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9:18:06

편의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감마니아에서 제작한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내용은 편의점(게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이곡에 대한 내용은 편의점(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상점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운영 방식별 분류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eee,#000> 도매상 도매 시장
소매상 공공 시장 - 지방 정부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점포가 입점
재래시장 · 수산시장 · 야시장 · 시전 · 벼룩시장
기업형 소매 시장 - 기업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브랜드가 입점
쇼핑몰 · 백화점 · 면세점 · 아울렛
소매점 단독
슈퍼마켓(슈퍼마트) · 할인점(울트라마트) · 편의점 · 대리점 · 체인점 · 플래그십 스토어 · 팝업스토어 · 노점 · 노포
}}}}}}}}}
[ 업종별 분류 ]
}}} ||
1. 개요2. 형태3. 대한민국의 편의점
3.1. 목록
3.1.1. 주요 편의점 브랜드3.1.2. 특수 편의점 브랜드3.1.3. 군소 편의점 브랜드3.1.4. 무인 편의점 브랜드3.1.5. 철수
3.2. 역사3.3. 제공 서비스
3.3.1. 편의점 택배3.3.2. 안전상비의약품3.3.3. 편의점별 충전 및 사용가능한 교통카드
3.4. 할인과 적립
3.4.1. 통신사 멤버십 할인
3.5. 계약과 운영
3.5.1. 포화 상태3.5.2. 불공정 계약 문제3.5.3. 해결책
4. 대한민국 외 국가의 편의점
4.1. 북미
4.1.1. 미국4.1.2. 캐나다
4.2. 중화인민공화국
4.2.1. 홍콩-마카오
4.3. 동남아시아4.4. 유럽4.5. 중남미4.6. 일본
4.6.1. 현존4.6.2. 철수
4.7. 대만4.8. 러시아4.9. 호주4.10. 몽골
5. 편의점 음식6. 편의점을 좋아하거나 관련된 인물
6.1. 실존 인물6.2. 가상 인물
7. 편의점을 소재로 한 매체8. 유관단체9.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attachment/편의점/convenience_store.jpg
통상적인 편의점의 모습
편의점( 便 / Convenience Store)는 편리함(Convenience)을 개념으로 도입된 소형 소매 점포이다. 한국에서는 영어 약어로는 CVS라고 많이 부르지만 사실 이건 일종의 콩글리쉬다. 한국에서는 CVS가 ConVinence Store의 약어라고 흔히 생각하지만, 원래는 Customer Value Store의 약어이며, 그 자체가 미국 편의점 체인의 이름이었다. 포크레인처럼 고유명사가 일반명사화된 경우이며 그 와중에 의미까지 바뀌어 버렸다.

주로 역 주변· 도로변 등 이용하기 편리한 곳에 입지하여 장시간 영업을 한다. 일반적으로 연중무휴 24시간 영업 체제로 생필품을 판매하지만[1], 경우에 따라서는 그렇지 않은 점포도 있다.[2] 맞벌이 부부·독신자 등 비교적 목적 구매 성향이 두드러진 고객을 겨냥하여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2. 형태

편의점은 미국인들의 편의 지향 생활 방식이 낳은 종합 소매업의 한 형태이다. 아파트 밀집지역이나 사람과 차량 등의 통행이 많은 곳에서 소비자가 각종 생활용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장시간 영업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편의점의 발상은 미국 유럽이 약간의 차이가 있다. 미국의 편의점은 1920년대 교외의 농산물 유통업자가 신선식품 매장을 낸 데서 비롯한 반면, 유럽의 편의점은 과거 시가지에 위치하던 잡화점이 현대화된 것이 기원에 해당한다. 현대로 와서는 미국의 편의점이 도시로 진입하고 유럽의 편의점이 체인화와 대형화를 겪으면서 서로 비슷해져 가는 경향이지만, 여전히 교외 스프롤링이 덜하고 시내에 대규모 건축물이 적은 유럽의 특성상 차이는 있으며 특히 미국의 편의점이 1960년대 이후 24시간 영업이 도입된 데 비해 유럽은 노동이나 환경 관계 규제로 24시간 영업은 매우 드물다.[3] 대표적인 미국식 편의점으론 현재 미국 전역에 빅 3사(社)로 불리는 세븐일레븐[4]·데어리마트사[5]·서클K사 등에서 20,000 여 점포를 내고 있으며, 유럽식 편의점의 대표주자인 SPAR는 1932년 네덜란드에서 창립해 세계적으로 30,000여 개의 점포를 열고 있으며 자율적으로 운영된다.[6] 일본을 위시한 아시아의 편의점은 대체로 시작이 미국 체인의 라이센스 도입인 만큼 미국식의 파생형으로 볼 수 있다.

점포 형태로는 교외형과 도심형으로 나눌 수 있다. 편의점의 발상지인 미국은 시외의 신선식품 소매점에서 시작해서 주유소를 병행하는 형태로 발달했으며, 일본은 도심에서 시작했으나 점차 외곽으로 확산되면서 점포가 도로변 단층 점포에 주차장을 갖춘 교외형 점포가 다수를 차지한다. 반면 외곽까지 고밀도 개발이 일반적인 한국에서는 비도심 주거지역에도 상가 건물에 입주한 소규모 점포가 대부분이다. 점포 규모 또한 미국이나 중국이나 영국이나 일본 등이 평균 200~400㎡ 정도로 운영하는 데 비해 한국 편의점의 통상적인 규모는 60~100㎡ 수준이다.

한국의 경우, 편의점과 유사한 무인가게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공개시스템>정보공개서>정보공개서 열람 여기에서 업체별로 지역별 점포수까지 볼 수 있다. 특히 무인 아이스크림 판매점은 편의점의 범주에 속한다는 대법원 판례(2023다270047)가 나왔다.

3. 대한민국의 편의점

3.1.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요 편의점 브랜드[A]
파일:GS25 로고.svg 파일:CU 로고.svg 파일:세븐일레븐 한국판 로고.svg 파일:이마트24 로고.svg
특수 편의점 브랜드[B]
파일:스토리웨어 로고.svg 파일:하나로미니 로고.svg 파일:와마트.png
군소 편의점 브랜드[C]
한국IGA 계열 브랜드
파일:IGA마트.png 파일:IGA마트+.png 파일:IGA익스프레스.png 파일:온앤오프24.png
더맘마[우린] 계열 브랜드 홈웨이 계열 브랜드
파일:씨스페이스 로고.svg 파일:블루25.jpg 파일:홈웨이.png 파일:스마트24.png
기타 브랜드
파일:편의점사랑.png 파일:레몬비 로고.jpg 파일:로그인 편의점 로고.svg 파일:포시즌마트.png
파일:데이앤데이 로고.png 파일:마마트.png 파일:해빛로고.png 파일:알리바이 로고.svg
파일:하프타임.png 파일:베스트올.png 파일:웨이스탑.png 파일:행복플러스25시.png
파일:웨더 편의점 1.png 파일:굿앤굿스 로고.png 파일:개그스토리마트 로고.svg 파일:오케이365.png
가맹점 모집 종료 편의점 브랜드[D]
파일:인더라인25.png 파일:ing25.png 파일:우리들.jpg 파일:미스터마트.jpg
{{{#!wiki style="margin: -2px"
미스터마트[6개]}}} ||
파일:솔드아웃.png 파일:굿타임24 로고.jpg 파일:굿마트.png 파일:오렌지데이.jpg
무인 편의점 브랜드[무인]
파일:신구멍가게.png 파일:마켓무 로고.png 파일:봉봉24.png 파일:Hi24 로고.png
파일:무인플러스마트.png 파일:마켓101.png 파일:안자는가게 로고.png 파일:뉴들365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없어진 편의점 펼치기 · 접기 ]
합병된 편의점 브랜드
파일:미니스톱 로고.svg 파일:바이더웨이 로고.svg 파일:로손화질개선.png 파일:써클K 로고.png
주유소 편의점 브랜드
파일:ampm.png 파일:OK마트.png 파일:조이마트 로고.png 파일:한화 로고(1994~2007).svg
기타 편의점 브랜드
파일:365plus_bi_edited.gif 파일:베스토아 로고.jpg 파일:스파 로고2.png 파일:롯데세븐.png
}}}}}}
[ 각주 펼치기 · 접기 ]

[A] 점포 수 1000개 이상 [2] 구 LG25 [3] 구 훼미리마트 [4] 구 롯데마트(역흡수), 흔히 알고있는 대형마트 롯데마트가 아니라 1993년에 존재했던 롯데그룹 편의점 브랜드이다. 이후 롯데그룹 1994년 코리아세븐을 인수하면서 모든 롯데마트 점포가 세븐일레븐으로 역흡수되어 간판을 바꾸었다. [5] 구 위드미 [B] 공기업 및 협동조합 산하 [7] 한국철도공사 산하의 코레일유통이 운영 [8] 원래는 농협경제지주 산하의 농협하나로유통이 운영했으나, 2023년에 철수하면서 현재는 농협중앙회 산하의 각 지역농협이 운영 [9] 국방부 산하의 국군복지단이 운영 [10] 육군에서는 PX, 공군에서는 BX로 불린다. 해군/ 해병대는 PX 민영화 사업으로 GS25가 운영 중이므로 제외. 공식적인 명칭은 '충성클럽'을 거쳐 현재는 '와마트(WA Mart)' 등으로 불린다. [C] 점포 수 1000개 미만 [180개] 2021년 기준, IGA마트 IGA마트+ IGA익스프레스 통합 점포 수 [8개] 2023년 기준 [무인] 모든 점포가 완전 무인으로 운영 [우린] 기존에 씨스페이스24 블루25를 운영하던 (주)우린을 2023년에 더맘마가 인수하였다. [390개] 2024년 기준 [77개] 2023년 기준 [26개] 2023년 기준 [8개] 2023년 기준 [무인] 모든 점포가 완전 무인으로 운영 [63개] 2023년 기준 [59개] 2021년 기준 [58개] 2023년 기준, 2020년 당시 153개 [55개] 2023년 기준, 2018년 당시 99개 [54개] 2023년 기준 [49개] 2021년 기준 [77개] 2023년 기준 [46개] 2023년 기준 [38개] 2022년 기준 [37개] 2022년 기준 [30개] 2023년 기준 [24개] 2023년 기준 [14개] 2023년 기준 [12개] 2023년 기준 [5개] 2023년 기준, 2020년 당시 198개 [2개] 2023년 기준 [D] 홈페이지 사라짐 • 가맹사업 및 가맹점 모집은 종료되었지만 남은 점포들은 운영 중 [45개] 2023년 기준 [25개] 2023년 기준 [13개] 2023년 기준 [6개] 2022년 기준 [7개] 2023년 기준 [19개] 2023년 기준 [29개] 2023년 기준 [5개] 2023년 기준 [무인] 모든 점포가 완전 무인으로 운영 [173개] 2022년 기준 [76개] 2023년 기준 [56개] 2023년 기준 [21개] 2022년 기준 [18개] 2023년 기준 [15개] 2023년 기준 [6개] 2023년 기준 [3개] 2023년 기준 [세븐일레븐] [세븐일레븐] [세븐일레븐] [씨스페이스24] [59] 유공(현 SK에너지)의 브랜드, 미국과의 계약 종료 후 모든 점포가 OK마트로 변경됨 [60] SK네트웍스(구 SK글로벌)의 브랜드, 사업 철수 후 모든 점포가 CU로 전환됨 [61] 구 LG스타 [62] GS칼텍스(구 LG칼텍스정유)의 브랜드, 사업 철수 후 모든 점포가 GS25에 합병됨 [63] 한화에너지(현 현대오일뱅크)의 브랜드, 일자미상으로 사업 철수 [64] 구 홈플러스365 [65] 구 스파/핫스파 [66] 한국 최초의 편의점 브랜드, 세븐일레븐과는 관련없는 롯데쇼핑의 별도의 브랜드이다.
}}}}}}}}} ||


