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구르의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
||||||||
<colbgcolor=#eaf8ff,#3f484c> 고
대 |
토하라인 |
흉노 | ||||||
월지 |
||||||||
흉노 | ||||||||
전한 서역도호부 | ||||||||
후한 서역도호부 | ||||||||
한·위·진 서역장사부 | 선비 | |||||||
전량 후량 북량 | 철륵 / 유연 | |||||||
고창국 | ||||||||
에프탈 | ||||||||
서돌궐 | ||||||||
중
세 |
당 안서도호부 | |||||||
토번 제국 |
{{{#!wiki style="margin:-40px -10px -18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 | ||||||
위구르 제국 | ||||||||
카라한 칸국 | 호탄 왕국 | 천산 위구르 / 하서 위구르 | ||||||
서요 | ||||||||
몽골 제국 | ||||||||
차가타이 칸국 | 오고타이 칸국 | |||||||
원 | ||||||||
모굴리스탄 칸국 | ||||||||
중
근 세 |
모굴리스탄 칸국 | |||||||
{{{#!wiki style="margin:-5px -10px -3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야르칸드 칸국 | }}}}}} | 호쇼트 칸국 | |||||
{{{#!wiki style="margin:-10px -10px -2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 | |||||||
근
대 |
준가르 |
|||||||
청 | ||||||||
예티샤르 왕국 / 둥간 봉기 | ||||||||
청 신강성 | ||||||||
중화민국 신장성 | ||||||||
현
대 |
중화민국 신장성 신강군벌 |
|||||||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 ||||||||
}}}}}}}}} |
사서보기 틀 | |||||||||||||||||||||||||||||||||||||||||||||||||||||||||||||||||||||||||||||||||||||||||||||||||||||||||||||||||||||||||||||||||||||||||||||||||||||||||||||||||||||||||||||||||||||||||||||||||||||||||||||||||||||||||||||||||||||||||||||||||||||||||||||||||||||||||||||||||||||||||||||||||||||||||||||||||||||||||||||||||||||||||||||||||||||||||||||||||||||||||||||||||||||||||||||||||||||||||||||||||||||||||||||||||||||||||||||||||||||||||||||||||||||||||||||||||||||||||||||||||||||||||||||||||||||||||||||||||||||||||||||||||||||||||||||||||||||||||||||||||||||||||||||||||||||||||||||||||||||||||||||||||||||||||||||||||||||||||||||||||||||||||||||||||||||||||||||||||||||||||||||||||||||||||||||||||||||||||||||||||||||||||||||||||||||||||||||||||||||||||||||||||||||||||||||||||||||||||||||||||||||||||||||||||||||||||||||||||||||||||||||||||||||||||||||||||||||||||||||||||||||||||||||||||||||||||||||||||||||||||||||||||||||||||||||||||||||||||||||||||||||||||||||||||||||||||||||||||||||||
|
1. 개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타림 분지에 위치한 로프누르 호 서안의 토하라계 도시국가로 실크로드 교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국가이다.
기원전 77년 누란의 왕 안귀가 한나라의 자객인 부개자(傅介子)에게 암살당한 뒤 누란은 한나라의 식민지배를 받기 시작하면서 국명을 선선(鄯善)[1]으로 바꾸었다.
2. 역사
2.1. 초기 역사
타림 미라, 누란의 미녀[2] |
누란, 즉 크로라이나 왕국이 언제부터 성립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이 지역에서 발견된 타림 미라들 중 하나인 누란의 미녀를 통해서 기원전 19세기부터 사람들이 초기 정착한 것으로 추측된다. 기원전 1800년,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약 3800년 전인데, 심지어 상단의 누란의 미녀의 경우는 누란에서 발견되어 누란 미녀란 별명이 붙은 거지 실제 DNA 등으로 연대조사를 해 보나 그보다 더 전의 사람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더불어 역시 누란 시기의 인물로 추정되었던 미라인 소하공주 역시, 토하라인이 아니라 이들보다 먼저 타림 분지에 정착한 고대 북유라시아인계 선주민으로 밝혀지면서[3], 이 지역에 사람이 거주한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이 처음 문헌에 '누란'이라는 이름이 최초로 나타난 것은 사기 '흉노열전'에 수록된 기원전 2세기 편지 중에서 발견된 것이 최초이며, 그 사이의 역사는 공백으로 남아 있다.
