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ASEAN) 대학 네트워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c11616> 브루나이 | 브루나이 다루살람 대학교 |
캄보디아 | 프놈펜 왕립대학교 | |
왕립 법과 경제 대학 |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대학교 | |
가자마다 대학교 | ||
반둥 공과대학교 | ||
아이를랑가 대학교 | ||
라오스 | 라오스 국립대학교 | |
말레이시아 | 말라야 대학교 | |
말레이시아 국립대학교 | ||
말레이시아 과학대학교 | ||
푸트라 대학교 | ||
우타라 말레이시아 대학교 | ||
미얀마 | 양곤 대학교 | |
양곤 경제원 | ||
만달레이 대학교 | ||
필리핀 | 필리핀 대학교 |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
드라살 대학교 | ||
싱가포르 | 난양이공대학 | |
싱가포르 국립대학 | ||
싱가포르 경영대학 | ||
태국 | 쭐랄롱꼰 대학교 | |
부라파 대학교 | ||
치앙마이 대학교 | ||
마히돌 대학교 | ||
송클라 대학교 | ||
베트남 | 하노이 국립대학 | |
호찌민시 국가대학 | ||
껀터 대학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9e6dd,#858279> 사업단 | 참여대학 | |||
ENGAGE | 고려대학교 | 와세다대학 | 베이징대학 | 난양이공대학 | |
Risk Management | 고려대학교 | 고베대학 | 푸단대학 | 쭐랄롱꼰 대학교 | |
라오스 국립대학교 | |||||
Joint Campus | 동서대학교 | 리츠메이칸대학 | 광둥외어외무대학 | ||
리츠메이칸APU | |||||
Energy & Environment Science & Technology |
부산대학교 | 규슈대학 | 상하이교통대학 |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 |
BESETO DDMP | 서울대학교 | 도쿄대학 | 베이징대학 | 싱가포르 국립대학 | |
Jus Commune | 서울대학교 | 나고야대학 | 중국인민대학 | 싱가포르 국립대학 | |
성균관대학교 | 칭화대학 | 상하이교통대학 | |||
TKT | 한국과학기술원 | 도쿄공업대학 | 칭화대학 | 난양이공대학 | |
SUAE Asia | 부산대학교 | 규슈대학 | 퉁지대학 | 싱가포르 국립대학 | |
NLIE Project | 성균관대학교 | 나가사키대학 | 산둥대학 | 난양이공대학 | |
라오스 국립대학교 | |||||
CAMPH | 연세대학교 | 칭화대학 | 베이징대학 | 광동제약대학 | |
오사카대학 | 톈진중의약대학 | 상하이교통대학 | 마히돌 대학교 | ||
Design Leadership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 치바대학 | 저장대학 | 톤부리 킹몽꿋 공과대학교 | |
시바우라공업대학 | 마히돌 대학교 |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 |||
KGC Int'l. Co-work & Joint MFA Project of Animation |
한국예술종합학교 | 도쿄예술대학 | 중국전매대학 | 신라빠꼰 대학교 | |
Marine Science & Technology ERASMUS |
한국해양대학교 | 도쿄해양대학 | 쭐랄롱꼰 대학교 | 말라야 대학교 | |
상하이해양대학 | 카셋삿 대학교 | 보고르 농과대학교 | |||
AFIMA Leaders Program | 부경대학교 | 나가사키대학 | 중국해양대학 | 말레이시아 트렝가누 대학교 | |
A³I | 부경대학교 | 야마나시대학 | 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 | 말레이시아 펄리스 대학교 | |
The ACE | 서울대학교 | 릿쿄대학 | 베이징대학 | 싱가포르 국립대학 | |
MGLD[1] through Asian-Model Dentistry Consortium |
서울대학교 | 도호쿠대학 | 베이징대학 | 쭐랄롱꼰 대학교 | |
연세대학교 | 쓰촨대학 | 인도네시아 대학교 | |||
DPP-EPM[2] Contributing to Solving Global-Scale Issues |
한국교원대학교 | 츠쿠바대학 | 화둥사범대학 |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 |