3.1.1. 주요 편의점 브랜드

한국편의점산업협회 소속 5개사 중 규모 격차가 큰 씨스페이스24를 뺀 나머지를 4대 편의점[7]으로 부른다. 출점 거리 제한 자율 규제나 모바일 신분증 등의 정부 및 지자체 정책도 이들 회원사 위주로 시행되는 편이다.

본 문단의 점포 수는 2023년 연말 기준.

3.1.2. 특수 편의점 브랜드

3.1.3. 군소 편의점 브랜드

3.1.4. 무인 편의점 브랜드

3.1.5. 철수

  • 롯데세븐: 1982년 롯데쇼핑이 한국 최초로 차린 편의점 체인으로, 사업 여건이 성숙치 않아 1984년경에 철수했다.
  • 롯데마트: 1993년 롯데쇼핑이 다시 차린 편의점 체인으로, 1994년에 코리아세븐을 인수하면서 점포가 역으로 흡수됐다.
  • 스파메트로: 1993년 미도파에서 슈퍼마켓부문이 분리된 독립법인으로, 1997년 외환위기로 대농그룹이 부도나자 이듬해 철수했다.
  • 베스토아: 1994년 진로그룹이 세운 편의점 체인업체로, 주로 수도권에서만 장사하다 1997년 모기업이 어려워져 화의신청을 했으나, 2001년 화의취소 후 청산되었다.
  • 러브M: 매일유업이 진출했던 편의점이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철수
  • OK마트(구 ampm): ampm은 미국 남부 지역에서 사업 중인 편의점. 1991년 유공 계열의 석유 대리점 업체들이 합작하여 세운 ampm코리아를 통해 한국에 진출하였고, 1994년에 그 법인이 삼양석유에 합쳐졌다가 삼양석유 역시 삼일사에 합쳐져 'SK에너지판매'로 출범하는 과정에서 스피드메이트로 이관됐고, 1998년 스피드메이트 법인이 SK에너지판매로 합쳐지기도 했다. 1999년 철수하며 모든 점포명이 OK Mart로 전환되었고, 2000년 운영사였던 SK에너지판매가 SK상사로 합쳐지기도 했다. 2012년 SK네트웍스 측에 의해 OK Mart 사업도 정리되며 점포가 CU로 넘어갔다.
  • 조이마트(구 LG스타): 1996년 LG칼텍스정유가 'LG스타'란 명칭으로 개점해 1999년 해당 명칭으로 변경했다. 2008년 GS엠비즈로 운영권을 넘겼다가 2013년 철수했으며, 이후 점포는 GS25가 되었다. 여담으로 LG스타일 시절 1997년작 영화 접속에서 극중 주인공 동현( 한석규)이 자주 들리는 편의점으로 등장한 적이 있다.
  • 훼미리마트: 1990년에 (주)보광 CVS사업부를 통해 한국에 진출했으나, 2012년 8월에 계약 해지로 철수했다. 이후 자체브랜드 CU로 대체.
  • 바이더웨이: 1990년에 동양그룹 시절 개점한 편의점이었다. 2001년 오리온그룹 분가 때 합류했다가 2007년 미국 유니타스캐피탈을 거쳐 2010년에 롯데그룹 인수 후 브랜드가 세븐일레븐과 합병하면서 사라졌다. 2020년 1월 1일에 법인마저 (주)코리아세븐에 합병되면서 완전히 사라졌다.
  • 미니스톱 - 일본계. 대한민국에서는 일본 이온그룹과 한국 대상그룹이 합작으로 운영하고 있다가 대상이 지분을 팔아서 100% 일본 지분업체. 2021년 9월 말 기준 2,639개. 2022년 코리아세븐에 지분 전량을 매각하고 철수했다.
  • 365플러스 - 홈플러스 계열. 2021년 11월 현재 11개. 2021년 3월 기사에서는 지속적으로 폐점이 늘다가 2022년 1월 1일 이후 남은 11개 지점 중 7개는 다른 브랜드로 갈아타고 4개는 폐점하였다.

3.2. 역사

대한민국에선 롯데쇼핑 1982년 11월 23일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약수시장 앞에 롯데세븐 1호점을 개점한 것이 대한민국 최초의 편의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이후 3호점까지 열었으나, 1984년 4월경 1억여원의 적자를 남긴 채 3개 점포 모두 폐쇄하고 말았다. # #

비슷한 시기에 당시 한신공영 계열이었던 뉴코아 편의점도 한신아파트 단지에 처음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1984년 롯데세븐이 없어진 이후에는 한국 유일의 편의점으로 남기도 하였으나, 큰 호응을 얻지는 못하고 모두 얼마 못 가 폐점하였다. 이후 1989년 동화산업[10]이 사우스랜드사와 제휴하여 '코리아세븐'을 통해 세븐일레븐을 개설하였다. 1호점은 1989년 5월 개점한 세븐일레븐 올림픽점으로 올림픽기자선수촌아파트 상가에 위치했으며, 현재까지 영업 중이다. 지금은 롯데그룹이 인수하여 대한민국 내 세븐일레븐(주)코리아세븐이라는 이름의 롯데그룹 계열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 당시에는 편의점이라고 해봐야 가격 비싼 고급형 구멍가게라는 인식이었다.

그리고 1992년, 당대 히트작인 MBC 미니시리즈 < 질투>로 편의점 붐이 일어났다.[11] 당시로서는 최고 인기를 구가하던 톱스타 최수종 최진실이 극중에서 컵라면 김밥을 먹으며 데이트하던 곳이기 때문이다. 슈퍼마켓(?)내지 고급형 구멍가게(...)에서 서서 컵라면에 뜨거운 물을 넣어 즉석에서 먹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대한민국에선 꽤 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따라서 위 작품은 대한민국 편의점 역사에서 부정할 수 없는 일등공신.


이후 로손(태인유통)을 비롯해 써클K(한양유통), LG25(희성산업), AMPM, 훼미리마트(보광)[12], 미니스톱(미원통상), 스파메트로(대농 미도파) 등이 잇달아 열렸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스파메트로, 진로베스토아 등 일부 체인들이 퇴출되었고, 겨우 살아남은 체인업체들도 점차 쇠퇴해 현재의 GS25- CU- 세븐일레븐 3강 체제로 점점 굳어져갔다.[13] 보통 25∼40평이 기준이며, 25∼35세의 연령층이 주고객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1990년대 편의점이 처음 생겼을 적에는 사회적으로 젊은 층들만을 위한 가게, 젊은이들 맞춤 공간이라는 인식이 꽤 강했던 편이었다. 그 당시만 했어도 지금에 비해서 편의점은 젊은이들만이 이용할 수 있는 가게나 공간이라는 뿌리깊은 인식들이 있었으며, 나이가 많은 중노년층들은 경우에 따라 편의점 가기를 꺼리거나 아예 구멍가게로 자주 가던 시절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 당시만 했어도 "편의점을 이용하는 세대는 젊은 층이 많고, 구멍가게는 노년층이 많다"는 말도 있을 정도였다. 사실 1990년대의 2030들은 현재 40대 후반~70대이긴 하다.[14]

그러나 현재 들어서는 편의점에 대한 인식도 크게 바뀌어서, 이제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났으며, 어린이, 청소년, 청년을 비롯해서 직장인과 노인들까지 다양한 계층들이 자유롭게 이용하는 공간이 되었다. 이는 편의점을 이용하던 젊은 세대들이 자연스럽게 중장년층이 되면서 이용 연령대가 확대된 영향이다. 현재는 커피 체인점보다도 짧은 숏텀 공유 거실, 정확히는 휴게소,휴식처처럼 이용하고 있다. 한국의 도시 발달이 자동차가 생긴 이후에 이뤄지고 박정희 정권때부터 도시미관을 관리하겠다는 이유로 과거 정자,나무그늘같은 농촌형태의 쉼터나 벤치를 거의 만들지 않고 사람들이 일단 시내에 나오면 쉬지 않고 걷거나 무조건 어디론가 들어가도록 도시 설계를 한 탓에[15] 잠깐의 기다림이나 오랜 도보로 인한 피로를 해소할 쉼터가 도시 내에 많이 부족하다. 그래서 편의점이 도시를 이동하다가 걷기 힘든 시민들의 벤치 대신 쉼터처럼 기능하는 것으로 커피 체인점처럼 시간단위보다는 분단위로 잠깐잠깐 쉬어갈때 이용하도록 깔려 있다. 대한민국에 이미 포화상태인데도 편의점이 거리 곳곳마다 많이 깔려 있는 데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1990년대까지만 해도 편의점은 도시의 산물이라고만 여겨졌다. 시골 사람이 대도시에 왔을 때 편의점이라는 곳을 들려보니 "우리 동네 가게랑 너무 다르네", "도시 사람들은 이런 데서 밥도 먹고 라면도 먹는가벼"라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 당시에는 대도시를 제외한 지방에는 지금에 비해서 편의점이 거의 없었기에 대부분은 구멍가게 등을 이용했다. 예전엔 그 구멍가게 앞의 평상에 앉아서 쉬다 가는게 일상이었는데, 그 역할을 지금의 편의점 바깥 테이블이 대체하고 있는 것.

