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15:52:03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ccTLD에서 넘어옴
1. 개요2. Domain hack
2.1. 도메인이 특별한 의미를 가진 단어인 경우2.2. 기타
3. 국가별 ccTLD 코드
3.1. A3.2. B3.3. C3.4. D3.5. E3.6. F3.7. G3.8. H3.9. I3.10. J3.11. K3.12. L3.13. M3.14. N3.15. O, P, Q3.16. R3.17. S3.18. T3.19. U3.20. V, W3.21. Y3.22. Z

1. 개요

영어로 "country code Top-Level Domain". 줄여서 "ccTLD"라고 부른다.

ISO에서 규정한 ISO 3166-1 국가코드 표준을 기준으로 각 국가마다 할당된 최상위 도메인이다. 이 ccTLD는 두글자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반대로 이 목적 이외의 다른 도메인을 2글자로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외적으로 유럽연합 영국은, 코드는 두 글자 이지만 ISO 표준이 아닌 문자를 쓴다. 정확히는 .eu는 EU가 유럽연합용 ISO 코드로 예약돼 있고, .uk는 UK가 영국용 ISO 코드로 예약(정식 코드는 GB이며 .gb도 거의 쓰이진 않아도 등록은 돼 있다)돼 있어서 등록된 것이다. 그밖에도 영국령 어센션 섬 용 코드로 AC가 예약돼 있어서 .ac 도메인도 등록되었다. 국가는 통일(흡수)이나 분리 독립 등의 이유로 새로 생기거나 사라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호가 바뀌는 경우도 있는데, 이에 따라 ISO 3166-1 코드가 바뀌게 된다. 그럴 경우 이에 맞추어 시간차를 두고 ccTLD도 갱신된다. 다만, 소련(.su) 같이 기존 도메인도 살아서 그냥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SU 자체가 ISO 코드로 예약돼서 유지되고 있어서 가능한 일이었다.

한국의 .kr처럼 몇몇 국가의 도메인은 본래 3단계나 그 이상의 형태[1]로 쓰도록 되어 있었다. aaa.co.kr이나 aaa.go.kr[2] 같이 쓰는 도메인만 허용되었다는 뜻. 그러다 이런 국가들 상당수가 이 제한을 폐지하면서 aaa.kr 같이 2단계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프랑스의 .fr처럼 원래부터 2단계로만 사용하던 국가 도메인도 있긴 하다. 이건 전적으로 해당 국가의 정책에 따라 달라진다.

관리기관은 각 정부의 국가기관 혹은 국가로부터 위탁받은 민간기관이다. 그렇기 때문에 등록 수수료 및 각종 정책이 국가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자국민이나 자국 기업/단체에게만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게 하는 국가도 있고, 아예 전세계 누구나 돈만 내면 등록할 수 있게 해 주는 국가도 있다.

국가에 따라서는 ccTLD의 운영권한을 민간기업에 "매각"해서 돈을 버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투발루는 미국의 Verisign에 .tv 도메인의 운영권을 맡기면서 자국 연간 GNI의 1/12에 해당되는 금액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미국의 GoDaddy Registry (당시 neustar)는 콜롬비아의 .co를 관할하는 민간기업을 1억 달러에 인수하기도 했다. 또 Freenom이라는 회사에서는 .tk .ml .ga .cf .gq 국가도메인의 운영권한을 구매해, 이 TLD들의 도메인 등록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단, 국가에 할당되는 코드라는 특성 상 해당 국가의 상태나 정치적 상황에 따라 도메인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의 "ccTLD"인 ".kr"은, 국가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관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자국 명의의 도메인 등록 대행 업체만 등록대행을 허가해주고 있다. 또한, .kr 도메인은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 등에 의해 보호받고 있기 때문에, 도메인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국가에서 개입이 가능하다.

2. Domain hack

도메인을 더 잘 기억하게 만들기 위해서 적절한 최상위 도메인(특히 ccTLD가 많이 쓰임)을 골라서 이용하는 행위를 domain hack이라 한다. 여기서 hack은 범죄적인 크래킹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작자의 의도와 다르게 바꿔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특이한 국가도메인을 가진 나라는 자기네 나라 국가 도메인을 팔아서 외화벌이를 하기도 하는데, 통가 투발루 같은 나라가 대표적이다.

