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20:03:55

고담(북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고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59471 0%, #3EB489 20%, #3EB489 80%, #359471);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문선제 폐제 효소제
제4대 제5대 제6대
무성제 후주 유주
}}}}}}}}}

<colbgcolor=#3EB489><colcolor=#ece5b6>
북제 제4대 황제
세조 무성제 | 世祖 武成帝
출생 537년
동위 발해군 수현
(現 허베이성 헝수이시 징현)
즉위 561년 12월 3일
북제 병주 태원군 남궁
(現 산시성 타이위안시)
사망 569년 1월 13일 (향년 32세)
북제 업성 업궁 건수당
(現 허베이성 한단시 업남성)
능묘 영평릉(永平陵)
재위기간 동위 장광군공
538년 ~ 550년 7월 4일
북제 장광왕
550년 7월 4일 ~ 561년 12월 3일
제4대 황제
561년 12월 3일 ~ 565년 6월 8일
북제 태상황
565년 6월 8일 ~ 569년 1월 1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EB489><colcolor=#ece5b6> 본관 발해 고씨
담(湛)
부모 부황 고조 신무제
모후 신무명황후
형제자매 15남 9녀 중 9남
배우자 인화공주, 무성황후
자녀 13남 3녀
아명 보락계(步落稽)
작호 장광군공(長廣郡公) → 장광왕(長廣王)
묘호 세조(世祖)
시호 무성황제(武成皇帝)
연호 태녕(太寧, 561년 ~ 562년)
하청(河淸, 562년 ~ 565년)
}}}}}}}}} ||
1. 개요2. 생애
2.1. 힘을 키우다2.2. 사치향락에 빠지다2.3. 장남 고위에게 양위하다
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4대 황제.

2. 생애

537년, 동위의 대승상 고환과 누씨의 9남으로 태어났다. 고담은 그의 형 문선제 고양과 쌍벽을 이루는 폭군이었으나, 적어도 고양은 유능한 신하들이 정치를 잘했기에 그럭저럭 나라는 돌아갔지만 무성제 고담의 신하들은 간신들이 주류를 이루었고, 고담은 문선제보다 더욱 인간말종이었기에 나라는 엉망이 되었다.

2.1. 힘을 키우다

544년, 아버지 고환은 유연과 동맹을 맺기 위해 유연의 가한 욱구려암나진의 딸을 고담에게 주었다.

550년, 둘째형 고양이 북제를 건국했다. 문선제 고양은 술에 취하면 동생 고담을 비롯해서 고준(高浚), 고환(高渙) 등의 동생들을 때렸다. 결국 고준과 고환은 나중에 옥에 가두고 죽였는데 사실 이 죽음에는 고준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고담이 연루되어 있었다고 한다. 고담은 이 시기 동안 화사개(和士開), 조정(祖珽)과 친하게 지냈고, 이들은 이후에도 고담에게 중요한 역할을 했다.

559년, 문선제 고양이 붕어하고 그의 아들인 고은이 황제가 됐는데 형 고연과 재상 양음 간의 세력 다툼이 일었다. 결국 고연이 황제파인 양음의 세력을 몰아내고 조정을 장악했다. 이후 고연은 제2의 수도인 진양(晉陽)으로 돌아갔고 수도 업성(鄴城)은 고담이 맡았다.

560년, 고연은 결국 조카 고은을 내쫓고 황제가 되었는데 고연은 황제가 된 후에도 진양에 머물렀고, 고담은 그대로 업성을 지켰다. 원래 고연은 자기가 황제가 되면 고담을 황태제로 삼기로 했으나, 막상 황제가 되자 자신의 아들 고백년(高百年)을 황태자로 삼았고, 이때문에 형제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561년, 효소제 고연이 사냥 중에 낙마로 생긴 상처로 붕어하자 태자 고백년이 어렸으므로 유언에 따라 고담이 뒤를 이었다. 효소제는 붕어하기 전 동생 고담에게 편지로
내 아들은 잘못이 없으니 황제가 되더라도 제발 죽이지는 마라.
라고 썼다.

2.2. 사치향락에 빠지다

562년, 장남 고위(高緯)를 황태자로 삼았다. 관료들인 고원해(高元海), 필의운(畢義雲), 고건화(高乾和) 등이 동의해서 고귀언(高歸彥)을 기주(冀州)자사로 임명하고 중앙에서 내쫓았다. 고귀언이 기주에 도착했을 때 여사예(呂思禮)가 반란 계획을 보고했다. 무성제 고담은 장수 단소(段韶), 누예(婁叡)를 보내 고귀언을 체포하고 아들 및 손자들과 함께 처형했다.

여름, 어머니인 태황태후 누씨가 죽었는데 무성제는 상복을 입지도 않았을 뿐더러 상중에 계속해서 연회를 열고 음악을 연주했다. 이때 화사개(和士開)가 황제를 말렸지만 빡친 무성제는 화사개의 뺨을 때렸다.