하지만 시대가 흐른 지금은 농어촌에도 편의점이 대다수 들어오게 되었고, 구멍가게 상당수도 편의점으로 전환함에 따라서 농어민들 및 시골 사람들도 그 마을에서 자유롭게 이용하는 공간이 되었다. 요즘은 대도시에서 ‘슈퍼마켙’이나 ‘OO상회’라고 적힌 슈퍼마켓은 거의 보기 힘든 편이다. 그래서 이 문서에도 적혀 있듯 편의점이 아닌 가게를 모두 구멍가게 취급하는, 슈퍼마켓이랑 구멍가게를 동일시하는 잘못된 인식이 적혀 있는데 서로 다른 거다. 슈퍼마켓은 편의점이랑 크기차이가 거의 없거나 좀더 크고, 구멍가게는 옛날 작은 문방구만한 사이즈다. 다른 또한 이렇게 농어촌에 들어온 몇몇 편의점 중 시외버스 정류소에 입점한 편의점은 그 정류소의 매표소를 겸하는 편의점도 있다.

참고로 유명한 동네라 해서 편의점에 손님이 많고 유명하지 않은 동네라 해서 편의점에 손님이 적은 것도 아니다.

3.3. 제공 서비스

어린이가 위험한 상황일 때 대피하는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지정됐다. #

편의점 외벽에 TV를 설치해놓고 광고방송을 내보내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땐 광고도 내보내지만 KBS 뉴스 9(GSTV 확인) 같은 정규프로그램이나 프로야구,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스포츠 경기를 생중계하기도 한다.

3.3.1. 편의점 택배

택배를 대신 받아주게끔 할 수도 있으며 일부는 국제배송도 가능하다. 단 부패/변질 우려 제품(음식물 등), 파손 우려 제품(도자기나 유리 등), 박스 포장이 안되는 제품, 신분증, 통장과 같이 다시 만들 수 없는 귀중품, 편지봉투와 같은 작은 물건, 예술품이나 낚시대, 종이 쇼핑백, 샴푸나 화장품류와 같은 액체류는 접수가 불가능하다.

3.3.2. 안전상비의약품



24시간 영업하는 소매점에서만 판매가 가능하다. 멤버십 할인 제외 품목이다. 한 번에 1개씩만 판매 가능하며 12세 미만의 아동이나 초등학생에게는 판매할 수 없다. 다만 꼼수(이 점포 저 점포 들러 동일 품목을 구매)를 써서 많이 확보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자는 약사가 아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약의 효능에 대해 설명하거나 추천할 수 없으며, 손님이 물어보더라도 설명하지 말고 포장에 기재된 설명서를 보고 직접 선택하도록 안내해야 한다.
  • 해열진통제
파일:/20151208_238/1449586430289L2Y2y_JPEG/%C0%C7%BE%E0%C7%B0_1.jpg
  • 소화제
파일:/20151208_84/1449586456358271v6_JPEG/%C0%C7%BE%E0%C7%B0_2.jpg
  • 감기약
파일:/20151208_43/1449586493915X5uaq_JPEG/%C0%C7%BE%E0%C7%B0_3.jpg
파일:/20151208_31/14495865229258WhJd_JPEG/%C0%C7%BE%E0%C7%B0_4.jpg

3.3.3. 편의점별 충전 및 사용가능한 교통카드

편의점 티머니 캐시비 원패스 한페이 레일플러스 비고
CU O O (대경권) (호남권) O[17]
GS25 O O (대경권) (호남권) X
세븐일레븐 O O (대경권) O -[18]
스토리웨이 O O X X O
이마트24 O O O O O 모두 사용 가능
기타 개인편의점 및 자판기 O O X X X

3.4. 할인과 적립

대한민국 편의점에선 한 달을 주기로 특정 상품 1+1, 2+1 등의 할인 이벤트를 하는 경우가 많다.

, 담배, 로또, 문화상품권, 프리페이드는 포인트 적립이나 할인이 절대 안 된다. 그런데 CU에서 술을 살 경우 CU 멤버십 카드로 3% 적립이 가능하며 GS25도 적립은 가능하다. 여기에 로또는 무조건 현금 구입만 가능. 다만 어디를 가더라도 담배는 적립이 안 된다.[19]

편의점 아르바이트생이 POS기 조작법을 몰라서 포인트 적립을 못 하는 경우가 많다. 포인트 적립 자체가 안 되는 특수점포도(고속도로 휴게소 등) 있다.

그린카드 인증 상품 구매시에는 CU GS25에서만 에코머니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상품을 슈퍼, 대형마트 등보다 더 싸게 판매하는 사례도 있다. 또한 비싼 가격 탓에 매점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CU 일부 점포가 산업단지 내에서 ○○구내매점 간판을 붙이고 영업하기도 한다.

3.4.1. 통신사 멤버십 할인

편의점 KT[20] LG유플러스 SK텔레콤 그외
세븐일레븐[21] -[22] - VIP/Gold 1,000원당 100원 할인, Silver 1,000원당 50원 할인
GS25 10% 5~10% - 해피포인트 15%, Oh-Point! 15%
CU [23] - Gold/VIP 1,000원당 100원 할인
Silver 1,000원당 50원 할인
해피포인트 15%
이마트24 10% - -
(알뜰폰과 개인편의점은 제외)

2014년 10월부터는 모든 멤버십 할인이 각 점포별로 1일 1회로 제한되었다. GS25에서의 U+ 멤버십도 2018년부터 1일 1회로 제한된다.

휴대 전화 통신회사에서는 일정 포인트가 충전된 멤버십 카드를 제공하는데 전국 곳곳에 존재하면서 24시간 영업을 하는 편의점에서의 활용도가 가장 높다. 그렇기 때문에 이용객도 어느 편의점이 자신의 멤버십으로 할인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민감한 편. 어차피 편의점 외에 포인트를 사용할 곳이라고는 영화관이나 프랜차이즈 빵집 정도라... 기껏 근처 편의점 놔두고 해당 가맹점까지 찾아갔는데 멤버십 카드를 안 가져오면 무지 아깝다.[24]

현재 KT가 2곳의 편의점과 제휴를 맺고 있다. 할인 폭이 10%라 매우 쓸모가 있는 편. 특히 GS25는 그 동안 LG유플러스[25] 멤버십만 제휴되어 있다가 2010년 7월 KT 올레클럽이 론칭됨과 동시에 추가로 제휴를 맺었다. 또한 2013년 3월부터는 미니스톱도 제휴되었는데, 사실 미니스톱은 과거에 LG유플러스 멤버십과 제휴된 적이 있었고, 2008년까지 이어졌다. 2015년 7월에는 신세계 계열의 이마트24와 제휴를 시작했다. 그러나 미니스톱은 8월 31일에 제휴를 종료한다.

2015년 12월 28일 부로, 세븐일레븐 SK텔레콤과 제휴를 시작했다. 세븐일레븐의 T-멤버십 할인율은 CU와 같지만, L-포인트의 동시 적립이 가능하고 T-멤버십 보너스 캐쉬백도 가능하여 좀 더 쓸모있다.[26]

여담으로 SK텔레콤 미니스톱의 관계가 조금 특이한데, 멤버십 카드는 필요하지만 멤버십 포인트는 차감되는 것이 아니라 OK캐쉬백이 차감된다. 이는 ' OK캐쉬백 가맹점'[27]이기 때문. 사실상 T-멤버십과 제휴가 안 되어 있다고 봐도 되었다. 예를 들어 5,000원짜리 물건을 사고 T-멤버십 카드나 OK캐쉬백 카드를 내밀 경우 할인 없이 OK캐쉬백 250점 적립을 받거나 250점 차감 후 500원 할인을 취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차감 포인트의 2배나 할인해 주니까 많은 것 같지만 CU에 가면 T-멤버십 포인트 깎고 1,000원당 100원을 할인해 준다. 하지만 KT 멤버십으로 미니스톱에서 할인을 받으면 OK캐쉬백 적립을 포기해야 한다는 큰 단점이 있다. CU에서도 T-멤버십 할인을 적용하면 미니스톱처럼 OK캐쉬백 적립은 포기해야 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나중에 T-멤버십 문자나 OK캐쉬백을 조회해 보면 알겠지만 SK텔레콤 T-멤버십 포인트로 CU에서 할인받은 금액의 1%만큼 OK캐쉬백 포인트로 리워드해 주는 T-멤버십 캐쉬백이 있기 때문이다. 2015년 1월 30일부터 미니스톱에서 T-멤버십 할인이 가능하며, T-멤버십 할인금액의 OK캐쉬백 1% 리워드도 적용된다. 현재 통신사 할인과 동시에 자사 포인트 적립이 되는 편의점은 세븐일레븐 GS25밖에 없다. 딱 하나 CU에서 예외가 있다면, 그린카드다. CU에서 T-멤버십 할인을 받고 그린카드 인증상품을 그린카드로 구매시, T-멤버십 할인과 함께 에코머니 포인트가 적립된다.

그러나 2016년 4월에 미니스톱의 개악을 시작으로, 2016년 6월부터 세븐일레븐 CU 미니스톱과 동일한 T-멤버십 계약이 선포됐다.

3.5. 계약과 운영

편의점에는 위탁가맹, 순수가맹, 직영점이 있으며 OFC(그냥 FC라고도 불림)라는 본사담당 직원도 존재한다. 개인이 하는 게 아닌 어디까지나 본사와 계약을 맺고 하는 가맹점 형식이기 때문에, 점주 맘대로 쉬거나 문을 닫으면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고 한다. (물건이 몇 시간 이내로 팔린 기록이 없으면 본사에서 전화가 온다…) 하지만 이런 점 말고도 여러가지로 공정거래 위반사항이 많다. 편의점 가맹점을 하는 이들이 그만두는 경우가 괜히 많은 게 아니다.