콘캔 대학교 | 반둥 공과대학교 | ||||
ICHRDP[3] in Asia to Foster Inclusive Minds |
한국외국어대학교 | 히로시마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인도네시아 교육대학교 | |
창춘대학 | 카셋삿 대학교 | ||||
FHR[4] for C-Zeroization in Asia Countries | 한국해양대학교 | 나고야대학 | 상하이교통대학 | 쭐랄롱꼰 대학교 | |
비활성 사업단 | |||||
Common Good | 성균관대학교 | 오카야마대학 | 지린대학 | ||
IGPTE | 서울교육대학교 | 도쿄학예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
Campus Asia CJK | 서울대학교 | 도쿄대학 | 베이징대학 | ||
BEST Alliance [5] # | 서울대학교 | 히토츠바시대학 | 베이징대학 | ||
[1] Multimodal Global Leaders Development [2] Development Program for Professionals in Educational Policy Management [3] International Collaborativ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 [4] Fostering Humans Resources [5] 2023년 기준 복수학위, 교환학생, 교류행사 등 서울대, 히토츠바시, 북경대 3개교 간 적극 진행 중이며 캠퍼스아시아와 별개로 폐지설이 돌았으나 적어도 2025년까지는 변동 사항 없을 예정 |
}}}}}}}}} ||
반둥 공과대학교 Institut Teknologi Bandung |
|
문장 | |
|
|
학교 정보 | |
슬로건 | |
In Harmonia Progressio (조화로운 진보) |
|
국가 |
[[인도네시아| ]][[틀:국기| ]][[틀:국기| ]] |
분류 | 국립대학 |
창립 | 1920년 7월 3일,(기술대학), |
대학 설립 | 1959년 3월 2일,( 인도네시아 대학교에서 독립), |
상징색 | 딥 코발트 블루 |
마스코트 | 가네샤 |
소재 |
가네샤 캠퍼스:
서부자바
반둥 치르본 캠퍼스: 서부자바 치르본 자티낭오르 캠퍼스: 서부자바 수므당 |
홈페이지 | 공식 홈페이지 |
|
캠퍼스 사진 |
|
소개 영상 |
[clearfix]
1. 개요
인도네시아 반둥, 치르본, 수므당에 위치한 대학교. 반둥의 가네샤 캠퍼스, 치르본의 치르본 캠퍼스, 수므당의 자티낭오르 캠퍼스로 나뉘며, 캠퍼스 간 겹치는 전공이 많아 가네샤 캠퍼스가 본교, 나머지 두 캠퍼스가 분교에 가깝지만, 이원화 캠퍼스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반둥 공대라고 하면 가네샤 캠퍼스를 가리킨다.줄여서 'ITB', '이테베'로 부르기도 한다. 이공학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인문사회계 전공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상당한 규모의 예술디자인학부 및 건축도시계획정책학원을 보유하고 있다.
반둥 공과대학교는 인도네시아 대학교, 보고르 농과대학교, 아이를랑가 대학교 등과 함께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로,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공학 및 자연과학 학과를 보유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독립 후 오늘날까지 이공학 분야에서 인도네시아 대학교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최고 명문으로 평가받고 있기도 하다.
반둥 공대의 마스코트로 지혜의 신 가네샤가 있다. 학교 웹사이트나 여러 학교 상징 등에서 가네샤를 흔히 볼 수 있다.
2. 평가
- 2022년 THE 세계 대학 랭킹 1001-1200위(아시아 301-350위, 인도네시아 2위)
- 2023년 QS 세계 대학 랭킹 235위(아시아 57위, 인도네시아 2위)
3. 연혁
-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
- 1918년: 동인도 식민 정부가 증가해 가는 현지의 교육 수요에 맞추어 대학들을 설립하는 정책을 수립하였음. 이에 따라 헨리 폰트(Henri Maclaine Pont)가 반둥에 대학 캠퍼스 건물들을 설계함.
