속 | |
520 | 구미동 | 미금역ㆍ수내역ㆍ서현역ㆍ효자촌ㆍ장안중ㆍ태재고개 | 신현리 | 10~20 | 대원고속 | |
521 | 신현리 | 태재고개ㆍ율동공원ㆍ서현역 | 판교역 | 10~55 | 대원고속 | |
522 | 서현역 | 효자촌ㆍ태재고개ㆍ신현리 | 능평리 | 1일 20회 | 대원고속 | |
522-1 | 능평리 | 능평4리ㆍ신현3리 | 신현리 강남CC | 1일 20회 | 대원고속 | |
522-2 | 신현리 | 태재고개ㆍ효자촌 | 서현역 | 1일 27회 | 대원고속 | |
660 | 광교 | 수지구청ㆍ죽전역ㆍ단국대ㆍ능평리ㆍ문형리ㆍ경기광주역 | 광주터미널 | 30~40 | 대원고속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분) | 운행회사 | 비고 |
1005 | 한국외대 | 양벌리ㆍ태전동ㆍ삼동ㆍ갈현동ㆍ야탑역ㆍ판교역ㆍ경부고속도로 | 강남역 | 30~50 | 경기고속 | |
1113 | 에버랜드 | 외대사거리ㆍ양벌리ㆍ경기광주역ㆍ광주시청ㆍ중부고속도로ㆍ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ㆍ천호역 | 강변역 | 30~40 | 대원고속 | |
1117 | 한국외대 | 양벌리ㆍ장지동ㆍ삼동ㆍ모란역ㆍ복정역ㆍ잠실역 | 강변역 | 14~30 | 대원고속 | |
1150 | 한국외대 | 문형리ㆍ신현리ㆍ서현역ㆍ판교역ㆍ경부고속도로ㆍ순천향대병원ㆍ을지로입구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20~30 | 경기고속 | |
1151 | 오산리 | 능평리ㆍ신현리ㆍ서현역ㆍ판교역ㆍ경부고속도로 | 강남역 | 8~10 | 대원버스 | |
1500-2 | 에버랜드 | 포곡읍사무소ㆍ한국외대ㆍ신현리ㆍ서현역ㆍ판교역ㆍ경부고속도로ㆍ남부터미널ㆍ예술의 전당 | 사당역 | 12~20 | 대원고속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분) | 운행회사 | 비고 |
57 | 보정역 | 죽전동ㆍ오산리ㆍ능원리 | 능평리 | 40~100 | 한비운수 | |
57-2 | 보정동 | 내대지ㆍ능원리ㆍ능평리ㆍ오산리ㆍ중앙공원 | 보정동 | 70 | 한비운수 | |
109-1 | 정자역 | 한솔주공5~6단지ㆍ분당동주민센터ㆍ대진고ㆍ성요한성당 | 태재고개 | 10~15 | 진아교통 |
3.3. 도로교통
4. 상권
대형마트나 백화점은 없다. 인근 분당이나 죽전, 광주시내의 대형마트를 이용할 수 있긴 하다.하지만 최근 이마트 노브랜드측에서 신규매장 부지로 보고 갔다.마트는 주로 중소형 규모의 식자재마트 와 SSM 이마트에브리데이[14]가 입점해서 운영중에 있다.
오포읍 전체를 아우르는 상권은 없다. 차라리 분당이나 광주시내, 죽전쪽을 이용해야 하는 편.
신현리의 가장 번화한 상권은 신현 현대 모닝사이드 1차 1단지아파트 앞이다. 분식집, pc방, 미용실, 편의점, 식당, 병원, 키즈카페, 약국, 학원, 동물병원, 다이소 등 웬만한 상권은 갖춰져 있어서 생활하는데 불편한 점은 없다. 그 다음으로 큰 상권은 광주광명초등학교 부근에 위치해 있는데 주 상권은 은행, 패스트푸드점, 헬스장, 자동차대리점, 식당, 의류떳다방(폐업정리 현수막 걸고 단기간 장사하고 철수하는 매장).