초기에는 많은 편의점 창업자들이 물품조달, 창업 준비등에 많은 어려움을 겪기에 대기업 편의점이 편리하다 생각하여 많이 오픈하였으나, 현재 대기업 편의점의 제약 및 문제점을 인식하는 일이 많아졌다. 특히 가맹점의 계약만료 후 이탈이 가장 큰 문제가 되었기에, 계약해지를 하게 되면 가맹점이었던 매장의 양옆으로 직영매장을 내는 방식으로 고사시켜버리는 전략을 구사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매장이 급격히 줄어든 매출로 인해 월세마저 밀리게 되는 사태가 되면 울며 겨자 먹기로 재계약을 하던지, 폐업을 하던지 선택의 방안이 그리 많지 않았다.

간혹 매장이 가맹점주의 소유여서 월세 걱정이 없을 경우, 몇 년동안 버티다가 본사에서 gg를 치고 물러나는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 그 몇 년동안 본사에서 갖은 회유와 부탁, 간청이 있었음에도 본인 소유의 매장이라 버틸수 있다면 그나마 다행인 편이다.

요즘은 개인 편의점으로 시작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몇년전만 해도 개인편의점은 규모가 작아 식료품제조사의 지점이나 대리점에서 후순위에 놓는 일이 많았다. 그러나 업체간의 경쟁이 심해지면서 각 식료품제조사의 영업사원들이 개인편의점에 알아서 가져다 바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되었다. 각 식료품제조사에선 영업사원들에게 억지로 할당하는 영업량이 있기에 일단 자비로 구매하고 이를 다시 떨이로 개인편의점 및 마트에 넘기는 것이다.

계약기간 만료 후 타 브랜드편의점으로 변경하는 경우도 드물게 일어난다. 전략적 요충지라면 경쟁브랜드로부터의 지원을 받고 가맹회사를 갈아타는 일도 있다고 한다. 지원금을 노리고 영업사원과 함께 전문적으로 하는 업자들도 있다는 말이 있기는 하다. 혹은, 건물주가 편의점 점주였던 세입자와 재계약을 거부하고 쫓아낸 뒤 건물주 본인이 직접 편의점을 시작하면서 타 브랜드로 변경하기도 했다.

간혹 동네 슈퍼에 편의점 가맹을 안 하면 편의점을 차릴거라는 협박을 하는 일이 있는데, 영업사원의 실적 압박에 의한 구라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영업사원은 편의점을 차리지 않는다. 실제로 편의점이 들어올만한 상권이면 벌써 생기고도 남았다.

그리고 직영점이 들어올만한 상권은 비싼 월세 등으로 개인사업자들은 들어가기 힘든 곳이 대부분이다. 실제로 많은 슈퍼들이 편의점 가맹을 하고 알바비 때문에 가족들이 돌아가면서 24시간 일을 하는 등, 이전보다 더욱 많은 시간을 일해도 로얄티 등을 내면 오히려 벌이가 더 안 좋아지는 경우도 종종 사례에 나온다. 근무시간대 비율만이 아니라 절대적인 수치(1달 순이익)로도 안좋아진다고 한다.

3.5.1. 포화 상태

최근 들어서 경기가 나빠지며 편의점 업종의 매출은 성장하지만, 반대로 점주들의 매출은 계속 줄어드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그 이유는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불황까지 심해지며 편의점의 저렴한 음식을 찾는 사람이 급속도로 늘어났지만, 반대로 퇴직금을 들고 자영업을 하는 사람들이 편의점을 차리는 비율은 더욱 높아졌기 때문이다(...) 일례로 기사에 따르면 상위 업체 3곳의 점포수만 해도 올해 들어 약 2,000개가 늘어났다고 한다. 더구나 편의점의 출점 경쟁으로 점포수는 급증하는데, 같은 업체의 편의점은 일정 거리를 두게 돼 있지만 다른 업체의 편의점은 바로 옆에 문을 열어도 법적으로 규제할 수가 없다. 아래 기사의 네이버 댓글만 읽어봐도 어떤 상황인지 짐작이 갈 것이다. 편의점을 차리려는 사람은 신중하게 생각해 보자.

2020년 기준으로 약 4-5만개정도로 추측되기 때문에 한국 편의점이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다.

업계간 출점제한이 자율규약으로 94년에 있었으나 2000년에 사라지고 250m 출점제한 공정위 규정이 2014년에 폐지되었다.
TOPIC 도 넘은 근접 출점에 몸살 앓는 편의점 업계-5m 간격 출점 횡행…정부·업계는 뒷짐만
편의점 ‘묻지마’ 출점경쟁… 웃는 업계·우는 점주, 2015-11-23, 세계일보

같은 건물 내에 다른 브랜드

3.5.2. 불공정 계약 문제

프랜차이즈 편의점 본사들은 새로운 편의점 가맹점 개업에 혈안이 되어 있다. 편의점 본사에서는 "주변 상권과 인구 밀도를 고려했을 때 하루에 최소 100만원을 벌 수 있다"며 창업을 유혹한다. 결국 그 유혹에 넘어가 프랜차이즈 편의점을 오픈하고 점주가 되지만, 편의점 본사 직원들이 조사했다던 하루 백만원 매출은 커녕 40만원도 안 되는 경우가 많고, 그마저도 매출 올린 돈을 매일매일 꼬박꼬박 본사에 부쳐야 하기 때문에, 당장 수입을 얻기도 쉽지가 않다. 하루라도 본사에 송금이 늦거나 사정이 생겨서 문을 닫는다고 하면 과태료 폭탄을 맞는다. #

무엇보다 무서운 건 위약금. 계속 적자가 나서 편의점을 폐업하고 싶어도, 본사에서는 위약금이라며 향후 몇 년 동안 얻을 수 있는 수입까지 계산해 모두 가져간다. 이 돈은 최소 몇천 만원 선이다. 그래서 많은 점주들이 이 돈을 감당하기가 힘들어 적자가 나면서도 아등바등 영업하는 경우가 많다. 뒷말로 "편의점 본사들은 오히려 가맹점들이 폐점하기를 바라고 있다"는 말도 있다. 일단 가맹점을 만들어 놓고 폐업을 시키면, 위약금으로 점주들에게 최소한 수천만원씩 한 번에 뽑아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쯤 되면 다단계 수준이다.

2013년 4월 18일자로 13년 들어 점주 3명이 자살하였다. 이 사람 역시 운영 문제로 인한 자살로 여겨지고 있다. # # 위암 3기에도 쉬지 못하는 점주

이마트24는 위약금 제도, 로얄티가 없다고 알려졌으나 2024년 1월경 개점 상담 결과 위약금, 로열티 모두 있는 것으로 확인함. 타 편의점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또한 심야 유동인구가 거의 없는 곳의 24시간 영업도 주의하자. 이러한 매장은 대부분 매출이 적자 상태에 빠져있으며 언제 폐업할지 모르거나 점주가 바뀔수도 있는 사실상 시한부 상태의 점포나 다름이 없는 상황이다.

3.5.3. 해결책

  • 로열티 문제
세계의 여러 국가의 7-eleven 조차도 한국과 해외의 경영방식은 크게 다르다. 해외

첫번째는 계약 조기해제시 수천만원대의 위약금을 지불해야하는 한국과 달리, 미국에선 조기 폐점시 본사에 고작 5,000달러(565만원 정도)만 지급 한다.

그리고 가장 큰 차이점은 해외에선 로열티를 '순이익' 대비 기준으로 계산한다. 즉 해외에서는 임대료, 직원임금, 전기세 같은 것을제외한 후 발생하는 순이익대비 로열티를 책정하는것이다. 거기에다 로열티 % 책정도 순이익의 양에따라 다르게 책정된다. 즉 영업이익이 적은 점포일수록 지불해야하는 로열티 퍼센트가 적다.
예를 들어 1일 판매액이 1,000만원인데 여러가지 금액을 제한 순이익이 500만원이고 로열티가 30%라고 하면, 판매액 기준으로 하면 300만원, 순이익 기준으로 하면 150만원이다.

한국에서는 로열티를 매출-재고가격에서 책정해서 훨신 가혹하고, 특히 매번 최저임금 인상 이후 많은 편의점주들은 영업이익에 큰 타격, 어떤 경우는 적자가 나고 있다. 임대료, 종업원 임금 등을 전부 점주가 부담해야하는 헬조선의 구조와 달리 해외에서는 최저임금 인상같은것이 일어나도 자영업자들이 죽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사와 점주들이 공평하게 분담을 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편의점의 월 매출이 4,000만원이라도 한국 로열티 시스템에선 2012 기준 가맹점 순이익이 고작 1,985,000원이다. 출처
파일:편의점국내.jpg

하지만 동일조건이라면 해외 로열티 제도 아래엔 순이익이 4,018,000, 즉 두배 이상이 된다.
파일:편의점해외.png
자영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선 본사들을 해외의 프랜차이즈 시스템과 같이 경영하도록 규제가 필요할것이다.
  • 무분별한 출점
    또한 무분별한 출점도 자제해야된다.
    일단 같은 브랜드끼리는 최대한 자제하고 있지만, 다른 브랜드라면 제어할 수 없으니 정말 답이 없다.
  • 무의미한 24시간 영업
    심야 유동인구가 적거나 아예 없는 곳은 심야에 영업을 해봤자 적자이므로, 유동인구를 분석해서 무의미한 영업을 삼가야 한다.

4. 대한민국 외 국가의 편의점

4.1. 북미

뭐든지 큼직큼직한 국가 특성상 편의점도 이게 과연 편의점인지 마트인지 싶을 만큼 큰 편의점들이 많다. 하지만 분명 한국의 기준으로 봤을 때 사실상 마트라는 것이지, 미국인들이 굴리는 마트들의 규모가 거진 공장만한 걸 감안하면 분명 마트는 아니다. 그리고 시내엔 오히려 한국의 편의점과 별반 다를 바 없는 작은 편의점들도 많은데 이런 곳은 이민자들이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심슨 가족 퀵키마트 캐나다의 유명 시트콤 김씨네 편의점도 이민자들이 운영하는 편의점이라는 설정이다.

