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기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10A04,#f5e4d5 |
<colbgcolor=#a9a9a9,#565656>
국제 금융기구 |
<colbgcolor=#d3d3d3,#2c2c2c> 국제통화기구 | 국제통화기금(IMF) |
다자개발은행 | 세계은행(WB)(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 국제개발협회(IDA)) ·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 아시아개발은행(ADB)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 ||
기타 | 국제결제은행(BIS) · 녹색기후기금(GCF) | ||
중앙은행 | 한국은행(BOK) · 연방준비제도(Fed) · 중국인민은행(PBC) · 중화민국중앙은행(CBC) · 유럽중앙은행(ECB) · 독일연방은행(BBk) · 프랑스은행(BDF) · 영란은행(BOE) · 일본은행(BOJ) · 러시아연방중앙은행(ЦБ РФ) | ||
국가(산하)기관 | 금융위원회(FSC) · 금융정보분석원(FIU) · 금융감독원(FSS) · 금융결제원(KFTC) · 예금보험공사(KDIC) · 우체국예금 | ||
지주회사 | 금융지주회사 | ||
회계법인 | 세계 4대 회계법인( 딜로이트 · EY · KPMG · PricewaterhouseCoopers), 일반 회계법인 | ||
거래소 | 한국거래소(KRX) · 한국금융투자협회(KOFIA) | ||
청산소 | 금융결제원 | ||
제1금융권 | 은행( 지방은행 · 인터넷전문은행) · 농협은행(NH) · 수협은행(Sh) | ||
제2금융권 | 금융투자회사 | 증권회사, P2P금융, 자산운용사, 선물회사, 신탁회사, 종합금융회사( 단자회사), 투자자문사, 투자은행, 헤지 펀드, 사모 펀드, 창업투자회사,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부동산투자신탁, 인프라투자신탁 | |
보험회사 |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사, 재보험사, 공제조합, 법인보험대리점 | ||
여신전문 금융회사 |
신용카드사, 리스사 · 할부금융사, 신기술금융사, 선박금융사 | ||
상호금융 | 농·축협(NACF) · 회원수협(NFFC) · 신협(CU) · 산림조합(NFCF) · MG새마을금고(KFCC) · 상호저축은행 | ||
기타 사금융(제3금융권) | 사채( 일수), 유사수신업체, 전당포 |
1. 개요
投資銀行 / Investment Bank (IB)투자은행은 고객을 위하여 주식, 채권 혹은 파생상품 등의 발행을 인수·주선 (underwriting) 하거나, 자금 조달 혹은 기업 인수에 대한 자문 (advisory), 일부 증권에 대한 유동성 공급 (market making), 고객을 대신하여 (fiduciary) 유가증권, 외환, 원자재 및 관련 파생상품을 거래 (trading) 하는 금융기관이다.
자본시장은 돈이 남는 곳과 비는 곳을 이어주는 곳을 말하는데, 규모와 이용자에 따라 소매금융과 도매금융으로 나눌 수 있다. 소매금융 (Retail banking)은 일반 개인을 상대로 예금과 대출을 하는 은행, 즉 상업은행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투자은행은 도매금융, 즉 돈이 필요한 기업과 돈을 굴리려는 기업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돈이 필요한 기업을 위해서는 주식과 채권을 발행해주거나, 자본구조를 재조정해주고, 아예 기업을 통째로 다른 기업에 팔아주기도 한다. 돈을 굴리려는 기업을 위해서는 좋은 투자 아이디어를 건네주거나, 그 투자를 직접 실행해주고, 좋은 기업 매물을 물어주기도 한다.
유럽의 은행은 대부분 투자은행이면서 상업은행이다. 미국은 1933년 Glass–Steagall Act (글래스-스티걸법) 이후 투자은행과 상업은행을 구분하고 있었지만, 1999년에 Gramm-Leach-Bliley (GLB) Act를 통과시키면서 다시 투자은행과 상업은행을 겸할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대침체로 망한 투자은행을 상업은행이, 혹은 망한 상업은행을 투자은행이 인수하면서 그 구분이 사라지고 있다.
2. 직무
2.1. Front Office
수익을 내는 부서(revenue-generating)이다. 크게 Investment Banking Division(IBD), Global Markets (Sales & Trading), Research로 나눌 수 있는데, 시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IB는 발행시장(Primary Market), Global Markets은 유통시장(Secondary Market)을 담당한다고 보면 된다.IBD는 법인고객[1]으로부터 자금조달에 대한 의뢰를 받는다. ECM 부서에서는 자본 조달을 위해 주식을 발행하며( IPO), DCM 부서에서는 부채 조달을 위해 채권을 발행한다. 그리고 IBD의 꽃인 차입 매수(LBO), M&A 등을 통해 외부자금을 수혈해줄 수도 있다.
Global Markets은 다양한 금융 상품들을 다시 투자를 원하는 고객[2]에게 적절한 종목을 기간과 수익률에 따라 판매, 유통시키는 업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유동성과 접근성이 부족한 채권, FX, 파생상품, 구조화상품 등을 제공한다.
Research는 각종 시장에 대한 in-house 리서치 리포트를 발간함으로써 IBD와 S&T에서 영업할 수 있는 아이디어 및 재료를 제공하며 딜이 진행됨에 따라 필요한 산업/시장에 대한 전문성을 제공한다.
IBD, Global Markets, Research 등은 서로 다른 회사라고 생각해도 좋을 만큼 하는 일, 연봉, 일하는 분위기, 근무시간, 인재상에 큰 차이가 있다. 들어가서도 서로간의 부서 전배보다 다른 회사의 동종 부서로 이직하는 게 훨씬 쉽다. 암묵적으로만 있는 차이가 아니라 실제 업무상에서도 기업이 고객인 발행시장 업무와 투자자가 고객인 유통시장 업무는 상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서로 차이니즈 월(Chinese Wall)[3]을 두어 서로간의 정보공유를 차단하는게 보통이다.
2.1.1. Investment Banking
Investment Banking Division (IBD).일반적으로 IB라고 말하면 대부분 이 부문을 의미하며, 기업고객들과 자본시장의 교두보 역할을 수행한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관철 시켜야하는 핵심 조직 중 하나. 골드만 삭스 기준, 전체 순이익의 20%가 이 부문에서 발생한다.