해당 편지는 당시 흉노제국의 황제였던 묵돌선우가 전한의 황제 문제에게 보낸 것으로, 이 편지에서 선우는 월지와의 전쟁에서 승전하면서 누란· 오손·호게 및 근처의 26국가들을 모조리 정복했다고 선언하는 내용이 수록되어있다. 이 편지는 문제 4년인 '기원전 176년'에 보내진 것이므로, 누란은 적어도 BC 176년 이전에 건국되어 월지의 세력권에 들어가 지배를 받았던 것이다.
그리고 BC 176년경 흉노제국이 월지를 정복하면서 누란까지 흉노제국의 식민지배하에 들어갔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한서 ‘서역전’에 의하면, 서역을 전체를 식민지배하에 둔 흉노는 언기, 위수, 위려의 사이에 동박도위를 두어 누란을 포함한 서역 여러 국가들에 세금을 부과하고, 하서회랑 지역에 수만의 군대를 주둔시켜 그 교역을 지배했다라고 기록되어있다.
2.2. 전쟁
한나라는 흉노에 조공하는 속국에서 강경한 태도로 대응하게 되었다. 이때 흉노와 전쟁하기 위해 월지와 손을 잡고자 장건을 특사로 서역으로 보냈다. 그 여정에서 장건은 2번씩이나 흉노에게 포로로 잡혀 당시 서역에 대한 흉노의 지배가 두루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한나라는 기원전 121년에 곽거병의 지휘로 대규모의 흉노 정복군을 출정시켰고, 기원전 119년에는 막북의 흉노 본거지를 공격해 큰 전과를 올렸다. 이 결과로 한은 본격적으로 서역 경영에 나설 수 있게 되었다.[4]
이렇게 실크로드를 통제할 수 있게 된 한나라는 서역의 여러 나라들과 서방까지 견사나 대상을 많이 파견하였다. 그러나 교역의 증대로 인해 한나라 사람들[5]과 서역의 여러 나라들과의 사이에서 사사건건 충돌이 발생하면서 서역 여러 나라에서는 반한 감정이 증대했다.
특히 누란과 고사는 한나라가 서역을 정복하는데 대한 반발과 반감이 강해서 흉노와 동맹관계를 강화했고 한나라 사신의 왕래를 방해하는 등의 온갖 반한 정책들을 펼쳤다. 그러자 이걸 명분으로 한무제는 곧바로 기원전 109년, 종표장군 조파노(趙破奴)와 누란에 견사로 파견된 경험이 있는 왕회에게 명하여 군대 수만 병력을 동원해 누란과 고사를 정복하기위해 침략했다.
약 기병 700기와 함께 선행한 조파노 장군의 침공을 받은 누란은 한나라군에게 정복당하고 국왕은 전쟁포로로 사로잡히고 말았다. 이에 누란의 왕은 왕자 1명을 한나라에 볼모로 보내고, 한나라에 완전히 정복당했다. 서역의 요충지 누란이 한나라에 정복당하자 흉노는 이를 좌시할 수 없었고, 흉노도 누란을 재차 침공해오자 다급해진 누란은 흉노에게도 또다른 왕자를 볼모로 보낸 뒤 두 초강대국에 조공을 바치는 형식으로 해당 사건을 마무리지었다.
어쨌든 서역 주도권을 차지하려는 한나라와 흉노의 치열한 전쟁은 아주 오랫동안 계속되었고, 누란의 정치 또한 그런 상황에 따라서 왔다 갔다 하는 상황 또한 지속되었다.[6]
그런데 한의 군사 개입을 부르는 사건이 또 한번 발생했다. 한무제는 대원의 한혈마를 한나라의 전쟁군마로 사육하여 군사력을 강화하고 싶어 사자를 대원으로 파견했지만, 한나라 사신의 무례한 태도로 인해 되돌려보내졌다. 그런데 그 사신은 귀향하던 길에 대완 동쪽의 욱성성에서 습격을 당해 살해당하고 재물까지 전부 강탈당하고 말았다.
이에 분노한 한나라는 군대를 이끌고, 이광리의 지휘 아래 두 차례에 걸쳐서 대군으로 침략했다. 한나라의 대원 원정길에서 누란 국왕은 또다시 전쟁포로로 사로잡혀 한나라의 수도로 끌려가고 거기서 한무제의 질타를 받게 된다.