고담이 황제가 되자 형 문선제 고양의 황후였던 이씨(이조아)와 강제로 관계를 맺으려 했다. 그는 형수인 이씨에게 자기의 요구를 응하지 않으면 아들 고소종(高紹德)을 죽이겠다고 위협했고 결국 임신시켰다. 이씨는 부끄러움에 아들 고소종과 만나기를 거부했는데 고소종은 어머니가 임신한 사실을 알고 화가 났다. 그 후 이씨는 딸을 낳았는데 던져 죽였다. 이를 알게 된 무성제는 화가 났다.
"네 년이 내 딸을 죽였으니 나는 네 아들을 죽이겠다!"
직후 조카인 고소종을 불러 이씨가 보는 앞에서 폭행하고 활을 쏴 죽여버렸다. 이씨가 슬피 울자 화가 난 무성제 고담은 그녀를 내던지고 때렸다. 이씨는 심한 부상을 입었지만 곧 회복되었고, 무성제는 그녀를 황궁에서 내쫓아 절에 들어가 비구니가 되도록 했다.

563년, 무성제는 화사개를 아주 신뢰했고, 계속해서 궁에 머무르게 했다. 무성제는 화사개가 집으로 가면 곧장 다시 소환했고 이로 인해 화사개는 큰 보상을 받았다. 그래서 그 둘 사이는 황제와 신하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졌으며 화사개는 무성황후 호씨와 바람을 피우기도 했다. 화사개는 무성제에게 들어가서 즐기고, 골치아픈 조정은 관료들에게 맡기라고 했으며 무성제는 그렇게 했다. 내정은 조언심(趙彥深), 재정은 고문요(高文遙), 군사부문은 당요(唐邕)에게 맡겼으며 황태자 고위의 교육은 황후 호씨의 형부인 풍자종(馮子琮), 황후의 사촌인 호장찬(胡長璨)에게 맡겼다. 정사는 모두 신하들에게 맡긴 채 3~4일에 한 번씩 조정에 나와 간단한 회의에만 참석했다.

이때 무성제 고담의 큰형 고징의 아들 고효유(高孝瑜)가 화사개와 황후 호씨간의 관계를 조사했는데 위기에 처한 화사개와 무성제의 사촌 고예(高叡)는 이에 대응하기로 했다. 화사개와 고예는 거짓으로 고효유에게 반역 혐의를 씌웠고, 무성제는 고효유를 독살했다.

564년, 북주가 군대를 두 개로 나눠 북제를 침략했다. 남군은 달해무(達奚武)가 사령관을 맡고 평양(平陽)으로 쳐들어왔으며, 북군은 양충(楊忠, 수문제 양견의 아버지)이 돌궐(쾨튀르크)과 동맹을 맺고 북방을 공격했다. 이에 곡률광(斛律光)을 남쪽으로 보냈고, 무성제 본인은 직접 제2의 수도인 진양으로 가서 북주군을 막았다. 하지만 무성제가 진양에 도착했을 때 북주와 돌궐 연합군이 급습해왔다. 무성제는 도망갈까 생각했지만 고예(高叡)와 고효완(高孝琬)의 반대로 도망가지는 않았다. 단소는 양충의 공격을 막아냈고, 양충은 철수했으나, 그러는 동안 진양 북쪽 영지는 돌궐족들에게 약탈당했다.

봄, 북제의 형법을 만들었는데 무성제는 법을 널리 알리는 것에도 흥미가 있었기 때문에 관료들의 아이들에게 법을 공부하도록 했다. 그리하여 이전 시대보다 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올라갔다. 그리고 징세 제도도 개혁하여 세금 부담을 줄여주는 한편, 땅이 없는 농민들에게 땅을 빌려주어 농사를 짓게 했다. 이로써 전반적인 생산력도 늘어났다. 하루는 점쟁이가 와서 무성제에게 병이 생길 운이라고 말하자 무성제는 이 운을 자기의 조카이자 형 효소제 고연의 아들 고백년에게 돌리려고 했다. 고백년의 선생은 가덕주(賈德冑)였는데 이때 고백년은 서예를 배우고 있었다. 고백년은 연습삼아 하필 '칙'(敕)(황제의 조서, 칙서라는 뜻)을 몇 자 베껴 썼다. 무슨 생각인지 가덕주는 고백년이 쓴 칙을 무성제 고담에게 보냈는데 무성제는 조카인 고백년을 불러 '칙'을 써보라고 했다. 그리고 가덕주가 보낸 '칙'과 비교해 보니 과연 필체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호위병을 시켜 감히 황제 자리를 노린다며 고백년을 때렸고 심한 부상을 입힌 상태에서 그대로 참수해버렸다.

565년, 북주의 섭정 우문호(宇文護)가 윤공정(尹公正)을 북제에 평화 사절로 보내, 평화에 대한 보답으로 우문호의 어머니 원씨와 그의 고모 우문씨(우문호의 삼촌, 우문태의 여동생)를 북주로 돌려보내 달라고 했다. 하지만 무성제는 북주와 돌궐이 공격해올까 두려워서 우문씨만 북주로 돌려보냈다. 가을, 무성제는 데리고 있었던 원씨를 이용해 우문호의 약속이 담긴 편지를 받기를 원했다. 단소(段韶)가 반대하긴 했지만 무성제는 우문호를 두려워해 원씨도 돌려보냈다. 겨울, 돌궐이 북제의 북방을 침략했는데 우문호는 자기가 혹시나 그들을 속였다고 생각할까 두려워 북제를 공격해 낙양으로 쳐들어갔다. 이때 단소와 고장공(高長恭)이 낙양에서 북주의 군대를 물리쳤고 북주군은 철수했다.

