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조희연 |
제2대 신기선 |
제3대 안경수 |
제4대 조희연 |
제5대 이도재 |
|||
제6대 조희연 |
제7대 이윤용 |
제8대 민영환 |
제9대 이종건 |
제10대 민영기 |
|||
제11대 심상훈 |
제12대 민영환 |
제13대 심상훈 |
제14대 민병석 |
제15대 윤웅렬 |
|||
제16대 민병석 |
제17대 민영철 |
제18대 신기선 |
제19대 이근택 |
제20대 이봉의 |
|||
제21대 윤웅렬 |
제22대 민영철 |
제23대 이용익 |
제24대 윤웅렬 |
제25대 민영기 |
|||
제26대 이윤용 |
제27대 이종건 |
제28대 권중현 |
제29대 이용익 |
제30대 심상훈 |
|||
제31대 권중현 |
제27대 이근택 |
제28대 권중현 |
제29대 이병무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29대 이병무 |
|||||||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어윤중 |
제2대 윤용선 |
제3대 심상훈 |
제4대 어윤중 |
제5대 박정양 |
||||
제6대 민종묵 |
제7대 조병호 |
제8대 심상훈 |
제9대 민영기 |
제10대 조병호 |
||||
제11대 조병직 |
제12대 민영기 |
제13대 박정양 |
제14대 민영환 |
제15대 민영기 |
||||
제16대 조병직 |
제17대 조병식 |
제18대 민병석 |
제19대 김규홍 |
제20대 심상훈 |
||||
제21대 김성근 |
제22대 심상훈 |
제23대 이용익 |
제24대 박정양 |
제25대 민영기 |
||||
제26대 조병호 |
제27대 민영기 |
제28대 민영철 |
제29대 민영기 |
제30대 고영희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30대 고영희 |
제31대 임선준 |
제32대 고영희 |
||||||
}}}}}}}}}}}} |
<colbgcolor=#872434><colcolor=#fff> | |
아명 | <colbgcolor=#fff,#1f2023>이체동(李體童) |
자 / 호 | 공필(公弼) / 석현(石峴) |
출생 | 1854년 1월 6일 |
함경도
명천현 상가사 이향리[1][2]
# (現 함경북도 화대군 석현리) |
|
사망 | 1907년 (향년 53세)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 |
본관 | 전주 이씨(全州 李氏)[3] |
가족 |
아들 이현재(李賢在)[4] 손자 이종호(李鍾浩)[5] |
약력 |
대한제국
군부대신 대한제국 탁지부대신 대한제국 내장원경 보성전문학교 초대 교주(校主) |
시호 | 충숙(忠肅) |
상훈 | 대한민국 국민훈장 모란장(추서) |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 시대의 관료, 교육가.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이성계의 이복형인 완풍대군 이원계의 후손이다.[6] 아명은 이체동(李體童), 자는 공필(公弼), 아호는 석현(石峴),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대한제국의 황실 재정을 총괄하던 내장원경(內藏院卿)과 국가재정의 총책임자인 탁지부대신(현 기획재정부장관), 그리고 국방과 군을 책임지는 군부대신(현 국방부장관)을 맡았었다.대한제국 시기 관료로서 몇 안되는 충직하고 유능한 인물이라는 평과 매관매직을 일삼은 조선(대한제국)의 군주 고종의 창고지기라는 평이 엇갈린다. 고종은 과거제를 비롯 각종 수단으로 개인재산을 불렸다. 그렇게 모은 재산의 관리 관청인 내장원(왕 개인재산)과 탁지부(지금의 기획재정부) 모두 이용익이 관리했다.