Deal을 성사함으로써 받는 성과 보수와 자문 수수료가 주요 수입원이다. Closed deal에 대해서만 성공보수를 받을 수 있고, 성공했냐 아니냐 [4]가 매우 명확하게 드러난다. Close되지 않은 deal에 대해서는 거의 성공보수를 받지 못 한다. 따라서 모든 시간과 자원을 성공할 것 같은 deal에 집중하려는 현상이 다른 직장보다 강하다. 그래서 '워라밸'이라는 단어가 마음 속에 조금이라도 있다면 절대 택하지 말아야 할 대표적인 직종 중 하나다. 만약에 갔는 데 워라밸이 좋다? 그럼 곧 망할 팀이라고 보면 된다. 영업 실적이 부진하면 2년도 안 기다리고 팀을 없애기도 한다. 이런 환경 때문에 일 때문에 늘 긴장되어 있다. 퇴근해서도 항상 전화기를 곁에 두고 연락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으며 언제든지 출근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이러다 보면 스트레스 받아서 점점 신경질적으로 변하기 쉽다.
전략컨설팅과 함께 영미권의 상경계열 새내기 엘리트들이 커리어를 시작하는 금융권 직장의 양대산맥이다. 차이점을 따지자면 전략 컨설팅은 하나의 문제를 깊게 연구해 솔루션을 제시한다면 투자은행은
그리고 IBD의 특성상 사교성이 매우 좋아야 하며 인맥이 넓어야 딜을 성사시키기 쉽다. 그래서 학연에 도움이 되지 않는 국내 학부 학벌은 해외에서의 IBD 취업에 거의 쓸모가 없다. 알려진 바와 달리, 인턴 한 번 채용에 10억원 이상의 특혜로 보답할 수 있는 고객님[5](딜을 줄 수 있는 재벌이거나 중국 고위 관료)가 아닌 이상, 집안 배경도 아무런 도움 안 된다. 2019년 기준으로 뉴욕 벌지브래킷 투자은행 IBD에서 일하고 있는 한국 국내대학 학부 출신은 딱 2명이었다. 한 명은 이전에 한국에서 금융 경력을 쌓은 후 하버드 MBA를 거친 사람이고, 다른 한 명은 한국 학부를 나온 뒤 사전 금융계/컨설팅 경력 없이 스탠포드 MBA를 거쳐서 간판 그룹의 어쏘로 취직했다. 사전 금융계/컨설팅 경력이 없는 한국 학부 출신으로서 월스트리트 벌지브래킷 투자은행에 입사하는 IBD 뱅커는 MBA어쏘든 애널리스트든 전설 속 유니콘 같은 존재다. 역대 몇 명 없는 신비한 케이스로, 어지간한 머리와 학벌, 네트워킹 스킬과 문화적 역량(백인 아재들과 영혼의 대화를 나누는 스킬)이 있어도 바늘구멍이다. 이렇듯 국내 대학 졸업 직후 뉴욕 벌지브래킷 취직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IBD 업무는 Microsoft Excel에 크게 의존한다. 컨설팅에서의 프레젠테이션만큼이나 중요하다. 재무제표를 분석하고 추정 전망을 위해 엑셀 모델링을 한다. 하루종일 엑셀만 봐야 하는 날도 있다[6]. 따라서 시간을 절약하고 오류를 줄이기 위해 마우스를 쓰지 않고 키보드 단축키 위주로 엑셀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주니어들에게는 시나리오 분석, 목표 값 검색, 피벗 테이블, 간단한 VBA 매크로 수준의 엑셀 능력이 요구된다. 한편 이 분야에서도 AI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2017년 중 골드만삭스, 2018년 중 BofA메릴린치는 IPO 업무의 상당 부분을 자동화해 금융업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7]
예전에는 한국 국적의 유학생이 뉴욕 오피스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이 없었을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많은 편이다. LinkedIn 5분만 찾아보면 각 은행별 한국인 애널리스트 찾는 건 일도 아니다. 실제로 2018년 기준 어떤 벌지브래킷 은행의 한 커버리지 그룹에는 한국 군필 유학생만 3명이나 함께 근무하였다고 한다. 아이비 리그, 특히 컬럼비아와 와튼 출신이 많으나 비-아이비리그 출신도 상당히 많다. 골드만 TMT, 모건 스탠리 M&A, JP 모건 헬스케어, BofA메릴린치 Leveraged Finance 등 간판 그룹에서도 한국인을 종종 볼 수 있다. MBA 어쏘 리크루팅은 최근 규모가 작아지기도 했고 회사에서도 갈수록 A-to-A[8]를 선호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미국 학부 출신이 대부분이다.
IBD 경력은 사모 펀드 이직에 큰 도움이 된다.
부서는 크게 Product Group과 Industry Group으로 나눈다.
2.1.1.1. Industry Group
Industry Group에서는 Industrials, TMT (Technology, Media & Telecommunications), Natural Resources (Oil & Gas and Mining), Real Estate, Healthcare, FIG (Financial Institutions Group) 등 특정 산업이나 분야 별로 나뉘어서 각 분야에 해당하는 회사의 자본중개(Financing)을 담당한다. 주식 및 채권 발행 중개/파생상품/ 기업공개(IPO) 등의 수단으로 기업에서 돈을 끌어모으는 방법에 대해 자기가 맡은 산업의 대기업 재무부서 임원들에게 조언하고 실제 자본중개 활동이 일어날 경우 중개 수수료를 버는 것이다. Financing 컨설팅은 Industry Group에서 하지만 실제 딜이 체결될 때는 그 상품을 담당하는 Product Group와 협업을 하게 된다.이외에도 2010년대에는 사모 펀드 들의 자금 모집 건수가 늘어나면서 Financial Sponsors Group 을 따로 만들어서 관련 업무만을 하게 하는 투자은행들도 있다. 크고 아름다운 대차대조표를 가져서 Leveraged Finance 부문에서 활약하는 JPMorgan, BofA메릴린치가 대표적.
2.1.1.2. Product Group
Product Group은 M&A나 Leveraged Finance(LevFin)와 같은특정 거래와 관련된 전문화된 일을 한다. 예를 들어 M&A의 경우 기업을 사려는 쪽과 팔려는 쪽을 연결시켜주고 거래가 이루어졌을 경우 자문 수수료를 받는다. LevFin의 경우 LBO, Leveraged Acquisition 등 높은 레버리지를 요하는 거래에 관여한다.M&A의 경우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인수 기한이 정해져 있다. 제안서를 써내는 것부터 막중한 무게를 지닌 일이므로 1~2주 걸린다. 기한 안에 재무제표,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최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해야 경쟁사나 상대측의 약점을 찾을 수 있다. Trading과 다른 점은 업무가 1분 1초를 다투는 일이 아니라 정해진 기간 내에 딜을 성사시키는 종류의 일이기 때문에 화장실이나 식사를 미룰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또 Trading처럼 근무시간 내내 뭔가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중간에 대기하고 있는 시간이나 쉬고 있는 시간도 있다. 다만, 장마감 시간 땡 하면 할일이 끝나는 트레이딩과 달리 M&A팀에게 정시퇴근과 워라밸 따위는 동화 속 이야기.