- 1920년: 최초로 동인도에서 의대가 아닌 고등교육기관 '기술대학'(Technische Hogeschool)[1]이 반둥에서 개교함. 최초에 기술대학은 기술과학부(de Faculteit van Technische Wetenschap) 1개 학부, 도로수자원공학(de afdeeling der Weg en Waterbouw) 1개 전공으로 출발하였음. 이 전공은 오늘날 토목환경공학부의 모태가 되었음. 이후 여러 전공이 추가되고 세부 계열이 나뉨.
- 기술대학 초창기에는 입학 시험 없이 13(12)년에 이르는 네덜란드어 인문계 교육을 받은 사람으로서, 고등학교(AMS) B계 또는 고등시민학교(HBS) B계, 즉 자연과학 전공을 수료한 사람이 지원할 경우 모두 1학년으로 입학시켰다.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사람도 경우에 따라 청강생이 될 수 있었다. 그렇지만 2, 3, 4학년으로 진급하기 위해서는 각 학년별 수료 조건을 엄격히 충족해야 했다. 특히 1학년 시험이 사실상 입학 시험처럼 기능해서, 1학년 수료율이 낮은 해는 1학년생(미수료자 재수생 포함)의 최종 시험 응시자 중 4분의 1 정도밖에 수료하지 못하기도 했다.
- 기술대학 시절, 3학년 말에 학생들은 예비시험(candidaats-examen)을 치렀는데, 여기서 통과해야 4학년 졸업시험에 응시할 수 있었다. 이후 졸업시험(eind-examen)을 통과하면 오늘날의 학사 학위에 준하는 디플로마(getuigschrift)가 수여되었고, 이로써 '엔지니어'(ingenieur) 자격을 얻었다.[3] 이 선별 과정은 꽤 엄격해서, 1기 입학생 가운데 1924년 1회 졸업시험에 응시한 학생은 15명, 졸업시험을 통과한 학생은 12명(여학생 1명)으로 입학생의 과반이 4년 만에 졸업하지 못했다. 1925년 2회 졸업시험은 15명 응시, 8명 통과(재수 통과생 1명). 초기 졸업생들은 대부분 유럽계, 간혹 중국계였다.[4] 최초의 동인도 토착민 졸업생은 3회인 1926년에 4명이 나왔는데, 이 가운데 바로 수카르노가 있었다. 3회 졸업생은 총 20명이었는데, 수카르노는 재수로 졸업했고 3회 졸업생 중 삼수로 졸업한 경우도 3명이나 있었다. 나중에는 심지어 4년 과정을 10년씩 걸려 겨우 졸업하는 사람도 나왔다.
- 당시 기술대학 교수를 지도교수로 하여 기술대학을 거점으로 연구하고 공학 박사 학위를 받는 것도 가능은 했지만, 실제 사례는 단 3명(1930년, 1939년, 1940년 각 1명)에 그쳤다. 졸업생 중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은 주로 연구 여건이 더 좋은 네덜란드 본토의 델프트 공과대학교 등으로 유학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 전공 추가도 1930년대 후반부터 계획되었다. 이때까지는 토목공학 전공 하위에 건축 등 다른 분야를 강의하는 교수가 함께 묶여 있어 같은 토목공학 전공이 고학년에 학생별로 심화 계열로 나뉘는 방식이었다. 원래 1942년부터 토목공학 외 다른 전공이 개설될 예정이었지만, 유럽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터지고 1940년 5월 본토가 점령당하자 영국의 망명 정부에 충성했던 동인도 정부는 동인도에서 관료, 기술자 등 인력 충원을 위해 교육 체제를 확충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1940년 7월 부랴부랴 3개 전공(화학공학, 기계공학, 전기공학)이 새로 개설되고 커리큘럼이 마련되어 신입생이 뽑혔지만, 기계공학 및 전기공학 전공 지원자가 충분치 않아 정식 전공으로 추가 개설된 것은 화학공학뿐이었다. 그마저도 동인도 정부의 관료 충원 요구를 반영해서 화학공학 커리큘럼에 화학 이론 분야는 본토의 화학공학과보다 적고, 기계공학이나 경제학, 경영학, 마케팅 등이 많이 섞여 들어간 이상한 모양새가 되었다.