2.1. 도메인이 특별한 의미를 가진 단어인 경우

  • 투발루(.tv) - 텔레비전을 연상시키는 단어라 여러 국가의 방송사들이 사용하고 있다. 투발루는 도메인의 관리 권한을 미국 회사에 자기 나라 1년 GDP보다 비싼 돈을 받고 팔았고, 방송 관련 업체들이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트위치(twitch.tv)가 이 도메인을 사용한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fm) - FM방송을 연상시키는 단어라 라디오 방송사들이 사용하기도 한다. 물론 ASKfm(ask.fm)처럼 특별한 이유 없이 .fm 도메인을 쓴 경우도 당연히 있다.
  • 포클랜드 제도(.fk) - 을 뜻한다.
  • 라트비아(.lv) - 영어 단어 love를 자음만 표기한 것 같기 때문에 때문에 잘 팔린다고 한다.
  • 몬테네그로(.me) -영어 목적형 1인칭 단수 대명사이다. tell.me, look.me, love.me 같은 도메인을 만들 수 있다.
  • 말레이시아(.my) -영어 1인칭 표현중에서 나의 것을 뜻하는 형용사
  • 영국령 인도양 지역(.io) - IO가 input/output(입출력)의 약자이기 때문에 IT 기업들이 사용한다. 특히, Agar.io를 비롯한 여러 io게임이 이 도메인을 사용중이다. 그런데 2024년 10월, 영국이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섬의 주권을 포기하면서 도메인 네임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졌다. .io의 유행을 시작한 구글부터 깃허브 등 다수의 초대형 기업들이 사용중인 만큼 만약 도메인이 사라지게되면 큰 파장이 예상된다. .yu처럼 국가코드 tld는 다분히 정치적인 이유로 사라질 수 있기때문에 유일한 도메인으로 쓰는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는 점의 훌륭한 예시가 되었다.
  • 건지 섬(.gg) - GG라는 의미 때문에 게임 e스포츠 관련 사이트에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OP.GG가 있다.
  • 콜롬비아(.co) - .com 보다 짧다! 예를 들어 vine.co을 쓰는 바인같은 회사도 있고, 트위터 단축 도메인으로 t.co 사용하고 있다.[3][4]
  • 카메룬(.cm) - .com의 줄임말처럼 사용된다.
  • 코코스 제도(.cc) - 골프장(country club), 자전거 관련 단체 (cycling club) 등에서 사용중이다.
  • 니카라과(.ni) - 영국 북아일랜드 복잡한 관계 때문에, .uk 나 .gb를 쓰는 대신, Northern Ireland의 약자를 따와서 니카라과의 .ni 도메인을 쓰는 업체들이 늘어 나고 있다
  • 미국(.us) - 영어로 '우리'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band.us, zoom.us 등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가끔씩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미국 시민권자나 법인, 혹은 미국에 사무실이 있거나 미국에서 정기적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미국 외 법인만 등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른 도메인이 지원하는 WHOIS 정보 숨김 서비스 등을 사용할 수 없다.
  • 어센션 섬(.ac) - 독일 아헨 시의 자동차 번호판 코드가 AC라서 아헨 관련 사이트들이 종종 .ac 도메인을 구입하는 편이다. 또 ac는 academy, academic을 연상시키므로 대학 고등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앵귈라(.ai)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영어 약자 AI를 따서 인공지능 관련 단체들이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2018년 보고서에서 앵귈라 정부가 ai 도메인 판매로 얻은 이익은 3천만 동카리브 달러였다. 같은 해 앵귈라의 국가 예산이 2억 2천만 동카리브 달러라는 걸 생각해 보면 어마어마한 금액.
  • 이탈리아(.it) - 정보기술, 드물게 영어 대명사 it
  • 몰도바(.md) - Medical Doctor라는 의미로 의학 단체에서 사용한다. 그리고 노트앱으로 유명한 옵시디언에서도 해당 도메인을 사용하는데 md가 마크다운 문서파일의 확장자이고 옵시디언 역시 마크다운 포맷 중심의 노트앱이기 때문

2.2. 기타

일본의 에로게메이커 minori의 도메인은 .ph로 되어있다. 그런데, 모종의 사건으로 인해 일본 이외로부터의 IP 접속을 모조리 차단해 버렸다. 그래서 필리핀 도메인임에도 불구하고, 필리핀에서는 이 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다.