2.3. 장남 고위에게 양위하다

조정(祖珽)은 화사개에게 그의 운명이 무성제와 엮여 있기 때문에 무성제가 붕어하면 화사개가 어떻게 될지도 모른다고 하면서 황제 자리를 황태자 고위에게 물려주어 황후 호씨와 황제 모두에게 잘 보이자고 했다. 화사개는 이에 동의하여, 천문을 보고 점을 쳐보니 운이 황제보다는 황제의 아버지에게 있다고 보고했다. 여름, 무성제는 이 말을 듣고 그의 황위를 8살난 황태자 고위에게 물려주었다. 이에 고위의 아내인 곡률씨는 황후가 되었고, 무성제는 태상황제가 되었다.

무성제는 황제에서 퇴위를 하긴 했지만, 신제 고위가 너무 어렸기 때문에 중요한 결정은 그대로 자기가 했다. 하지만 무성제와 황후 호씨의 3남 고엄(高儼) 편에 서있던 사람들은 불만을 가졌는데, 고엄이 황제 고위보다 어리긴 했지만 훨씬 더 총명했고 유능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왜 고위가 황제가 되었는지 의아해했고, 무성제와 황후 호씨도 고위를 폐위하고 고엄을 황제로 세우려고 했지만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

566년, 화사개와 조정은 고징의 3남 하간왕 고효완(高孝琬)에게 누명을 씌우고 반란 혐의로 고발했다. 무성제는 고효완을 사로잡아 심한 고문을 했는데 결국 다리를 부러뜨렸다. 고효완은 결국 이 상처로 인해 사망했고, 고효완의 다섯 번째 동생 안덕왕 고연종(高延宗)이 너무 슬피 울었다. 이에 무성제는 고연종을 체포해 고문을 가했으나, 그를 죽이지는 않았다.

567년, 조정은 더 큰 권력을 가지고 싶어했다. 그는 조언심(趙彥深), 고문호, 화사개를 부패와 붕당 혐의로 고발했다. 하지만 이 세 사람은 이전에 이런 상황을 알고 있었기에 그들 스스로 방어할 수 있었고, 조정은 역관광당했다. 무성제는 조정을 체포하고 심문하며 그에게 태형 200대를 선고하고 옥에 가두었다. 옥에서 피운 향으로 인해 조정은 결국 눈이 멀었다.

568년, 무성제가 병이 들자 관료인 서지재(徐之才)가 그를 돌보며 건강을 회복시켰다. 그래서 무성제의 건강이 회복된 후 화사개의 지위가 서지재보다 낮아지게 되었고, 결국 화사개는 서지재를 연주(兗州)자사로 내보냈다. 겨울, 무성제는 다시 갑자기 병이 들었고, 서지재를 소환했다. 하지만 서지재가 도착하기 전에 무성제는 화사개에게 뒷일을 부탁하고 붕어했다. 사후에 영평릉(永平陵)에 안장되었다.

