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6:32:14

한국-감비아 관계

한감동맹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한국-인도네시아 관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유럽
[[한국-우크라이나 관계|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다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미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한중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러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대한민국·대만·일본
파일:ASEAN 깃발.svg
아세안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과거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발해 · 고려 · 조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대한민국
Republic of Korea
감비아
The Gambia
1. 개요2. 한-감비아 외무장관 회담3. 문화4. 대사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과 감비아는 감비아의 독립연도인 1965년에 수교하였지만 1960년대부터 독립하기 시작한 아프리카 신생국은 자신을 식민지배한 서구 국가는 물론 한국과 같은 친서방 국가에 반감을 가지면서 196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까지 감비아를 포함한 대다수 아프리카 국가들은 친소, 친북 국가가 되었다.[1] 이에 한국은 1973년 6.23 선언 이후 아프리카 외교 전략을 다시 짜기 시작했고[2] 그 일환으로 1984년에는 감비아 대통령이 방한하였다. 아울러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장관 시절 방문한 적이 있다.


한때 한국인은 감비아에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었으나 2023년 4월에 수정된 감비아 입국 절차 관련 공지사항에는 # 입국 시 비자가 필요하다고 적혀 있다. 한국에 감비아 총영사관이 있으므로 그 곳에서 비자를 받거나 세네갈 등 인접국가의 감비아 외교공관에서 비자를 받아 입국해야 한다. 감비아 초청자나 현지 한인대표에게 비자 및 입국허가 협조를 사전의뢰해야 하며 그렇게 비자를 얻어도 입국심사는 예외없이 진행된다. 비자 발급비용, 입국 심사비용, 공항 이용세가 별도로 따박따박 청구되는 깐깐한 나라다.

그런데 감비아 관광 홈페이지에는 기존과 같이 비자가 필요 없고 입국 허가만 필요하다고 적혀 있다. # 현재로서는 세네갈의 감비아 외교공관에서 입국 허가증을 받는 것이 가장 편하다.

2. 한-감비아 외무장관 회담

2017년 9월 23일 제72차 UN총회 참석을 계기로 뉴욕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감비아의 우사이누 다르보 외무장관과 북핵 문제에 관해 회담을 나누었다. 관련 기사 외교부는 "이번 회담은 국민의 힘으로 선거를 통해 민주주의를 달성했다는 자부심을 공유하는 한국과 감비아[3] 간 우호협력 관계를 확인하고, 북핵 문제 등 지역 정세 관련 양국간 협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일부 네티즌들은 감비아 외무장관과 회담을 나눈 사실을 두고 감비아 같은 약소국들이나 만나러 다닌다며 ' 한감동맹 결성', '1조원=1감비아'[4], ' 와칸다=감비아'[5] 등의 조롱 섞인 반응을 보였다.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UN 총회에 참석을 위해 방미 중이던 9월 20일에서 24일 사이에 실시했던 외교적 일정을 보면 MIKTA 외교장관회의, CELAC 콰르테토 외교장관회의, FEALAC 트로이카 외무장관 회의에 참가하였고 중국, 폴란드, 오스트리아, 미국, 카자흐스탄, 일본, 브라질 외무장관들과 단독으로 회담을 가졌다.

개최 절차를 보면 한국-감비아 외무장관 회담의 개최 전인 2017년 9월 21일, 강경화 장관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의 초청으로 대량살상무기 비확산에 관한 안보리 장관급회의에 직접이해당사국 자격으로 참석했으며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 고노 다로 일 외무상 등 장관급 인사 9명을 포함한 안보리 이사국 대표들과 유엔 고위군축대표가 참석해 북한 핵‧탄도미사일 개발, 시리아 화학무기 사용, 비국가행위자에 의한 확산 위협 등 국제사회 비확산 현안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해당 회담에서는 모두 북핵 문제가 의제로 논의되었다. 논란과는 달리 실제로 북한 문제에 직접적으로 연루된 당사국들과 만났음과 더불어 북한 위기가 고조된 시기임을 감안할 때 해당 문제가 타국과의 외무장관 회담에서도 의제로 올랐다. 한-감비아 회담은 유엔 총회에 참석하면서 이루어진 수많은 외무장관급 회담 중 하나였고 약소국과의 장관급 회담이 그렇게 이례적인 일도 아니다.