- 태평양 전쟁 시기
- 1941년: 네덜란드 본토 점령(1940년 5월) 이후에도 동인도 정부는 2년 가까이 존속했고, 반둥 기술대학도 이 기간 동안 정상 운영되었다. 1941년 말까지 신규 교수 임용도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1941년 12월 일본 제국이 침공을 시작하자, 반둥 기술대학은 기능을 중단하고 기술대학 캠퍼스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쟁부 건물로 쓰이게 되었다.
- 1944년: 자바를 통치했던 일본이 반둥 기술대학을 '공업대학'(工業大学)이라는 이름으로 1944년 4월 1일 재개교. 토목과, 화공과, 전기기계과 3개 학과가 설치되었고, 일본인 및 인도네시아인 교수가 초빙되어 강의를 맡았다. 이렇게 일본 치하의 반둥 공대는 일본식 학제로 1년 정도 운영되었고 전전 기술대학의 학생 일부도 등록했는데, 이 시기 졸업반 학생 일부는 졸업(토목과 5명)하기도 했다.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시기
- 1945년: 독립파 인도네시아 공화국 정부가 의학, 약학, 법학, 문학 전공을 포괄하는 고등교육기관 '고등교육국'을 설치함.
- 1946년: 네덜란드의 자카르타 재점령. 네덜란드의 동인도 민정부는 기존 단과대학들을 포괄하여 동인도 최초의 종합대학 임시 대학교(Nood Universiteit)를 설치함. 이때 반둥 기술대학도 임시 대학교에 통합됨.
- 1947년: 반둥에 자연과학부(약학 전공 포함)가 새로 설치됨. 임시 대학교의 기존 학부, 반둥의 공학부와 자연과학부, 마카사르의 신설 경제학부를 포괄하는 인도네시아 대학교(Universiteit van Indonesië)가 정식으로 출범함.
- 1947년: 반둥의 공학부 하위에 미술교육 전공이 설치됨. 이는 나중에 정식으로 설치될 반둥 공과대학교 예술디자인학부의 모태가 되었음.
- 독립 인도네시아
- 1950년: 기존 인도네시아 대학교를 확대 승계하여 인도네시아 대학교(Universitas Indonesia)가 정식으로 출범함. 이 시점에 인도네시아 대학교는 지역별로 캠퍼스가 다원화되어 있었음.
- 1959년: 인도네시아 대학교 반둥 캠퍼스(자연과학부 및 공학부)가 분리 독립하여 반둥 공과대학교가 새로 출범함.
4. 학부 및 학원
- 학부(Fakultas): 학사학위(S1)를 수여하는 전공 과정들을 제공하며, 이와 겹치거나 독립적인 석사(S2) 및 박사(S3) 일반 학위 과정을 설치하고 있다.
- 수학자연과학부: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전공 등. 이들 전공은 석사 과정으로 학술 석사 외에 교육학 석사 과정도 함께 운영한다. 인도네시아 최초의 자연대(1947년 개설).
- 지구과학부: 기상학, 해양학, 지질공학, 측지학 전공 등.
- 광산석유공학부: 광산공학, 석유공학, 지질탐사공학, 금속공학 전공 등. 인도네시아의 높은 지열 발전 수요에 발맞추어 지열공학(geothermal engineering)도 대학원 과정이 설치되어 있다.
