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1:27:42

독일을 위한 대안

독일 대안당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AfD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April Fools' Day에 대한 내용은 만우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정치적 스펙트럼을 '우익~극우'으로 기술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정치적 스펙트럼을 '우익~극우'으로 기술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aeaea
  • 정보상자(프로필 표)에 정치적 스펙트럼을 기술하며 다음과 같이 우익~극우로 한다.
<colbgcolor=#0072b3> 정치적 스펙트럼
우익 ~ 극우[1][2]
* 각주[1]의 내용은 그대로 반영하되 극우라고 해석/평가하는 시각이 많다는 것과 극단주의적 성향이 있다는 내용으로 280자 이내의 범위 내에서 서술이 가능하다. (렌더링된 글자 수만 포함된다.)
* 각주[2]의 내용은 계파별 자세한 성향에 대해서 개별 항목에서 서술한다는 내용을 알리는 범위 내에서 수정 가능하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독일 연방의회 로고.svg 독일 연방의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숄츠 내각
(2021 ~ 현재)
여당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svg
독일 사회민주당
207석
파일:동맹 90/녹색당 로고.svg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svg
동맹 90/녹색당
118석
자유민주당
91석
야당
파일:CDU/CSU 로고.svg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CDU/CSU
197석1
독일을 위한 대안
78석2
파일:좌파당(독일) 로고 2023년.svg 파일:자라 바겐크네히트 동맹 로고.png
좌파당
28석
자라 바겐크네히트 동맹
10석
비교섭단체 및 무소속
6석3
'''재적
735석
'''
1.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 152석)과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CSU, 45석)은 연방의회에서 CDU/CSU라는 공동 교섭단체로 활동함.
2. 독일을 위한 대안 소속 의원 1명은 의회 교섭단체에 가입하지 않아 미포함.
3. 독일을 위한 대안 1석, 남슐레스비히 유권자 연합 1석, 무소속 4석.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독일 연방의회 로고.svg 독일 연방의회
원내정당 목록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여당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svg
독일 사회민주당

207석
파일:동맹 90/녹색당 로고.svg
동맹 90/녹색당

118석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svg
자유민주당

92석
야당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svg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152석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독일을 위한 대안

79석
파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로고.svg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45석
파일:좌파당(독일) 로고 2023년.svg
좌파당

28석
파일:자라 바겐크네히트 동맹 로고.png
자라 바겐크네히트 동맹

10석
파일:SSW 로고.svg
남슐레스비히 유권자 연합

1석
}}}}}}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colbgcolor=#0072b3><colcolor=#fff>
Alternative für Deutschland
약칭 AfD(아에프데)
영어 명칭 Alternative for Germany
한국어 명칭 독일을 위한 대안
창당일 2013년 2월 6일 ([age(2013-02-06)]주년)
이념 우익대중주의[3]
독일 내셔널리즘[4]
반이슬람주의[5]
반이민주의[6]
사회보수주의[7]
성소수자 보수주의
유럽회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과거:
자유보수주의
국민자유주의
질서자유주의
정치적 스펙트럼 우익 ~ 극우[8][9]
청년 조직 청소년대안
유럽 정당 정체성 민주당[10] (2016년 7월 / 비공식)
유럽의회
교섭단체


(2014–2016)
자유와 직접민주주의 유럽
(2016~2019)

(2019~2024)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4~)
주소
독일 베를린 10785, 쉴슈트라세 9
상징 색
파랑 (#0072b3)
연방 당대표 알리체 바이델
티노 흐루팔라
당원 수 40,131명[11] (2024년 기준)
당비 수입 4,425,237 €[12] (2020년)
총 수입 24,584,651 € (2020년)
연방의회 의원
78석 / 734석 (10.21%)
연방상원 의원
0석 / 69석 (0.00%)
주의회 의원
233석 / 1,897석 (12.28%)
유럽의회 의원
15석 / 96석 (21.46%)[13]
기관지
정책 연구소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clearfix]

1. 개요

<colcolor=#fff>
유럽의회 선거 공식 홍보영상
우리 조국 우선!