보부상으로 활동하다 임오군란 중 명성황후를 구출시킨 공로로 민씨 정권의 핵심 인물로 부상하여 승승장구하게 되었다. 이후 그는 조정에서 대표적인 친러파가 되어 동시에 일본을 견제했고, 이에 당시 친러였던 고종의 전폭적인 신임을 얻게 되어 국정에 여러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러일전쟁에서 러시아가 패하고 일본이 승리하면서 이후 정점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이 때문에 민씨 정권에 빌붙어 출세한 인물이라며 평가절하하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친일 행적이 없으며, 을사늑약 체결 당시 늑약에 반대하여 투옥되었고, 이후 러시아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하던 중에 1907년 피살되었기 때문에 민족사적 관점에서 평가절하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또한 그는 축적한 부를 개인적 영달에 쓰지 않고 학교들을 설립하여 교육사업에 힘썼다. 고종 황제가 직접 하사한 '널리 사람다움(인간성, 人間性)을 열어 이루게 한다'라는 뜻이 담겨져 있는 '보성(普成)'이라는 이름을 교명으로 삼아 민족 최초의 근대적 사립고등교육기관인 보성전문학교를 설립하여 훗날 후신이 되는 고려대학교의 설립자로 평가받는다.
2. 집안
1854년 1월 6일 함경도 명천현 상가사 이향리(현 함경북도 화대군 석현리)에서 종5품 의금부 도사(都事)를 지낸 아버지 이병효(李秉斅, 1816 ~ 1875.2.25.)[7]와 어머니 강릉 유씨[8] 사이의 두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아버지 이병효는 1837년( 헌종 3) 식년 생원시에 2등 4위로 입격한 뒤 1864년( 고종 1) 종9품 안릉(安陵: 효공왕후의 능) 참봉에 제수되면서 관직생활을 시작했다. 1865년 종6품으로 품계가 올랐고, 종6품 부사과(副司果)에 제수되었다. 1869년 종6품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 종5품 의금부 도사(都事)·서부 령(西部令), 1872년 종5품 희릉 령(令)·후릉(厚陵: 정종과 정안왕후의 쌍릉) 령(令), 1874년 종6품 고산현감(高山縣監) 등을 역임했던 인물이다.
조부 이광집(李光集)[9]은 무과에 급제하였다. 이들은 사후 이용익이 1890년 종2품 공조 참판을 역임한 뒤에 각각 종2품 이조 참판과 정3품 승정원 좌승지에 추증되었으며, 1902년 의정부 찬정(贊政)에 오르자 또한 각각 의정부 찬정 및 의정부 참찬(參贊)에 추증되었다.
벼슬 없이 별세한 증조부 이수춘(李壽春) 또한 두 차례에 걸쳐 정3품 사복시 정(司僕寺正)과 비서원 승(秘書院丞)에 추증되었다.
또한 형 이연익(李然益, 1838.4.9. ~ 1866.2.30.)의 장남인 이윤재(李允在, 1862년생)는 1887년(고종 24) 함경도 도과(道科) 문과에 을과 1위, 즉 아원(亞元)으로 급제한 뒤 그해 정7품 승정원 가주서(假注書) 및 종9품 권지(權知) 승문원(承文院) 부정자(副正字)에 제수되면서 관직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1890년 종6품 부사과(副司果)· 홍문관 부수찬(副修撰)·장련 현감(長連縣監), 정6품 홍문관 수찬(修撰)· 사간원 정언(正言), 광무국 방판(鑛務局幇辦), 1891년 종6품 송화현감(松禾縣監), 1895년 종4품 초산군수(楚山郡守), 1896년 풍덕군수(豊德郡守), 1897년 영흥군수(永興郡守) 등을 역임했고, 1901년 종2품 가의대부(嘉義大夫)의 품계에 올랐으며, 1903년에는 함경북도관찰사(咸鏡北道觀察使)에 임명되고 이후 함경북도 재판소 판사(咸鏡北道裁判所判事) 및 함경북도 각광 감리(咸鏡南北道各礦監理) 등을 겸임했다.[10]
3. 생애
이용익의 생애[11] | |
1854 | 함북 명천 출생 |
1882 | 선공감가감역 - 첫 벼슬길 입성 |
1897 | 탁지부 전환국장 - 광산관리 책임 |
1899 | 전환국장 및 내장원경 겸직 |
1902 | 조정 재정권 장악, 철도 부설 사업 |
1904 |
탁지부 대신, 조선 중립화 선언 추진 일본 억류 중 교육구국 의지 다짐 |
1905 |
보성전문학교 개교, 육군 부장 망명 - 중국 → 프랑스 → 러시아 |
1907 |
사망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고종 황제가 충숙(忠肅) 시호 내림 |
보부상 활동 중 왕실의 외척 민영익과 알게 되었다. 빠른 걷는 속도를 지녀 임오군란 때 장호원에 피신을 한 명성황후와 고종간 정보통 역할을 했다. 또한 단천에서 숨겨진 금광을 발견해 왕실의 재정에 기여하면서 왕실의 신임을 얻었다. 이후 왕실로부터 위와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종3품 단천도호부사로 임명되었다.