능평리의 메인상권은 능평삼거리에 위치해 있다. 신현리의 메인상권과 다른 점은 식당이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어린아이들을 위한 상가는 거의 없는 편이다. (소아과, 키즈카페,학원등) 그 외는 식당, PC방, 병원, 약국, 편의점, 미용실등이 운영중에 있다. 또한 모현읍 능원리, 동림리와 능평리가 연접해 있는 능골쪽에도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그 외 양벌리쪽도 양벌리 하나로마트(특수전학교 후문) 인근, 양벌초 인근에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리 중간에 롯데칠성음료 공장이 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중심지가 양분된 상황. 하나로마트 인근 상권은 매산리쪽도 아우른다.
5. 교육
- 초등학교 - 오포초등학교, 광주매곡초등학교, 광주광명초등학교, 양벌초등학교, 신현초등학교
- 중학교 - 매양중학교, 신현중학교(2016 개교).[15]
- 고등학교 - 없음.[16] http://www.kocus.com/news/articleView.html?idxno=391175
- 특수전학교 - 육군 특수전사령부 소속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부대로 당연히 일반적인 초중교 의무교육 과정 상의 학교와는 다른 위치에 있다.
6. 주거
- 대광건영 경기광주 신현2지구 대광로제비앙 : 입주미정.
7. 환경
7.1. 지역환경
분당과 판교에 살던 사람들이 전세 가격 못 버티고 오포읍으로 넘어오거나 신축아파트, 숲세권에서 살고싶어 하는 사람들도 간간히 넘어 온다.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서울, 하남, 위례 등지에서 오포읍으로 이사오는 사람들도 증가하는 추세다.
오포읍에는 유명연예인(정상수, 변정수, 엄태웅, 김성수, 노지훈, 강지환)들도 많이 살고 있다. 주로 사람들의 눈길을 피해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애완견을 위해 마당딸린 전원주택으로 오는 사람들도 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값이면, 넓은 마당딸린 전원주택을 가질 수 있다.
오포읍의 제일 큰 장점은, 수도권 근방에서 도시생활은 누리면서 숲세권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 숲세권인 만큼 교통의 취약점은 감수 해야 한다. 차가 없으면 엄청난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하지만 차가 있으면 상당히 메리트가 있다.
8. 관할 리
8.1. 추자리
추자리의 공동주택인 서희스타힐스아파트 |
행정구역 통·폐합 시에 자연부락인 추곡리(楸谷里)와 자작리(自作里)를[17] 합하여 '추자리'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4,960명. 오포읍사무소 소재지로 전형적인 시골마을 읍소재지의 느낌이 물씬 나는 지역이다. 다만 태전-고산지구와 매우 가깝기 때문에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동네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오포로나 추자길이 왕복 3차로나 2차로 정도의 좁은 도로라서 장차 좀 더 넓은 도로가 필요하다. 오포로를 따라 여러 공장과 창고들이 입점해있다.
- 오포추자지구서희스타힐스아파트(605세대)
- 오포초등학교
8.2. 고산리
고산리의 공동주택 풍경. 좌측은 건설중인 더샵오포센트리체아파트, 우측은 우림아파트이다. |
행정구역 개편시에 고잠리(高蠶里)와[18] 허산리(許山里)를[19] 묶어 '고산리'로 부르게 되었다. 그것은 이 마을 뒷산인 문형산(文衡山)이 높다는 뜻으로도 우연히 일치하게 되었다. 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3,160명. 태전동과 붙어있고, 태전지구와 연담화 한 고산지구가 한창 조성 중이다. 오포읍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동네이지만 앞으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만큼 큰 발전이 기대되는 동네이다.
- 우림아파트(238세대)
- 금호베스트빌아파트(476세대)
- 오포더샵센트럴포레아파트(1396세대) [20]
- 더샵오포센트리체아파트(1475세대)
- 오포자이디오브블록3아파트(447세대)
- 오포자이디오브블록4아파트(448세대)
- 오포자이오브제C-1BL아파트(927세대)
오포도서관과 광주경찰서 오포동부파출소가 있다.