독일 우익대중주의 정당. 독일 연방의회 원내 제4야당이다.

2. 약력

대안당은 독일의 자유민주당 CDU/CSU을 탈당한 우익 인사들과 학자들을 중심이 되어 창당한 정당으로 반유로•반이민을 내세우며 출발하게 하였다. 2015년 회케를 대표적으로 극우가 당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게 되자 당의 급진화를 우려하던 창당멤버들이 줄지어 탈당해 2015년 자유보수개혁당, 2017년 청색당을 창당하면서 당이 분열되었다. 또한 2024년 5월 기준 당 내 개별 조직들을 비롯 당 전체가 연방헌법수호청에 의해 '우익극단주의로 의혹되는 단체'(rechtsextremistischer Verdachtsfall)로 지정되어 감시대상이 되었고[14] 막시밀리안 크라의 친위대 옹호 발언까지 겹치면서 당의 극단주의 논쟁은 극에 이르게 되었다. 급기야 정체성과 민주주의에서 출당조치까지 당하며 당의 전망이 매우 어두웠던 상황이었지만 202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모두의 예상을 뚫고 독일 사회민주당의 득표율을 뛰어넘으며 독일 할당 의석 제2당이 되었다.[15]

3. 계파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계파' 항목을 개설한다.
}}}}}}}}}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화이트).png 의 계파 분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Alternative Mitte LOGO.png 파일:Der Flügel Logo.png
{{{#fff 알터나티브 미테
Alternative Mitte}}}
{{{#fff 플뤼겔
Der Flügel}}}
알리체 바이델
티노 흐루팔라
베아트릭스 폰 스토히
베렌가 엘스너 폰 그로노
비요른 회케
크리스티네 안데르존
막시밀리안 크라
}}}}}}}}}}}} ||

3.1. 미테

파일:Alternative Mitte LOGO.png
Alternative Mitte
파일:Chrupalla und Weidel.jpg
<colbgcolor=#0072b3>
미테의 대표인물, 흐루팔라와 바이델
[clearfix]
정식명칭 Alternative Mitte(대안중도)[16]는 당의 대표적인 온건파로 2017년 7월에 창설되었다. 현재 공동대표인 알리체 바이델이 계파 출신이며 그로노프 연방하원의원 또한 미테에 소속되었다. # 2019년 이후 당의 노선 투쟁 종식을 선언하고 당의 화합을 위해 미테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 다만 알리체 바이델 같이 미테 소속이었던 정치인들이 활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비공식적인 활동은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7년 당의 극우파인 플뤼겔의 영향력이 커지고 이로 인한 중도파의 이탈을 우려해 이에 대항하고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에 모여 창립한 것이 미테의 시작이다. 기본적으로 플뤼겔에 의한 당의 급진화와 우경화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 #

CDU/CSU와의 연정을 통해 정치권력의 확대를 추구한다. #

3.2. 플뤼겔

파일:Der Flügel Logo.png
Der Flügel
파일:Björn Höcke und kalbitz.jpg
<colbgcolor=#0072b3>
플뤼겔의 대표인물, 칼비츠와 회케
[clearfix]
Der Flügel(날개)는 당의 대표적인 극우 계파로 2015년 에어푸르트 선언 이후 비요른 회케의 주도로 창설되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안드레스 칼비츠, 프랑크 파제만, 크리스틴 앤더슨 등이 속해있으며 2020년 기준 전체 당원의 1/5 가량이 플뤼겔에 속해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독일어 위키백과 해당 문서에 의하면 푈키셔 내셔널리즘 성향을 보인다고 한다.