- 산업공학부: 산업공학 외에도 화학공학, 공학물리학, 바이오에너지농산화학, 공학경영학, 식품공학 전공이 설치되어 있다.
- 기계항공공학부: 기계공학, 항공우주공학, 재료공학 전공.
- 토목환경공학부: 토목공학, 환경공학, 해양공학, 수자원공학, 위생공학 전공 등. 인도네시아 최초의 공대(1920년 개설).
- 예술디자인학부: 미술, 공예, 그래픽디자인, 실내디자인, 산업디자인 전공 등. 인도네시아 최초의 미대(1947년 개설).
- 학원(Sekolah): 학부와 유사하게 학사, 석사, 박사 학위 과정이 설치되어 있다.
- 생명과학공학원: 생물학, 미생물학, 생명공학, 농공학, 임산공학, 수확후가공공학 전공 등.
- 약학원
- 전기공학정보과학원: 전기공학, 정보과학, 전력공학, 통신공학 전공 등.
- 건축도시계획정책학원: 건축학, 도시계획학 전공 등.
- 경영학원: 경영학(학사, 석사, 박사), MBA 등 전공.
5. 동문
이 대학교의 동문 중에는 대통령을 포함해 인도네시아의 여러 정치인, 기술관료, 과학자, 사업가 등이 있다. 역사가 오래된 반둥 공대 동문 네트워크는 이들이 강점을 보이는 분야에서는 인도네시아 대학교에 못지 않다. 수하르토 시대, 간혹 오늘날까지도 기세등등한 반둥 공대 출신의 엘리트, 특히 기술관료들은 'ITB 마피아'로 불리기도 했다.5.1. 정치인, 관료
- 수카르노(토목공학, 학사): 건축가, 독립 운동가, 인도네시아 초대 대통령.
-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기계공학, 학사 중퇴): 공학자, 기술관료, 인도네시아 7대 부통령, 3대 대통령.
- 주안다 카르타위자야(Djuanda Kartawidjaja, 토목공학, 학사): 순다계 정치인. 인도네시아의 10대 총리(1957~1959)이자 실질적인 마지막 총리. 이후 인도네시아 총리직은 대통령 수카르노가 겸임하여 유명무실한 직위가 되었다가 1966년 폐지되었다.
- 파즈룰 라크만(Fadjroel Rachman, 화학, 학사 중퇴): 수하르토 시대에 반둥 공대에서 반독재 학생운동을 하다 오랫동안 옥살이를 하면서 졸업하지 못함. 반둥 공대 중퇴 후 28세로 인도네시아 대학교 경제학부에 입학하여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까지 취득. 이후 정치 평론, 학술 활동을 병행하며 정계 입문, 조코 위도도 캠프에 합류하여 2014년 대선 승리 후 카자흐스탄 대사, 인도네시아 대통령 대변인 등을 역임함.
- 기난자르 카르타사스미타(Ginandjar Kartasasmita, 학사 중퇴): 장학금을 받아 일본에 유학하기 위해 중퇴하고, 도쿄농공대학에서 화학공학 전공으로 학사 졸업. 이후 인도네시아 공군에 연구직으로 있다가 수하르토 정권에서 정부 관료로 기용되어 광업에너지장관, 경제조정장관 등 역임. 특히 아시아 금융 위기 때 인도네시아의 위기 대응을 지휘한 관료 중 하나. 이후 인도네시아 상원 의장, 인도네시아 대통령 자문회의 위원 등을 지냈다.
5.2. 재계
- 아크맛 자키(Achmad Zaky, 정보과학, 학사): 인도네시아 전자 상거래 분야 3위 플랫폼 부칼라팍(Bukalapak) 공동창립자, CEO.
- 치푸트라(Ciputra, 건축학, 학사): 인도네시아 재계 서열 상위의 부동산 사업가, 유명 자선 활동가.