8.3. 양벌리
행정구역을 통폐합할 때 양촌리(陽村里)[21], 벌리(筏里)[22], 둔전동(屯田洞)[23] 세 자연부락을 묶어 '양벌리'(陽筏里)라고 했던 것이다. 출처2021년 5월 기준 인구 27,409명. 오포읍에서 인구가 두 번째로 많은 지역으로, 장지동과 역동에 인접해 있는 동네이다. 광주 시민 체육관과 롯데칠성음료 공장이 위치해 있다. 공장 북쪽의 양벌초등학교 인근, 남쪽의 매양중학교 인근 상권으로 나뉘어 있다. 조만간 양벌리 공공도서관과 로컬푸드 복합센터, 실내 수영장 및 물놀이 시설이 들어선다.
8.4. 매산리
행정구역 통·폐합 시에 매곡리(梅谷里)[24], 독산리(獨山里)[25], 외곡리(外谷里)[26] 세 마을을 합하여'梅山里'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2021년 5월 기준 인구 7,323명. 특수전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45번 국도를 통해 용인 모현읍과 연접하고 있다. 산골짜기 안쪽으로 공장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인근의 모현읍에도 같은 이름의 매산리가 있지만, 모현 매산리는 문형리와 붙어있다.
8.5. 능평리
능평리를 흐르는 하천 신현천 |
고려 말 충신인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가 개성에서 죽어 충남으로 장례행렬이 지나다가 풍덕천(豊德川)에 이르렀을 때 갑자기 명정(銘旌)이 바람에 날려 이곳에 떨어지므로 이곳에 묘를 쓰게 되었다고 한다. 1917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이곳의 일부가 용인시에 편입되었는데 그 후에 용인시 쪽에는 능원리(陵院里)라 부르고, 광주시 쪽에는 '능평리'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23,590명. 신현리와 함께 분당의 배후지역으로 성장한 지역으로, 큰 차이는 아니지만 능평리 내부에서도 생활권을 약간 달리 할 수 있다. 오포터널 인근 지역은 분당으로의 이동이 편한 반면, 오포서부파출소 인근 지역은 죽전으로의 이동이 훨씬 편하다. 능평리 남쪽은 모현읍 능원리와 상권이 이어져 있다.
오포읍사무소의 출장소가 능평리에 설치되어 있다. 22년9월1일 분동이 되어 능평동으로 독립됐다. 여러 묘역이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분당추모공원, 판교공원묘지, 삼성개발공원묘역 등이 위치한다. 김재규, 석주명의 묘도 이곳에 있다.
능평초등학교가 개교를 앞두고 있다.
- 오포롯데캐슬포레스트아파트(204세대)
- 오포베르빌아파트(436세대)
- 오포우림필유골드아파트(135세대)
- 광주오포현대아파트(300세대)
- 광주오포금강KCC아파트(116세대)
아파트의 세대 수에 비해 인구가 많은 걸 감안하면 빌라나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인구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8.6. 신현리
고려 말의 충신인 상촌(桑村) 김자수(金自粹) 묘가 자리하면서 마을이 생겨났다. 이 마을은 원래 '상이리'(上二里)라 부르다가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으로 '신현리'(新峴里)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출처2021년 5월 기준 인구 36,655명. 오포읍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동네로, 성남시 분당구와 인접해 있는 지역이다. 분당과 인접한 동네답게 주민 대부분은 분당을 생활권으로 삼고 있고, 분당으로 넘어가는 태재고개는 출퇴근시간이 아닌 시간에도 차들로 빼곡하게 차있다. 강남 300CC라는 골프장으로 나있는 산길을 이용하면 목동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분당을 거치지 않고 서울특별시와 성남구시가지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8.7. 문형리
문형리 봉골길과 오포우림퓨전빌아파트 |
고려조 말에 어느 예문관 대제학(大堤學)이 내려와 이곳에 쉬면서 마을 주위의 경치가 하도 아름다워 이 산을 문형산이라 하였고 이 후에 이 마을을 또한 '문형리'라 하게 되었다.문형이란 뜻은 대제학의 별칭이다. 본래는 이 산에 문수보살을 모셨다고 하여 문수산(文殊山)이라고 하였었는데, 앙불숭유(仰佛崇儒)에서 명칭이 바뀌었던 것이다. 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9,903명. 문형리 남쪽은 모현읍 동림리와 상권이 이어져 있다. 오포읍의 중앙부에 위치한 덕분에 광주시내, 분당, 죽전, 용인까지 모두 30분 내외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런 지리적 요건 덕분에 많은 기업들의 물류창고가 문형리에 있다.
