食 밥/먹을 식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食,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준7급
|
||||||
-
|
|||||||
일본어 음독
|
ショク, (ジキ)
|
||||||
일본어 훈독
|
く-う, く-らう, た-べる, は-む
|
||||||
-
|
|||||||
표준 중국어
|
shí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획순
|
[clearfix]
1. 개요
食은 '밥 식' 또는 '먹을 식'이라는 한자로, ' 밥', ' 음식', '먹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밥 |
음 | 식 | |
중국어 | 표준어 | shí |
광동어 | sik6 | |
객가어 | sṳ̍t | |
민북어 | sī[1] / iè[2] | |
민동어 | sĭk[文] / siĕk[白] | |
민남어 | si̍t[文] / tsia̍h[白] | |
오어 | zeq (T5) | |
일본어 | 음독 | ショク, (ジキ) |
훈독 | く-う, く-らう, た-べる, は-む | |
베트남어 | thực |
글자의 자원은 설문해자에 따르면 곡물의 냄새를 의미하는 皀와 음을 나타내는 亼가 결합된 형성자라 판단하고 있으며, 위 견해와는 다르게 갑골문이나 금문과 같은 고문자 연구에서는 그릇에 음식물이 가득 담겨진 것을 나타낸 皀 부분과 亼가 합쳐진 형태로, 亼 모양은 口(입 구)를 180도 뒤집은 것을 나타냈다는 설과 식기의 뚜껑을 나타냈다는 설이 있다.
이 글자는 때로는 飼(먹일 사)의 통가자로 쓰여, '먹이다' 등의 뜻으로 쓰이는 데 이 때는 '사'로 읽는다. 또 밥을 뜻할 때 일부 단어에서는 '사'로 읽기도 하는데, 고전 문학에서 종종 등장하는 단어인 簞食瓢飮(단사표음)[7]의 사가 바로 食이다.
유니코드에는 U+98D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IAV(人戈日女)로 입력한다.
3. 자형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갑골문에서는 음식이 담긴 그릇과 위에 180도 뒤집어놓은 입 구(口)자, 침을 나타내는 선 2개를 그려 음식을 막 먹으려고 하는 것을 나타냈다.
4. 용례
4.1. 단어
- 가정식( 家 庭食)
- 간식( 間食)
- 거식( 拒食)
- 건강식( 健 康食)
- 결식( 缺食)
- 곡식( 穀食)
- 공식( 空食/ 共食)
- 과식( 過食)
- 금식( 禁食)
- 급식( 給食)
- 기내식( 機 內食)
- 다식( 茶食)
- 단사( 簞食)
- 단식( 斷食)
- 대식( 大食)
- 배식( 配食)
- 부식( 副食)
- 분식( 粉食)
- 생식( 生食)
- 소식( 小食)
- 숙식( 宿食)
- 시식( 時食)
- 식감(食 感)
- 식객(食 客)
- 식겁(食 怯)
- 식경(食 頃)
- 식구(食 口)
- 군식구 (군食 口)
- 식권(食 券)
- 식당(食 堂)
- 식대(食 代)
- 식량(食 糧)
- 식료품(食 料 品)
- 식복(食 福)
- 식사(食 事)
- 식생활(食 生 活)
- 식솔(食 率)
- 식수(食 水)
- 식약청(食 藥 廳)
- 식욕(食 慾)
- 식용(食 用)
- 식음(食 飮)
- 식이(食 餌)
- 식중독(食 中 毒)
- 식초산(食 醋 酸)
- 식탁(食 卓)
- 식품(食 品)
- 가공식품( 加 工食 品)
- 건강식품( 健 康食 品)
- 기호식품( 嗜 好食 品)
- 냉동식품( 冷 凍食 品)
- 발효식품( 醱 酵食 品)
- 보존 식품( 保 存食 品)
- 불량식품( 不 良食 品)
- 즉석식품( 卽 席食 品)
- 식혜(食 醯)
- 악식( 惡食)
- 양식( 洋食)
- 양식( 糧食)
- 외식( 外食)
- 우주식( 宇 宙食)
- 육식( 肉食)
- 음식( 飮食)
- 의식주( 衣食 住)
- 이유식( 離 乳食)
- 일식( 日食)
- 잠식( 蠶食)
- 잡식( 雜食)
- 절식남( 絶食 男)
- 정식( 定食)
- 조식( 朝食)
- 주식( 主食)
- 주식( 晝食)
- 채식( 菜食)
- 초식( 草食)
- 충식( 蟲食)
- 포식( 飽食)
- 폭식증( 暴食 症)
