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한 칸국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ccc> 정치 | <colcolor=#000,#fff> 카간 |
행정구역 | 발라사군 | 사마르칸트 | 카슈가르 | |
민족 | 카를루크 | |
종교 | 텡그리 신앙 | 이슬람 | |
인물 | 마흐무드 알카슈가리 | 유수프 발라사구니 |
카라한 왕조 관련 틀 | ||||||||||||||||||||||||||||||||||||||||||||||||||||||||||||||||||||||||||||||||||||||||||||||||||||||||||||||||||||||||||||||||||||||||||||||||||||||||||||||||||||||||||||||||||||||||||||||||||||||||||||||||||||||||||||||||||||||||||||||||||||||||||||||||||||||||||||||||||||||||||||||||||||||||||||||||||||||||||||||||||||||||||||||||||||||||||||||||||||||||||||||||||||||||||||||||||||||||||||||||||||||||||||||||||||||||||||||||||||||||||||||||||||||||||||||||||||||||||||||||||||||||||||||||||||||||||||||||||||||||||||||||||||||||||||||||||||||||||||
|
카라한 왕조 Qarakhanid Dynasty Kara-Khanid Khanate |
||
연표 |
840년 건국 934년 이슬람 개종 1212년 멸망 |
|
국교 | 텡그리 신앙 → 이슬람 | |
언어 | 중세 튀르크어(카를룩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 |
수도 |
발라사군 카슈가르 사마르칸트 |
|
정치 체제 | 군주제, 유목 제국 | |
현재 국가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우즈베키스탄| ]][[틀:국기| ]][[틀:국기| ]] [[타지키스탄| ]][[틀:국기| ]][[틀:국기| ]] [[키르기스스탄| ]][[틀:국기| ]][[틀:국기| ]] [[카자흐스탄| ]][[틀:국기| ]][[틀:국기| ]] |
[clearfix]
1. 개요
중세 유목민족사에서 빠질 수 없는 나라로 현재 중앙아시아 국가들(튀르크계 이슬람)의 모태가 된다.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셀주크 튀르크, 서요, 호라즘, 몽골 등 수많은 유목 제국 · 이슬람 제국들의 틈바구니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남은 생존왕 국가 중 하나이기도 했다.
2. 기원과 건국
위구르 제국이 붕괴된 후 현 동투르키스탄 지역에 거주하던 위구르인 일파가 서쪽으로 이동, 아랄해 남쪽 호레즘 지역에 인접한 서부 타림 분지, 페르가나 계곡, 준가리아와 카자흐스탄 일부를 점유하면서 카슈가르를 중심으로 국가를 건설해나갔다.카라는 튀르키예어로 ‘검정’을 뜻하며 ‘귀족’을 상징한다. 역대 카라한 칸국의 군주는 ‘위세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 일레그(ileg 또는 ilig)를 붙여 일레그 한(Ilig Khan)이라는 칭호로 불렸다. [1]초창기 카라한 칸들은 두 갈래로 분열되었는데, 한 갈래는 스스로를 아르슬란 칸(사자 칸)이라고 칭했고, 또 다른 한 갈래는 부그라 칸(숫낙타 칸)이라고 칭했다. 페르시아 사료에서는 이들이 돌궐 제국을 계승했다는 뜻에서 알 카니야(칸국) 또는 알 카까니야(카간국)이라고 칭했다.