2015년 창설 이래 막강한 영향력을 보여줘 왔는데, 대표적으로 작센 AfD 주의장이던 프라우케 페트리(Frauke Petry)를 전폭적으로 지원해 당대표로 당선시켰다. 당시 상대 후보였던 창당멤버이자 경제적 자유주의자인 베른트 루케(Bernd Lucke)가 AfD의 우경화에 반발해 탈당 후 자유보수개혁당을 창설하였다. 하지만 플뤼겔 내에서도 갈등이 심했는데 회케를 추종하는 세력과 그렇지 않은 세력 간의 입장 차이가 격돌하게 되는데 국가 정책 전반에 대한 반대를 표명하던 회케와 달리 이민과 같은 특정 의제에서 급진적인 면모를 보였던 페트리는 당대표로 당선된 이후 회케의 주도로 당의 급격한 우경화와 급진화를 우려하였고 결국 2017년 당대표를 사퇴하고 AfD를 탈퇴해 청색당을 창당했다. 이처럼 플뤼겔은 당에서 큰 존재감과 영향력을 보이며 당의 급진화와 우경화에 크게 기여했다. #

2020년 연방헌법수호청은 플뤼겔을 "우익 극단주의"로 분류하면서 # 비요른 회케에 AfD 지도부는 해산 압박을 가했고 회케와 칼비츠(당시 플뤼겔 대표)는 플뤼겔을 해산했으나 형식적인 해산으로 평가되고 있다. #[17] 이후 당 내에서는 아직도 플뤼겔 소속이었던 사람들이 다수 활동 중이다.

플뤼겔에서 가장 승승장구하던 막시밀리안 크라가 202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대안당의 최고 후보자로 평가받으며 당 내에서 입지가 상승하고 있던 도중 그의 무장친위대 관련 발언이 당 뿐만 아니라 정체성과 민주주의 진영 전체에 대한 논의로 까지 확장되면서 급기야 르 펜이 대안당을 정체성과 민주주의에서 퇴출시키자 당에서는 심각성을 인지하여 크라를 유럽의회 명단에서 제외시켰다. # # #

4. 역사

<colcolor=#fff>
'독일을 위한 대안' 창당 10주년 영상
조국을 사랑한 10년, AfD의 10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창당과 정체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2.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안당은 창당 이후로 반유로•반이민의 정체성 아래에서 자유보수주의자들과 민족보수주의자들의 불편한 동거를 하고 있었던 상황이다. 다만 반유로•반이민 운동의 특성상 당의 아젠다가 반이민•반유로로 좁혀지면서 자연스럽게 민족보수주의자들의 영향력이 커지기 시작했다.

4.2. 제2의 창당과 당의 급진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2.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드러난 존재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2.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연이은 위기와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2.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수호청의 감시와 위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2.5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라이히스뷔르거 연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2.6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7. 지방에서의 약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2.7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 포츠담 비밀 회담 파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2.8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9. 2024년 정체와 약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2.9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0. 2024년 유럽의회 선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역사 문서
2.10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당명

  • 독일어: Alternative für Deutschland(AfD)
    • 발음: 알터나티베 퓌어 도이칠란트
  • 영어: Alternative for Germany
  • 한국어: 독일을 위한 대안
    • 한국어 약칭: 대안당


[ 일본어 펼치기 · 접기 ]
* 신자체/ 구자체 한자 사용: ドイツのための選択肢
  • 직역: [ruby(독일, ruby=ドイツの)][ruby(을 위한, ruby=(ための)] [ruby(선택지, ruby=選択肢)]
  • 발음 표기
  • 가나 표기: ドイツのためのせんたくし
  • 로마자 표기: Doitsu no tame no sentakushi
  • 한글 표기: 도이츠노타메노센타쿠시

[ 중국어 펼치기 · 접기 ]
* 정체자(번체자): 德國另類選擇

독일을 위한 대안이라는 말은 본래에 동독에서 있던 반체제 저항 운동 구호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30년 전 동독 지역에서 저항 구호로서 1989년 당시 동독 사회의 급변하는 정세 속 급진적인 변화에 반대 또는 “변화는 답이 아니다. 우리가 바로 대안이다.“ 와 같이 당시 변화에 대한 대체적인 의미에서 ’대안’이란 표현이 사용되었고 현대에 이르러 ’독일을 위한 대안‘이라는 정당 명칭으로 굳어진 것이다.