1902년 탁지부[12] 대신으로 임명되었다. 탁지부 대신이 된 후 같은 해인 1902년에 항일 독립운동가로 잘 알려져 있는 이준· 민영환· 이상재 등과 '개혁당'을 조직하였다. 조정에서 이용익은 친러, 반일 라인으로 활동했다. 일본의 대한제국 침략 방지에 힘썼다. 러일전쟁 때는 이용익이 주도하여 '대한제국 중립선언'이 있었다. 그러나 그는 일제를 견제하며 러시아를 적극 끌어들인 친러파에 속했기에, 러시아에 반감을 갖고 있던 독립협회로부터는 맹공을 받았다.
독립협회에 의해서 고등 재판소에 고발당하기도 했는데, 죄목 중 하나가 화폐를 잘못 주조한 것이다. 화폐정리사업과 관련된 일로 잘못된 동전을 풀었던 일이다. 재정을 담당하던 당시 그의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었는 일이라는 항변이 있지만, 이와 같은 정책적 실책 때문에 당시 민중들 사이에서는 이용익에 대한 평판이 그리 좋지 않았다. 또한 고종의 군비증강정책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육군 양성을 주장했다. 이 때문에 해군 양성을 주장한 을사오적 이근택과 매우 사이가 나빠 서로 암살자까지 보낼 정도였다고 한다. 을사조약 체결 이전까지만 해도 이용익과 이근택은 같은 친러파였지만 을사조약 이후 이용익은 계속해서 친러, 반일을 했고, 이근택은 친러에서 친일로 갈아타며 매국노가 되었다.
이후 일본 제국 수뇌부는 일제의 강점에 저항하던 이용익 제거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이용익을 일본으로 납치시킨다. 당시 이용익의 납치를 위해 일제 천황이 직접 서명한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로 이용익은 일제에게 '요주의 인물'에 올라 있었다고 한다. 1904년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유리해지자 일제는 국제 여론을 이용해 이용익을 귀국시켰다.
귀국 후 이용익은 1905년에 민족 최초의 사립고등교육기관인 보성전문학교[13]를 설립하였고, 이듬해 보성중학교를 설립하여 교육 사업에 힘썼다.
그러다가 1905년 일본이 을사조약 체결을 강요하자 참정대신 한규설과 함께 공개 반대했고, 그 과정에서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끌어내져서 투옥되었다. 석방 후 러시아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하다가, 1907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김현토에 의해 피살되었다. 그의 죽음이 당시 대한제국 황실에 알려진 뒤 황실은 그의 시호로 '충숙(忠肅)'을 하사하였다.