- 아부리잘 바크리(Aburizal Bakrie, 전기공학, 학사): 재벌. 에너지, 부동산 사업가로 바크리 그룹 전 총수. 전 경제조정장관, 전 복지조정장관, 전 골카르 당 대표.
- 카렌 아구스티아완(Karen Agustiawan, 공학물리학, 학사): 인도네시아 최대 에너지 그룹 Pertamina CEO. 2011년 포브스지의 '아시아 50대 여성 기업가' 중 하나로 선정.
- 리날디 피르만샤(Rinaldi Firmansyah, 전기공학, 학사): 기업가, 전 텔콤(Telkom) CEO.
5.3. 과학자
- 판투르 실라반(Pantur Silaban, 물리학, 학사): 인도네시아의 1세대 물리학자. 일반 상대성 이론 및 대통일 이론 연구. 시라큐스 대학교 박사.
- 카를리나 수펠리(Karlina Supelli, 천문학, 학사): 철학자, 천문학자. 런던 대학교 천문학 석사, 인도네시아 대학교 철학 박사.
- 초코르다 라카 수카와티(Tjokorda Raka Sukawati, 토목공학, 학사): 공학자. 고가 도로 건설에 관한 소스로바후(Sosrobahu) 설계를 고안함. 가자마다 대학교 박사.
- 로비 무하맛(Roby Muhamad, 물리학, 학사): 사회학자. 인도네시아 대학교 강사. 반둥 공대에서 이론물리학으로 석사 학위 취득 후 사회학으로 틀어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수학적 기법을 사회학에 응용한 작은 세상 네트워크(small-world network) 등의 연구로 알려져 있다.
- 사마운 사마디쿤(Samaun Samadikun, 전기공학, 학사): 공학자. 전기공학, 원자핵공학 등을 연구함. 스탠퍼드 대학교 박사.
- 밤방 히다얏(Bambang Hidayat, 천문학, 학사): 인도네시아의 1세대 천문학자. 쌍성 연구 등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최초의 인도네시아 천문학자. 유럽, 미국에서 연구 후 인도네시아로 돌아와 천문대 소장, 반둥 공대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를 지속했다. 1977년 발견된 별에 그의 이름 '히다얏'이 붙었다. 국제천문연맹 부총장(1994~2000)이기도 했다.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박사.
- 위나르디 수탄툐(Winardi Sutantyo, 천문학, 학사): 천체물리학자. 초신성, 펄서, 쌍성계 등을 연구함. 암스테르담 대학교 박사.
- 치아 마이 온(Tjia May On, 물리학, 학사): 물리학자. 노스웨스턴 대학교 박사.
- 오노 위도도 푸르보(Onno Widodo Purbo, 전기공학, 학사): 전기공학자, 컴퓨터공학자, 리눅스 옹호자. 워털루 대학교 박사.
5.4. 예술가
미술 분야에서도 오늘날 인도네시아의 주요 작가 일부가 ITB에서 배출되었다. ITB 미대의 학풍과 동문 작가는 욕야카르타 인도네시아 예술대학교, 자카르타 예술대학교 등과 달리 특히 추상미술에서 강점을 보이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하는 인도네시아 현대 미술에 관심이 있다면 기억할 정도로 유명한 ITB 미대 출신 작가 일부이다.- 독립 후 1950~1960년대 세대: 수카르노 시대에 ITB에서 큐비즘과 추상회화를 가르친 네덜란드 미술가 리스 뮐더르(Ries Mulder) 등의 지도하에 공부한 인도네시아 추상미술 1세대. 소위 '반둥 화파'.