6. 당색 및 로고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2013-2017).svg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2017).svg
2013년부터 2017년까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현재 사용중인 로고

창당 초기부터 2017년까지 로고에는 대안당의 풀네임이 들어간 로고를 사용했다가 2017년 풀네임을 약칭인 AfD[18]로 바꿔 로고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를 2021년 7월 1일부터 적용된 현재 로고는 이전에 사용했던 로고에서 배경을 지우고 로고에 사용된 색상을
하늘색 (#009ee0)
에서
밝은 파랑 (#0072b3)
으로 바꾸고
짙은 파란색 (#003b63)
으로 그라데이션 효과를 추가했다.

2016년 AfD 홍보팀의 로널드 포켄은 당의 로고의 진한 색상과 화살표는 간결하고 명확한 메세지를 전달한다면서 AfD의 SNS 인지도 향상에 기여했다고 밝힌바 있다.

7. 청소년대안

파일:Logoderja.png
'''Unsere Heimat Unsere Zukunft'''
Junge Alternative für Deutschland
청소년 독일을 위한 대안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의장 한네스 크라우크
창립일 2013년 6월 15일
[clearfix]
청소년 독일을 위한 대안Junge Alternative für Deutschland(약칭:청소년대안/JA)은 독일을 위한 대안의 청소년, 청년 단체이다. 2013년 6월 15일 다름슈타트에서 창당된 독일의 청소년 단체로 스스로를 AfD의 청년 단체임을 자처하다가 2015년 제4차 하노버 전당대회에서 공식적인 AfD의 청년조직으로 인정되었다.

14살부터 36살까지의 사람들이 가입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정당의 청년단체와 달리 법적으로 대안당의 산하조직이 아니라 개별적인 법적 신분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애서 청소년대안에 대안당의 가입 없이 청소년대안에 가입할 수 있다는 점이 일반적인 정당의 청년조직과는 다른 점이다. 반대로 청소년, 청년이 대안당에 가입하더라도 청소년대안으로 편입되지 않는다. 대한민국의 정당에서도 당의 청년조직은 청년이나 청소년이 본 중앙당에 가입될시 자동적으로 청년조직으로 편입되는 구조랑은 상반된 구조다. 청소년대안에 속하면서 대안당에 속한 인원은 약 60%가량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단체 인원은 총 2천명 가량으로 추산되고 있다. 여성할당제 철폐, 자경단 등을 주장하면서 대안당 지도부와 충돌하기도 했다.

연방헌법수호청의 감시를 받고 있으며 극단주의 단체로 분류되고 있으나 비교적 다른 극단주의 단체보다는 온건한 쪽으로 관리하고 있다.

해당 단체 명칭에서 Junge를 청소년과 청년으로 정의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독일 청소년보호법에 속하는 JuSchG에서는 Jugendliche Personen의 정의를 14세 이상 18세 미만인 사람을 정의하고 있다. 청소년대안이 14세 이상부터 가입 가능하다는 것은 청소년을 포괄한다는 뜻이나 36세 미만 까지 포괄한다는 점에서 청소년만 포괄한다고 말하는 것은 오류다. 다만 Junge의 사전적 정의가 영문으로 Boy(소년)에 속한다는 점에서 청소년을 염두에 두고 사용한 용어는 맞다고 할 수 있으나 상징적 의미로 받아들이고 해석상으로는 청년조직과 같은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맞다고 할 수 있겠다.

2024년 포츠담 회담 파동이 일어나면서 녹색당 오미드 누리푸르 당대표는 공개적으로 AfD의 청소년대안부터 금지시키자고 주장하였다. 청소년대안의 금지는 과거부터 거론되어오던 이야기였다. 청소년대안은 법적으로 AfD와 별개의 조직으로 취급되고 자발적 결성이니 만큼 중앙당에서 직접 통제를 하지 않아 청소년대안 회원들은 중앙당과 달리 단독적이고 극단적인 행보들을 강행해 왔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청소년대안을 금지하자는 주장들이 여러 있었다.

