症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에 대한 내용은 癥 문서 참고하십시오.
症 증세 증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疒,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ョウ
|
||||||
일본어 훈독
|
しるし
|
||||||
-
|
|||||||
표준 중국어
|
zhè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症은 '증세 증'이라는 한자로, ' 증세(症勢)', ' 증상(症狀)' 등을 뜻한다.2. 상세
症의 획순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증세 |
음 | 증 | |
중국어 | 표준어 | zhèng |
광동어 | zing3 | |
객가어 | chṳn | |
민남어 | chèng / zêng | |
일본어 | 음독 | ショウ |
훈독 | しるし | |
베트남어 | chứng |
뜻을 나타내는 疒(병들어 기댈 녁)과 소리를 나타내는 正(바를 정)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이 글자는 證(증거 증)의 속자이다. 證은 기본적으로 '증거'라는 뜻이지만 여기서 파생된 '병의 징후', '증세' 등의 뜻도 가지고 있었는데, 이와 관련된 뜻으로 사용될 때는 관습적으로 症으로도 썼다. 그래서 강희자전을 비롯하여 많은 전근대 한자사전에는 이 글자가 실려 있지 않다. 그러다가 현대에 와서 症이 證과 완전히 분리되어 독자적인 지위를 갖게 된 것이다.
질병의 이름들 중 많은 것들이 '~증'으로 끝나는데, 이 때 그 '증'이 症이다.
유니코드는 U+75C7에 배정되어 있다. 창힐수입법으로는 KMYM(大一卜一)으로 입력하고, 주음부호로는 ㄓㄥˋ로 입력한다.
癥(적취 징)의 간체자로 쓰이기도 한다.
3. 용례
3.1. 단어
- 마지막 글자가 증인 모든 질병의 이름
- 갈증( 渴症)
- 감염증( 感 染症)
- 경증( 輕症)
- 염증( 炎症)
- 염증( 厭症)
- 이석증( 耳 石症)
- 중증( 重症)
- 증상(症 狀)
- 증세(症 勢)
- 증후군(症 候 群)
- 통증( 痛症)
- 합병증( 合 倂症)
- 후유증( 後 遺症)
- 난독증( 難 讀症)
3.2. 인명
3.3. 지명
3.4. 창작물
- イナイイナイ依存症( 없어 없어 의존증)
- スキスキ絶頂症( 좋아 좋아 절정증)
- 症年症女( 증년증녀)
- 青春症候群( 청춘 증후군)
- 先天性エゴサ依存症候群( 선천성 에고사 의존 증후군)
- 古見さんは、コミュ症です。( 코미 양은 커뮤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