ECM (Equity Capital Market:주식 발행) 과 DCM (Debt Capital Market: 채권 발행)은 은행에 따라 Product Group의 특정 분류로 되어 있기도 하고, Industry Group / Product Group / Capital Market Group 식으로 부서를 만들기도 한다.
2.1.2. Global Markets
주식, 채권 등 전통상품과 금리, 외환, 원자재와 관련된 현물, 파생상품 등 대체투자 상품을 고객[9]에게 판매하거나 고객을 대신하여 거래하면서 발생하는 실적에 따른 수수료가 주요 수입원이다. 골드만 삭스 기준, 전체 순이익의 40%를 창출한다.역할에 따라 Sales, Trading, Structuring 세 직무로 나뉜다.
- Sales: 고객과의 관계를 관리하며, 고객이 필요한 거래의 호가를 트레이더들에게 요청한다.
- Trading: 전산 프로그램을 통해 호가 제시, 주문 체결, 그리고 포지션 관리 등을 담당.
- Structuring: 옵션과 같은 복잡한 파생상품을 기반으로, 구조화 상품(ELS, CLS 등)을 모델링하는 퀀트 직군.
상품에 따라 크게 Equity(주식과 주식파생)와 FICC : Fixed Income instruments(채권), Currencies(통화) and Commodities(상품)로 나뉜다.
분야가 좁으며 실적 압박이 심하기 때문에 수명도 짧고, 잘 나가다가도 한번에 폭삭 망하기도 쉽다. 해외 시장 담당은 밤낮이 바뀌는 경우도 생긴다. 물론 공통적으로 진짜 바쁜 건 장중이고 장이 끝나고 나면 여유 시간을 누릴 수 있다. 자산운용사나 전업투자자와 다른 점은 이들은 투자한 자산의 valuation이 늘어나면 좋지만, S&T의 경우는 수수료가 많이 들어올수록 좋다. 즉, 약세장이라도 고객 돈의 turnover가 높을수록 유리하다.
S&T에서는 부서에 관계없이 블룸버그 터미널이 업무에 필수적이다.
2.1.2.1. Sales
좋은 투자아이디어를 생각해내고 그걸 기반으로 상품을 만든 뒤 고객들에게 판매해서 투자를 받는다. 트레이더들은 그렇게 받은 투자자본으로 트레이딩을 한다. 세일즈맨들은 상품을 판매한 만큼 성과급을 받는다. Trading은 클릭 실수나 판단 실수로 스타 플레이어들도 잘려나간다는 단점이 있지만 Sales는 고객의 신뢰를 받으면 그런 식으로 크게 망할 일이 없어 좀 더 안정적이다.영업 중에서 남한테 투자하라고 하는 영업은 골때리는 일이기 때문에, 좋은 투자 아이디어를 가져오는 것부터 IBD처럼 화술, 글쓰기, 완벽한 영어, 고객에 맞춰주는 사교성, 비즈니스 능력이 중요하다. 이 업계에서 가장 초보적인 영업은 고객들에게 시장 현황에 대한 자료를 보내주는 것으로 인턴 때부터 시작한다. 정식으로 취업하면 고객들 앞에서 프레젠테이션도 해야 한다. IBD보다는 학벌이 덜 중요하지만 그래도 미국 상위 30위 대학 이상의 학벌이 필요하다.
트레이딩보다는 근무시간이 길다. 영국 런던지사의 Global Equity Sales 부서의 경우 6시 반 전에는 대부분 출근해 있다.
2.1.2.2. Trading
세일즈 부서에 내려온 주문을 이행하거나, 고객의 요청에 따라 거래해주기도 하고, 단기적인 관점에서 직접 고객의 주식을 영업하고 거래하는 부서. 영화 마진콜에서 케빈 스페이시가 속한 곳이 트레이딩 부서다. '월가'라면 흔히 컴퓨터의 차트를 보고 전화를 하면서 급박하게 주식거래를 하는 모습을 상상하는데 트레이딩 플로어에서 실제로 그런 일을 한다.철저한 성과제이므로 무명의 트레이더라도 능력만 우수하면 보너스도 많이 받고 출세한다. 미국 월가의 경우에는 매매실력이 매우 뛰어날 경우 일개 Analyst가 연봉 5억을 성과보수로 받기도 한다. 대신 손해가 나면 잘린다.
원어민급 영어 실력을 이용한 사교성이나 인맥은 필요없다. 암산 실력, 빠른 판단력, 시장 경험을 우대하기 때문에 비원어민 외국인이 들어갈 가능성이 IBD보다 좀 더 높다. 스톱워치를 켜 놓고 5자리 수 X 3자리 수 암산 같은 것을 시키는데, 답은 당연히 다들 맞히는 거고 속도가 결과를 결정한다. IBD보다 학벌은 덜 보고 학점은 더 많이 본다.
주식/채권 시장이 열려 있을 때만 활동할 수 있다. 그래서 7~8시쯤 출근해서 장중에 주로 활동한다. 장이 끝난 다음에는 1~2시간 정도 손익을 결산한 뒤 6시쯤 퇴근한다. 장이 열리는 시간 [10]에는 화장실도 가기 힘들고 밥도 먹기 힘들다. 이런 부서의 신입사원들은 맥도날드, 쉑쉑버거 등 패스트푸드나 배달음식을 사와서 선배들 책상에 갖다놓는 게 일이다. 입으로는 음식을 씹고 있지만 눈과 손, 모든 정신은 장에 집중하고 있어야 한다.
퇴근 후에는 세계 경제 뉴스 등을 챙겨본다.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능력이 중요한 역량이다. 일찍 퇴근하더라도 불면증, 불안 등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1년에 1~2번 스트레스가 너무 심한 날은 만취할 때까지 술을 마신다는 경우도 있다[11]
코네티컷 주의 스탬포드에 소재한 UBS의 미국 트레이딩 룸에는 2007년 당시 축구장 같은 시설물에 1,700여명의 트레이더가 모여 있었는데, 사측에서 업무편의를 봐주려고 샌드위치를 식사로 제공하고 트레이딩 룸 중앙에 구두닦이를 배치했었다. 이 트레이딩 룸은 세계에서 제일 큰 트레이딩 룸으로 유명했었지만, 2017년에 공식적으로 닫았다.
2.1.2.3. Structuring
파생상품(옵션, 스왑)을 포함한 복잡한 상품을 다루는 데스크에서 근무하는 특수한 퀀트 직군.고객의 니즈에 맞는 구조화 상품 (Strucutred Products)을 고안하며, 이 과정에서 트레이더들과는 프라이싱 및 리스크모델에 대한 의사소통을, 세일즈들에게는 복잡한 상품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또한 수익구조 및 위험관리를 위한 수학적 모델을 관리하고 고안하는 업무를 맡음에 따라, 수학/프로그래밍 역량이 요구된다.