8. 상세 입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을 위한 대안/상세 입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럽회의주의· #2· 반이슬람주의· #2· 안티페미니즘 #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정체성주의(identitarianism) 세력으로 분류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우익대중주의자들이 미국 대안 우파와 유사하다고 보는데, 세세한 부분에서는 다른 점이 더 많아 둘을 동치시킬 수 없다는 주장도 있다. #

외부에서 보면 대부분 네오 파시즘, 네오 나치 따르는 극우주의자처럼 보이지만, 내부에선 그들끼리도 네오 나치 그 어디쯤을 기준으로 온건파와 극우파가 나뉘어 있는 모양. 온건파의 주요 인물에는 알리체 바이델, 티노 흐루팔라 공동대표 등이 있고, 네오 나치파의 주요 인물에는 비요른 회케 등이 있다고 한다.

창당 세력은 유로화 사태에 집중하면서 간간히 동유럽에서 이주해 온 이민 문제에 대해서 거론하긴 했지만, 현재와 같은 극단적 반이민•반난민을 주장하진 않았다. 국수주의에 동조한 우익대중주의자들이 입당하기 시작하면서 당이 우경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9. 지지층

9.1. 계층을 막론한 이슬람포비아

2010년대 후반 마부르크 대학 연구팀 조사에 의하면, AfD의 지지층 구성은 의외라면 의외로 저학력, 저소득층에 국한되지 않고 소득, 계층별 지지가 균일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AfD의 뒤에 사회적 패자가 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은 잘못된 생각으로, 경제적인 문제는 부차적"이라며, 본 연구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AfD 지지층들은 " 독일이 문화적으로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을 주로 우려하고 있다"고 한다. #

9.2. 중산층

독일 사회과학자 세바스티안 프리드리히 또한 AfD의 핵심 지지층은 평범한 사람들로, 엘리트도 아니고 하층 계급도 아닌, 구체적으로는 숙련된 근로자, 중간 수준의 정규 교육을 받은 사람들,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이라고 언급했다. # 실제 사회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생활을 누리고 있는 계층이, 사회적 혼란이 지속되면 사회계층을 막론한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에 사로잡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반이민에 경도되는 경우도 종종 존재한다.

9.3. 젊은 세대

202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청소년층까지 투표연령이 확대되면서 너도나도 청소년층 표심 공략에 들어간 다른 정당보다도 빠르게 청소년 청년층에 지지층 형성을 성공했다. 틱톡하고 SNS를 통한 적극적인 선거운동이 젊은 세대의 표심을 사로잡은 반면 독일 사회민주당은 틱톡, SNS를 통한 선거운동에 미숙한 탓에 (…) 이번 선거에서 저조한 청소년층 지지세를 보여주게 되었다. 이 때문에 AfD의 대표적인 성공 요인으로 청소년 표심확보에 성공적이였기 때문이라는 분석 또한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2030의 청년 세대에서의 대안당 득표율은 청소년 세대보다 더 높다. 대안당이 득표율에서 가장 많이 선전한 세대는 30대 및 40대 초반으로 이들이 향후 독일 사회를 주도하는 세대에 진입할 경우 대안당의 세력이 더 확장될 가능성도 있다. #

9.4. 좌파당에 실망한 구 동독 지역

<colcolor=#fff>
2024년 유럽의회 선거 결과
파일:2024년 유럽의회 선거 독일 결과.png
위 지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안당의 주 지지층은 구 동독 지역에 분포해 있다. 다만 2024년 유럽의회 선거는 극단적인 예시라 할지라도 해당선거 이전에도 구 동독권 중심, 특히 튀링겐을 중심으로 지지층이 몰려있는 양상이였는데 이는 독일 통일의 후유증을 직격으로 받은[19] 동독 주민들이 가지는 독일 정치에 대한 회의감이 대안당의 지지기반을 만들었다는 평가로 가장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기존에는 이 역할을 좌파당이 주도하는 분위기였으나 좌파당의 정치적 한계성과 이민문제의 가시화, 테러위험의 증가에 대안당이 빈틈을 파고 들며 명확하고 강경한 입장을 취하자 좌파당을 지지하던 동독권 지지층이 비교적 이념분파 싸움에 치중된 좌파당에 피로감을 느끼고 대안당으로 결집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기민련울 중심으로 대안을 찾고자 했지만 앞서 말했듯 기민련의 이민 우호적인 태도도 동독권 지지층이 대안당으로 몰리는데 큰 기여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 [20]