- 목타르 아핀(Mochtar Apin)
- 아맛 사달리(Ahmad Sadali)
- 우미 다클란(Umi Dachlan)
- 유스 리잘(Yoes Rizal)
- 압둘 잘릴 피로우스(Abdul Djalil Pirous)
- 포포 이스칸다르(Popo Iskandar): 예외로 비교적 사실주의적이었음[5]
- 1970~1980년대
- 짐 수팡캇(Jim Supangkat): 70~80년대 '신조형예술 운동'(Gerakan Seni Rupa Baru)의 반둥 측 참가자
- 뇨만 누아르타(I Nyoman Nuarta): 신조형예술 운동 참가자
- 사넨토 율리만(Sanento Yuliman): 신조형예술 운동 참가자
- 셈사르 시아한(Semsar Siahaan): 수하르토 독재에 저항했던 대표적 작가 중 하나
- 아라마이아니(Arahmaiani): 1980~1990년대 중요 페미니스트 퍼포먼스 예술가
- 아구스 수와게(Agus Suwage)
- 티스나 산자야(Tisna Sanjaya)
- 동시대
- 아린 드위하르탄토 수나료(Arin Dwihartanto Sunaryo)
- 앨버트 요나탄 스탸완(Albert Yonathan Setyawan)
- 아증 마르티아 사푸트리(Ajeng Martia Saputri)
- 크리스틴 아이 추(Christine Ay Tjoe)
6. 입시
이상에 나열한 학부 및 학원 목록에서 알 수 있듯, 이공학 분야에서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폭넓은 영역을 포괄하는 전공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천문학을 학부 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대학은 인도네시아에서 2021년 기준 반둥 공대가 유일하며, 기상학 및 항공우주공학 역시 인도네시아에서는 흔하지 않은 전공이다. 2021년 기준 반둥 공대는 인도네시아 대학교나 가자마다 대학교 등이 실시하는 독자 입학 시험은 시행하지 않으며, 국공립대 통합 입학 사정 SBMPTN, SNMPTN으로 학생들을 선발하고 있다.입시에서는 전통적으로 전화기에 해당하는 전기공학정보과학원, 산업공학부, 기계항공공학부가 강세를 보여 왔다. 반둥 공대는 인도네시아에서 인도네시아 대학교와 함께 가장 입학하기 어려운 대학으로 꼽히므로 반둥 공대 인기 학부의 역사적 변천을 보면 해당 시점 인도네시아의 유망 기술 직군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 가령 석유 회사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취업처이던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전기공학정보과학원, 산업공학부와 함께 광산석유공학부가 가장 인기 있는 학부였지만, 오늘날(2019년 기준)에는 광산석유공학부가 토목환경공학부, 자연과학부 등보다도 낮은 입학 점수를 요구하고 있다.[6]
[1]
네덜란드식 교육 제도에서 'hogeschool'은 4~5년제로 운영되며
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고등교육 기관이다. 공학
전문학사 과정에 해당하는 고등교육 기관은 'Hogere technische school(HTS)'이라는 것이 따로 있었다.
[2]
"The first female engineer in Bandung," TU Delta, last modified 2020, accessed Nov 16, 2021, https://www.delta.tudelft.nl/article/first-female-engineer-bandung.
[3]
정식으로 사람을 소개할 때 이런저런 학위를 주렁주렁 적는 유럽 대륙이나 이를 본받은 인도네시아어 문서에서는 이런 학위까지 밝혀 적는 경우가 있다.
수카르노의 경우 'Dr. (H.C.) Ir. Soekarno'라고 하는데, '공학 디플로마를 받은 엔지니어(Ir.)이고
명예박사인 수카르노'라는 뜻이다.
[4]
입학생 중 유럽계가 많았기 때문인데, 1930년대에는 재학생 중 유럽계와 토착민이 비슷한 비율로 맞춰진다.
[5]
반대로 비슷한 세대 파자르 시딕(Fadjar Sidik)의 화풍은 사실주의가 강세였던
욕야카르타에서 헨드라 구나완 문하에서 공부했음에도 예외적으로 추상적이었다.
[6]
"Ingin Masuk ITB? Ini Kisaran Nilai Passing Grade UTBK Lolos SBMPTN." Kompas. Last Modified 21 Jan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