자동차가 없으면 일상생활이 거의 불가능한 동네라 번듯한 주차장이 구비된 경우는 물론이고 주유소까지 겸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관련 통계를 보면 로열 더치 쉘, bp, 엑슨모빌 같은 석유회사들이 버젓이 통계에 포함되어 있는걸 확인할 수 있을것이다.[28]

총기와 관련한 치안문제가 심각한 나라라 미국의 편의점 관련된 미디어물에서 강도가 총기로 편의점 주인을 협박하면 편의점 주인이 사시나무 떨듯이 벌벌 떨면서 있는 돈 없는 돈 다 긁어서 주는 모습은 흔한 클리셰로 꼽힌다. 실제로도 미국 내에서 종종 일어나는 사고이고 저렇게 대처하는게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당장 한국도 칼 들고 편의점으로 강도짓 하러 온 사람이 있다면 반항할 생각 말고 일단 돈을 준 후 빠르게 경찰에 신고하라고 하지 않던가. 다만 미국은 한국에 비해 정당방위를 인정받기 쉬운 나라라 그런지 방탄유리, 방범용 철창,권총과 샷건 등으로 중무장한 편의점도 많이 보이며 오히려 강도를 때려잡기도 한다.

미국 기준으로 서부지역에서 우세한 세븐일레븐의 점유율이 가장 높으며, 동남부지역에서 우세한 써클K의 양강 체제다. 이 외에도 정유회사 및 유통회사에서 운영하는 여러 편의점 브랜드들이 각축전을 벌이는 양상이다.

4.1.1. 미국

  • 세븐일레븐(7-Eleven)
  • 스피드웨이(Speedway)
  • 스트라이프(Stripes)
  • 에이플러스(A-Plus)
  • ABC스토어(ABC store)
  • 써클K(Circle K)
  • 홀리데이(Holiday)
  • 올섭스(Allsup's)
  • 아마존고(Amazon Go)
  • 데일리 반(Dairy Barn)
  • ampm
  • 버키스(Buc-ee's)
  • 브린 데일리(Byrne Dairy)
  • 케이시스(casey's)
  • 콘비니언트 푸드 마트(Convenient Food Mart)
  • 다리마트(Dari Mart)
  • 컴벌랜드 팜스(Cumberland Farms)
  • 퀵샵(Kwik Shop)
  • 로프 앤 저그(Loaf 'N Jug)
  • 미니마트(Minit Mart)
  • 터키힐(Turkey Hill)
  • 모빌마트(Mobil Mart)
  • 온더런 (On the Run)
  • 겟고(GetGo)
  • 올타운 프레쉬(Alltown Fresh)
  • 고마트(GoMart)
  • 하이즈 데일리 스토어(High's Dairy Store)
  • 허드슨뉴스(Hudson News)
  • 주니어 푸드마트(Jr. Food Mart)
  • 주니어 푸드스토어(Jr. Food Stores)
  • 크로커 콘비니언스 스토어(Kroger Convenience Stores)
  • 컴앤고(Kum & Go)
  • 퀵트립(Kwik Trip)
  • 퀵스타(Kwik Star)
  • 큌필(Kwik Fill)
  • 컨트리페어(Country Fair)
  • 로손(Lawson)
  • 러브즈(Love's)
  • 맵코(MAPCO)
  • 퀵첵(QuickChek)
  • 플래드 펜트리(Plaid Pantry)
  • 퀄리티 데일리(Quality Dairy)
  • 퀵트립(QuikTrip)
  • 로얄팜스(Royal Farms)
  • 루터스(Rutter's)
  • 쉬츠(Sheetz)
  • 쉘 셀렉트(shell select)
  • 레이스트랙(RaceTrac)
  • 스튜어트샵(Stewart's Shops)
  • 스터키스(Stuckey's)
  • 손터스(Thorntons)
  • 톰스(Tom's)
  • 타운펌프(Town Pump)
  • 유나이티드 데일리 파머스(United Dairy Farmers)
  • 와와(Wawa)
  • 웨이겔스(Weigel's)
  • WH스미스(WHSmith)

4.1.2. 캐나다

  • 세븐일레븐(7-Eleven)
  • 쿠체타드(Couche-Tard)
  • 써클K(Circle K)
  • 베커스(Becker's)
  • 코너스토어(Coner Store)
  • 허드슨뉴스(Hudson News)
  • 니즈(Needs)
  • 네이버스(neighbours)
  • 온더런(On the Run)
  • 퀵키(Quickie)
  • 쉘 셀렉터(Shell Select)
  • WH스미스(WHSmith)

4.2.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대륙중국)에선 편리점(便利店)이라고 부른다.

중국은 국영기업 편의점의 점유율이 높다. 중국석화(中国石化) 주유소 내에 있는 易捷(Easy Joy)와[29] 중국석유(中国石油) 주유소 내에 있는 昆仑好客(U Smile)[30]이 각각 점포 30,000개와 20,000개로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얼핏 보면 미국 주유소 편의점과 비슷한 것 같지만 중국 본토 자본의 주유소 편의점들은 그냥 주유소에 부설된 슈퍼마켓 체인이다. 음식 섭취 공간이 없는 점포들이 다수이며 별도의 PB상품이나 부가서비스도 판매하지 않는다. 거기에 찬 음료가 몸에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중국에서는 음료를 상온의 보관대에 놓고 팔거나 냉장고 전원을 끄고 음료만 진열한 경우가 많은데 이들 편의점도 거의 차이가 없다. 세븐일레븐 등 외국계 편의점은 냉장보관과 상온보관 진열 둘 다 하는 등 우리가 생각하는 편의점과 유사하며, 찬 음료를 선호하지 않은 다른 문화권의 편의점들도 냉장 진열 판매를 하는 것과는 비교된다. 그럼에도 아직까지는 부가 서비스나 편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외국계들의 시장 점유율이 낮다.

점유율 1위는 민간기업이 운영중인 美宜佳(MeiYiJia)[31]로 전국구까지는 안 되도 중국 남부 15개 성에 가맹점[32]을 두고 있는 수준이며 24시간 영업을 하고 있다. 베이징에는 점포가 거의 없어서 찾기 어려운 브랜드이며 광둥성, 충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점포수 4위인 天福는 7,000개 수준으로 3위와의 격차가 크다. 광둥성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브랜드이다.

해외 브랜드의 점유율이 겨우 6%에 불과하다. LAWSON[33], 패밀리마트[34], 세븐일레븐[35] 같은 업체도 중국 내에서 영업하고 있으나 점포 수가 겨우 3,000~6,000개에 불과하며 다른 해외 브랜드는 사실상 전멸했다. 그래도 출점은 계속하고 있으며 드라마에 장소협찬도 자주 한다. 또한 PB 상품 비율이 매우 높다는 특징이 있다.

국토가 너무 거대하기 때문에 민간기업 편의점은 특정 1선도시와 주변지역을 위주로 영업을 하는 편이다.

중국은 인구당 편의점 수가 미국, 일본의 1/3, 한국의 1/6에 불과하다. 작은 도시에선 찾기 힘들 정도이다. 그래서 여전히 편의점시장의 성장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점포당 인구수가 제일 적은 지역은 둥관시로 2천명정도이다. 베이징은 9,000명이라서 편의점 찾기가 어려운 편이다.

4.2.1. 홍콩-마카오

홍콩 마카오는 편의점 문화가 발달되어 있는데 일본 세븐일레븐이 가장 많으며 미국 써클K와 함께 양강 체제다. 땅이 좁은 특성상 편의점 크기도 매우 작아서 두 사람이 동시에 지나갈 공간이 안 나오는 점포가 대다수다. 취식 공간이 있는 편의점은 아예 기대조차 안 하는게 좋다. 서서 먹을 공간조차 없다.

홍콩의 세븐일레븐에서는 선불 심카드를 팔기도 하며 옥토퍼스 카드 충전도 가능하다. 홍콩 섬의 세븐일레븐 점포들은 영어 통용에 아무 문제 없다. 구룡반도도 침사추이나 몽콕 등 시내 쪽은 영어 통용에 문제가 없다. 홍콩 신계나 마카오 쪽 영어 구사율이 떨어지기는 하나 편의점에서 쓰는 정도의 영어는 통한다.

4.3. 동남아시아

한국과 일본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시장이다. 베트남은 GS25, 말레이시아는 CU, 이마트24, 싱가포르는 이마트24가 적극적으로 진출을 타진하고 있으며 GS25도 2023년 말레이시아에 첫 점포를 낼 예정이다. 특히 말레이시아에선 CU의 떡볶이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인도네시아에는 자국 브랜드인 Indomaret와 Alfamart가 전국적으로 분포해 있다. 외국자본의 규제로 인해 세븐일레븐은 2017년에 철수했고, 패밀리마트와 로손은 자바섬 발리 위주로 분포해 있으나 그 수는 자국 브랜드의 1/100조차 못 미친다.