이러한 기조가 연결되며 2024년 유럽의회 선거를 통해 대안당에게 직격탄을 맞은 좌파당은 새로운 돌파구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21세기 유럽에 극우 세력이 성장하게 된 계기도 아이러니하게 20세기 좌파 세력들이 주도한 복지국가 시스템이 제법 열매를 맺자, 그것을 우리가 따먹어야 되는데 엉뚱한 이민자들이 와서 따먹는 것처럼 보이니 빡 돌아서 극우화되었다는 견해가 존재할 정도. 때문에 경제 구분보단 지식 구분[21]으로 보는게 오히려 이 문제에선 좀 더 이해하기 쉬울 수 있다.

10. 에라스뮈스 재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관련 영상

<colbgcolor=#0072b3>
AFD의 "Zukunft Deutschland" 행진과 베를린 대회에 대한 짧은 다큐멘터리

<colbgcolor=#0072b3>
독일의 극우 AfD 정당은 '조랑말'인가?
Confilict Zone(DW English) - 베아트릭스 폰 스토르흐 AfD 부대표[22]
<colbgcolor=#0072b3>
비요른 회케가 인터뷰를 중단하고 위협하다.

<colbgcolor=#0072b3>
에리트리아에서 온 난민 - 왜 AfD에 있는가?

