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2:52:13

중력 자성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14A0A><colcolor=#fff> 기본 개념 텐서( 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 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 질량중심) · 속력( 속도 · 가속도) · 운동( 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 일률) · 에너지( 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관성 좌표계 · 비관성 좌표계( 관성력) · 항력( 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 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강체 · 응력( /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 각가속도) · 각운동량( 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 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 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문제( 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 자유도) · 변분법{ 오일러 방정식( 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 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언 · 액션) · 해밀턴 역학( 해밀토니언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 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 건축공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 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 진자( 단진자) · 사이클로이드 }}}}}}}}}

상대성 이론
Theory of Relativity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2A1A5B>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colcolor=#00a0de><colbgcolor=#2A1A5B> 배경 상대성 이론/역사 · 맥스웰 방정식 · 마이컬슨-몰리 실험
기초 가설 상대성 원리 · 광속 불변의 원리 등가 원리( 중력 · 관성력)
이론 체계 시공간( 세계선 · 고유 시간 · 고유 길이 · 민코프스키 다이어그램 · 아인슈타인 표기법) · 미분기하학( 리만 다양체)
로런츠 변환( 로런츠 인자) · 로런츠 군 아인슈타인 방정식 · 힐베르트 액션
( 슈바르츠실트 계량 ·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 커 계량/커-뉴먼 계량)
현상 동시성의 상대성 · 시간 지연 · 길이 수축 · 질량-에너지 등가원리 · 상대론적 효과( 도플러) 중력 렌즈 효과 · 중력파 · 적색편이
응용 및 심화 기본 상호작용 · 상대론적 역학 ·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천체물리학( 천문학 둘러보기) · 통일장 이론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타임 패러독스 · 중력 자성
쌍둥이 역설 · 막대와 헛간 역설 · 아광속 · 초광속 · 타키온 중력자 · 블랙홀( 블랙홀 둘러보기 · 사건의 지평선 · 중력 특이점 · 양자블랙홀) · 우주론 · 우주 상수 }}}}}}}}}}}}

기본 상호작용
Fundamental Interaction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중력
Gravity
<colbgcolor=#f7d7d9,#2a080a> 강한 상호작용
Strong interaction
약한 상호작용
Weak interaction
[[전자기력|{{{#!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top; margin-right: 30px"]]
[[전자기약력|{{{#!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top; margin-right: 30px"]]
[[대통일 이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top; margin-right: 30px"]]
[[모든 것의 이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top; margin-right: 30px"]]
통일장 이론에 따름. }}}}}}}}}

1. 개요2. 세기 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Gravitomagnetism

중력 자성은 간단히 이야기 하면, 중력장의 전자기학적 유추에서 나오는 개념이다. 두 전하 사이의 힘이 전기력이고, 두 움직이는 전하 사이의 힘이 자기력인 것 처럼, 두 질량 사이의 힘이 중력(중력전기력), 두 움직이는 질량 사이의 힘이 중력자기력이다. 중력 자성을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라서 관측자의 관성계를 변화시키면 중력과 같아진다. 중력 전자기(Gravitoelectromagnetism, GEM)라고도 한다.

이것의 힘이 매우 작으므로, 1996년이 되어서야 LAGEOS 위성을 통해 실험적으로 검증되었다.[1][2]

2. 세기

중력 자성의 크기는 자기력의 크기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띈다.

먼저 움직이는 질량[math(m)]은 중력자기장 [math( \mathbf{P} )]를 만들며, 이의 크기는

[math(\displaystyle \mathbf{P}=-\frac{G}{c^2} \frac{\gamma m \mathbf{v} \times \boldsymbol{\xi} }{\xi^{3}}= \frac{\omicron_{0}}{4 \pi} \frac{\gamma m \mathbf{v} \times \boldsymbol{\xi} }{\xi^{3}})]

여기서 [math( \omicron_{0} =-\frac{4\pi G}{c^2} )]는 자기력으로 치면 투자율에 해당하는 값이며, [math( v )]는 질량의 속도, [math( \boldsymbol{\xi} )]는 분리 벡터이다.[3]

속도[math( \mathbf{v} )]으로 움직이는 질량[math(m)]이 현재 위치의 중력자기장 [math( \mathbf{P} )]로 부터 받는 힘은

[math(\displaystyle \mathbf{F}= m \mathbf{v} \times \mathbf{P} )]

이다.

3. 여담

중력 자성에 대해서도, 중력자기선속 등의 개념을 도입하여 전기장의 가우스 법칙이나 자기장의 앙페르 법칙과 같은 것들을 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그 성질이 자기장의 경우를 전하대신 질량으로 바꾼 것과 다름 없다.

물론, 전하가 아닌 질량이라는 점에서 성질이 같을 뿐 전혀 다른 결과를 보이는 경우도 있기는 하다 [4]

4. 관련 문서


[1] Ciufolini, I., Lucchesi, D., Vespe, F., & Mandiello, A. Measurement of dragging of inertial frames and gravitomagnetic field using laser-ranged satellites. Il Nuovo Cimento A, 109(5), 575-590. (1996) [2]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 중력상수가 작으니, 전기력의 유전율에 해당하는 값이 클 것이고, 자기장의 투자율에 해당하는 값이 작으므로, 힘이 매우 작은 것은 당연하다. [3] Vieira, R. S., & Brentan, H. B. Covariant theory of gravitation in the framework of special relativity. The European Physical Journal Plus, 133(4), 165. (2018) [4] 그러나 그 크기가 대부분의 경우 오차범위보다 작아서 무시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