2.1.3. Research
애널리스트라고도 부른다. 증권사의 리서치 직무도 이 일을 한다. 리서치가 S&T에 붙어있기도 하지만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많은데, 분리된 경우는 Sales를 통한 영업실적보다는 증권사의 싱크탱크 역할을 위한 연구소로서의 기능이 강하다. 그래서 한국 대기업들의 그룹 부설 00경제연구소 등에서도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 애널리스트 문서도 참조바람.- Equity research: 주식 시장. 작게는 25개 정도의 주식시장이 상시 주목 대상이지만, 최근 들어서는 Emerging Market이나 Frontier Market에 대한 분석도 늘어나고 있다.
- Macro research: 채권, 각국 경제 상황 등을 거시경제학적 시각으로 분석한다. 전세계적으로 50여개국 경제가 상시 주목 대상이다.
- Economic research: 거시경제학, 환율, 이자율 예측
- Strategy research: '시장 전망에 따라 적합한 자산 배분' 등의 투자 전략을 분석한다.
- Commodities research: 상품 가격 예측. 주로 금, 석유, 광물 등이 주요 대상이다.
- Credit research: 기업 부채, 신용도 예측
- 경제연구소: 각국 고위공무원, 투자자 등에게 연구용역 제공
골드만삭스 서울지점(2017) RA의 경우 대졸 초봉 8천만원, 3년차 RA 1억, 그보다 경력이 더 많은 라이팅 애널리스트의 경우에는 1억2천만~1억5천만원 정도 연봉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대졸 초봉만 1억9천. 3년차에는 3억원 가량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2.2. Middle office & Back office
이들은 직접적인 수익을 벌어주는 부서는 아니다. 구분 없이 전부 다 Back office로 묶어 부르기도 한다.세 종류로 구분할 경우, Front office는 매출을 내는 곳이고, Middle office는 회사가 망할 위험요소를 미리 제거하는 곳이고, Back-office는 업무의 생산성을 높이는 곳이다. 이 경우 Middle office에는 리스크, 자금, 전략, 감사, IT가 들어가며, 백오피스에는 IT, 인사, 서무가 들어가게 된다.
-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 : 회사 전체 혹은 부서 별로 얼마나 시장 변동성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관리하며 이에 따라 운용할 수 있는 자금의 제한을 건다. 또한 IBD가 추진하고 있는 거래의 부도/손실위험을 항상 관리한다. 금융기관 리스크 부서라면 다들 사용하고 있는 VaR (Value at Risk)의 개념은 JP모건 체이스 리스크 부서에서 시작되었다.
- Financial control
- 자금(corporate treasury)
- 전략(corporate strategy)
- 감사(compliance)
- 인사
- 서무, 비서
- Operation
- Execution : Operating 업무 중 일부로 Front-office 에서 내린 order를 실제로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Back-office의 경우 대기업에 비해 크게 연봉이나 대우가 낫다고 말하기 힘들다. Front-office로의 전배나 이직도 거의 불가능하다. 유명한 투자은행의 한국 지사의 내근비서들은 연봉 3천만원 이하인 경우도 있다.
2.3. Quant
퀀트(Quant)는 투자은행 내에서 Front-office, middle-office, back-office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금융공학자다.- Front-office: Quant strategist, Structuring, Algorithmic trading
- Middle-office: Risk Analysis (시장 리스크, 유동성 리스크, P/L 한도 등)
- Back-office: IT 및 전산
수학/물리 학사~박사를 받고 Fixed income 부서에서 일하는 경우도 있고, 그 외에도 외환(foreign exchange: FX), 주식(equity), 신용(credit), 원자재(commodity)등 기초자산의 종류에 따라서 부서마다 퀀트들이 있다.
세부적으로 좀 더 갈린다. Quant strategist는 인공 신경망을 투자은행 업무에 적용할 방법을 연구한다. 똑같이 파생상품을 다루는 Quant라도 파생금융상품의 가격을 예상하는 모델을 만드는 Structuring과 파생상품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하는 trader는 서로간에 필요한 배경지식이 다소 다르다. 전자는 모형을 고안하기 위해 깊은 수학적 역량이 요구되는 반면, 후자는 모형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수학적 지식과 시장에 대한 통창력이 요구된다. 이 외에도 low-end 단에서 high frequency trading 쪽에서 근무하는 퀀트 등 워낙 다양한 형태의 퀀트들이 근무하고 있고 tech 회사에서 이직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워낙 비밀주의적인 곳이라 자기가 어느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지 못 밝히는 경우도 있다. 알고리즘 트레이딩에 있어서 알고리즘이 노출되면 회사가 큰 손실을 입기 때문이다.
2.4. Engineering (IT)
전산 부서는 투자은행 내에서 Front-office, middle-office, back-office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한다.- Middle-office: 현대의 금융시장에서는 IT기반의 금융서비스가 일반화되어 있다. 이런 서비스의 안정성 확보는 회사의 이윤창출에 매우 중요하다. IT부서는 비즈니스(업무)를 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하고, 기업에서 지속적 이윤창출을 위한 기반시스템을 유지보수 및 관리하는 핵심이기 때문이다. 금융시스템이 단 1초간 마비되어도 손실은 엄청나게 발생할 수 있다. 정보보호 역시 마찬가지.
-
Front-office: 최근에
기계학습의 발전으로 인하여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2000년 골드만삭스 본사에는 600명의 트레이더가 있었으나, 2016년 7월 '켄쇼'를 도입한 후 수요를 급격하게 줄였다[12]. 2017년에는 2명의 트레이더와 200여명의 트레이딩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대체되었다.