3. 둘러보기

북제서(北齊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e1f0d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기(帝紀)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373a3c> 1·2권 「신무제기(神武帝紀)」 3권 「문양제기(文襄帝紀)」 4권 「문선제기(文宣帝紀)」
고환 고징 고양
<rowcolor=#373a3c> 5권 「폐제기(廢帝紀)」 6권 「효소제기(孝昭帝紀)」
고은 고연
<rowcolor=#373a3c> 7권 「무성제기(武成帝紀)」 8권 「후주유주기(後主幼主紀)」
고담 고위 · 고항
}}}}}}}}}
[ 열전(列傳) ]
||<-4><tablewidth=100%><tablebgcolor=#3eb489><width=100%><color=#373a3c> 9권 「후궁전(後宮傳)」 ||
누소군 · 원황후 · 이조아 · 원황후 · 호황후 · 곡률황후 · 호황후 · 목야리
10권 「고조11왕전(高祖十一王傳)」
고준 · 고엄 · 고유 · 고환(渙) · 고육 · 고개 · 고식 · 고제 · 고응 · 고윤 · 고흡
11권 「문양6왕전(文襄六王傳)」
고효유 · 고효연 · 고효완 · 고장공 · 고연종 · 고소신
12권 「문선4왕·효소6왕·무성12왕·후주5남전(文宣四王孝昭六王武成十二王後主五男傳)」
고소덕 · 고소의 · 고소인 · 고소렴 · 고백년 · 고량 · 고언리 · 고언덕 · 고언기 · 고언강 · 고언충 · 고작 · 고엄 · 고곽 · 고정 · 고인영
고인광 · 고인기 · 고인옹 · 고인검 · 고인아 · 고인직 · 고인겸 · 고각 · 고선덕 · 고매덕 · 고질전
<rowcolor=#373a3c> 13권 「고침등전(高琛等傳)」 14권 「광평공성등전(廣平公盛等傳)」
고침 · 고악 고성 · 고영락 · 고현국 · 고령산
<rowcolor=#373a3c> 15권 「두태등전(竇泰等傳)」 16권 「단영전(段榮傳)」
두태 · 울경 · 누소 · 사적간 · 한궤 · 반락 단영 , 단소,
<rowcolor=#373a3c> 17권 「곡률금전(斛律金傳)」 18권 「손등등전(孫騰等傳)」
곡률금 손등 · 고융지 · 사마자여
19권 「하발윤등전(賀拔允等傳)」
하발윤 · 채준 · 한현 · 울장명 · 왕회 · 유귀 · 임연경 · 막다루대문 · 고시귀 · 사적회랑 · 사적성 · 설고연 · 장보락 · 후막진상
20권 「장경등전(張瓊等傳)」
장경 · 곡률강거 · 요웅 · 송현 · 왕칙 · 모용소종 · 설유의 · 질열평 · 보대한살 · 모용엄
<rowcolor=#373a3c> 21권 「고건등전(高乾等傳)」 22권 「이원충(李元忠等傳)」
고건 · 봉융지 이원충 · 노문위 · 이의심
<rowcolor=#373a3c> 23권 「위난근등전(魏蘭根等傳)」 24권 「손건등전(孫搴等傳)」
위난근 · 최전 손건 · 진원강 · 두필
<rowcolor=#373a3c> 25권 「장찬등전(張纂等傳)」 26권 「설숙등전(薛琡等傳)」
장찬 · 장량 · 장요 · 조기 · 서원 · 왕준 · 왕굉 설숙 · 경현준 · 최전
<rowcolor=#373a3c> 27권 「묵기보등전(万俟普等傳)」 28권 「원탄등전(元坦等傳)」
묵기보 · 가주혼원 · 유풍 · 파륙한상 · 금조 · 위자찬 원탄 · 원빈 · 원효우 · 원휘업 · 원필 · 원소
<rowcolor=#373a3c> 29권 「이혼등전(李渾等傳)」 30권 「최섬등전(崔暹傳)」 31권 「왕흔전(王昕傳)」
이혼 · 이여 · 정술조 최섬 · 고덕정 · 최앙 왕흔
<rowcolor=#373a3c> 32권 「육법화등전(陸法和等傳)」 33권 「소명등전(蕭明等傳)」
육법화 · 왕림 소명 · 소지 · 소퇴 · 소방 · 서지재
<rowcolor=#373a3c> 34권 「양음전(楊愔傳)」 35권 「배양지등전(裴讓之等傳)」
양음 배양지 · 이구 · 장연지 · 육앙 · 왕송년 · 유의
<rowcolor=#373a3c> 36권 「형소전(邢卲傳)」 37권 「위수전(魏收傳)」 38권 「신술등전(辛術等傳)」
형소 위수 신술 · 원문요 · 조언심
<rowcolor=#373a3c> 39권 「최계서등전(崔季舒等傳)」 40권 「울근등전(尉瑾等傳)」
최계서 · 조정 울근 · 풍자종 · 혁련자열 · 당옹 · 백건
41권 「포현등전(暴顯等傳)」