3. 국가별 ccTLD 코드

3.1. A

ccTLD 사용 국가명
.ac 어센션 섬
.ad 안도라
.ae 아랍에미리트
.af 아프가니스탄
.ag 앤티가 바부다
.ai 앵귈라
.al 알바니아
.am 아르메니아
.an 네덜란드령 안틸레스[5]
.ao 앙골라
.aq 남극
.ar 아르헨티나
.as 미국령 사모아
.at 오스트리아
.au 오스트레일리아(호주)
.aw 아루바
.ax 올란드 제도
.az 아제르바이잔

3.2. B

ccTLD 사용 국가명
.ba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bb 바베이도스
.bd 방글라데시
.be 벨기에
.bf 부르키나파소
.bg 불가리아
.bh 바레인
.bi 부룬디
.bj 베냉
.bm 버뮤다
.bn 브루나이
.bo 볼리비아
.br 브라질
.bs 바하마
.bt 부탄
.bv 부베 섬[노르웨이]
.bw 보츠와나
.by 벨라루스
.bz 벨리즈

3.3. C

ccTLD 사용 국가명
.ca 캐나다
.cc 코코스 제도
.cd 콩고민주공화국
.cf 중앙아프리카공화국
.cg 콩고 공화국
.ch 스위스[7]
.ci 코트디부아르
.ck 쿡 제도
.cl 칠레
.cm 카메룬
.cn 중국
.co 콜롬비아
.cr 코스타리카
.cs 체코슬로바키아[8]
.cu 쿠바
.cv 카보베르데
.cw 퀴라소
.cx 크리스마스 섬
.cy 키프로스
.cz 체코

3.4. D

ccTLD 사용 국가명
.de 독일
.dj 지부티
.dk 덴마크
.dm 도미니카 연방
.do 도미니카 공화국
.dz 알제리

3.5. E

ccTLD 사용 국가명
.ec 에콰도르
.ee 에스토니아
.eg 이집트
.er 에리트레아
.es 스페인
.et 에티오피아
.eu 유럽연합[9]

3.6. F

ccTLD 사용 국가명
.fi 핀란드
.fj 피지
.fk 포클랜드 제도
.fm 미크로네시아 연방
.fo 페로 제도
.fr 프랑스

3.7. G

ccTLD 사용 국가명
.ga 가봉
.gb 영국[10]
.gd 그레나다
.ge 조지아
.gf 프랑스령 기아나
.gg 건지 행정관 관할구
.gh 가나
.gi 지브롤터
.gl 그린란드
.gm 감비아
.gn 기니
.gp 과들루프
.gq 적도 기니
.gr 그리스
.gs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gt 과테말라
.gu
.gw 기니비사우
.gy 가이아나

3.8. H

ccTLD 사용 국가명
.hk 홍콩
.hm 허드 맥도널드 제도
.hn 온두라스
.hr 크로아티아
.ht 아이티
.hu 헝가리

3.9. I

ccTLD 사용 국가명
.id 인도네시아
.ie 아일랜드
.il 이스라엘
.im 맨 섬
.in 인도
.io 영국령 인도양 지역
.iq 이라크
.ir 이란
.is 아이슬란드
.it 이탈리아

3.10. J

ccTLD 사용 국가명
.je 저지 행정관 관할구
.jm 자메이카
.jo 요르단
.jp 일본

3.11. K

ccTLD 사용 국가명
.ke 케냐
.kg 키르기스스탄
.kh 캄보디아
.ki 키리바시
.km 코모로
.kn 세인트 키츠 네비스
.kp 북한
.kr 대한민국[11]
.kw 쿠웨이트
.ky 케이맨 제도[12]
.kz 카자흐스탄

3.12. L

ccTLD 사용 국가명
.la 라오스
.lb 레바논
.lc 세인트 루시아
.li 리히텐슈타인
.lk 스리랑카
.lr 라이베리아
.ls 레소토
.lt 리투아니아
.lu 룩셈부르크
.lv 라트비아
.ly 리비아