이용익의 사후, 그의 정적이자 그를 모함했던 친일반민족행위자의 상당수가 일본의 조선 강제 합병에 공헌한 대가로 일제로부터 작위와 재물을 받았다. 반면 이용익의 가문은 일제에 의해 재산과 직위를 몰수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용익의 손자인 이종호는 조부를 이어 보성전문학교의 교주(校主)를 역임하고 항일독립운동을 계속하여 해방 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이용익에게는 군사정권 시기 국민훈장 모란장이 추서되었는데, 학계에서는 그의 공에 비해 훈장의 지위가 부족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14][15] 때문에 그의 업적을 재평가하여 그의 손자 이종호처럼 건국훈장이 추서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
4. 대중매체에서
- 김주영 원작 소설과 이두호 만화인 < 객주>에서는 조연이기는 해도 꽤 비중있게 나온다. 처음에는 주인공 천봉삼이 모시던 쇠살쭈(상단 행수) 조성준을 돕던 젊은 보부상으로 나오다가 자신이 알아서 길을 가겠다고 독립하더니만 나중에는 금괴를 가득 찾아내 민영익에게 바친다. 민영익이 비웃으면서 "금괴를 뇌물로 준다고 내가 널 알아주기라도 한다냐?" 냉소를 비쳤으나 굴하지 않고 배짱있게 대꾸하여서 그가 마음에 든 민영익이 나가려고 하는 그를 막으며 "앉아! 들어오는 건 네 마음이지만 나가는 건 내 마음이다."라며 측근으로 고용한다. 이렇게 민영익 휘하로서 조선 보부상 상단을 떨게 만들며 막대한 수익을 거두었으나 자만하지 않고 한때 행수로 모셨던 조성준을 크게 우대하며 선배격인 천봉삼에게도 잘 우대했다. 악역인 길소개 앞에 나와서 "쥐새끼처럼 이리저리 기회만 보러가는 놈이 잘도 출세했다"면서 비아냥거리고 그를 으름장놓아 굴복시키기도 했다. 민영익이 천봉삼을 쥐어 짜내려고 할 때 가장 두둔하기도 했다.
- 1982년 MBC 월화 드라마 <이용익>에서는 배우 이영후가 연기했다. 북척 땅의 상인이었던 그의 독특한 출세길, 검소했던 생활, 교육 기관 설립 등의 이야기를 담았었다. 작품에서 이용익은 윤리적으로 건전하게 부를 축적하고 사익보다 공익을 우선시했던 인물로 그려진다.[16]
- 대체역사소설 조선, 혁명의 시대에서는 보부상출신으로 근대적 자본가로 변신하여 대한천일은행을 설립한다. 보부상들이 정치에 뛰어들 수 있고 중요요직을 맡을수 있다는 걸 보여줘서 전통적인 보부상들이 자본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 대체역사소설 대통령 각하 만세에서는 고종황제어 내탕금을 관리하던 인물로 등장하며 대한민국이 들어서자 러시아로 밀항하다 잡힌다. 그러나 순순히 협력해주기도 했고 주인공 조지원의 선배격이었기에 황제 측근임에도 처벌받지않았다.
5. 여담
- 이용익의 조상(완풍대군)의 동생인 태조 이성계와 얼굴 골격부터 외모까지 닮았다.
- 젊은 시절 보부상으로 활약한 경력 때문인지 걸음걸이가 매우 빨랐다고 하는데 일설에는 보법(흔히 축지법)의 달인이었다고 한다. 고종의 명을 받아 서울에서 전주까지 반나절만에 걸어간 적도 있었다고 전해진다.[17] 이 능력 덕분에 임오군란 당시 맹활약할 수 있었다 하는데 과장이 좀 섞였다 하더라도 이러한 일화가 전해져 내려올 정도로 엄청난 체력의 소유자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시 걷는 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로 명성황후의 연락책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토대로 보면 확실히 일반인에 비해 월등히 빠르기는 했던 것 같다. 객주 만화책에서도 민영익이 민군에게 맞서려고 하자 그를 기절시킨뒤 업고 민군들에게서 달아났다.
- 한국 최초의 사진 엽서인 알레베크 사진엽서의 모델이 되었다. 탁지부 대신인 이용익은 프랑스와의 차관 협상 때 샤를 알레베크를 협상 대리인으로 프랑스에 파견하였다. 위 사진은 1900 파리 엑스포 때 기념품으로 팔린 것으로 보인다.[18]
- 상궁 출신인 순헌황귀비의 호칭을 황귀비로 높일 때에 어떤 호칭을 써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는데 이용익이 나서서 호칭을 '귀비'로 하자고 건의하면서 예시를 양귀비로 드는 실수를 했던 적이 있었다. 이용익의 정적들이 이 때를 놓치지 않고 황실을 모독한 죄로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발언은 실제로 프랑스 외무성에 보고서로 올라온 이력이 있다.