3. 직급, 대우, 커리어패스
다른 회사라면 Managing director는 부사장, SVP는 전무, VP는 상무, Associate는 사원에 해당할 것이다. 만나는 사람들은 다 중소기업 사장이나 대기업 임원급이다 보니까 급을 맞춘답시고 저러는 것이다. 이런 본사의 경향을 반영해 한국에서도 과장 (Analyst), 부장 (Associate), 이사 (VP), 상무 (Director), 전무 (MD)로 부르는 회사가 있다.투자은행의 Front-office [13]는 대학교 졸업하고 바로 억대 연봉을 찍을 수 있는 몇 안되는 직장 중 하나이다. 흔히 Bulge Bracket이라고 불리는 큰 은행들이나 몇몇 Boutique 투자은행들에 들어가면 기본급과 보너스를 포함해 억대 연봉을 받을 수 있다. 2018년 뉴욕 기준, 주로 1년차 애널리스트가 기본급 7.5~8.5만불, 1년차 어쏘가 기본급 12~15만불을 받으며 보너스는 개인 고과에 따라 기본급의 30~100% 정도의 범위 안에서 책정된다. 또한 특정 기한 안에 고용계약서에 서명만 하면 signing bonus로 일을 시작하기도 전에 애널리스트는 1~2.5만불, 어쏘는 많게는 6만불까지 받고 들어온다. 소수의 한국 명문대(SKY) 졸업생들이 취업하는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있는 홍콩의 경우 Signing Bonus 대신에 홍콩에 거주할 기본 비용으로 약 3개월간 고급 아파트 렌트비와 침대 및 전자렌지 등 구입비로 HKD $80,000 수준의 보너스를 제공한다. 또한 안전하고 쾌적한 아파트를 빠르게 구할 수 있도록 회사는 계약된 전문 부동산 중개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거주할 집을 구하는 동안 4성급 호텔을 1개월 정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갓 입사한 신입 애널리스트라도 해외 출장시 비지니스클래스와 5성급 특급호텔 및 현지 이동을 위한 택시 및 3식 식사비도 바로 제공받는다 [14]
그러나, 이런 파격적인 연봉과 복리후생은 입사 후 주 70시간에서 때로는 100시간에 달하는 엄청난 노동시간을 감당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대가이다. 그리고 Analyst는 계약직으로 봐도 되는 게, 2-Year Analyst Program이라고 부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쟁률이 높은 것은 높은 연봉도 있지만 이 곳에서 2년 동안 일하고 각종 자산운용사 ( 헤지펀드, 사모 펀드, 패밀리 오피스)에 이직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투자은행에서 오래 일하려는 사람들보다도 2년 동안 경력을 쌓고 Buy-side로 가려는 사람들이 무척 많다. 투자은행들도 그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어떤 은행들은 자기 애널리스트들이 이런 좋은 사모 펀드에 이직했다고 광고를 하기도 한다. 미국의 상당수 Analyst는 2~3년 근무 후 Buy Side[15]로 간다. Analyst로 IB에 2년 있다가 사모 펀드로 이직하면 다시 Pre-MBA Associate Program이라는 2년제 과정을 거치고 대부분 MBA로 간다. 즉, 계약직 2년(IB) 후 계약직 2년(PE/HF) 일하고 나서 MBA 다닌 후 다시 PE/HF.
Analyst로 2~3년 일하고도 Buy side로 가지 않은 극소수가 Associate로 승진하는데, 이들을 A to A[16]라고 한다. 이렇게 남은 Associate가 투자은행에서 그나마 오래 남을 애들이란 인식의 한국 대기업 신입사원이라고 보면 된다. 동시에 MBA를 갓 졸업한 사람들이 Associate로 입사하는데, 이 사람들은 뭔지 잘 모르고 들어오기 때문에 광속 퇴사도 많고, 그런 경우가 아니라도 상당수 퇴사한다. A to A의 잔류율이 훨씬 높다. 이 Associate 중 대부분이 2~3년 안에 퇴사하고, 30% 정도가 VP로 승진하면서 본격적으로 실적 전쟁에 참가한다.
약 4년 정도 일하면 Director로 승진한다. IBD의 경우 이때부터는 근속연수를 채우는 것은 승진에 무의미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얼마나 많이 따오는가가 승진을 결정한다. IBD에서는 영업력이 아주 탁월한 경우 2년만에 Managing director로 승진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금융 지식이 뛰어나지만 영업력에 자신없는 사람들은 이쯤 되면 대부분 다른 업계로 exit하고 IBD에 남아 있지 않는다.
Managing director의 연봉은 보너스의 비중이 크다. 프로젝트를 많이 따오는 MD는 연 수입이 20억원이 넘는 경우도 있다.
높은 직급으로 승진해도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다. 40대 후반 (25년 경력) 의 한 투자은행 경영자는 틈만 나면 자기 손톱을 물어뜯는다. 그게 너무 심해서 비서가 그의 일정에 매주 20분 가량 네일 살롱 스케줄을 추가해서 관리한다.
아시아에서는 Analyst에서 Associate으로, Associate에서 VP/Director로 남는 편이었으나 최근 사모 펀드의 인기가 치솟음에 따라 점점 뉴욕 모델을 따라가고 있다. 특히 아시아에서도 국내의 경우 해외의 투자은행에 해당하는 증권사 IB 재직자들이 굳이 Buy-Side에 해당하는 자산운용사, 연기금 등으로 이직하지 않고 대부분 IB에 남아서 커리어를 이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국내 금융투자업계의 특성에 기인한다. 첫째로 증권사의 규모가 점차로 거대해지면서 연봉 수준이 해외 투자은행에 약간 못미치는 수준으로 높아졌고 업무면에서도 Buy-Side에 상당하는 PI 활용이 높아지면서 마냥 을의 입장에서만 일하는 것도 아닌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는 국내 Buy-Side의 경우 AUM(Asset Under Management)이 거대한 대형 종합자산운용사라도 재무상태(자산, 자본 등)가 중소형 증권사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산운용사나 연기금 등 재직자들의 연봉이 증권사 IB 대비 떨어지는 경우가 부지기수라 오히려 Buy-Side에서 연봉 잭팟을 노리고 증권사 IB로 이직하는, 해외와는 반대의 사례가 더 많다. # 물론 국내의 경우에도 사모 펀드만은 예외이며, 증권사 IB에서 사모 펀드로 이직을 희망하는 사람이 더 많다.
4. 채용방법 (미국/유럽/홍콩)
미국 투자은행들은 US News 랭킹 20위권 이내의 일부 대학에서만 선택적으로 채용을 진행한다. 아태본부가 있는 홍콩의 경우 중국 북경대,칭화대, 홍콩대와 홍콩과기대 및 싱가폴국립대, 그리고 한국의 SKY대와 카이스트 출신 정도로 컷아웃된다고 보면 된다. 대형 투자은행 혹은 유명 부티크 투자은행 가운데 절반 이상 공채를 진행하는 학교들을 타겟스쿨이라 부르고 이는 대부분 15위권 이내의 대학들이다. [17]2015년경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에 따르면 골드만삭스가 캠퍼스 리크루팅을 가는 학교는 전세계적으로 75곳, 입사자는 전세계적으로 100여곳 대학교 뿐이다.
이런 조건을 갖추고 GPA 3.7/4.0 넘는 학생들도 투자은행 인턴 경력과 네트워킹을 갖추어야 합격 가능하다.
한국인을 포함함 동양인들이 대체로 학벌이 좋기 때문에[18] 많이 채용되고, 최근에는 고위직에도 동양인들 숫자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한국인 성공사례는 대표적으로 세계 최대 사모 펀드 칼라일의 전 CEO 이규성,[19] KKR 의 CEO 조셉배, 블랙스톤의 CFO 마이클채 등 이 있다.