포현 · 피경화 · 선우세영 · 기연맹 · 원경안 · 독고영업 · 부복 · 고보녕
<rowcolor=#373a3c> 42권 「양비등전(陽斐等傳)」 43권 「이치렴등전(李稚廉等傳)」
양비 · 노잠 · 최갈 · 노숙무 · 양휴지 · 원율수 이치렴 · 봉술 · 허돈 · 양열 · 원표
44권 「유림전(儒林傳)」
이현 · 조유 · 풍위 · 유화 · 마경덕 · 장경인 · 권회 · 장사백 · 장조 · 손영휘 · 마자결 · 석요
45권 「문원전(文苑傳)」
조홍훈 · 이광 · 번손 · 유적 · 순사손 · 안지추 · 애석 · 위도손 · 강간 · 규예 · 주재 · 순중거 · 소각 · 고도자
<rowcolor=#373a3c> 46권 「순리전(循吏傳)」 47권 「혹리전(酷吏傳)」
장화원 · 송세량 · 낭기 · 맹업 · 최백겸 · 소경 · 방약 · 노거병 저진 · 송유도 · 노민 · 필의운
48권 「외척전(外戚傳)」
누예 · 이주문창 · 정중례 · 이조승 · 이조훈 · 원만 · 호장인 · 호장찬
49권 「방기전(房妓傳)」
유오도영 · 왕춘 · 신도방 · 송경업 · 허준 · 오준세 · 조보화 · 황보옥 · 해법선 · 위녕 · 기모회문 · 장자신 · 마사명
50권 「은행전(恩倖傳)」
곽수 · 화사개 · 목제파 · 고아나굉 · 한봉 · 한보업 · 노륵차 · 제소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eb489><tablebgcolor=#3eb489>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ece5b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권 「위본기1(魏本紀一)」 2권 「위본기2(魏本紀二)」 3권 「위본기3(魏本紀三)」
탁발규 · 탁발사 탁발도 · 탁발황 · 탁발준(浚) · 탁발홍 원굉
4권 「위본기4(魏本紀四)」 5권 「위본기5(魏本紀五)」
원각 · 원후 원자유 · 원공 · 원랑 · 원수 · 원보거 · 원흠 · 원곽 · 원선견
6권 「제본기상(齊本紀上)」 7권 「제본기중(齊本紀中)」 8권 「제본기하(齊本紀下中)」
고환 · 고징 고양 · 고은 · 고연 고담 · 고위 · 고항
9권 「주본기상(周本紀上)」 10권 「주본기하(周本紀下)」
우문태 · 우문각 · 우문육 우문옹 · 우문윤 · 우문천
11권 「수본기상(隋本紀上)」 12권 「수본기하(隋本紀下)」
양견 양광 · 양유
}}}}}}}}}
[ 열전(列傳) ]
||<-4><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 13·14권 「후비전(后妃傳)」 ||
신원황후 · 봉황후 · 기황후 · 평문황후 · 소성황후 · 헌명황후 · 도무황후 · 선목황후 · 소애황후 · 명원밀황후 · 태무황후 · 경애황후
울구려황후 · 문명황후 · 문성원황후 · 헌문사황후 · 효문정황후 · 폐후 풍씨 · 효문유황후 · 효문고황후 · 우황후 · 고황후 · 호황후 · 효명황후 · 효무황후 · 문황후 · 도황후 · 우문황후 · 약간황후 · 효정황후 · 누소군 · 원황후 · 이조아 · 원황후 · 호황후 · 곡률황후 · 호황후 · 목야리 · 풍소련 · 원씨 · 질노씨 · 원호마 · 독고황후 · 아사나 · 이아자 · 양려화 · 주만월 · 진월의 · 원락상 · 울지치번 · 사마영희 · 독고가라 · 소황후
15권 「위제종실전(魏諸宗室傳)」
탁발흘나 · 탁발영문 · 탁발육 · 탁발인 · 탁발수낙 · 탁발퇴 · 탁발소연 · 탁발욱 · 탁발목신 · 탁발육수 · 탁발비간 · 탁발여 · 탁발고
탁발돈 · 탁발석 · 탁발위 · 탁발대두 · 탁발제 · 탁발처진 · 탁발니 · 탁발식군 · 탁발한 · 탁발준(遵) · 탁발건(健) · 탁발순 · 탁발의열 · 탁발굴돌
16권 「도무7왕·명원6왕·태무5왕전(道武七王·明元六王·太武五王傳)」
탁발소 · 탁발희 · 탁발요 · 탁발수 · 탁발처문 · 탁발연 · 탁발려(黎) · 탁발비 · 탁발미 · 탁발범 · 탁발건(健) · 탁발숭 · 탁발준(俊) · 탁발복라 · 탁발한 · 탁발담 · 탁발건(建) · 탁발여(余)
17·18권 「경목12왕전(敬穆十二王傳)」
탁발신성 · 탁발자추 · 탁발소신성 · 탁발천사 · 탁발만수 · 탁발낙후 · 탁발운 · 탁발정 · 탁발장수 · 탁발태락 · 탁발호아 · 탁발휴
19권 「문성5왕·헌문6왕·효문6왕전(文成五王·獻文六王·孝文六王傳)」