한무제는 누란이 흉노에게도 인질을 보내 정복된 일을 가지고 왕을 꾸짖자 누란의 왕은 "소국(누란)은 강대국들(한나라 대 흉노제국)의 사이에서, 양속되어 안심할 수 없습니다"고 답한 뒤 양속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한나라 영토에 이주하겠다는 뜻을 전달하여 누란왕은 한무제로부터 누란으로의 귀국을 허락받았다. 한무제는 한나라가 정복한 누란 방면의 군대 주둔군을 계속 강화시켰고 이에 따라 그동안 누란에까지 식민지배를 해왔던 흉노의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기 시작했다.
2.3. 한의 괴뢰국 선선
기원전 92년에 상술의 누란왕이 사망하자, 누란 측은 한나라에 인질로 보내진 왕자의 귀국을 요청했다. 그러나 왕자는 한나라의 법을 어겨 궁형을 당했기 때문에 귀국은 허용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다른 인물이 왕위에 즉위했고, 그도 한나라에 왕자 위도기를 인질로 보내고, 흉노에게도 왕자 안귀를 인질로 보냈다.그러나 이 왕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면서, 흉노에게 인질로 잡혀있던 왕자 안귀가 누란으로 귀국하여 왕좌를 차지하게 된다. 이에 대해 한나라는 입조를 요구하고 사자를 보냈지만, 안귀왕의 후처 등은 한이 인질로 보낸 왕자를 귀국시키지 않았던 사실을 이유로 들며 입조를 거부하였다. 그리고 변함없이 계속되는 한나라 사신과의 충돌로 인해 누란에서 한나라 사절을 살해하는 사건까지 발생한다.
그러자 한나라는 신하들에게 누란을 정벌하라는 명 대신 다른 명령을 내렸다. 그것은 바로 누란의 왕인 안귀를 암살하라는 명이었다. 한은 대장군 곽광의 지시를 받은 평안감 부개자를 포함한 사절단을 누란으로 파견시키고, 부개자는 누란의 왕 안귀를 위한 금은보화를 선물로 가지고왔다고 속여 누란 안으로 입성한 뒤, 안귀가 취한 사이를 노려 그를 칼로 찔러죽인 다음 그 머리를 잘라 북문에 위치한 탑에 효수했다.
한은 인질로 장안에 있던 왕자인 위도기를 새로운 국왕으로 추대시켰고, 국명 또한 선선(鄯善)[7]으로 바꾸게 한 뒤 한군이 누란에 주둔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위도기에게 인장과 함께 궁녀를 아내로서 주었다.[8] 누란이 한나라의 지배하에 들어간 뒤, 흉노의 일축왕이 당시 정길을 통해 한에 항복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9] 한은 날개단 호랑이마냥 서역 남도에서 북도까지 전역을 지배하기에 이르렀고, 새롭게 서역도호를 두고 정길을 도호로 삼았다.[10]
한나라의 서역 지배는 왕망에 의해서 전한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어, 선선으로 이름을 고친 누란도 괴뢰국으로서 그 지배하에 계속 놓여있었다.
2.4. 서로가 먹고먹히는 싸움
서역 도시국가 중 가장 강세였던 사차국의 국왕 현은 독자적인 대도시호를 칭하고 흉노의 영향력을 배제하면서 주변 도시국가들을 정복해나가기 시작했다.[11] (후한 광무제 시기. 기원후 25-57년)하지만 정복한 서역 18국에게 무거운 세금을 때려버리자 서역 18국은 한나라로 복속되길 요구했으나 왕망에 의한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한 후한의 광무제는 내정이 불안정하단 이유로 서역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자 사차국은 당시 한과 가까웠던 누란(선선국)에게 한나라 국경 교통로를 차단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당시 누란은 한나라와 토하리스탄 도시국가들 사이에서 중계무역으로 먹고살았기 때문에 사차국의 사신을 참살하는 식으로 해당 요구를 거절했다.
이에 사차국은 누란을 공격하여 약 1,000명을 살해하는 식으로 이에 보복하였다. 선선국의 국왕 안은 남쪽 산악으로 피해 한의 지원을 요청했으나 광무제가 군사파견을 거절하는 답신을 보냈기 때문에 선선국은 다른 서역 도시국가들과 함께 흉노와의 동맹을 재개했다.