- 오포 우림퓨전빌 아파트(498세대)
- 신영 프로방스 아파트
- 오포문형 양우내안애 아파트
[1]
2022년 8월 주민등록인구
[2]
현 추자동 102-16, 오포1동 행정복지센터 부지
[3]
이 문서 내에는 과거형으로 기재된 내용이 많은데, 이는 오포읍 폐지로 과거의 역사가 되었다는 뜻이지, 오포읍 분동 이후 사정이 바뀌어 그렇지 않게 되었다는 뜻이 아니다. 대부분의 내용은 분동 이후에도 그대로 유효하다.
[4]
행정 수요 분담을 위해 능평리에 출장소가 설치되었고, 2022년 9월 1일부로 능평동 행정복지센터로 전환되었다.
[5]
직접적으로 도로가 이어져 있는 곳은 분당동만 해당되고, 나머지 구역은 산으로 막혀 있다.
[6]
다만 도척면과 산으로 막혀 있어 초월읍-곤지암읍을 경유해야 한다.
[7]
죽전동과 산으로 막혀있어 분당이나 용인시 모현읍을 경유해야 한다.
[8]
남양주시
화도읍이 오랜 기간 1위였다가
부산광역시 옆에 있는
양산시
물금읍이 신도시 개발에 따른 비범한 인구 증가(
2017년
9월 22일 인구 10만명 돌파
관련기사)로 1위 자리를 내주었고,
2018년
4월 13일, 인구수 10만명을 돌파(
관련기사)한 오포읍은 한동안
진접읍과 2~3위 자리를 두고 경쟁했었다.
[9]
최종적으로
신현동,
능평동의 명칭은 해당 안 그대로 결정되었고, 오포동, 매양동은
오포1동과
오포2동으로 바뀌었다.
[10]
판교역부터 오포터널까지의 출퇴근시간 구간정체는 러시타임의 경부선과 맞먹는다.
[11]
능평 1,2,4리. 3리는 광주시 국번을 사용한다.