3.13. M

ccTLD 사용 국가명
.ma 모로코
.mc 모나코
.md 몰도바
.me 몬테네그로
.mg 마다가스카르
.mh 마셜 제도
.mk 북마케도니아
.ml 말리
.mm 미얀마
.mn 몽골
.mo 마카오
.mp 북마리아나 제도
.mq 마르티니크
.mr 모리타니
.ms 몬트세랫
.mt 몰타
.mu 모리셔스
.mv 몰디브
.mw 말라위
.mx 멕시코
.my 말레이시아
.mz 모잠비크

3.14. N

ccTLD 사용 국가명
.na 나미비아
.nc 누벨칼레도니
.ne 니제르
.nf 노퍽 섬
.ng 나이지리아
.ni 니카라과
.nl 네덜란드
.no 노르웨이
.np 네팔
.nr 나우루
.nu 니우에
.nz 뉴질랜드

3.15. O, P, Q

ccTLD 사용 국가명
.om 오만
.pa 파나마
.pe 페루
.pf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pg 파푸아뉴기니
.ph 필리핀
.pk 파키스탄
.pl 폴란드
.pm 생피에르 미클롱
.pn 핏케언 제도
.pr 푸에르토리코
.ps 팔레스타인
.pt 포르투갈
.pw 팔라우
.py 파라과이
.qa 카타르

3.16. R

ccTLD 사용 국가명
.re 레위니옹
.ro 루마니아
.rs 세르비아
.ru 러시아
.rw 르완다

3.17. S

ccTLD 사용 국가명
.sa 사우디아라비아
.sb 솔로몬 제도
.sc 세이셸
.sd 수단
.se 스웨덴
.sg 싱가포르
.sh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13]
.si 슬로베니아
.sj 스발바르 제도 얀마웬 섬[노르웨이]
.sk 슬로바키아
.sl 시에라리온
.sm 산마리노
.sn 세네갈
.so 소말리아
.sr 수리남
.ss 남수단
.st 상투메 프린시페
.su 소련[15]
.sv 엘살바도르
.sy 시리아
.sx 신트마르턴
.sz 에스와티니

3.18. T

ccTLD 사용 국가명
.tc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td 차드
.tf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tg 토고
.th 태국
.tj 타지키스탄
.tk 토켈라우
.tl 동티모르
.tm 투르크메니스탄
.tn 튀니지
.to 통가
.tr 튀르키예
.tt 트리니다드 토바고
.tv 투발루[16]
.tw 대만
.tz 탄자니아

3.19. U

ccTLD 사용 국가명
.ua 우크라이나
.ug 우간다
.uk 영국[17]
.um 미국령 군소 제도[18]
.us 미국[19]
.uy 우루과이
.uz 우즈베키스탄

3.20. V, W

ccTLD 사용 국가명
.va 바티칸 시국
.vc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ve 베네수엘라
.vg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vi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vn 베트남
.vu 바누아투
.wf 왈리스 퓌튀나
.ws 사모아

3.21. Y

ccTLD 사용 국가명
.ye 예멘
.yt 마요트
.yu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20]