- 한식( 寒食/ 韓食)
- 화식( 和食)
- 환자식( 患 者食)
- 회식( 會食)
4.2. 고사성어/ 숙어
4.3. 인명
4.4. 지명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食 寺 洞)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식만동(食 滿 洞)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식현리(食 峴 里)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의식리( 衣食 里)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다식리( 多食 里)
-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식천리(食 川 里)
4.5. 창작물
4.6. 기타
4.7. 일본어
4.7.1. 훈독
食의 훈독은 食(く)う, 食(く)らう[8], 食(た)べる 이렇게 세 가지가 있는데, 셋 다 '먹다'라는 뜻이다. 다만 くう는 남성들이 주로 사용하는 거칠고 비격식적인 말투이며, 여성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먹다'라는 뜻의 동사는 たべる가 일반적이며, 남성들도 격식을 차려야 하는 경우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たべる를 사용한다. 食(く)らう는 '먹다', '마시다'의 뜻도 있지만 '먹고살다'의 뉘앙스가 강하다.- 食(く)う
- 食(く)らう
- 食(た)べる
사실 원제에서는 食べたい에서 한자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たべたい로 썼다.
4.7.2. 음독
しょく, じき 두 가지가 있다.5.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 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 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명칭 : 밥식부
강희자전 안에 184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자는 403 자가 수록돼있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음식물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좌측변에 붙었을 시 𩙿이나 飠와 같은 형태로 변하는데 한국에서는 전자를 쓰지만 일본 신자체와 대만,홍콩 번체자는 후자가 표준이다. 중국에선 간략화한 饣자를 사용한다.
5.1. 나라별 부수 명칭
- 한국 : 밥식부
- 중국 : [ruby(食部, ruby=shíbù)]
- 일본 : しょくへん
- 미국 : Radical eat
6. 유의자
- 밥
- 먹다
- 𩚵[⿰𩙿甘](먹을 감)
- 𩟂[⿰𩙿過](먹을 과)
- 𠲹[⿱⿰口己心](먹을 기)
- 喫(먹을 끽)
- 𥤨[⿱穴女](먹을 노)
- 餤(먹을 담)
- 噉(먹을 담, 소리칠 함)
- 嚂(먹을 람)
- 𩜲(먹을 복)
- 𩝑[⿰𩙿宣](먹을 선)
- 喰(먹을 식)
- 茹(먹을 여)
- 𩜳[⿰𩙿勇]/ 𩚗[⿰𩙿冗](먹을 용)
- 飵(먹을 작/조)
- 𩟦[⿲𩙿雀戈](먹을 절)
- 飡/ 𡄄[⿰口餐](먹을 찬)
- 湌(먹을 찬, 밥 손)
- 𩝞[⿰𩙿倉](먹을 창)
- 啜(먹을 철)
- 噍(먹을 초, 새소리 추)
- 嗄(먹을 하)
- 𪘁(먹을 합)
- 𢻔[⿰果支](먹을 해)
- 䭝(먹을 회)
- 吃(말더듬을 흘) - '말을 더듬다'라는 뜻이 있지만 중국어에서는 '먹다'의 뜻으로 쓰이는 한자인 ' 喫'의 간체자로도 쓰인다. 중국어에서 '너 밥 먹었니'를 의미하는 문장 '你吃饭了吗'[9] 의 한글 발음 표기 ' 니츠판러마'의 '츠'가 바로 이 한자다.
7. 상대자
8.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倉(곳집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