기원후 61년에 사차국왕 현이 우국과의 싸움 도중 암살당하면서 서역의 정세는 일변했다. 사차국의 지배하에 있던 나라들은 대부분 독립해 서로 싸웠지만, 선선국은 이 싸움에서 여러 나라를 병합해 서역의 일각에 세력을 쌓는데 성공했다. 같은 시기에 우국, 차사국, 구자국, 언기국 등이 강국으로 할거했다. 이 시기에 선선에서 작성된 한문 문서에는 옛 지명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2.5. 다시 한나라 밑으로
세력을 확대한 누란은 로프누르 호에서 서쪽 정절국까지 서역 남도 변경 영역을 동서로 900km 이상을 지배하게 되어, 1세기 말엽부터 전성기를 맞이했다. 교역도 활발해져서 발견된 이 당시 유물들은 이 시기의 경제적 번영을 반영하고 있다. 누란의 번영은 3세기까지 쭉 계속되었다. 그러나 국력의 증대로 정치적 지위는 상승했지만, 아직까지도 한과 흉노라는 거대한 두 맹수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야만 했다. 그 후 한나라의 개입이 본격화되면 그때 누란은 그 패권을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다.광무제의 뒤를 이은 명제의 시대가 되면서 다시 한나라는 서역에 본격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서기 73년에 한은 흉노를 공격하였고, 거의 같은 시기에 서역에도 출병해 지금의 투르판에 위치해있던 차사국을 제압하였다. 서방견문록을 남긴 걸로 유명한 감영을 파견한 것으로 유명한 반초가 활약한 것도 이 시기이며, 그의 일화로 알 수 있는 당시 누란의 상황은 복잡한 입장에 놓여 있었다.
후한서의 반초전에 의하면 73년에 반초가 36명의 부하들과 함께 누란에 파견되었을 때, 누란의 국왕 광은 처음에는 반초를 정중하게 대접했다가 흉노측 사자가 누란에 방문하면서, 국왕은 흉노 사자의 심기가 불편해질까봐 반초의 대우를 떨어뜨렸다. 이에 제대로 열이 오른 반초는 밤중 은밀하게 흉노 사자의 숙소에 불질러 급습해 흉노측 사신 33명과 하인 100여 명을 학살했는데 이때 남긴 말이 유명하다.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고, 어찌 호랑이를 잡을까?"[12]
다음날 아침 흉노 사자의 목이 떨어져있는 광경을 본 누란의 왕은 제대로 경악했다. 그리고 한에게 충성을 맹세하였고 전대처럼 한나라에다 왕자를 볼모로 보내었다.
반초는 토하리스탄의 대부분을 지배하에 넣었고, 이 공적으로 인해 서역도호로 31여년간을 서역 경영에 종사하였다. 누란은 그 패권 하에서 왕통을 계속 이어왔고 후한의 서역 경영은 반초의 사후에 잠시 단절되었다가, 123년에는 반초의 아들 반용(班勇)에 의해서 지속되었다.
2.6. 멸망
2세기 초반의 누란은 후한의 영향 하에서 경제적으로는 번영했다. 그러나 2세기 후반에 들어가면서 후한 말의 동란 때문에 서역에 대한 중화 왕조의 영향력은 저하되었으나 3세기 후반 중국을 통일한 사마씨의 진나라가 서역으로 영향력을 확대시켜갔다. 하지만 진나라는 곧 화북의 지배권을 상실하면서 이른바 오호십육국시대가 도래했다.이 시대에 양주의 지배자가 된 전량은 서역으로 세력 확대를 도모하였고 서기 335년 전량의 장군 양선의 공격을 받은 누란은 쿠차 등과 함께 전량에 입궐하여 당시의 누란의 왕이었던 원맹은 여자를 조공하였다고 한다. 전량은 서역 지방의 통제를 강화시켜나갔고 이후 누란은 뒤이은 북량의 지배자에게도 입조를 계속해나갔다.
전량은 전진(前秦)에 의해서 멸망당했고, 누란의 왕 휴밀타는 스스로 서역도호 설치를 요구해 382년에 전진에 입궐한다. 휴밀타 다음의 왕인 고원질은 전진과 후진의 싸움에서 전진에 원군을 보냈다. 422년에는 누란의 왕 비룡이 북량에 입궐했다.