3.22. Z

ccTLD 사용 국가명
.za 남아프리카 공화국
.zm 잠비아
.zr 자이르[21]
.zw 짐바브웨


[1] 예를 들어 미국의 지방 정부가 .us 도메인을 사용할 경우(단, 미국 정부 전용 일반 최상위 도메인인 .gov를 쓰는 경우도 있다) (지방정부의 유형).(지방명).(소속 주).us 식의 복잡한 형태를 띤다. 예를 들어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시 정부 웹사이트의 도메인은 http://www.city.cleveland.oh.us이다. 이런 복잡한 형태는 일본에서도 따라해서 지방자치단체 주소가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지방자치단체).(소속 도도부현).lg.jp(여기서 lg는 local government라는 뜻)나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지방자치단체).(소속 도도부현).jp 형태를 띈다. 단 정령지정도시는 이 도메인 체계에서 소속 도도부현 부분을 쓰지 않는 특권을 부여 받는다. [2] 그러나 일부 국가는 2단계째가 두 자가 아닌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mof.gov.tw #, mtr.com.hk #, pap.org.sg # 중국 대륙을 제외한 중화권에서 이런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반대로 중국 대륙은 대부분 그냥 .cn 1단계로 쓴다. 고로아와세로 .cn 전이 모조리 숫자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은 건 덤. [3] 어반 딕셔너리에서는 .co를 귀차니즘의 발로라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도 애플이나 구글은 .co까지만 쳐도 콜롬비아( 스페인어)판 사이트로 연결되는 게 아니라 미국 본사 사이트로 리다이렉트 된다. 콜롬비아판 구글을 이용하려면 google.com.co까지 쳐야 한다. [4] 트위터에서는 현재 트윗에 들어간 URL을 t.co라는 트위터 측이 소유하고 있는 자체 도메인으로 연결시킨다(twitter.com을 줄여 쓴 것이다). 예를 들어 https://www.google.com이라는 URL을 트위터에서 입력하면 실제로 링크되는 것은 https://t.co/무작위_문자열 식의 주소인데, 이 주소를 거쳐서 https://www.google.com으로 리다이렉트시켜 준다. 아마 트위터 내부적으로 해당 링크 이용자 통계 등에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중국판 트위터라고 불리는 시나 웨이보는 트위터의 이런 부분까지 다 따라해서 웨이보에 쓴 글에 들어가 있는 URL에 t .cn이라는 도메인으로 링크를 건다. 시나를 의미하는 s.cn나 웨이보를 의미하는 w.cn도 아니고 트위터를 연상시키는 t.cn이라는 도메인을 쓴다는 점에서 트위터 짝퉁임을 자인한 꼴이 되었다. [5] 현재는 퀴라소(.cw), 신트마르턴(.sx), 카리브 네덜란드(네덜란드 본국의 일부)로 해체되었고 도메인도 삭제됨. [노르웨이] .bv와.sj는 노르웨이 도메인 관리 기관인 Norid에서 할당을 받아 놓기는 했으나 도메인 등록을 받지 않아 사실상 안 쓰인다. 그냥 노르웨이 도메인인 .no를 쓴다. [7] .sw가 아닌 .ch인 이유는 스위스의 공용어가 4개나 되기 때문에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라틴어 공식 명칭인 헬베티아 연방(Confoederatio Helvetica)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8] 1993년에 체코(.cz)와 슬로바키아(.sk)로 분리된 뒤, 1995년 경에 삭제됨. ISO에서 CS라는 코드는 2006년부터 ISO로부터 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용 코드로 예약한 상태라 용도가 변경되었다. 하지만 .cs 도메인은 부활하지 않았다. [9] ISO 코드가 아니지만 특례로 추가. 다만 ISO에 EU가 유럽연합 용 코드로 예약돼 있긴 하다. [10] 현재는 .uk에 밀려 사실상 안 쓰이기는 하는데 인터넷 주소 체계의 루트(root)에서 삭제되지 않고 남아 있다고 한다. 영국 정부 산하 기관이었던 국방연구원(DRA)에 dra.hmg.gb라는 도메인이 할당되었는데 이게 삭제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주소라고 한다( 월드 와이드 웹으로는 접근 불가능). 