4.4. 유럽

유럽의 편의점은 마트 브랜드에서 론칭하는 경우가 많고 그 자체도 수퍼마켓에 비슷한 형태를 가진다.[36] 일본이 편의점과 마트의 브랜드적 구분이 비교적 확실하다면(세븐일레븐과 이토요카도, 미니스톱과 이온) 유럽은 이마트와 이마트24의 관계처럼 비교적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는 편이다.
  • 스파 - 유럽식 편의점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브랜드. 점포수는 3000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사가 있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에 미도파백화점(서울), 미화당백화점(부산), 동아백화점(대구), 화니백화점(광주)을 통해 진출했었다. 스파메트로 문서 참고.
  • CBA - 동유럽을 중심으로 성업중인 브랜드. 헝가리 Alsónémedi라는 지역에서 본사가 있다. 점포수 5000개.
  • 메이스 - 영국, 북아일랜드, 아일랜드에서 영업하는 편의점이다.
  • 알레파 - 핀란드 편의점
  • 세일 - 핀란드 편의점
  • R-키오스키 - 핀란드 편의점
  • ICA Nära - 스웨덴 편의점
  • 마토펫 - 스웨덴 편의점
  • 마트레벨레나 - 스웨덴 편의점
  • 10-11 - 아이슬란드 편의점
  • 베스트-원 - 영국 편의점
  • BP 컥넥트 - 영국의 주유소 편의점
  • 센트라 - 아일랜드 편의점
  • 코스트커터 - 영국, 아일랜드, 폴란드 편의점
  • 델리 데 루카 - 노르웨이 편의점
  • 테스코 익스프렉스 - 영국 편의점이다.
  • 프리미엄 - 영국 편의점이다.
  • 니사 - 영국 편의점이다.
  • 맥콜스 - 영국 편의점이다
  • 론디스 - 영국 편의점이다
  • 투데이즈 엑스트라 - 영국 편의점이다
  • 나르베센 - 노르웨이 편의점
  • M-로컬 - 영국 편의점이다
  • 세인스버러 로컬 - 영국 편의점이다
  • WHSmith - 영국 편의점이다
  • 아쿠고 - 네덜란드, 벨기에 편의점이다.
  • 슈페코르 익스프레스 - 스페인 편의점
  • 리틀웨이트로즈 - 영국편 점이다
  • 딕시 - 러시아 편의점
  • 마그니트 - 러시아 편의점
  • 미니렌타 - 러시아 편의점
  • 파테료츠카 - 러시아 편의점
  • 프레스바이란 - 스웨덴 편의점
  • 크람부딘 - 아이슬란드 편의점
  • 죠부딘 - 아이슬란드 편의점
  • 타임아웃 - 주유소 편의점
  • 씨아오 아집 - 주유소 편의점
  • 미니프레소 익스프레스 - 포르투갈 편의점
  • 렙솔 스프린트 - 주유소 편의점
  • 슬리팝 - 이탈리아 편의점
  • 에니샵 - 이탈리아 편의점
  • 마르게리타 - 이탈리아 편의점
  • 메르카토 로컬 - 이탈리아 편의점
  • 아이베 - 리투아니아 편의점
  • 빌라 - 오스트리아 편의점
  • 까루프 익스프레스 - 프랑스 편의점
  • 프랑프릭스 - 프랑스 편의점
  • 유틸리티 - 프랑스 편의점
  • 자브카 - 폴란드 편의점
  • 마이오샹 - 스페인 편의점

4.5. 중남미

중남미는 멕시코 OXXO가 진출 안한곳이 없을정도로 OXXO가 강세이지만 최근 국민 소득 향상으로 신생 편의점이 고곡 생겼나고 있으며 얘네는 주유소 편의점에서 시작해서 독립형 편의점으로 성장한 곳도 있다.
  • OXXO - 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무려 15000 점포를 자랑하는 브랜드. 몬테레이에 본사가 있다.
  • extra - 멕시코 편의점
  • Mambo - 멕시코 편의점
  • Super Q - 멕시코 편의점
  • KIOSKO - 멕시코 편의점
  • exito express - 콜롬비아 편의점
  • Olimpica - 콜롬비아 편의점
  • altoque - 콜롬비아 편의점
  • Tambo - 페루 편의점
  • viva - 페루 편의점
  • Listo - 페루, 콜롬비아 편의점
  • jetmaket - 페루 편의점
  • 365market - 페루 편의점
  • Alto 24 Horas - 페루 편의점
  • Repshop - 페루 편의점
  • Vao - 페루 편의점
  • okidoki - 에콰도르 편의점
  • Va&Ven - 파나마 편의점
  • SPID - 아르헨티나, 칠레, 콜롬비아, 페루 편의점
  • YPF Full - 아르헨티나 편의점
  • Breti - 칠레 편의점
  • Pronto - 칠레 편의점
  • SPACIO1 - 칠레 편의점
  • SUPER7 - 과테말라 편의점
  • Wisa - 볼리비아 편의점
  • WOW- 볼리비아 편의점
  • AMERICANS express - 브라질 편의점
  • BRmania - 브라질 편의점
  • Hirota Food Express - 브라질 편의점
  • Entreposto - 브라질 편의점
  • miunta pao de acucar - 브라질 편의점
  • agHora - 브라질 편의점
  • Kinko - 우루과이 편의점
  • Frog - 우루과이 편의점
  • Rapidito - 파라과이 편의점
  • Spacio1 - 파라과이 편의점
  • Biggie Express - 파라과이 편의점
  • Tengo - 엘살바도르 편의점
  • pronto - 온두라스,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편의점
  • Reset - 도미니카 공화국의 편의점
  • Sigma - 도미니카 공화국의 편의점

4.6. 일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요 편의점 브랜드
파일:세븐일레븐 로고.svg 파일:훼미리마트 로고.svg 파일:로손 로고.svg
세븐일레븐 훼미리마트 로손
기타 편의점 브랜드
파일:미니스톱 로고.svg 파일:세이코마트 로고.svg 파일:포푸라 로고.svg
미니스톱 세이코마트 포푸라
파일:JR Newdays & KIOSK Logo.png 파일:데일리 야마자키.png 파일:전일식 체인.jpg
뉴데이즈 데일리 야마자키 전일식체인
서클 K 선쿠스는 2016년에 훼미리마트에 합병, 2018년 소멸. }}}}}}}}}



일본에서는 편의점을 영어 '컨비니언스 스토어(convenience store)'의 앞글자를 따온 '콘비니'(コンビニ)라고 부른다. 편의점의 시발점은 미국이지만 한국 편의점은 일본의 편의점 문화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보니 비슷한 점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몇가지 차이가 존재하는데, 시외나 소도시에는 널찍한 주차장을 갖춘 단층매장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로드사이드 편의점'이라 부르며 미국식 편의점을 축소한 듯한 모양새다. 1인 가구가 많은 일본의 특성상 샹품을 소량 구매하는 사람들이 많아 편의점 문화가 매우 발달했다. 한국 편의점에 비해 규모가 크며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편이다.[37] 그래서 일본 여행을 온 사람들이 편의점을 필수 코스로 정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세븐일레븐, 훼미리마트, 로손을 가리켜 일본 3대 편의점이라 부르며 이들 업체의 연간 매출은 1~2조 엔 규모로 나머지 브랜드에 비하여 상당히 큰 편에 속한다. 일본 편의점은 대형마트 유통그룹의 자회사이거나 자회사로 시작되었다가 분리된 기업이 많은 게 특징이다. 1위 세븐일레븐은 이토요카도(7&i 그룹)이고, 3위 로손은 다이에[38]라는 유통 그룹에서 각각 신규사업으로 미국에서 브랜드와 노하우를 도입해서 만든 편의점 체인이다. 하지만 세븐일레븐은 망했던 미국 본사를 일본 프랜차이즈였던 세븐일레븐 재팬이 인수했고 로손은 미국에서는 아예 없어지고 일본에서만 살아남았다. 2위 훼미리마트 역시 현재는 미국 월마트에 인수된 세이유(西友)에서 편의점 사업부로 시작되었는데 일본에서 완전 자체개발된 편의점중에서는 가장 성공했다. 1998년 대형 종합 상사인 이토추상사에 매각되었다. 일본 굴지의 유통사 이온그룹도 미니스톱을 출범시켰고 대상그룹과 합작으로 대한민국에도 진출했으나 철수하였으며 일본 내 점포 셰어는 5% 이하에 그친 마이너 체인이다. 또한 과거에 존재했던 서클K선쿠스는 나고야 연고의 지방 유통그룹인 유니(UNY, 현 돈키호테→PPIH)가 미국에서 상표를 도입해서 시작한 일본 서클K가 토종 편의점 브랜드인 선쿠스를 인수합병해서 만들어진 회사로, 2016년 훼미리마트에 인수되어 볼 수 없게 되었다.

한국의 편의점과 다르게 실내 취식이 불가능한 경우가 꽤 많다. 근데 정작 편의점 내부에 전자레인지 온수기는 거진 다 있는 편이고, 일본인들의 정서와 성향상 직원들이 매장 규정에 어긋나는 취식손님을 대놓고 뜯어말리지 않고 직원 혼자 끙끙 앓는 사례가 많아서 그런지 이를 오해하고 편의점 내부에서 취식을 시도하는 관광객들이 종종 있는 편이다. 일본 매체를 보면 편의점 앞에서 쭈구려 앉아서 뭔가 먹는 장면을 본적이 있을텐데 나름 현실 반영을 한 장면이라 볼 수 있겠다. 이건 사실 일본의 식문화와도 관련이 있는데, 일본은 간편한 음식을 서서 취식하는 것에 대하여 큰 거부감이 없다. 실제로 동네 작은 우동집은 아예 앉을 공간이 없는 완전 입식으로 운영하는 곳도 있고, 닭꼬치집도 혼자 간단하게 먹는 사람들은 서서 그자리에서 먹는 사람도 많다. 그러다보니 편의점에서 파는 간편한 음식들은 그냥 매장 밖에서 서서 때우거나 차 운전중이었다면 편의점 주차장에 세워둔 자신의 차 안으로 가져와서 대충 먹는 모습을 굉장히 흔하게 볼 수 있다. 일부 점포들은 '이트인'(イートイン)이라 하여 실내 취식을 허용하나 한국만큼 흔하지는 않다. 미니스톱이 일본 최초로 실내 취식 시설을 전면적으로 도입했고, 이후 다른 편의점 체인도 매출 상승효과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서 공간에 여유가 있는 편의점에 한하여 조금씩 설치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2019년에 소비세 증세 이후 편의점 내 취식도 외식으로 취급하여 10% 세율을 적용하는 바람에 이용율이 크게 감소하였고, 2020년에는 코로나가 유행하는 바람에 다시 점포내 취식불가로 되돌아 가는 분위기였다가 코로나가 풀린 2023년부터 취식가능으로 되돌아가는 분위기다.

흔히 화장실을 개방형으로 운영한다. 누구나 쓸 수 있다고 적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사람이 많을 때는 그냥 들어가도 되고, 손님이 자신밖에 없어도 직원에게 화장실을 쓰겠다고 말하면 어지간해선 쓰게 해준다. 심지어 유럽 패스트푸드점 마냥 사용료를 받는 것도 아니라서 일본 현지인들도 용변이 급할때 길거리에서 편의점을 찾아 달려가는 경우가 많다. 2020년 일본의 주요 편의점 브랜드 로손이 2020년 편의점 내 화장실 사용금지를 선언했다가 폭발한 여론의 뭇매를 얻어맞고 철회했을 정도로, 일본의 편의점은 공중화장실로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다만 사람이 많이 몰리는 관광지에선 혼잡을 우려해 화장실을 운영하지 않는 점포도 존재한다.