[12]
광역버스는 물론 일반버스(!!)노선도 존재한다
[13]
이 노선은 운행계통이 매우 특이한 노선으로, 경안동에서 출발해 퇴촌/남종을 거쳐 광주시내로 돌아온 후, 오포방면으로 갔다 광주시내로 다시 들어오는 형태의 노선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버스 문서 참고
[14]
신현리, 능평리 일대만 4개 점포 출점
[15]
참고로 중고등학교 6년을 읍에서 다니면 대학입시 때 농어촌특별전형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오포에서 그동안 분당쪽으로 중고등학교를 보냈기 때문에 분당학군 배정이 불가하다는 이유로 주민들은 자기 동네의 중고등학교 설립을 결사반대했다. 일부러 농어촌혜택 받으러 이사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정작 주민들은 기를 쓰고 분당 중고등학교 배정받고 싶다고 함. (꼭 분당학군 배정을 받기위해 결사반대한다기 보다는 오포에 중학교를 설립하면 중학교 주소지에 따른 광주에 있는 고등학교를 보내야 하는데 거리상으로도 가까운 분당에 비해 너무 멀 뿐만 아니라 교통도 안좋은 이유도 있다. 예를들어 오포에서 태재고개만 건너면 분당에있는 대진고인데 중학교가 설립되면 이후 최소 곤지암이나 광주 시내 부근에 위치한 고등학교로 진학, 등하교를 해야하기 때문에 거리상 불편함도 무시할 수 없다. 당장 신현리에서 가까운 고등학교만 검색해도 분당 대진고,양영디지털고,수내고,분당중앙고 등이 검색된다. -물론 분당으로도 진학할 수 있는 방법도 있지만 경기도 교육청에서는 대부분 중학교 소재지에 있는 고등학교 진학이다.- 다만, 오포읍에서 성남 분당 소재 중고등학교로 넘어가는 길목은 차로 위주이며, 인도 개선 공사가 비교적 최근(2016년 11월)에 이루어졌긴 때문에 신현, 능평리 등지에서 다니기에는 여전히 위험할 뿐만 아니라, 개선된 인도 역시 메인 차로를 그대로 따라가기보다는 태재고개 뒷편으로 난 우회형식의 인도 (버스 노선을 따라가는 형태)로 가기에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며, 아침에 충분히 일찍 출발하지 못한 학생들의 경우에는 인도가 없는 차도 갓길로 가다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신현리, 능평리에 딱 하나 있는 광명초등학교는 학생 수가 너무 많아 운동장 면적을 좁혀가며 건물증축을 하고있기에 차라리 초등학교를 더 짓는것이 바람직하다. 일부에서는, 현재 과포화된 초등학생 인원이 결국엔 중/고등학교 학생 수 증가로 이어질 것이므로, 궁극적으로는 오포읍 내에 접근성이 용이한 중학교 고등학교 증설이 더 필요하다고도 주장한다.)
[16]
오죽하면 오포읍 내에 고등학교가 없기 때문에
농어촌특별전형을 쓸 수 없어서 비교적 분동이 순조롭게 이루어졌다는 후일담도 있을 정도다. 현재는 오포고등학교 설립이 논의되고 있다.
[17]
조선조 선조 때 경원부사를 지낸 정응규(鄭應圭)라는 사람이 이 마을에 정착하여 일가를 이루어 '자작일가' (自作一家)라 했다고 하여 '자작동' '자작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18]
이 마을은 지대가 높은 곳인데 여기서 누에를 많이 쳤다고 해서 높을고자와 누에잠자를 따서 '고잠동'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19]
조선조 후기에 허산(許山)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힘이 장사이어서 인근에 소문이 크게 났었다고 한다. 따라서 '허산'이라는 인명이 결국은 지명으로 변하여 이 마을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
[20]
태전동과 시가지가 연담화되고있다.
[21]
조선조 후기부터 이 마을에는 양(楊)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집단으로 거주하였다고 하는데, 그리하여 마을이름을 '楊村'이라고 하다가 후일에 '陽村'으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22]
이 마을 앞에 넓은 농경지가 있어서 '벌촌(筏村)이라 부르게 되었다.
[23]
고려시대부터 지방에 주둔하고 있는 군대의 식량을 대기 위하여 군사들의 힘으로 농경지를 개척하는 밭을 '둔전'(屯田)이라 하는데 이 마을이 바로 그러한 마을이었다. 따라서 이름을 '둔전말'이라 부르게 되었다.
[24]
조선조 초기에 어느 지관이 이 곳을 지나다가 이 땅이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이라 하였다고 하여 이 마을을 '梅谷里'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25]
이 마을 뒤편에 묘(墓)같이 생긴 산이 따로 떨어져 있다고 해서 이 마을을 '딴뫼'라 하고 한자로 '獨山洞'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26]
옛날에 이 마을에 백마산(白馬山)의 줄기기가 두 갈래로 갈라진 곳에 매곡동(梅谷洞)이 있고 그 밖에 이 마을이 위치하고 있다고 해서 '밧골'이라 하고 한자로는 '外谷洞'이라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