미국에서 투자은행 업계의 외국인 채용규모는 2017년 H-1B 비자를 새롭게 청원한 사람이 1,766명이었다[20]. 이렇게 외국인을 많이 뽑다 보니 예전에는 VP 이상 직급에 동양인들이 많이 적었지만 최근에는 동양인 고위직들이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 [21] #
투자은행 한 곳에서 프로그래머를 제외하고도 H-1B 비자로 5백여명을 고용 중인 곳[22]도 있다. 투자은행 중 2017년 H-1B 비자로 외국인을 가장 많이 고용중인 곳은 JP모건 체이스 (전체 20위, 1,765명)이다. Applications Developer(639); Application Developer(535); Associate(293); Analyst(198); Business Analyst(146); 등을 고용 중이다. 즉, 컴퓨터 프로그래머 1,200여명과 사무직 500여명을 H-1B 비자로 고용 중이다.
인맥 쌓기(networking)를 한다는 것은 본인 학교 동문들을 LinkedIn, 채용설명회, 교내 동아리, Fraternity, Sorority, 지연, 혈연 등 모든 방법을 총 동원해 취업기간이 다가오면 인사 부서에 본인의 이력서(Resume)를 추천해 줄 수 있는지 물어볼 수 있을 정도의 친밀감을 쌓아놓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대학에서 진행되는 투자은행 프론트 오피스의 인턴십 채용은 인사부서가 아닌 동문으로 이루어진 채용 담당 팀[23]의 주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미리 누가 채용팀에 있는지 파악하고 네트워킹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북미 지역의 경우 그냥 덜렁 은행 웹사이트 Career 페이지에 online application만 제출한 다음에 인터뷰 연락이 오길 기다리는 것은 마치 블랙홀에 자소서를 던져버리는거나 다름없다.
상대적으로 명성이 떨어지는 Bulge Bracket 은행들 (UBS, DB, Barclays 등)이나 middle-market 은행들에 입사해도 더 인기있는 투자은행(골드만삭스, 모간스탠리, JP모건 체이스, BofA메릴린치 등) 또는 인기 부티크 은행(Evercore, Lazard, Qatalyst, PJT Partners 등)으로 이직할 기회가 있다. Analyst 기준으로 보통 1년차가 끝나고 2년차로 올라갈때 더이상 못 버티고 나가버리는 Analyst들이 많다. 이 시기에 (2년차로 바뀌는 7~9월) 보통 lateral opportunities가 회사 취업 공고 사이트에 자주 올라온다.[24] 중요한것은 Summer analyst로 지원하는거와는 다르게 Career Page에 어플라이 한다고 해서 블랙홀에 던져버리는게 아니다. 그러므로 잘 관찰하고 있다가 지원하도록 하자. (물론 네트워킹을 하면 플러스이긴 하지만, 그다지 그 중요성이 높지는 않다.)
미국 명문 학부를 나왔느냐 아니냐가 중요하다. [25] 월가에서 잘 나가려면 미국 명문 보딩스쿨 → 아이비 리그 학부 테크를 타는 게 가장 이상적이다. 미국도 한국같이 학부 학벌을 상당히 중요하게 따지기 때문에, 한국에서 학부를 나왔으면 유명 MBA를 하더라도 차별 때문에 취업 및 승진이 어렵다.
4.1. 인턴
투자은행 채용의 특이한 점은 1년차 애널리스트 (Analyst)들 70% 이상을 3학년 인턴에서 뽑는다는 것이다. 또한 나머지 30% 가운데 27% 이상을 다른 투자은행 인턴십 경험이 있는 지원자로 충원한다. 나머지 3%는 재벌 3세 등등 직접 deal을 끌어올 수 있는 사람들이다. 즉, 인턴십 없이는 투자은행 front-office 입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래서 여름 인턴의 경우 350개 일자리에 17,000여명이 지원하는 (경쟁률 48:1) 등 매우 경쟁이 높다. 이런 여름 인턴은 1년차 정규직 analyst와 동등하게 교육시킨다.2015년 이전까지는 1차 면접이 진행되는 늦은 가을부터 그 다음해 2월까지의 기간 전에 채용이 진행되었으나 2015년 이후 대부분의 캠퍼스에서 8월부터 10월 사이 3학년 인턴을 거의 1년이나 앞서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인턴십보다 약 2년 가량 앞선 2학년 1학기부터 네트워킹이 필요하다.
2015년 영국 신문은 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 13학번 'Sophie Capewell'이 10주간 런던 JP모건 체이스의 '국제 주식 세일즈(global equity sales)' 부서[26]에서 여름 인턴을 하는 것을 취재했다. 이 부서는 전세계 주식을 영국 중심 고객들에게 파는 곳이다. JP 모건 인턴이 되려면 수학 시험, 경제 시험, 면접을 통과해야 한다. 인턴은 6시 반까지 출근해야 한다. 그러나 정식 부서원들은 6시 반 이전에 모두 출근해 있다. 인턴의 첫 업무는 1,000명의 고객에게 아침 이메일을 작성해서 보내는 것이다. 사규로 인턴이 직접 고객에게 이메일을 보낼 수는 없게 되어 있고, 정규직 analyst의 검토를 거치게 되어 있다. 이메일은 8시에 발송되었다. 인턴이 고객에게 직접 조언을 하는 것은 회사 내부 규정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각종 보고서나 이메일 등을 통해 고객에게 조언을 한다. 주식거래 시장이 열리기 전인 아침 7시에 담당 analyst들이 세일즈 부서 직원들에게 그날 유럽 주식에 대한 브리핑을 해주었다. analyst가 건물 안에서 직접 브리핑을 해주기도 하고, 전세계 다른 도시에서 전화를 통해 브리핑을 해주기도 한다. 프레젠테이션이 끝날 때마다 질문을 할 수 있다. 주식 시장이 열리면 주식 부서가 있는 층은 시끄러워진다. 8:30에서 9:00 사이에는 너무 바쁘다. 인턴도 각종 회의에 의무적으로 참석해야 한다. 인턴에게도 블룸버그 터미널이 주어진다. 의자는 자기가 가장 편한 것을 쓸 수 있다. 구내식당은 굉장한 크기로 음식 종류도 매우 다양하며 스시도 포함되어 있다. 체계적인 교육 방식과 틀 같은 것은 없다. 자신이 알아서 일을 찾고 주도적으로 일을 하는 인턴들만이 살아남는다. 인턴도 10-15분 프레젠테이션을 한다. 고객들 앞에서 직접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런 상황을 가정해서 진행한다. 이 사람은 2016년 8월 졸업했으며 졸업 직후 JP 모건에 입사했다.