<colbgcolor=#0072b3>

12. 둘러보기

독일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국민보수주의( AfD) · 기독교 민주주의 · 사회보수주의( CSU) · 자유보수주의( CDU)
연관 이념 가족주의 · 독일 내셔널리즘( 민족주의) · 우익대중주의 ·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 질서자유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과거 이념* 가부장적 보수주의( 국가사회주의** · 프로이센 사회주의) · 군주주의( 독일 제국) · 독일 낭만주의 · 반동주의( 보수혁명) · 반유대주의 · 협동조합주의
연관 개념 공동체주의 · 기독교적 가르침 · 사회적 시장경제 · 온정주의 · 융커 · 폴크(Volk)
주요 정당 왕당파
개신교
독일 국가인민당 · 독일 보수당 · 독일 조국당 · 보수인민당 · 인민우파당 · 자유보수당
기독교사회당 · 기독교사회 인민봉사
가톨릭 기독교인민당 · 바이에른 인민당 중앙당
전후 독일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독일을 위한 대안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인물 레오 폰 카프리비 ·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볼프강 쇼이블레 · 빈프리트 크레치만 · 빌헬름 뢰프케 · 아르민 라셰트 ·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 앙겔라 메르켈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카를 슈미트 ·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어 · 쿠르트 폰 슐라이허 · 콘라트 아데나워 · 테오발트 폰 베트만홀베크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프란츠 폰 파펜 · 프리드리히 메르츠 · 하인리히 브뤼닝 · 헬무트 콜
언론 벨트 · 빌트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포쿠스)
단체 과거의 단체 자유군단 · 철모단
현재의 단체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재단( AfD) ·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CDU)
독일 정치 관련 문서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나치즘은 독일 보수주의 전통과 구별되는 개념이므로 적지 않는다.
** 나치의 National socialism이 아니라 비스마르크 State socialism이다. 다만 학계에서 일반적인 사회주의로 인정받지는 않는다.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1] 다만 우익보다 극우라는 평가가 많다. [2] 자세한 내용은 계파 참고. [3] AfD의 이념이라고 한다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사상이 우익대중주의다. 국내외 기사들에서도 극우와 더불어 우익대중주의 정당으로 AfD가 많이 소개되어 있으며 # # 지지자들의 75%가 우익대중주의 성향을 가진다는 보도도 있다. # [4] 국수주의를 표방하는 “독일을 위한 대안(Alternative für Deutschland, AfD)”당이 약 13%의 득표율로 원내 제 3당으로 급부상함으로써 2차 대전 이후 최초로 극우 정당이 독일 연방의회에 진출하는 이변을 낳았던 것이다. (국제지역연구 제26권) [5] #, 독일의 민주적 질서를 수호하기 위해서는 이슬람과 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6] 출처 1 일본같이 독일 내 숙련공의 부족 문제를 인정하고 숙련공들의 이민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찬성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이민 자체에 대해선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당 자체는 반이민주의 성격이 강하다. [7] 출처. [8] 우익보다 극우로 보는 견해가 많다. 영어 위키백과 독일어 위키백과에서는 우익~극우가 아닌 단순 극우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2023년 8월 11일 기준) 구글 검색 기준으로도 far-right right-wing보다 훨씬 많이 검색된다. [9] 자세한 내용은 계파 참고. [10] 의원(MEP)들 9명의 개인 자격으로 IDP와 협력하고 있으며 공식적인 당의 가입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11] 11,495명
표시된 정보 기준은 재작년인 2022년에 28,636명가량 있던 당원이 2024년 기준 40,131명으로 약 11,495명 증가하였다. 당원 수는 2019년 최고 점인 35,100명을 달성한 이후 2년 연속 감소세에 들어갔지만 지지율은 꾸준히 상승하는 현상을 보여왔었다. 하지만 2024년에 들어서면 당원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정점을 찍는 중이다.
[12] 출처 'https://www.bundestag.de/' [13] 96석은 유럽의회에서 제공되는 독일 의석이다. 유럽의회 총 의석은 총 705석. [14] 합법적 감청과 내부정보원 등을 통해 얻은 정보를 합리적으로 보아 우익극단주의 단체로 확인된다면 '확실한 극단주의'(gesichert extremistisch) 단체로 지정될 수 있다. [15] 다만 진보진영 내에서는 대안당이 선전한게 아니라 진보진영이 붕괴하면서 반사이익을 얻었다는 평가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16] Mitte는 중간을 뜻하는 독일어다. [17] 조직이 없으면 해체할 수 없다. [18] 독일을 위한 대안의 독일어 명칭 Alternative für Deutschland의 각 단어의 앞자리를 딴 약칭이다. [19] 동독의 경제력이 서독의 3분의 1에 달했던 만큼 독일인들은 냉전~재통일 초반기까지만 해도 통일의 후유증이 크지 않을거라 예상했지만 공산권 1등이라는 동독 경제의 실상은 공산권내 폐쇄적 무역구조와 공산정권 특유의 자국 화폐 고평가로 인한 거품이었고, 동독제는 서독제에 비해 품질이 열등해 서구권에서 잘 팔리지도 않았다. 그리고 국제시장에서 치열한 경쟁과 수많은 위기를 겪으며 살아남은 서독 기업들과 달리 동독 기업들은 대부분 공산정권의 계획경제 체제 하에서 별다른 경쟁 없이, 그리고 위기도 없이 온실 속 화초처럼 성장해왔기에 경쟁력도 낮았던데다 위기대처능력도 약했다. 그래서 재통일 이후 수많은 동독 기업과 공장들이 파산해 구 동독 지역의 경제가 침체되었다. [20] 좌파당 —> CDU —> 대안당을 찾게된 순서다 [21] 이민자에 대한 이해나 노력, 역사적인 흐름 등에 대해 학습한 무리와 그렇지 않은 무리는 당연히 적대감에서도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상대방을 이해해야 적대감도 줄어들기 때문. 물론 이는 이민자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지만, 21세기 유럽에 덮친 이민자의 다수가 구세대적 시각이 아직 제법 남아있는 이슬람이나 경제적 자립능력이 떨어지는 난민이다 보니 1,2세대 이상이 지나는 한동안은 혼란이 지속되는건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 [22] 참고로 옛 올덴부르크 대공국을 통치했던 올덴부르크 가문 출신이다. (현 가문 수장과 친 사촌 관계. 따라서 혈통 상으로 네덜란드 왕실, 덴마크 왕실 등과 먼 친척 관계이고, 합스부르크 가문과는 사돈 관계이다. (친가 사촌 여동생이 오토 폰 합스부르크의 막내 아들과 결혼함)) 그리고 제3제국의 재무장관이었던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의 외손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