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 종합병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경산시 | 국군대구병원, 경산중앙병원, 세명병원 | |
경주시 |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 ||
김천시 | 김천의료원, 김천제일병원 | ||
구미시 | 구미강동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구미병원,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 | ||
문경시 | 문경제일병원 | ||
상주시 | 상주성모병원, 상주적십자병원 | ||
영주시 | 영주적십자병원 | ||
영천시 | 영남대학교영천병원 | ||
안동시 | 안동성소병원, 안동의료재단 안동병원, 경상북도안동의료원 | ||
포항시 | 에스포항병원, 좋은선린병원, 포항성모병원, 포항세명기독병원, 경상북도포항의료원 | ||
경북지역 상급종합병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국군의무사령부 | |||
국군수도병원 | ||||
국군대전병원 | ||||
국군대구병원 | ||||
국군함평병원 | ||||
국군서울지구병원 | ||||
국군고양병원 | ||||
국군춘천병원 | ||||
국군홍천병원 | ||||
국군강릉병원 | ||||
국군포천병원 | ||||
국군양주병원 | ||||
국군구리병원 | ||||
대한민국 해군 | ||||
해군해양의료원 | ||||
해군포항병원 | ||||
대한민국 공군 | ||||
공군항공우주의료원 | ||||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 | ||||
계룡대 근무지원단 직할대 | ||||
계룡대 지구병원 | ||||
육군교육사령부 육군훈련소 예하 | ||||
육군훈련소 지구병원 | ||||
※ 의무를 담당하는 부대는 의무부대 문서 참고. | ||||
※ 기타 : 국군의무사령부 | 국군의무학교 | 국군의학연구소 | 의무후송항공대 | ||||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근무지원단 | 형사사법기관 | 정보부대 | 파병부대 | ||||
해체된 국군병원 | }}}}}}}}} |
국군대구병원 國軍大邱病院 Armed Forces Daegu Hospital |
||||||
생명을 지키는 고귀한 소명, 국군대구병원 | ||||||
<colbgcolor=#a00e0e><colcolor=#ffffff> 창설일 |
1948년
5월 1일(제1육군병원) 1963년 11월 1일(대구통합병원) 1984년 9월 1일(국군대구병원) |
|||||
약칭 | 대구병원, 대통 | |||||
소속 | 대한민국 국군 | |||||
상급부대 | 국군의무사령부 | |||||
종류 | 국군병원 | |||||
역할 | 경상도 지역 의무지원 | |||||
병원장 | 육군 중령 김상균 ( 3사 35기) | |||||
위치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경로 425-41[1] | |||||
진료시간 | 09:00~17:30 | |||||
전화번호 | 053-750-1777 | |||||
{웹사이트 |
국군대구병원 전경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군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국군대구병원. 1948년 5월 1일에 창설했으며,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은호리에 위치하고 있다.2. 상세
1948년 5월 1일 최초의 국군병원인 제1육군병원으로 창설되었으며 1984년 9월 1일 국군대구병원으로 부대명칭을 변경했다.1994년 12월 20일에 현재의 하양읍 자리로 이전한 것으로, 옮기기 전에는 국군간호사관학교와 함께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동부정류장 맞은 편[2]에 있었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주둔한 육/ 해/ 공군 및 해병대 장병들의 진료를 담당하는 군 병원으로 전체 국군병원 가운데 규모로만 따지면 3위권 내에 드는 큰 병원이다.
제50보병사단 신병교육대나 해병대교육훈련단에서 훈련 도중 의무대나 해군포항병원에서 치료가 힘든 중증의 훈련병들은 이 곳으로 보내진다. 포항시에 위치한 제1해병사단 및 상륙지원단과 해군 해군항공사령부 및 포항항만방어대대, 대구공군기지의 제11전투비행단 및 공군공중전투사령부, 공군군수사령부와 같은 대구 소재 공군부대에서도 큰 부상, 중증의 치료를 요할 때 이 곳으로 보내는 편. 사실 비행단에서 열만 좀 높다 싶으면 엄청나게 잘 보내주는 편이다.