대학 근처에 위치한 점포에선 복사기를 비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점포들은 학생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방문하기에 보통 24시간 영업을 한다. 인터넷으로 예약한 뒤 점포에 비치된 복사기에 예약 번호를 입력하고 돈을 넣어 뽑는 방식이다. 게다가 주민번호, 인감증명서, 호적등본서 등의 기본적인 서류 발급은 물론이고 공과금 결제도 편의점에서 지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시청이나 동사무소의 거리가 먼 지역에서는 편의점을 통해 서류를 뽑아가거나 요금을 내는 사람들도 많다.

일본의 편의점 간판을 보면 '술, 담배, ATM'(酒, たばこ, ATM)이란 표시를 따로 병기한 간판들이 많다. 한국과 달리 술과 담배를 팔지 않는 편의점들도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면허증 등 따로 신분증으로 연령 인증을 하지않아 상당히 허술하다. 세븐일레븐을 예시로 들면 POS의 고객 화면에 20세 이상이냐는 질문이 뜨고 예를 누르면 그냥 넘어가는 식이다.

일본에서 기피 직종이라 그런지 2024년 기준 현지인을 찾기 힘들 정도다. 대도시 편의점에서 동남아시아 등 일본 외 국가 출신의 점원을 만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엔화 가치 폭락의 여파로 일본 여행을 할때 편의점 쇼핑이 필수 코스가 될 정도로 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봐도 혜자스런 가격을 자랑하고 있다. 특히 편의점 PB 과자, 빵은 대부분 100엔대인데다 양과 질도 우수하며 디저트, 계란, 패밀리마트에서 파는 치킨 등이 평가가 좋다. 다만 컵라면은 한국과 비슷한 정도로 가격이 많이 올랐다. 세븐일레븐 과자는 한국에서도 유명해져 한국에서도 구입할 수 있게 되었지만 한국에서 인기가 많은 호로요이를 비롯해 관세때문에 다른 수입제품처럼 대부분 일본보다 더 비싸다.

4.6.1. 현존

  • 세븐일레븐 (21,248개)
  • 패밀리마트 (16,047개)
  • 로손 (13,779개)
  • 미니스톱 (1,814개)
  • 세이코마트 (1,173개)
  • 데일리 야마자키 (952개)

    • Daily Yamazaki. 일본 제빵왕 야마자키제빵에서 운영하는 편의점. 파리바게뜨처럼 가게안에서 직접 빵을 구워서 파는 점포도 있다.
      파일:yamazaki.jpg
  • 뉴데이즈 (345개)

    • JR 동일본의 자회사로 이 회사가 관할하는 기차역 등지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우리나라로 치면 스토리웨이의 포지션이다.[39] JR동일본 관할지역의 역내매점 KIOSK[40]와 병행하고 있다. 스이카로 결제하면 포인트를 적립해준다.
      파일:newdays.jpg
  • 포푸라 (그룹 통합 277개)
  • 전일식 체인 - 전일본식품이 운영하는 독립형 편의점이다.

4.6.2. 철수

  • am/pm - 미국계 체인. 일본에서도 어느 정도 점포망을 확장했었으나 일본내 점포는 모기업(불고기 체인점 牛角)의 구조조정으로 인하여 2010년 훼미리마트에 매각되어 소멸했고, 대만에선 1995년 철수했다. 한국에선 1991년 유공계 석유판매업체들이 출자해 'AMPM코리아'를 세우고 미국 ARCO사와 합작으로 진출하여 유공주유소 내에 점포를 두었다. 1994년 삼양석유에 합쳐진 후 1997년 삼양석유가 삼일사에 합쳐지면서 스피드메이트로 옮겼다가, 1998년 스피드메이트가 SK에너지판매에 합쳐지고 이듬해 자체브랜드 OK마트가 생겨서 철수했다.

    • 파일:Ampm.jpg
  • 서클 K 선쿠스
  • an3 - 케이한, 난카이, 한신이 공동으로 시작한 역사내 편의점.
  • 코코스토어 - 2015년 훼미리마트에 인수. 1971년 7월 아이치현 카스가이시에 오픈한 매장은 일본 최초의 편의점으로 알려져 있다.

4.7. 대만

영문판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대만은 인구당 편의점 수가 가장 많은 밀집 지역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인구가 2000만명이 조금 넘어 성장세가 정체되어 있어 그 순위는 이미 역전된 상태. 2010년대 초반까지는 실제로 밀집도가 세계 1위였으나 한국에 역전당했으며, 최근에는 2위 자리를 일본에 역전당해 인구당 편의점수는 세계에서 3번째다.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일본보다 약하지만 일상생활에서 편의점 없는 생활이 쉽지 않은 곳이다. 공과금 납부는 당연히 편의점에서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기차표 그리고 공연 및 전시 티켓 구입 또한 편의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만의 4대 편의점은 세븐일레븐, 훼미리마트, 하이-라이프(라이얼푸), OK마트(오케이차오상)가 점포수 및 점유율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세븐일레븐은 사실상 압도적인 1위로, 점포수는 2위인 훼미리마트보다 1.5배를 넘으며, 2, 3, 4위의 점포를 모두 합쳐도 세븐일레븐의 점포수 보다 적다. 대만 게임인 편의점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1999년 당시의 4대 편의점을 패러디하여 다뤘다.
파일:attachment/16161.png
  • 하이라이프 - 萊爾富(Hi-Life). 세계 유수의 편의점 밀집지역인 타이완에서 토종 편의점 체인이며 세븐일레븐(한자표기 없이 그냥 7-Eleven), 훼미리마트(全家便利商店)에 이은 업계 3위, 1,000개를 넘는 점포망을 가진 대만판 GS25. 모회사는 光泉(광천)이라는 유제품 가공업회사[41]이다.
파일:hilife.jpg
  • OK MART - OK超商 : 대만에서 영업하는 편의점으로 미국 기업인 써클K와 대만 기업의 합작으로 써클K로 출범했었다. 2005년 써클K와의 합작 종료로 홍콩 써클K가 사용하고 있는 브랜드인 OK便利店으로 개명했다가 2007년 현재의 브랜드로 변경한다. 한국과 일본의 써클K 아시아 합작사들이 고전을 면치 못했던 것처럼 현재 대만에서 4개 브랜드 중 4위를 차지하고 있다.

4.8. 러시아

Fresh 25, Supermarket, Ekspress24 등의 편의점 체인이 있다. 카드도 받으며, 보드카, 발티카, 맥주 등의 주류도 살 수 있다. 한국이나 일본식 편의점 구성을 따온 것으로 보인다. 블라디보스토크 기준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식료품들도 많이 있으며, 특이하게도 불닭볶음면, 왕뚜껑, 도시락, 공화춘 컵짜장등의 다양한 한국 라면들이 있다.

4.9. 호주

북미처럼 주유소에 딸린 것들이 주류이다. 현지 유명 수퍼마켓인 콜스, 울워스 등이 정유업체인 셸, 칼텍스와 각각 제휴하여 지점을 다수 설치해 놓았는데, 경우에 따라 수퍼마켓 브랜드가 아닌 자체 브랜드 편의점이 들어오기도 한다. 현지 유명 에너지 업체인 BP도 주유소를 통해 자체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다.

순수 편의점 브랜드로는 세븐일레븐이 가장 흔하다.[42] 그 뒤를 럭키 세븐, 나이트 아울 등이 뒤쫓고 있는 형세.

팔고 있는 물건 면에서는 딱히 특별할 게 없고 편의점 본연의 목적인 급할 때 비싸게 이용하는 방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다양한 할인을 많이 하고는 있는데, 대부분 기본 가격 자체가 너무 비싸서 별 의미가 없다. 술 관련 라이센스를 엄격하게 적용하는 호주답게 주류도 일절 팔지 않는다.

판매 물품중 가격 메리트가 있는 것은 커피[43]나 슬러시 종류 정도. 또한 끼니를 때울 수 있도록 도넛이나 샌드위치를 팔기도 하는데 수퍼마켓에서 파는 것과 가성비가 유사하니 가성비가 괜찮다고 할 수 있다. 핫도그, 파이 등은 기성품을 뜨겁게 데운 것이라 가격은 봐줄 만하지만 제품 특성상 맛이 영 별로이다.

아예 테이크아웃 카페를 겸하면서 카페급 커피와 식품을 파는 경우도 있지만 그냥 일반 카페와 비슷한 가성비만 나오므로 따로 따져볼 만한 가치가 별로 없다.

결국 자동차로 원거리 이동을 하다가 휴게소 방문 목적으로 들른 것이 아닌 이상에는[44] 도심에서 먹거리 해결만을 위해 일부러 편의점에 갈만한 이유는 딱히 없다고 할 수 있다.

4.10. 몽골

CU와 GS25가 1, 2위를 차지해 97%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다만 직접 운영하는 것은 아니고 현지 기업에서 로열티를 받는 방식으로 사업 중이다.

5. 편의점 음식

편의점에서는 공산품뿐만 아니라 삼각김밥, 냉동식품 등의 일일배송 식품도 판매한다. 특히 삼각김밥이나 편의점 도시락 등은 직장인과 학생들의 구원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예전까지만 해도 편의점 식품은 '가격은 비싸고 양은 적다'라는 인식이 있었고, 실제로도 유통 과정 등을 생각해 보면 그래야 맞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집에서 해먹을 시간이 없어서 밖에서 끼니를 때워야하는 이들에게 어지간한 식당보다 가성비에서 최고로 평가받고 있다.[45]

직접 음식을 요리해 먹지 않고 편의점에서만 사먹는 부류를 지칭히는 편의점족이란 단어도 있다. 이러한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는데, 여러 편의점에서 미리 만들어진 완성품이 아닌 점포에서 직접 만들어내는 식품들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편의점 브랜드가 매점에서 직접 튀긴 치킨을 부위별로 판매하며, 그 외에 핫도그나 꼬치요리들 또한 판매하기도 한다. GS25는 후라이드 치킨 1마리를 판매하거나 옛날 통닭을 판매하기도 했다.

CU는 일부 점포가 빵을 직접 구워 판매했으며, GS25는 참치회와 홍어회를 판매하기도 했다.