- 고려대학교 대학원 건물 앞에는 민족 최초 사립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고려대학교를 설립한 그를 기리기 위해 그의 흉상이 놓여 있다.[19] <‘보성에서 고려까지’ 114년 역사의 초석을 다지다 > (고대신문 2019.05.08.)
이용익의 초상화[20] |
- 고려대학교는 2019년 4월 3일부터 10월 3일까지 약 6개월간 이용익 선생의 '교육구국' 정신[21]을 주제로 그의 삶과 행적, 항일 투쟁, 보성전문학교 설립 이야기를 소개하는 특별전을 고려대학교 교우회관 1층 ' 역사라운지 1907'에서 열었다. 당시 국립민속박물관이 소장한 이용익의 초상화가 전시되었다.
6. 참고문헌
7. 둘러보기
수구파 守舊派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고종 (1873 ~ 1882) |
||||||
사대당 (친청파) | |||||||
김병시 | 김보현 | 남정철 | 명성황후 | 민겸호 | |||
민승호 | 민영소 | 민영익 | 민영휘 | 민태호 | |||
송병준 | 이완용 | 조병세 | 조병식 | 흥인군 | |||
고종 (1882 ~ 1897) |
|||||||
사대당 (친청파) | |||||||
김병시 | 김성근 | 남정철 | 명성황후 | 민병석 | |||
민영소 | 민영익 | 민영휘 | 민종묵 | 박제순 | |||
|
조병세 | 조병식 | 조영하 | 홍종우 | |||
대한제국 (1897 ~ 1910) |
|||||||
친청파 (사대당) | 친러파 | ||||||
남정철 | 민영소 | 김병시 |
|
|
|||
조병세 | 홍종우 | 이범진 | 이용익 | 조병식 | |||
일제강점기 조선 (1910 ~ 1945) |
|||||||
친일반민족행위자 | |||||||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온건개화파 溫乾開化派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개화당 | ||||||
고종 ( ~ 1897) |
|||||||
김가진 | 김기수 | 김윤식 | 김홍집 | 민영익 | |||
박정양 | 신기선 | 조희연 | 어윤중 | 장석주 | |||
대한제국 (1897 ~ 1910) |
|||||||
<rowcolor=#000> 친일파 ( 개화당) | 친청파 | ||||||
김종한 | 김춘희 | 안경수* | 김성근 | 김윤식 | |||
유길준* | 윤웅렬* | 이두황 | 민영익 | 박제순 | |||
이지용 | 이진호 | 장석주 | 성기운 | 신기선 | |||
조민희 | 조중응 | 조희연 | 심순택 | 이용직 | |||
* 급진개화파로 보는 시각도 있다. | |||||||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보성전문학교 교주(校主)[1] | ||||
초대 이용익 |
2대 이종호 |
3대 손병희 |
<nopad> 1921년 재단법인 보성전문학교[2] |
<nopad> 1932년 재단법인 중앙학원에 인수 |
|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 |||||
초대 김성수 |
1-4대 이활 |
5-8대 김상만 |
9대 김용식 |
10대 채문식 |
|
11·12대 김병관 |
13대 현승종 |
14·15대 김정배 |
16-19대 김재호 |
[1]
1895년
경성부
명천군 상가사 이향리 → 1896년
함경북도
명천군 상가면 이향리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함경북도 명천군 상가면 석현동 → 1949년 함경북도 명천군 상가면 석현리 → 1952년
군면리 대폐합, 함경북도
화대군 자가리에 편입 → 1954년 함경북도 화대군 석현리로 분리
[2]
인근의 판령리, 연덕리, 조당리, 자가리와 함께
전주 이씨 집성촌이었다.