국군부산병원이 폐지되면서 현재 경상도에서 유일한 국군병원이다. 해군해양의료원, 해군포항병원들이 있긴 하지만 국군병원보다 진료과목이 부실한 편이다.[3] 현재 부산, 경남 부대들의 경우 진해에 있는 해양의료원쪽으로 외진을 보내고 있으나 진료과목수 문제등으로 인해 그냥 대구병원으로 외진을 보내는 경우도 상당하다. 그외 진주일대 공군부대들의 경우 환자상태에 따라 함평병원이나 대전병원으로 외진을 보내는 경우도 있다.
2012년에 신막사가 지어지기 전까지 병원 일부 층을 막사로 사용했었다.
2018년 08월부터 야간 응급실을 운영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상도에 있는 부대에서 야간 응급진료를 받으려면 민간병원을 이용해야한다.[4] 참고로 대구병원 다음으로 가까운 군 병원은 해군포항병원이며 여기서도 해결이 안되면 국군대전병원까지 가야한다.
2020년 02월 23일 대구·경북지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19 확산으로 인해 국군대구병원을 국가감염병전담병원으로 지정해 육군 제2작전사령부 예하부대인 제1117공병단을 투입하여 기존 음압병상 98개를 303개로 확충시키는 공사를 진행했으며, 공사가 완료된 후 총 200여 명의 의료 인력이 추가 투입되어 대구지역 확진자들의 입원·치료를 담당했다. #
3. 출신 인물
3.1. 병원장
역대 국군대구병원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前 병원장 | ||||
00대 | 박동언 | 예) 육군 소장 | 군의 22기 | 前 국군의무사령관 | |
00대 | 서지원 | 예) 육군 대령 | 육사 00기 | 前 병원장 | |
00대 | 홍성휘 | 예) 육군 대령 | 3사 00기 | 前 병원장 | |
00대 | 이석재 | 예) 육군 대령 | 육사 00기 | 前 병원장 | |
00대 | 김인영 | 육군 대령 | 군의 00기 | 前 병원장 | |
00대 | 오세중 | 육군 대령 | 군의 00기 | 前 병원장 | |
00대 | 김동기 | 육군 중령 | 의정 00기 | 前 병원장 | |
00대 | 우상수 | 육군 중령 | 의정 00기 | 前 병원장 | |
00대 | 김상균 | 육군 중령 | 3사 35기 | 現 병원장 |
4. 기타
4.1. 근무 환경
이 곳에 소속된 해군 의무병은 예전에는 전역 며칠 전에 해군본부 인사명령에 의하여 소속이 포항에 위치한 당시 해군 6전단[5] 인사참모실로 변경된 후 대기대로 가서 전역식을 했다. 대부분의 국직부대 소속 해군 장병들이 이런 식으로 해군부대로 전속되어 전역했는데, 이유는 해군은 매달 1기수씩만 배출되고 숫자 자체가 적어 한 번에 전역 교육 및 전역식을 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현재 국직부대 근무자는 근무지에서 바로 전역한다.면회외박이라는 부모님이 온다는 조건하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는 외박이 있었다.
5. 진료부터 퇴원까지
5.1. 가는 길
대구광역시에서 하양읍으로 가는 4번 국도를 타고 가다보면 대로변에 입간판이 세워져 있는데, 그 곳은 입구라서 조금 더 들어가야 한다. 입구에는 버스 정류장도 있어서[6] 대구와 하양을 오가는 시내버스를 타면 국군대구병원이라는 안내방송도 들을 수 있다.2024년 12월 21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사업으로 부호역이 가까운 거리에 개통했다. 다만 도보로 걷기는 거리가 있을 듯하다.[7]
5.2. 접수/진료
5.2.1. 진료 과목
- 내과
- 정신과
- 일반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안과
- 이비인후과
- 피부과
- 영상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치과
- 건강관리과
5.3. 입원 생활
6. 사건 사고
- 2016년 2월 22일 행정보급관으로 있던 박 모 상사가 보급 창고에서 목 맨체 자살했다. 발견 직후 응급실로 향했으나 사망했다. 시신은 고인의 뜻에 따라 해부용으로 기증되었다. 해당 기간병에 따르면, 자녀의 장애 문제와 생활고가 있었다고 한다. #
- 2020년 2월 24일 코로나바이러스-19 확산으로 병상이 부족한 대구·경북지역 환자 치료를 위해 국가감염병전담병원으로 지정되어 음압병상 확충 후 3월 5일부터 대구·경북지역 확진자들의 입원, 치료를 담당하게 된다.