934년 카라한 왕조에서는 발라사군(Balāsāghūn)을 근거지로 한 부그라 가문의 사투크 부그라 칸(Satuk Bughra Khan: 920∼955)이 모든 주민과 함께 왕국 전체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960년경 천막 기준으로 200,000호에 달하는 사투크 부그라 통치하의 튀르크 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 그로써 그는 중앙아시아에서 이슬람을 받아들인 최초의 튀르크인이 되었다. 이 왕조는 튀르크족이 세운 최초의 이슬람 국가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3. 흥기와 멸망
카라한 왕조는 트란스옥시아나를 거점으로 세력을 팽창해 가던 사만 왕조(Samanid, 874~999)와 끊임없이 대립하였다. 특히, 893년의 전쟁에서는 사만조가 서부 카라한 왕조의 중심지 탈라스를 점령하고 15,000명을 포로로 잡는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 이에 따라 서부 카라한 왕조의 당시 가한 오굴차크는 카슈가르로 중심지를 옮기지 않을 수 없었다.그러나 904년 이후, 사만 왕조 내부에서의 권력 투쟁과 혼란 상태를 이용하여 사만 왕조에 대해 공세로 돌아섰다. 이후 사만 왕조 망명자들의 영향으로 이슬람으로 개종하게 된 카라한 칸국은 975년과 987년에 각각 사마르칸트를 공격했는데, 이때 사만 왕조가 잔드(Zand) 지역에 있던 셀주크 왕조의 협력을 얻어 카라한에 대항하기도 했다.
카라한 왕조는 사만 왕조와의 계속된 전쟁을 통해 990년에 이스티자브(Istijab)를 점령하고, 992년에는 트란스옥시아나로 진출하여 부하라를 점령했다. 하지만 칸이 병에 걸려 군대를 물리자 사만 왕조는 셀주크와 연대하여 992년 8월 부하라를 재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카라한 칸국은 서기 1000년을 전후하여 사만 왕조를 병합하였으며 동쪽으로는 호탄 왕국을 병합하여 타림 분지 서부를 완전히 장악하였다.
그러나 카라한 조는 통치자의 계승 문제로 항상 내분의 소지를 안고 있었다. 지도자가 사망할 때마다 각 지방정권 간의 항쟁이 격렬한 편이었고, 결국 11세기 초반 코칸드를 경계로 내분에 휩싸였던 카라한 왕조는 11세기 말 셀주크 제국에게 복속당했다.
카라한 칸국은 셀주크 제국에 복속된 이후 이슬람 문화권과 더 깊이 연계되기 시작하였다. 카슈가르에서 수학한 후 바그다드로 이주하여 튀르크어 사전을 편찬한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는 셀주크 제국 내 튀르크어 및 튀르크인의 위상을 드높인 것으로 유명하며, 마찬가지로 카슈가르 마드라사를 졸업한 유수프 카스 하지브는 페르시아 문학의 영향을 받되 중세 튀르크 문화와 가치관을 적극 반영한 담은 서사시 복락지혜를 집필하였다. 당시 카라한 칸국의 중심지였던 카슈가르와 사마르칸트 모두 우수한 교육 기관이 밀집한 당시의 교육 도시였고, 튀르크 문화는 중앙아시아 이슬람 문화와 결합하여 성숙하기 시작했다.
12세기, 요나라의 야율대석이 동쪽으로부터 거란족 유민들을 이끌고 중앙아시아로 진출, 서요를 건국하며 셀주크 제국과 카라한 왕조의 연합군을 카트완 전투에서 격파하여 패권을 장악하자 카라한 왕조는 서요에게 복속되었다. 우스만(Uthman Ulugh Sultan: 1204~1211)이 잠시 왕조를 재건했지만, 1211년 호라즘 왕조의 알라 웃 딘 무함마드(Alā al-din Muḥammad)에게 패배한 뒤 멸망하고 말았다.
4. 대중매체
크루세이더 킹즈2에서는 867 시나리오부터 트란스옥시니아에서 등장하며 769 시나리오에서 보고싶으면 카를룩 연맹체를 아무거나 플레이하고 씨족 분리를 해주면 첫빠따로 나오는게 카라한 씨족이다. 그걸 플레이 해주자 서요가 멸망하기 전의 1211년 까지 지속되며 1066년 시나리오부터는 동카라한 칸국만 남아있고 1132년 이후로는 서요의 구성국이 되며 1211년 이후 멸망하여 사라진다.
[1]
직역하면 대왕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