[3]
시조 38세손,
완풍대군 16세손.
#. 100여 년 전 인물인
정조와 같은 항렬이다.
[4]
이용익의 형인 이연익(李然益)의 둘째 아들로 이용익의 양자로 들어왔다.
[5]
생몰년도
1885년~
1932년. 교육자, 사업가,
독립유공자. 고려대학교의 전신
보성전문학교의 2대 교주(校主)를 맡았었다. 독립운동의 공을 인정받아
1962년 3월 1일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되었고, 군사정권기의 혼란으로 후손들에게 전해지지 않다가
2004년
11월 추서 42년만에 후손들에게 전해졌다.
#
[6]
이원계의 맏아들인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 이양우(李良祐)의 15대손이다.
[7]
초명은 이학신(李學新)으로, 1868년(
고종 5) 6월 14일 이병효(李秉斅)로
개명했다.
[8]
1818년 2월 생으로, 유시권(劉時權)의 딸이다.
[9]
이후 이광휘(李光輝)로 개명했다.
[10]
당초 이용익의 출신 성분을 두고 일각에서는 아비가 누군지 모른다는 설에서부터 말장수 자식이라는 설, 북방의 천민 출신이라는 설을 주장하는 쪽이 있는가 하면, 또다른 쪽에서는 대대로 명문 유교 가문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는데, 위 사실로 보아 명문 유교 가문에서 태어났다고 보는 편이 훨씬 타당하고 설득력이 있는 듯하다. 일단 조카 이윤재의 경우, 숙부 이용익이 정3품 영흥대도호부사(永興大都護府使)를 역임하면서 한창 잘나가던 1887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므로 숙부의 입김이 없으리라고는 말하기 어렵기에 차치하고서라도, 이미 아버지 이병효가 생원시에 입격하고 종5품 의금부 도사와 종6품 고산현감을 역임하던 시기에는 이용익이 활동하던 시기도 아니었고, 생원시 입격이나 이병효가 지낸 관직들은 일개 말장수나 마의(馬醫)가 오를 수 있는 경지들이 아니므로, 이용익의 출신 성분은 본래 양반가였음이 훨씬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11]
출처
[12]
조선 말에서
대한제국에 존재했던 관청.
탁지에 관한 업무, 즉
재무를 담당하던 부서로, 오늘날의
기획재정부(재무부)에 해당된다.
[13]
해방 후인
1946년 8월 15일 지금의
고려대학교로 승격되었다. 미(美) 군정청령(領) 의거 승인. 때문에 고대에선 일제 시절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해 해방 이후 종합대학 고려대학교로 개편한 인촌
김성수도 기념하고 있지만, 그 효시가 되는
보성전문학교의 설립자로서의 이용익 또한 기념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홈페이지 <고대역사>. 실제 설립자 이용익의 흉상이 고대 교정 내에 있다.
[14]
조익순, 이원창, (고종황제의 충신) 이용익의 재평가, 서울:해남 출판사, 2002. 등.
[15]
군사정권 시기
반공주의 노선을 채택한 것 때문에, 친러파의 입장이었던 이용익의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해당 입장의 논지이다.
[16]
당시 기사
#
[17]
서울에서 전주까지는
고속도로를 타도 200km가 넘고 당시 열악한
도로 사정까지 감안하면 그야말로 믿기지가 않는 수준이다. 걸어서 하는 전국일주의 경우가 보통 하루 40km를 걷고 70~80km를 걸으면
일반인은 버티지도 못하는 강행군이다.
[18]
사진에서 '알네ᄇᆡᆨᄭᅳ 법국 교사 셔울 ᄃᆡ한'을 현대 한글 표기로 바꾸면 '
알레베크 프랑스 교사 서울 대한'이다.
[19]
한편 그가 세운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해서 키운 의암
손병희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건물 앞에 흉상이 세워져 있다.
[20]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출처
[21]
'교육구국'은 그가 설립한
보성전문학교의 교훈이자 설립
이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