편의점 음식으로 요리를 하는 경우도 있다. 마크정식이 대표적이다. 이렇게 기성품을 조합하여 새로운 메뉴를 만들어내는 사람을 모디슈머라고 한다. 이는 신조어로, 고치다, 일부를 변경하다라는 뜻인 modify와 소비자라는 뜻인 consumer를 합성한 단어다.

6. 편의점을 좋아하거나 관련된 인물

6.1. 실존 인물

6.2. 가상 인물

7. 편의점을 소재로 한 매체

8. 유관단체

9. 관련 문서



[1] 알바생들이 4~12시간 간격으로 순환하면서 영업하는 형식이 주를 이룬다. 이나 저녁 시간대라면 보통 4~6시간, 야간은 보통 8~10시간 근무가 기본이긴 한데, 종종 12시간 근무시키는 점포도 있다. [2] 대학교 등 시설 내부에 위치한 편의점이나 프랜차이즈 없이 운영하는 독립 편의점, 그리고 스토리웨이 대다수 점포가 그렇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특정 시간대에 인구 유동성이 너무 떨어지는 곳도 닫기도 한다. [3] 러시아처럼 시내에서 시선을 한바퀴 돌리면 24시간 영업하는 수퍼마켓이 여러개 시야에 들어오는 지역도 있다. [4] 원래 미국에서 태어난 프랜차이즈이지만, 1991년 일본 프랜차이즈였던 이토 요카도가 인수해 그 자회사로 있다. [5] 2002년 이후 서클K로 전환되었다. [6] 1986년에 미도파와 화니백화점, 근대화유통, 동아백화점 등 4개사와 합작법인 '전한국스파'를 세워 진출했으나, 1997년 모기업이던 대농그룹의 부도로 철수했으며 법인은 2002년에 청산됐다. 러시아 동유럽에서는 성업 중. 일본에선 1977년 (주)전일본스파본부를 세운 뒤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구에 1호점을 연 뒤 지역별 스파본부들이 우후죽순 세워졌지만, 사업 부진으로 2000년대 들어 코코스토어(훼미리마트에 흡수), 틱택시스템즈(포푸라에 흡수), 포푸라, 쓰리에프 나카시코쿠(현 로손 고치) 등지에 지역별 스파본부가 팔리고 마지막으로 남은 홋카이도 스파본부마저 2016년 세이코마트로 팔려 철수했다. [7] 미니스톱 합병 전까지는 5대 편의점. [8] 최근인 2019년 11월에 역전했다. 2021년 CU가 다시 재탈환 하였다. 브랜드 CI와 컬러등 전체적으로 새로 리뉴얼하면서 공격적으로 늘린 것을 통해 CU와의 1위 다툼에서 점포 수까지 1위를 차지하면서 1위 굳히기에 돌입했다는 분석이다. CU는 수익개선을 위해 점포출점을 다소 방어적으로 했으며, GS25는 수익면에서의 우위와 모기업인 GS그룹의 힘을 배경으로 공격적으로 출점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두 기업의 점포수차가 여전히 두자리수이므로 지하철 점포나 군대 PX 입찰경쟁에서 패배할 경우 역전될 가능성이 있다. [9] 실제로 하나로미니 브랜드 론칭의 명목은 노후 하나로마트의 개선이었다. [10] 코리아제록스 계열사였다. [11] 1991년 KBS 일일연속극 < 옛날의 금잔디> 20회부터 6회 가량 편의점(미니스톱 화곡점)이 등장한 바 있었으나, 극중 배경 이상의 의미가 없었다. [12] 지금은 일본 훼미리마트 본사와의 계약만료로 법인명은 'BGF리테일', 브랜드명은 CU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13] 한국 미니스톱은 롯데에 매각되어 2023년까지 모든 점포를 폐업하거나 세븐일레븐으로 전환시킬 예정이다. [14] 1951~1979년생 [15] 이는 북한과의 체제경쟁때부터 밀렸던 노숙자를 아예 없애버리겠다는 박정희의 방침과 함께, 시내에 사람이 모여서 앉아 있을 만한 공간을 여러군데 만들면 거기서 체제불만 대화가 오가거나 집단행동의 거점이 되기 때문에 그럴 여지를 주지 않기 위해 일부러 공원을 사람이 모이기 어려운 곳에다 배치하는 식으로 설계를 한 여파이다. [16] 가급적이면 이것보다는 의약외품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다. 개인 체질에 따라 다르지만, 의약외품의 가성비가 더 좋을 수 있다. [17] 2021년 6월 1일부터 사용가능 [18] 롯데ATM에서 충전만 가능하며 미니스톱 출신을 포함해 롯데ATM이 없는 일부지점은 충전이 불가능하다. [19] 담배값은 법으로 정해져 있고, 어떤 형식으로도 할인을 해주면 불법으로 간주된다. 적립이 해석에 따라 어떤 의미로는 할인으로 인정될 수도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적립이 안되는 것이다. 물론 같은 맥락에서 일반 동네 슈퍼에서 보루 샀다고 라이터나 사은품 같은 것을 주는 것도 불법. 허나 변두리 쪽 세븐일레븐 일부가 담배 현금구매시 사은품으로 불법행위를 했다는 증언도 간간이 나오고 있다. 편의점 모바일 상품권(편의점별 5,000원권, 10,000원권 등)으로도 담배 구입은 불가하다. [20] KT와 LG는 천원 이하는 적립 불가 [21] 할인과 L-포인트 동시적립이 가능하다. [22] 2016년까지 제휴했었다. [23] 아침시간대 간편식에 한해서 할인 [24] 다만 담배, 복권, 쓰레기 봉투, 서비스, 상품권 등은 할인 대상이 아니다. 요 근래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된 후에는 모바일 카드를 제시하면 그만이다. [25] 한때 LG25로 영업하던 걸 GS그룹으로 분리되면서 GS그룹 산하의 GS리테일로 들어가 GS25로 바뀐 것이다. LG유플러스와의 제휴는 현재도 지속되고 있다. [26] 다만 KT 멤버십과 달리 세븐일레븐 앱에서 제공하는 할인 쿠폰의 중복 적용은 안 되었다가 지금은 가능하다. [27] 원래는 T-멤버십 캐쉬백이라고 해서 SK텔레콤 멤버십 카드 소지자들에게만 할인/적립이 되었으나 2011년 하나SK카드의 메가캐쉬백 체크카드가 런칭되면서 이 계통의 카드만 내밀어도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다가 2013년 6월 T-멤버십 캐쉬백이 폐지되고 2013년 11월부터 엔크린 보너스 카드 이외의 모든 OK캐쉬백 카드로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적립률은 엔크린 보너스 카드만 되던 시절에 4.5%가 적립됐으나 모든 OK캐쉬백 카드로 확대된 후 0.9%로 크게 삭감했으며, 2014년 미니스톱 하나카드와 제휴를 해지하여 2014년 10월 1일부터는 메가캐쉬백 체크카드로도 적립률이 0.9%로 삭감되었다. [28] 또한 미국의 주유소는 거의 대부분이 셀프서비스이기 때문에 신용카드가 아닌 현금으로 계산하려면 편의점에 들어가야 한다. 카운터에서 '~번 주유구에 ~어치 휘발유요'라고 한다음 카운터에서 계산하고 직접 가서 주유하면 주유구에서 계산한 만큼만 나오는 식이다. [29] 중국 2위, 2022년 기준 28,000개다. [30] 중국 3위, 2022년 기준 20,000개다. [31] 32,000개소다. [32] 본사가 남부 광둥성 둥관(东莞)에 있는 광둥성 브랜드다. [33] 중국 5위. 해외편의점중 1위. 상하이, 충칭, 다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34] 중국 10위. 상하이에서 흔하게 찾을 수 있는 브랜드다. [35] 중국 8위. 광둥성, 상하이, 베이징, 심양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브랜드다. [36] 한국의 상점 중에는 오히려 편의점보다 SSM이 가깝다. 대표적인 SSM 홈플러스 익스프레스가 바로 모기업인 영국 테스코의 시내점포 테스코 익스프레스를 따온 것이다. [37] 초밥, 잡지, 만화책 등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38] 다이에는 20세기말까지 만해도 일본 최대의 유통그룹이었고 일본프로야구 팀 다이에 호크스(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까지 소유했을 정도였으나, 부채 탕감을 위하여 로손을 비롯한 거의 모든 자회사를 매각한 후 미니스톱이 산하에 있는 이온그룹의 계열사로 전락. 로손 미쓰비시 계열의 종합상사인 미쓰비시상사로 매각되었다. [39] 사실 코레일의 스토리웨이가 JR동일본의 뉴데이즈를 벤치마킹했다고 볼 수 있다. 초기에는 간판 색상이나 인테리어 구성도 거의 유사했을 정도였다. 물론 지금은 스토리웨이가 리뉴얼로 독자적인 색깔을 찾아가면서 옛말이 되었다. [40] 국철 시절부터 내려오는 브랜드로 타지역 JR도 키오스크 브랜드를 사용하거나 후속 브랜드를 적용하는 매점을 운영한다. [41] 대만 음료전문점에서 파는 밀크티에 들어가는 우유는 대부분 이 회사 제품이다. 참고로 이 회사의 정식 명칭은 광천목장고분유한공사(光泉牧場股份有限公司)로 1964년에 설립되었으며 처음에는 작은 식품 제조회사로 출발하여 1974년에 현재의 회사명으로 개칭되었다. [42] 세븐 일레븐도 주유소를 겸하는 지점이 꽤 많기는 하다. [43] 이것도 전자동 머신을 셀프 서비스 했을때나 가격 메리트가 있고, 직원이 직접 에스프레소 머신으로 뽑아주는 커피는 가격 메리트가 별로 없다. [44] 호주엔 휴게소라 할만한 게 없고 주유소에 딸린 편의점이 휴게소 역할을 겸한다. 잘 해봐야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한두개 정도가 옆자리에 입점한 정도고 그마저도 없는 곳이 많다. [45] 다만 본인의 한끼 식사량이 김밥 1,2줄로는 안되는 수준이라면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46] 편의점에 다녀오는 길에 이세계로 날아갔다. [47] 작중 내 편의점 ‘엔젤 24’의 아르바이트생. 인게임 상점 담당 NPC다. [48] 박점장, 김혜연, 강민준, 임은아. [49] Standard Edition( 전연령판)에서 속성 추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