439년 북위의 북량 침공이 시작되면서 북량은 패배하였고, 그 지배자인 저거무휘(沮渠無諱)와 저거안주(沮渠安周)[13]는 둔황을 경유해 가오창으로 후퇴하려고 했다. 이 결과 그 도상의 중요 거점인 누란을 제압하고자 441년에 안주가 누란을 공격했다.
누란은 첫 공격은 격퇴했지만, 다음 해 저거무휘가 수만의 군세를 이끌고 누란으로 쇄도하자, 패배를 깨달은 누란의 왕 비룡은 4,000명 남짓되는 인원과 함께 차말(체르첸, 현 중국 체모 현)로 피했다.[14] 결국 445년 누란은 북위 치하로 들어갔고, 누란의 왕은 도망가버렸다.
그리고 448년에 교지를 내려 한목이 선선국(누란)의 왕에 봉해졌는데 문제는 통치형식은 군현을 설치한 것과 다르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결국 독립된 왕국으로서의 누란의 역사는 완전히 끝나게 된다.
나라는 망했어도 도시 자체는 7세기 무렵까지 존재하였으나 5세기 이후부터 쳐들어오는 토욕혼이나 튀르크 유목민들로 인해 630년경 누란 주민들이 하미로 이주한 일을 계기로 누란은 점차 주민들에게 버려지기 시작했다.
644년 현장은 인도의 바르다나 왕조에서 당나라로 돌아오는 길에 누란에 위치해있던 나박파(納縛波)[15]란 마을을 지나쳤다고 하는데, 성곽은 존재하나 사람의 흔적은 없었다고 기록했다. 이후 누란 일대는 토번 제국이 지배했다가 10세기 무렵 위구르인들이 이주해와 현재에 이른다. 다만 사막화된 누란 지역은 옛 성터 유적지를 제외하면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금도 사람이 살지 않는다. 게다가 해당 지역이 중국군의 군사 지역[16]으로 지정되어서 특별히 허가를 받지 않으면 방문 자체가 어렵다.
3. 민족 및 언어
누란의 주민들은 타림 분지의 원주민이던 토하라인으로 이루어졌었으며, 인도유럽어족의 토하라어를 구사했다고 한다. 한때, 이들이 썼던 토하라어 방언을 토하라어 C로 분류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토하라어 C 가설이 철회되었다. 기원후 3세기부터 간다라어를 적을 때 쓰는 카로슈티 문자를 사용했다고 한다.[17]4. 문화
누란에서 나온 조각된 3-4세기 목재로 고대 간다라의 인도-그리스 미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서기 200-400년 사이에 그려진 것으로 추측되는 남자와 카두세우스 그림. 화풍이 로마-그리스풍에 가깝게 그려져있단 것을 알 수 있다. |
5. 사회
누란 내에서 발견된 문서의 대부분이 상업 문서나 명령서, 징세기록이고, 정치적 사건의 기록은 부족해 3세기의 누란의 정치사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다 주민들의 생활상을 다룬 기록은 대개 중국측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다만 당시 누란 서쪽 근처의 호탄[18]과 국경에서 자주 분쟁을 일으킨 강족의 일파인 스피의 침입과 약탈로 골머리를 앓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실용문서와 출토품으로 당시 누란의 국정이나 사회상을 일부 엿볼 수 있다.6. 역대 국왕
이름 | 재위기간 | 비고 |
누란왕(1) | ? ~ BC 92 | 한무제와의 전쟁 |
누란왕(2) | BC 92 | |
안귀(安歸) | BC 92 ~ BC 77 |
2의 아들로 추정 암살 |
위도기(尉屠耆) | BC 77 ~ ? | 전한의 복속기 |
. . . |
||
안(安) | ? ~ BC 40 | 후한 시기. |
광(廣) | ? ~ 75 | 후한에 복속 |
우환(尤還) | ? ~ 123 | |
동격라가(童格羅迦) | 경진 200년 즉위 | |
타도가(陀闍迦) | 병진 236년 즉위 | |
패지야(貝地也) | 병자 244년 즉위 | |
안귀가(安歸迦) | 임신 252년 즉위 | |
마희리(馬希利) | 경술 290년 즉위 | |
복색마나(伏色摩那) | 기묘 319년 즉위 | |
