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8 20:11:38

고유 시간

상대성 이론
Theory of Relativity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2A1A5B>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colcolor=#00a0de><colbgcolor=#2A1A5B> 배경 상대성 이론/역사 · 맥스웰 방정식 · 마이컬슨-몰리 실험
기초 가설 상대성 원리 · 광속 불변의 원리 등가 원리( 중력 · 관성력)
이론 체계 시공간( 세계선 · 고유 시간 · 고유 길이 · 민코프스키 다이어그램 · 아인슈타인 표기법) · 미분기하학( 리만 다양체)
로런츠 변환( 로런츠 인자) · 로런츠 군 아인슈타인 방정식 · 힐베르트 액션
( 슈바르츠실트 계량 ·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 커 계량/커-뉴먼 계량)
현상 동시성의 상대성 · 시간 지연 · 길이 수축 · 질량-에너지 등가원리 · 상대론적 효과( 도플러) 중력 렌즈 효과 · 중력파 · 적색편이
응용 및 심화 기본 상호작용 · 상대론적 역학 ·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천체물리학( 천문학 둘러보기) · 통일장 이론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타임 패러독스 · 중력 자성
쌍둥이 역설 · 막대와 헛간 역설 · 아광속 · 초광속 · 타키온 중력자 · 블랙홀( 블랙홀 둘러보기 · 사건의 지평선 · 중력 특이점 · 양자블랙홀) · 우주론 · 우주 상수 }}}}}}}}}}}}

1. 개요2. 사건의 정의3. 시간 지연과의 관련성4. 세계선의 고유시간
4.1. 관련 문서
5. 교과과정에서6. 관련 문서

1. 개요

Proper Time
Eigenzeit

두 개의 사건이 어떤 관성좌표계에서 같은 장소에서 발생하였을 때, 그 관성좌표계에서의 두 사건의 시간차. 두 사건이 같은 장소로 표현되는 관성좌표계는 회전을 무시하면 단 하나이고, 이 좌표계에서의 시간 간격을 고유시간 [math( t_0 )] 라고 부른다.

두 사건이 같은 장소에서 발생한 것처럼 보이는 관성좌표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고유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2. 사건의 정의

상대성 이론에서의 고유 시간을 정의하기에 앞서 사건(event)을 정의내릴 필요가 있다. 상대성 이론에선 시간 [math( t )] 와 위치 [math( \displaystyle \vec{r} )] 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사건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오전 10시 정각에 기차가 역에 도착하였다."는 식의 문장이 ([math( t = )] 오전 10시, [math( \vec{r} = )] 기차역의 좌표) 로 표현되는 하나의 사건을 구성한다. 1차원적인 위치만을 고려하면 [math( \left(t, x \right) )] 의 형태로 각각의 사건을 기술할 수 있다.

단, 상대론적인 해석에 있어 한가지 유의해야 하는 것은, 우리가 그 사건을 인지하는 (예를 들어, 그 사건이 일어났다는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한) 시간이 아니라, (우리가 있는 좌표계에서 관측한) 실제로 그 사건이 일어난 시간을 사용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즉, 10만 광년 떨어진 곳에서 폭발한 초신성을 지금 ([math( t = 0 )]), 내가 있는 장소에서 ([math( x = 0 )]) 관측하였다면, 그 초신성 폭발 사건은 [math( \left(t, x \right) = )] ([math(-10)]만년, [math(10)]만광년) 의 시간과 위치에서 일어난 것이다.

3. 시간 지연과의 관련성

고유시간은 다음과 같이 시간 지연을 정의하는데 쓰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math( \displaystyle t = \gamma t_0, \quad \gamma = {1 \over \sqrt{1-v^2/c^2}} )]

여기서 대체 무엇이 [math( t )] 이고, 무엇이 [math( t_0 )] 일까? 먼저 두 개의 사건이 정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이들이 같은 장소로 나타나는 관성좌표계를 가정할 수 있다. 해당 관성좌표계가 존재한다면 그 좌표계에서 사건들은 고유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차 [math( t_0 )]를 가지고 일어나게 된다. 그 외의 무수히 많은 관성좌표계에서 관측자는 두 사건 간에 시간차 [math( t )]를 재게 된다. 흔히 상대성 이론을 "모든 것은 상대적이다."라는 피상적인 담론으로 이해하는 경우, 내가 보기엔 네가 느려져서 [math( t = \gamma t_0 )] 이고, 네가 보기엔 내가 느려져서 [math( t_0 = \gamma t )] 가 된다는 식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절대로 그렇지 않다.

그리고 어떠한 다른 관성좌표계에서 이 시간차를 재더라도, [math( t = \gamma t_0 )] [1], 즉 [math( t_0 )] 보다 더 긴 시간차를 관측하게 된다.

4. 세계선의 고유시간

한 물체가 시공간 상에서 움직이면서 세계선을 그릴 때, 물체 자신의 고유시간을 정의할 수 있는데, 물체가 꼭 등속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물체의 세계선이 시간의 함수([math(\vec{r}=\vec{r}(t))])로 주어질 때, 관성좌표계의 짧은 시간 [math( dt )] 에 해당하는 물체의 고유시간 [math( dt_0 )] 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dt_0= \gamma^{-1}(t)dt,\ \ \ \ \ \gamma^{-1}(t) \equiv \sqrt{1-\frac{1}{c^2}\left|\frac{d\vec{r}}{dt}\right|^2} )]

즉, 로런츠 인자가 속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시간의 함수가 된다. 그러면 관성좌표계 기준 특정 시간간격 [math([t_1,\ t_2])] 동안의 물체의 고유시간은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math(\displaystyle t_0 = \int^{t_2}_{t_1} dt_0 = \int^{t_2}_{t_1} \gamma^{-1}(t)dt = \int^{t_2}_{t_1} \sqrt{(dt)^2-\left|\frac{d\vec{r}}{c}\right|^2} \leq \int^{t_2}_{t_1}dt = t_2-t_1)]

관성좌표계에서 [math( t_2 - t_1 )]의 시간이 흐른 동안 임의의 경로로 가는 물체에서 흐른 시간이 더 적으므로 시간이 더 천천히 흐름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서브컬쳐에서 얘기하는 우라시마 효과이다. 그리고 물체가 좌표계에 대해 정지해 있을 때 물체의 고유시간과 좌표계의 시간은 같아진다.

4.1. 관련 문서

5. 교과과정에서

안타깝게도 많은 교양서적들에서 이러한 고유 시간의 개념을 제대로 도입하지 않은 채로 시간 지연을 설명하여 많은 사람들을 혼란시키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물리Ⅰ 교과는 대한민국 고등학교 교과과정 역사상 최초로 특수 상대성 이론을 포함시켰다. 해당 교과에 시간 지연과 길이수축이 등장하는데, 사건과 고유 시간에 대한 확실한 이해 없이 그냥 이러한 자연현상이 존재하니 암기하라는 식으로 기술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물리학Ⅰ에선 특수 상대성 이론의 분량이 축소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물리학에서도 분량이 축소되었다.

6. 관련 문서


[1] 당연히 [math( \gamma )] 는 두 좌표계간의 상대속도로부터 정의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