탁발장락 · 탁발략(略) · 탁발간(簡) · 탁발약(若) · 탁발맹 · 원희 · 원간(幹) · 원우 · 원옹 · 원상 · 원협 · 원순 · 원유 · 원역 · 원회 · 원열
20권 「위조등전(衛操等傳)」
위조 · 막함 · 유고인 · 울고진 · 목숭 · 해근 · 숙손건 · 안동 · 유업연 · 왕건 · 나결 · 누복련 · 염대비 · 해목 · 화발 · 막제 · 하적간 · 이율 · 해권
21권 「연봉등전(燕鳳等傳)」 22권 「장손숭등전(長孫嵩等傳)」
연봉 · 허겸 · 최굉 · 장곤 · 등언해 장손숭 · 장손도생 · 장손비
23권 「우율제전(于栗磾傳)」 24권 「최영등전(崔逞等傳)」
우율제 최영 · 왕헌 · 봉의
25권 「고필등전(古弼等傳)」
고필 · 장려 · 유결 · 구퇴 · 아청 · 이후 · 을괴 · 주기 · 두대전 · 거이락 · 왕낙아 · 거로두 · 노노원 · 진건 · 내대간 · 숙석 · 만안국
주관 · 울발 · 육진 · 여락발 · 설표자 · 울원 · 모용백요 · 화기노 · 순퇴 · 우문복
26권 「송은등전(宋隱等傳)」
송은 · 허언 · 조옹(刁雍) · 신소선 · 위랑 · 두전
27권 「굴준등전(屈遵等傳)」
굴준 · 장포 · 곡혼 · 공손표 · 장제 · 이선 · 가이 · 두근 · 이흔 · 한연지 · 원식 · 모수지 · 당화 · 구찬 · 역범 · 한수 · 요훤 · 유숭
28권 「육사등전(陸俟等傳)」 29권 「사마휴지등전(司馬休之等傳)」
육사 · 원하 · 유니 · 설제 사마휴지 · 유창 · 소보인 · 소정표
28권 「노현등전(盧玄等傳)」 29권 「고윤등전(高允等傳)」
노현 · 노부 고윤 · 고우 · 고덕정 · 고익 · 고앙
32권 「최감등전(崔鑒等傳)」 33권 「이령등전(李靈等傳)」
최감 · 최변 · 최정 이령 · 이순 · 이효백 · 이예 · 이의심
34권 「유아등전(游雅等傳)」
유아 · 고려 · 조일 · 호수 · 호방회 · 장담 · 단승근 · 감인 · 유연명 · 조유 · 색창 · 송요 · 강식
35권 「왕혜룡등전(王慧龍等傳)」 36권 「설변등전(薛辯等傳)」
왕혜룡 · 정희 설변 · 설치 · 설징
37권 「한무등전(韓茂等傳)」
한무 · 피표자 · 봉칙문 · 여나한 · 공백공 · 전익종 · 맹표 · 해강생 · 양대안 · 최연백 · 요훤 · 이숙인
38권 「배준등전(裴駿等傳)」 39권 「설안도등전(薛安都等傳)」
배준 · 배연준 · 배타 · 배과 · 배관 · 배협 · 배문거 · 배인기 설안도 · 유휴빈 · 방법수 · 필중경 · 양지
40권 「한기린등전(韓麒麟等傳)」 41권 「양파등전(楊播等傳)」
한기린 · 정준 · 이표 · 고도열 · 견침 · 장찬 · 고총 양파 · 양부 양소
42권 「왕숙등전(王肅等傳)」 43권 「곽조등전(郭祚等傳)」 44권 「최광등전(崔光等傳)」
왕숙 · 유방(劉芳) · 상상 곽조 · 장이 · 형만 · 이숭 최광 · 최량
45권 「배숙업등전(裴叔業等傳)」
배숙업 · 하후도천 · 이원호 · 석법우 · 왕세필 · 강열지 · 순우탄 · 음중달 · 장당 · 이묘 · 유조 · 부영 · 부수안 · 장열 · 이숙표 · 노시경 · 방량
조세표 · 반영기 · 주원욱
46권 「손소등전(孫紹等傳)」
손소(孫紹) · 장보혜 · 성엄 · 범소 · 유도부 · 녹여 · 장요 · 유도빈 · 동소 · 풍원흥
47권 「원번등전(袁翻等傳)」 48권 「이주영전(爾朱榮傳)」
원번 · 양니 · 가사백 · 조영 이주영
49권 「주서등전(朱瑞等傳)」
주서 · 질열연경 · 곡사춘 · 가현도 · 번자곡 · 후심(2) · 하발승 · 후막진열 · 염현 · 양람 · 뇌소 · 모하 · 을불랑
50권 「신웅등전(辛雄等傳)」
신웅 · 양기 · 고도목 · 기준 · 산위 · 우문충지 · 비목 · 맹위
51·52권 「제종실제왕전(齊宗室諸王傳)」
고침 · 고악 · 고성 · 고영락 · 고현국 · 고사종 · 고언귀 · 고령산 · 고준 · 고엄 · 고유 · 고환(高渙) · 고육 · 북제 · 고식 · 고제 · 고응 · 고윤
고흡 · 고효유 · 고효연 · 고효완 · 고장공 · 고연종 · 고소신 · 고소덕 · 고소의 · 고소인 · 고소렴 · 고백년 · 고량 · 고언리 · 고언덕
고언기 · 고언강 · 고언충 · 고작 · 고엄 · 고곽 · 고정 · 고인영 · 고인광 · 고인기 · 고인옹 · 고인검 · 고인아 · 고인직 · 고인겸 · 고각 · 고선덕
고매덕 · 고질전
53권 「묵기보등전(万俟普等傳)」