원맹(元孟) | 신묘 331년 즉위 ~ 330년 | 전량에게 조공 |
위리도(位梨闍) | 병신 336년 즉위 | |
휴밀타(休密馱) | 기미 359년 즉위 ~ 383년 | 전진에 입궐 |
호원타(胡員咤) | 병술 386년 즉위 | |
비룡(比龍) | 임술 422년 즉위 ~ 441년 | 북량에 입궐 |
진달(眞達) | 441 ~ 445 | 저거무휘와의 전쟁 과정에서 도주 |
한목(韓牧) | 무자 448년 즉위 | 북위의 제후왕 책봉 |
제이식(第二息) | 임신 492년 즉위 | |
안미심반(安末深盘) | 신진 524년 즉위 | |
선주나(鄯朱那) | 임술 542년 즉위 | 북사 위본기에 등장 |
5세기 | 토욕혼과 튀르크 유목민의 침입 | |
630년경 | 하미 대거 이주로 인한 인구의 급감 | |
644년 |
인구의 감소로 인해 통치, 국가의 의미가 없어짐 자연스러운 소멸 누란의 일대는 토번 제국이 지배함 |
7. 같이보기
[1]
신장자치구에 현존하는 지명인 '차르찬'(Charchan, 且末)의 어원인 것으로 보인다.
[2]
누란에서 발견된 여성
미라를 통해 그녀의 생전 모습을 추측해 재구성한 박물관의 밀랍인형. 일본에서 2005년에 미라를 토대로 생전 모습을 복원해서 제작한다음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박물관에 기증했다.
[3]
토하라인은 이
고대 북유라시아인계 선주민들이
시베리아 방면으로 진출한
원시 인도유럽인의 분파에게 동화되어 형성된 민족이다.
[4]
기원전 115년에 설치한 서역사군이 한나라의 서역 진출의 단서라고 할 수가 있다.
[5]
이 중에는 신흥 교역시장에 활로를 찾아낸 빈민도 많았다고 한다
[6]
이런 일을 현
국제정세에서도 현재진행형으로 있는 일이다.
[7]
물론 현지인들은 계속 크로란 혹은 크로라이나란 이름으로 계속 불렀다.
[8]
여기서 '鄯'이라고 하는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누란의 국명을 바꾸고, 인장과 아내를 내어준 건 크로라이나 왕국이 한의 괴뢰국이 된 것을 의미하고 있다. 특히 누란 내부 한나라군이 주둔한 것은 위도기가 자신의 기반이 약한 걸 걱정해 스스로 한에 의뢰했다고 전해진다. 한군은 위도기왕의 진언에 따라 이순성에 주둔하였고, 누란은 곧 서역남도에 있어서 한나라의 중요한 거점의 하나가 되었다.
[9]
이때가 기원전 60년.
[10]
이후 한나라의 번영으로 인한 동서 무역의 발전은 서역의 경제를 윤택하게 하였다. 26~36개에 불과한 도시국가가 전한 말에는 55개국으로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기존의 왕국이 분화된 것이 아닌 교역의 활황에 따른 새로운 오아시스 도시 국가가 형성된 것으로 인한 것이었다. 한나라의 힘에 의한 정치 안정도 이러한 경제의 활황에 박차를 가했다.
[11]
사차국의 국왕 현은 처음에는 선선국의 국왕 안 등과 함께 후한에 조공을 바치고, 광무제로부터 서역도호의 인수를 받았지만,
둔황
태수 배준이
미개인에게 권력을 부여하는 것은 불가하단 이유를 내세워 다시 빼앗아가자 한에 적대적으로 변하였다.
[12]
여기서 나온
고사성어가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는 뜻의 '불입호혈, 부득호자(不入虎穴, 不得虎子)'이다.
[13]
흉노에 예속되어 있었던
노수호의 후손이다.
[14]
위서에 의하면 이것은 누란 인구의 반에 이르는 숫자였다고 한다.
[15]
소그드어로 "새로운 물"이란 뜻의 "Navapa"의
음역으로 추정됨.
[16]
중국의 핵개발 당시 핵실험을 이 일대에서 진행했다.
[17]
해당 예시는
카로슈티 문자가 적힌 목판으로
실크로드가 언어 및 종교, 문화의 전파에 더없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입증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18]
당시 문서에서는 코탄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