단 국방연구원은 다른 조직으로 개편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아무 소용 없는 주소이다. .gb 도메인이 주로 쓰이던 시절에는 영국 정부에서 .hmg.gb 형태의 도메인을 썼다(이후 .govt.uk로 옮겨갔다가 현재는 .gov.uk를 사용). HMG는 영국 정부의 대내적 공식 명칭인 His/Her Majesty's Government(국왕/여왕 폐하의 정부)의 약자이다. [11] 실상은 개별 앱은 계속 갈라파고스화되는 와중에 거듭된 국제화로 인해 중립 TLD나 국적에 무관한 TLD 핵을 선호하는 사람이 늘어 국가기관이나 토속 기업을 지향하는 일부, 혹은 무료 DNS에 묶인 경우가 아니면 잘 안 쓰인다. 달리 말하면 .co.kr을 보기 힘들어졌다고 보면 된다. [12] 영국 웨일스( 웨일스어: Cymru)에서 민간 단체가 신규 최상위 도메인으로 .cym을 등록하려 하자 케이맨 제도에서 로마자 3글자 짜리 ISO 국가 코드에서 CYM이 자기네 코드임을 내세워 등록을 막았다. 그래서 ICANN에서 .cym을 케이맨 제도의 또 다른 도메인으로 예약시켜 놨으나 아직까지 출범했다는 소식은 없다. 참고로 웨일스에서는 이 사건 이후 자치정부가 나서서 웨일스용 도메인으로 .cymru와 .wales를 추가하였다. [13] SH라는 철자 때문에 사실상 세인트헬레나 전용. 어센션 섬은 따로 .ac를 쓴다. ISO 3166에서 AC가 어센션 섬의 코드로 예약돼 있기 때문에 .ac 도메인을 할당 받았다. 트리스탄다쿠냐에서는 자치정부를 포함해서 그냥 일반 최상위 도메인을 쓴다. ISO 3166에 TA가 트리스탄다쿠냐용 코드로 예약돼 있어서 .ta 도메인을 세계 인터넷 주소 관리 기구인 ICANN으로부터 할당을 받을 수도 있겠지만 수지가 안 맞아서인지 할당 요청을 딱히 안 하고 있다. [노르웨이] [15] 소련은 1991년에 해체되었지만 여전히 쓰이고 있다. ISO 코드에서도 SU가 예약돼 있어 .su 도메인이 유지되고 있는 것. 현재는 러시아가 관리. 주로 압하지아, 남오세티야, 트란스니스트리아 등 친러 분쟁 지역에서 쓰인다. [16] 티비 스트리밍 사이트의 경쟁이 치열함. [17] ISO 코드가 아니지만 영국이 그레이트브리튼의 축약인 GB보다는 연합왕국의 축약인 UK를 선호하여 특례로 .uk를 등록하여 쓰고 있다. 다만 ISO에 UK가 영국용 코드로 예약돼 있긴 하다. 단 과거에는 .gb가 쓰였으며 현재 .gb 산하에 도메인이 하나 살아 있어서 .gb가 완전히 삭제된 건 아니다. G 단락의 설명을 참고할 것. [18] 2008년 4월 20일부로 루트 DNS에서 삭제되고 .us로 통합되었다. [19] 다만 인터넷이 애초에 미국의, 미국에 의한, 미국을 위한 네트워크였다 보니 .us는 잘 안 쓰이는 편이다. 인터넷의 이런 태생적 특성 때문에 미국 웹사이트들은 애초에 일반 최상위 도메인에 속하는 .com, .net, .org를 압도적으로 선호해 왔고, 거기다가 미국 정부 전용인 .gov, 미군 전용인 .mil이 따로 있고 한때 미국 대학 전용이었던 .edu도 있었다 보니 .us라는 도메인을 쓰는 사이트를 찾아 보기가 어려운 것. 지금은 망해서 과거 자료 열람만 가능한 소셜 북마크 사이트 Del.icio.us 정도만 영어권 네티즌들한테 인지도가 있었던 정도에 불과하다. 그래도 영어로 '우리'라는 의미가 있다 보니 이후에도 band.us, zoom.us 등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쓰는 경우를 가끔 볼 수 있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이 도메인 자체를 볼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컴퓨터 교육 서적에서 미국은 국가 도메인이 없다는 식으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래도 있는데도 아예 안 쓰는 건 아니고, 주 정부를 비롯한 지방 정부 등이 .us 도메인을 사용하는 경우는 있다. 하지만 이들이 .gov 하위 도메인을 쓰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us로 끝나는 사이트와 .gov로 쓰는 사이트가 나눠져 있다. [20] 2006년에 세르비아(.rs)와 몬테네그로(.me)로 분리된 뒤, 2010년에 삭제됨. 참고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에도 도메인은 .yu였다. 하지만 ISO에서는 2006년부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Srbija i Crna Gora) 용 코드로 CS를 예약시켜 놓은 상태이다. 과도기용 목적으로 쓸 수 있게 예약시킨 것. 다만 CS는 과거에 체코슬로바키아용 ISO 코드였던 탓에 .cs는 체코슬로바키아 도메인이었다. 현재는 .cs도 삭제. .cs 도메인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용으로 재할당된 적은 없다. [21] 1997년에 콩고민주공화국(.cd)으로 국호가 바뀐 뒤, 2001년에 삭제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