묵기보 · 가주혼원 · 유풍 · 파륙한상 · 금조 · 유귀 · 채준 · 한현 · 울장명 · 왕회 · 임상 · 막다루대문 · 사적회락 · 사적성 · 장보락
후막진상 · 설고연 · 곡률강거 · 장경 · 요웅 · 송현 · 왕칙 · 모용소종 · 질열평 · 보대한살 · 설유의 · 모용엄 · 반락 · 팽락 · 포현 · 피경화
기연맹 · 원경안 · 독고영업 · 선우세영 · 부복
54권 「손등등전(孫騰等傳)」
손등 · 고융지 · 사마자여 · 두태 · 울경 · 누소 · 사적간 · 한궤 · 단영 · 곡률금
55권 「손건등전(孫搴等傳)」
손건 · 진원강 · 두필 · 두태 · 울경 · 장찬 · 장량 · 장요 · 왕준 · 왕굉 · 경현준 · 평감 · 당옹 · 백건 · 원문요 · 조언심 · 혁련자열 · 풍자종 · 낭기
56권 「위수등전(魏收等傳)」
위수 · 위장현 · 위계경 · 위난근
57권 「주종실전(周宗室傳)」
우문호 · 우문련 · 우문낙생 · 우문중 · 우문측 · 우문신거
58권 「주실제왕전(周室諸王傳)」
우문진 · 우문직 · 우문초 · 우문검 · 우문순 · 우문성 · 우문달 · 우문통 · 우문형 · 우문강 · 우문현 · 우문정 · 우문실 · 우문찬 · 우문지
우문윤(允) · 우문충 · 우문태(兌) · 우문원 · 우문연(衍) · 우문술(術)
59권 「구락등전(寇洛等傳)」 60권 「이필등전(李弼等傳)」
구락 · 조귀 · 이현 · 양어 이필 · 우문귀 · 후막진숭 · 왕웅
61권 「왕맹등전(王盟等傳)」
왕맹 · 독고신 · 두치 · 하란상 · 질열복귀 · 염경 · 사녕 · 권경산
62권 「왕비등전(王羆等傳)」 63권 「주혜달등전(周惠達等傳)」 64권 「위효관등전(韋孝寬等傳)」
왕비 · 왕사정 · 울지형 · 왕궤 주혜달 · 풍경 · 소작 위효관 · 위진 · 류규
65권 「달해무등전(達奚武等傳)」
강자일 · 약간혜 · 이봉 · 유량 · 왕덕 · 혁련달 · 한과 · 채우 · 상선 · 신위 · 사적창 · 양춘 · 양대 · 전홍
66권 「왕걸등전(王傑等傳)」
왕걸 · 왕용 · 우문규 · 경호 · 고림 · 이화 · 이루목 · 달해식 · 유웅 · 후식 · 이연손 · 위우 · 진흔 · 위현 · 천기 · 이천철 · 양건운 · 부맹 · 양웅 · 석고 · 임과
67권 「최언목등전(崔彥穆等傳)」 68권 「두로녕등전(豆盧寧等傳)」
최언목 · 양찬 · 단영 · 배과 · 당영 · 류민 · 왕사량 두로녕 · 양소(楊紹) · 왕아 , 왕세적 한웅 · 하약돈
69권 「신휘등전(申徽等傳)」
신휘 · 육통 · 사적치 · 양천 · 왕경 · 조강 · 조창 · 왕열 · 조문표 · 양대 · 원정 · 양표
70권 「한포등전(韓襃等傳)」
한포 · 조숙 · 장궤 · 이언 · 곽언 · 양흔 · 황보번 · 신경지 · 왕자직 · 두고 · 여사례 · 서초 · 단저 · 맹신 · 종름 · 유번 · 류하
71권 「수종실제왕전(隋宗室諸王傳)」
양정 · 양찬 · 양상 · 양홍 · 양처강 · 양자숭 · 양용 · 양준 · 양수 · 양량 · 양소(楊昭) · 양간 · 양고
72권 「고경등전(高熲等傳)」
고경 · 우홍 · 이덕림
73권 「양사언등전(梁士彥等傳)」
양사언 · 원해 · 우경칙 · 원주 · 달해장유 · 하루자간 · 사만세 · 유방(劉方) · 두언 · 주요 · 독고개 · 걸복혜 · 장위 · 화홍 · 음수 · 양의신
74권 「유방등전(劉昉等傳)」
유방(劉昉) · 유구 · 황보적 · 곽연 · 장형 · 양왕 · 배온 · 원충 · 이웅
75권 「조경등전(趙煚等傳)」
조경 · 조분 · 왕소 · 원암 · 우문필 · 이누겸 · 이원통 · 곽영 · 방황 · 이안 · 양희상 · 장경 · 소효자 · 원수
76권 「단문진등전(段文振等傳)」
단문진 · 내호아 · 번자개 · 주나후 · 주법상 · 위현 · 유권 · 이경 · 설세웅
77권 「장정화등전(張定和等傳)」
배정 · 이악 · 포굉 · 고구 · 영비 · 육지명 · 양비 · 유욱 · 조작 · 두정
78권 「장정화등전(張定和等傳)」
장정화 · 장윤 · 맥철장 · 권무 · 왕인공 · 토만서 · 동순 · 어구라 · 왕변 · 진릉 · 조재
79권 「우문술등전(宇文述等傳)」
우문술 · 왕세충 · 단달
80권 「외척전(外戚傳)」
하눌 · 요황미 · 두초 · 하미 · 여비 · 풍희 · 이혜 · 고조 · 호국진 · 황보집 · 양등 · 을불회 · 조맹 · 호장인 · 여씨
81·82권 「유림전(儒林傳)」