5. 한국 사무소
SKY 경영학과에서조차 글로벌 투자은행 서울사무소에 입성하는 건 극소수이다. 연세대 경영학과의 경우 5% 이하에 불과하다. BB에 입사하는 신규 애널리스트들은 한 손 안에 손꼽을 정도.노동법의 감시가 약하다 보니 외국계 증권사 서울 오피스의 워킹아워는 주 100-120시간 정도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27] 연봉 또한 세계 오피스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악명 높다..
2020년대 기준 외국계 ib 서울오피스 신입 애널리스트들의 초봉은 세전 1-1.2억 + 보너스로 알려져 있다.
채용과정은 주로 인턴을 통해 인맥형성 후 인턴출신들을 추천받아 면접을 본 후 선발한다. 채용전제(Offer base)가 아닌 인턴이라도 좋은 평가를 받으면 다른 팀 인턴 자리를 소개받고 그 쪽에서 인턴을 이어나갈 수 있으며, 이런 식으로 계약직 (Temp) 자리를 소개받고 점점 업그레이드 되는 식으로 일자리를 갖게 된다. IBD의 경우 인턴십 경험 없이 바로 full-time으로 들어가는 것은 서울 오피스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또 한 회사의 인원수가 100여명밖에 되지 않으므로 인맥이 있는 사람은 면접관의 성향까지 다 파악하고 있고 그에 맞추어 대답하는 게 가능하므로 인맥이 있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다만, 인턴을 했다고 채용이 된다는 것은 아니다. full-time 채용 경쟁이 인턴 경쟁보다 훨씬 치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A부서 인턴 경력은 B부서 입장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고, B부서에 가고 싶으면 B부서 인턴 경력이 필요하다. 서울 오피스의 경우 인원이 전반적으로 적기 때문에 자신이 졸업할 시기에 자신의 경력에 맞는 일자리가 얼마나 나올 것이며 그 시기에 인맥으로 경쟁할 인원이 얼마나 될 지를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운의 영향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어느 부서에 가고 싶은지 빠르게 정해야 기회를 잡을 수 있다. 국내에서는 상경계 2~3학년이 되어서도 IBD와 S&T 구분은 커녕 컨설팅과 IB 중 어디에 지원할지조차 결정하지 못 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이미 2학년 여름쯤 되면 IB 인턴을 하고 있는 해외대와는 대등한 경쟁이 어렵다.
그리고 인턴을 하려면 인턴 경력이 있어야 한다. 채용 인원이 매우 적어 여름 인턴을 하려면 정규 학기를 휴학하고 오프사이클 인턴 경력부터 있어야 한다. 오프사이클 인턴도 쉽게 구할 수 없으므로 개인적인 인맥이 없다면 경영동아리 선배들의 도움을 받는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국내 학부 출신의 IB 진출은 SKY 중에서도 IB에 집중하고 있는 몇몇 경영동아리를 중심으로 집중된다.
학벌의 경우 2014년 기준 서울사무소 직원 절반 가량은 해외대학 출신이고 나머지 절반 가량은 국내대학 출신이다. 서울대 한해 졸업생이 3300명, 연고대까지 합치면 1만3천명에 달하는데 아이비 리그 및 그에 준하는 대학 한국인들은 다 합쳐도 학년당 200명 밖에 되지않는다. 따라서 해외 대학 출신에서 들어가는 것이 비율적으로 훨씬 높다. [28] 업무에 필요한 기본적인 한국어 능력 또한 한국에서 자사고/외고를 나온 유학파의 경우엔 뒤쳐진다고 볼 수 없다.
영어를 못 할 경우 서울 오피스의 경우에도 투자은행 입사는 불가능하다. 해외대 출신이 절반이고, 나머지 절반 중에서는 귀국자녀 출신 SKY 지원자들도 많다. IBD의 경우 보고서를 작성하는 일이 많으니만큼 쓰기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영어를 잘 한다'는 것과는 전혀 다르고 업무에 필요한 격식체의 글쓰기와 논리력이 필요하다는 뜻이다.[29] 또한 본사나 다른 지역과의 의사 소통이 활발하기 때문에 회화는 당연히 유창한 것이 기본이다.
해당 부서에서 인턴을 얼마나 잘 했는지, 면접, 그 부서에서 그 사람의 평판(Reference)이 입사에 가장 크게 작용한다. 거의 반드시 평판조회가 들어가므로 한 군데에서 상사와 크게 싸웠다면 업계를 떠나야 할 가능성도 크다.
서울 지사에서의 IBD는 입사 후의 업무 역시 문제가 된다. IBD에서 Director 이상이면 가장 중요한 것은 영업인데 후진국일수록 접대가 중요해진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고객사 임원과 술자리를 갖고 골프를 치고 동반여행을 가는 등 즐거운 시간을 갖게 만들어주는 것이 곧 접대다. 그래서 거의 매주 골프를 치러 다니고 자주 사람을 만나서 술을 마셔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고객님이 기분 상하거나 재미없어하면 안 된다. 그게 곧 일이다. 물론 접대를 통해 사업상 알게 된 관계가 친구로 발전해서 좋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30] 애초에 접대가 없는 편이 낫다. 미국의 경우 2000년대 중반부터는 100달러 이상의 선물을 하면 걸리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사라졌다.
5.1. 채용 인원
뽑는 인원이 매우 적다. Barclays(1977~1996, 2001~2016.1). RBS (2013~2017: 이상 영국), BBVA (2011~2017:스페인)이 철수했고, UBS도 2018년 6월 기준 철수 계획 중이다. 1년에 한 외국계 회사당 1~2명 정도 뽑는 수준.왜냐하면 미국 등 자본시장이 큰 나라에 비해 시장이 작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외환 트레이더 (2012)는 국내 통틀어 40여명이었다. 점점 줄어들어 2016년에는 2014년에 비해 10% 이상 인원이 줄어들었다.
현재 서울에 들어와 있는 IB는 소수에 불과한데, 이들마저도 한국의 시장 수익성 문제로 철수하고 있는 추세다. '굿바이 코리아' 떠나는 외국계 금융사 골드만삭스, UBS, RBS, BBVA, 바클레이스 등등 수많은 회사들이 서울지사를 완전 철수하거나 일부 부문만 남기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회사 뿐만 아닌 보험회사들도 마찬가지 이며 둘다 한국에서 벌어들인 돈 대다수를 본사에 가져가며 서울 지사에 더이상 투자 의지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학부를 졸업하고 홍콩이나 미국 오피스에 원서를 넣으면 담당자가 학부 이름을 읽어보고 한국으로 레주메를 토스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서울지사 내부 transfer 은 사실 '불가능' 에 가깝다. 서울 지사에서 아시아 권역 본사로 나가는 것은 가능하나, 미국 본사로 가기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그리고 각 IB 서울사무소에서는 주52시간제 시행 등 큰 사건에 있어서도 급격히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 없다. 인건비를 늘렸다가 수익성이 떨어지면 본사 기준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내 비즈니스가 조금 늘어난다 한들 홍콩 지사에서 인력을 파견받는 식으로 대응하면 된다 [31].