상황이 좀 다르기는 하지만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아프리카 국가를 비롯한 비동맹국가와의 외교 회담은 박근혜 정부를 비롯한 이전 정부에서도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당장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소추안 가결로 직무가 정지되기 직전인 2016년 12월 6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아프리카를 방문해 에티오피아 총리, 짐바브웨 외무장관, 탄자니아 외무장관과 잇따라 회담을 열며 대북 제재 동참을 촉구한 바 있다.

사실 북핵 문제를 제외하더라도 감비아라는 나라 자체가 외교적으로 큰 영향력과 이득이 없는 약소국인 건 엄연한 사실이지만 그걸 대놓고 입 밖으로 내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 국제적으로 영향력이 적다는 이유로 외교적인 접촉을 기피하고 무시하는 티를 낸다면 국제무대에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신뢰도만 깎아먹을 수 있다.

아무리 약소국이라도 주권국인 이상 유엔총회에서는 똑같이 1표씩 행사하게 된다. 감비아와 북핵 문제에 있어서 협력한다는 얘기가 말이 안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냉전 시절에 남북 외교 당국이 제3세계 국가들을 끌어 들이기 위해서 치열하게 경쟁한 적도 있었다는 것을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된다.

애초부터 정권과 상관없이 외무장관급 회담이면 상대국이 약소국이라도 드물지 않게 기사화된다. 해당 약소국과 관계도 없어 보이는 북핵 문제를 짚고 넘어가는 것도 거의 의례적인 수준의 일이다. # # #

3. 문화

1988 서울 올림픽에 참가했는데 7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2023 FIFA U-20 월드컵의 본선에 출전하여 F조 조별 리그에서 한국과 감비아가 만났다. 2017년에 한감동맹 밈이 나온 이후로 처음으로 두 국가가 스포츠 분야에서 엮인 사례라 소소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리고 두 팀 모두 프랑스를 2대 1로 꺾으면서 프랑스의 토너먼트 진출을 가로막는 데 일조했다.

부산 등록엑스포 유치 과정에서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대한민국에 1표를 행사한 국가다.

4. 대사관

현재 양국은 대사관을 두고 있지 않으며 주(駐) 세네갈 대한민국 대사관이 감비아를 겸임하고 있다.

감비아는 주 중국 대사관이 대한민국을 겸임하고 있다. 대사나 영사가 파견되어 있지 않은 대신 명예총영사와 함께 주한 감비아 명예총영사관이 있으며 서울 도심이나 강남이 아닌 중랑구 신내동 봉화산역 부근의 한 아파트에 자리잡고 있다.[6]

5. 관련 문서



[1] 감비아는 기본적으로 반공주의 국가였음에도 주변 아프리카 국가의 압력에 따라 동구권 공산국가들과 수교할 수밖에 없었고 1973년 북한과 외교관계를 수립한다. [2] 그 시발점이었던 1975년 가봉 오마르 봉고 대통령의 방한은 유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남북한 아프리카 외교전 문서를참고하자. [3] 감비아는 2017년에 23년간의 독재정권을 끝내고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뤄냈다. # [4] 감비아의 1년치 국민 총생산이 1조원(10억 달러) 남짓이다. [5] 감비아가 약소국인 척 힘을 숨긴 강대국이 아니었나 하는 소리다. [6] 사실 딱히 이상할 건 없는 게 명예영사는 주로 해당국과 사업 등의 관계로 인연이 있는 상대국 국민이 임명되며 해당 명예영사가 단순히 이 곳에 살고 있기 때문에 명예총영사의 거주지로써 명예총영사관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명예영사도 비자 발급 권한이 있기 때문에 이 곳에서 비자 발급 업무를 수행중이다. 과거에는 중구 회현동에 정식 총영사관이 있었던 걸로 보이지만 언제부터인가 없어지고 명예총영사관으로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