- 2021년 6월 10일, 30세 이하 군 장병 대상 화이자 백신 접종 도중에 6명한데 백신 원액이 소량만 포함된 식염수를 주사한 황당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 무엇보다 21명중에서 식염수를 주사맞은 6명이 특정짓지 못해서 다시 재접종 받으라고 통보했다고 한다. 그로 인해 희망자 10명에 한해서 재접종을 했다고 한다.
7. 여담
-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촬영 중 김수로가 훈련 중에 입은 부상으로 인해 이 병원으로 후송되어 치료를 받았다. 당시 촬영 중이던 부대가 제50보병사단이었기에 사단에서 가장 가까운 이 병원으로 후송된 듯하다.[8]
- 명칭은 국군대구병원으로 칭하지만 사실 경산에 위치하고 있다. 실제 과거 대구에 있기도 했고 경산은 대구의 대표적인 위성도시이다. 인근의 대학 등의 경우도 그렇고[9] 기존부터 건물들이 지역명을 따라가지 않은 것도 잦아서[10] 그대로 둔 듯. 통상 국군병원은 이전을 하게되면 명칭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비교적 최근에 이전한 국군구리병원의 경우, 청평에서 구리로 이전한 후 현재와 같은 이름으로 변경했다.[11]
8. 관련 문서
[1]
은호리 130-3
[2]
지금은
이마트 만촌점과 메트로팔레스 아파트가 들어서 있는 자리이며, 당시에는
국군의무사령부, 국군군의학교(현
국군의무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가 이 곳에 있었다. 국군의무사령부는 1984년 서울
강서구
등촌동으로 이전했다가 1999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로 이전하였다. 국군군의학교와 국군간호사관학교는
대전광역시
유성구의
자운대로 이전하였다.
[3]
해의원은 잠수 관련 쪽으로 특화되어있어 일반과가 많이 부실하다. 당장 육군의 어지간한 사단 의무대에도 있는 치과군의관이 없어 다른 국군병원으로 보내거나 휴가를 써서 민간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경우까지 있었다. 포항병원은 좁디좁은 구 병원 당시의 편제를, 넓은 신축으로 이전하면서 거의 그대로 들고오는 바람에 여전히 구 병원 시절의 의료역량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데, 사실상 사단급에 설치된 의무근무대와 별반 차이가 없는 실정이다. 진료과목도 들쑥날쑥하며 심지어는 병원주제에 MRI도 없어 대구병원으로 외진을 보냈다. 다행히 지금은 포항병원에도 MRI가 배치되었다.
[4]
이 경우에는 일부 본인부담금이 생긴다. 먼저 자신의 카드나 현금을 이용해 진료비를 전액 지불한 후 영수증을 부대에 제출하면 80%를 돌려받을 수 있다.
[5]
현. 해군항공사령부
[6]
55번,
518-1번,
555번,
708번,
808번,
814번,
818번이 정차한다.
[7]
네이버 지도의 '도보' 소요시간 및 거리로는 약 1.3km에 25분이 걸릴 것으로 나오고 있다.
[8]
50사단에서 가장 가까운 종합병원은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이나, 프로그램 특성상 군대에서 영상을 제작하는 특성상 군 병원으로 간 듯. 국군병원으로는 가장 가까운 병원이 맞다.
[9]
경북대학교는 대구에 있고
대구대학교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등은 경산에 있다. 다만 경북대는 과거에 '경상북도 대구시' 시절부터 존재하던게 현재까지 이어진 것이고, 대구대, 대구가톨릭대, 대구한의대의 경우 과거에는 대구시 안에 캠퍼스들이 있었으나 경산시로 캠퍼스 이전을 한 경우이다.
[10]
유독 대구가 이런 부분에서 유명(?)한데, 대표적으로
북부정류장(시외버스터미널)이 "서구"에 있고,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북구"에 있으며,
서부정류장(시외버스터미널)이 "남구"에 있는 것이 그 예. 하지만 실제 대구 지리를 보면 이름 자체는 납득이 가긴 하는게 특징이다.
[11]
만약 이름을 바꿨다면 국군하양병원을 거쳐 국군경산병원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과거에는 읍면동 단위나 병원이 위치한 마을명으로 병원명칭을 부여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