양월 · 노추 · 장위 · 양조 · 평항 · 진기 · 유헌지 · 장오귀 · 유란 · 손혜울 · 서준명 · 동징 · 마자결 · 이흥업 · 양원의 · 풍위 · 장매노 · 유궤사
포계상 · 형치 · 유주 · 마경덕 · 장경인 · 권회 · 장사백 · 장조무 · 곽준 · 심중 · 번심 · 웅안생 · 악손 · 기준 · 조문심 · 신언지 · 하타 · 소해 · 포개 · 방휘원 · 마광 · 유작 · 유현 · 저휘 · 고표 · 노세달 · 장충 · 왕효적
83권 「문원전(文苑傳)」
온자승 · 순제 · 조홍훈 · 이광 · 번손 · 순사손 · 왕포 · 유신 · 안지추 · 우세기 · 유변 · 허선심 · 이문박 · 명극양 · 유진 · 제갈영 · 왕정 · 우작
왕주 · 유자직 · 반휘 · 상덕지 · 윤식 · 유선경 · 조군언 · 공덕소 · 유빈
84권 「효행전(孝行傳)」
장손려 · 손익덕 · 동락생 · 양인 · 염원명 · 오실달 · 왕속생 · 이현달 · 장승 · 창발 · 왕숭 · 곽문공 · 형가 · 진족 · 영선 · 황보하 · 장원
왕반 · 양경 · 전익 · 유인 · 유사준 · 적보림 · 화추 · 서효숙
85권 「절의전(節義傳)」
우십문 · 단진 · 석문덕 · 급고 · 왕현위 · 누제 · 유갈후 · 주장생 · 마팔룡 · 문문애 · 조청 · 유후인 · 석조흥 · 소홍철 · 왕영세 · 호소호
손도등 · 이궤 · 장안조 · 왕려 · 곽염 · 지용초 · 을속고불보 · 이상 · 두숙비 · 이악 · 유원 · 장수타 · 양선회 · 노초 · 유자익 · 요군소
진효의 · 두송지 · 곽세준 · 낭방귀
86권 「순리전(循吏傳)」
장응 · 노옹 · 염경윤 · 명량 · 두찬 · 두원 · 소숙 · 장화업 · 맹업 · 소경 · 노거병 · 양언광 · 번숙략 · 공손경무 · 신공의 · 유검 · 곽현 · 경숙
유광 · 왕가 · 위덕심
87권 「혹리전(酷吏傳)」
우락후 · 호니 · 이홍지 · 장사제 · 조패 · 최섬 · 저진 · 전식 · 연영 · 원홍사 · 왕문동
88권 「은일전(隐逸傳)」
휴과 · 풍량 · 정수 · 최곽 · 서칙 · 장문후
89·90권 「예술전(藝術傳)」
조숭 · 장심(1) · 은소 · 왕조 · 경현 · 유영조 · 이순흥 · 단특사 · 안악두 · 왕춘 · 신도방 · 송경업 · 허준 · 유준세 · 조보화 · 황보옥 · 해법선 · 허준 · 위녕 · 기모회문 · 장자신 · 육법화 · 장승 · 강련 · 유계재 · 노태익 · 경순 · 내화 · 소길 · 양백추 · 임효공 · 유우 · 장주현 · 주담 · 이수 · 서건 · 왕현 · 마사명 · 요승원 · 저해 · 허지장 · 만보상 · 장소유 · 하조
91권 「열녀전(列女傳)」
난릉공주 · 남양공주 · 초국부인
92권 「은행전(恩倖傳)」
왕예 · 왕중흥 · 조수 · 여호 · 조옹(趙邕) · 후강 · 구락제 · 왕거 · 조묵 · 손소(孫小) · 장종지 · 극붕 · 장우 · 포억 · 왕우 · 부승조 · 왕질 · 이견 · 유등 · 가찬 · 양범 · 성궤 · 왕온 · 맹란 · 평계 · 봉진 · 유사일 · 곽수 · 화사개 · 안토근 · 목제파 · 고아나굉
93권 「참위부용전(僭偽附庸傳)」
혁련발발 · 모용외 · 요장 · 풍발 · 걸복국인 · 저거몽손 · 소찰
94권 「고려등전(高麗等傳)」
고려 · 백제 · 신라 · 물길 · 해족 · 거란 · 실위 · 두막루 · 지두우 · 오락후 · 류구 · 왜국
95권 「만등전(蠻等傳)」
만족(蠻) · 요족(獠) · 임읍 · 적토 · 진랍 · 파리
96권 「저등전(氐等傳)」
저족 · 토욕혼 · 탕창 · 등지국 · 당항 · 부국 · 계호국
97권 「서역전(西域傳)」
선선 · 포산국 · 실거반 · 권우마국 · 차사국 · 우전국 · 고창 · 차미 · 언기 · 구차 · 고묵국 · 온숙국 · 울두국 · 오손국 · 소륵국 · 열반국 · 토호라
소월씨 · 아구강국 · 속특국 · 파사국 · 복로니국 · 색지현 · 가색니국 · 고창 · 차미 · 여국
98권 「연연등전(蠕蠕等傳)」
연연 · 우문막괴 · 단질육권 · 고차
99권 「돌궐등전(突厥等傳)」
돌궐 · 철륵
100권 「자서전(自序傳)」
이연수
(1) 본명이 장연(張淵)으로 당고조 이연(李淵)을 피휘하여 심(深)으로 개칭되었다.
(2) 본명이 후연(侯淵)으로 당고조 이연(李淵)을 피휘하여 심(深)으로 개칭되었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