거기다 혈연으로 뽑는 쿼터마저도 있다. 예를 들어 deal을 따오는 데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재벌 2,3세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인턴 없이도 입사한다.
따라서 채용 인원은 매우 적다. 예를 들어, 한 유명 IB의 서울 사무소의 IBD 여름 인턴은 1~2명, 많아봤자 3명 뽑는다.
다만 국내 증권사들의 IB 파트는 2000년대 초반과 비교해 급성장을 했기 때문에 이와 같이 해외 IB들이 힘을 쓰지 못하는 것을 한국 금융 시장의 작은 규모 뿐만 아니라 적응 실패로 보기도 한다..
5.2. 연봉
서울지사는 세전 연봉으로 비교하면 미국보다 훨씬 적다. 승진하면서는 격차가 매우 커진다 [32] [33]임금의 경우 Global Policy로 인해 Base Salary자체는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그러나 사이닝 보너스 및 성과급의 차이로 인하여 동연차대비 미국/홍콩 등에 비해 급여차이가 심하다. 2018년 현재
아시아태평양 본부가 있는 홍콩의 경우 JP모건,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씨티그룹 등 BB IB는 신입 애널리스트 초년도 년봉이 2024년 기준 약 HKD $1,000,000 조금 상회하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계 증권사 한국지사 연봉은 1인당 평균 1-2억 정도에 해당한다. (신입사원~사장 까지 통계낸 '평균' 수치이기 때문에 누구나 입사하면 1-2억을 받는다는 결론은 삼가야 한다.) 2007년 초봉 신문기사에는 프론트 오피스에서 2007년 당시 세전 6000~1억 정도였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대졸 6000~7000, MBA 졸이 1억 근처에 해당했다.
6. 세계의 유명 투자은행
6.1. 대형 투자은행
아래 8개 투자은행이 Bulge Bracket으로 분류된다.Bulge Bracket 분류
Top Tier
Lower Tier
- BofA 시큐리티스 (BofA Securities)[35]
- 씨티그룹 (Citi Group)
- 바클리스
- UBS
Questionable
BB를 제외한 2nd tier 대형 투자은행은 아래와 같다. 수익 순위 비용 순위
<rowcolor=#FFF> 이름 | 국적 |
제프리스 그룹 (Jefferies Group)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RBC 캐피탈 마켓 (RBC Capital Markets)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
BNP 파리바 (BNP Paribas)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미즈호 (Mizuho)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노무라 증권 (Nomura)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미쓰비시 UFJ 은행 (Mitsubishi UFJ Financial Group)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HSBC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웰스 파고 시큐리티스 (Wells Fargo Securities)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소시에테 제네랄 (Société Générale)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BMO 캐피털 마켓 (BMO Capital Markets)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
로스차일드 (Rothschild & Co)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맥쿼리 그룹 (Macquarie Group)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
6.1.1. Bulge Bracket
자본 규모가 세계구급인 투자은행들은 Bulge Bracket이라고 부른다. 부티크 회사들이 인수합병 및 자본구조조정 등 자문에 집중하는 반면, 아래 은행들은 글래스-스티걸법 폐지로 인하여 대부분의 경우 상업은행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크고 아름다운 자산(asset)을 바탕으로 기업공개, 주식/회사채 발행 등 자금 조달에도 강하다.골드만삭스가 각종 노하우 분야에서 앞서긴 해도 다른 벌지 브래킷 역시 각자의 분야에서 강세를 많이 띈다. 골드만삭스는 주로 애널리스트 분야, 리스크 관리, IB 업무에서 강세인 반면, 도이체방크는 자기자본투자에서 강세이며, 모건 스탠리는 일본 미쓰비시UFJ은행에 매각된 이후 보험사업 분야에서 강세다. UBS는 상품거래에서 강세를 띈다. 따라서 여기 9곳의 회사는 실질 경쟁력에서 그리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벌지 브래킷 투자은행 | ||
골드만삭스 (GS) | 도이체방크 (DB) | 모건 스탠리 (MS) |
바클리스 캐피털 (BarCap) | 뱅크 오브 아메리카 (BAML) | 씨티그룹 (Citi) |
UBS ( 크레디트스위스 포함) |
JP 모건 (JPM) |
2nd Tier 투자은행 | ||
BNP 파리바 (프랑스) | 웰스파고 (미국) | 노무라 증권 (일본) |
RBC (캐나다) | HSBC (영국) |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 (일본) |
Bulge Bracket 다음가는 세계구급 Full Service Investment Bank를 2-tier로 분류하는데 아래와 같다. #
1. RBC Capital Market(캐나다)[36]
2. 웰스파고 Securities(미국)[37]
3. HSBC(영국)
4. Jefferies Group(미국)
5. BNP 파리바(프랑스)
6. 미즈호은행(일본)
7. Lazard(미국)
8. 노무라 증권(일본)
9. Evercore Partners(미국)
10. BMO Capital Market(캐나다)[38]
11. 미쓰비시 UFJ 은행(일본)
북미(미국/캐나다)와 우리나라는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을 법적으로 분리시켜 놓았으나 일본, 프랑스 등 국가의 경우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을 별도로 법인을 분리할 필요가 없는 관계로 상업은행으로 유명한 법인들의 투자은행 부문이 2-tier에 포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6.2. 미국계 Boutique
한국에서는 Boutique 회사를 구멍가게 정도로 취급하는 분위기가 있고 심지어 벌지브래킷 은행의 IBD 한국오피스 출신 뱅커들조차 전혀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미국 현지에서는 섹터나 지역에 따라서는 에버코어, 라자드, 센터뷰 등의 부티크가 다른 투자은행보다 우위를 차지하는 경우도 있다.실제로 탑부티크에서의 Base Salary가 높고, 뽑는 방식도 셀렉티브하며, 벌지브래킷 출신 뱅커들의 약력을 보면 벌지브래킷에서 부티크로 이직한 사람은 있어도 반대 경우는 잘 없다. 어쏘 및 애널은 딜플로우, 보수, 명성이 뛰어난 곳으로 자연스레 가는데 특히 어쏘를 다는 경우에 부띡은 보수에서 꽤 차이가 많이나게 된다. 벌지브래킷은 보통 보수의 상당부분이 현금이 아닌 스톡옵션으로 나가는데 베스팅 기간까지 고려하면 현금이 통장에 별로 안 박히기 때문이다.
북미에서는 예전에는 어쏘 이상 급이면 모를까 애널리스트 급에서는 규모가 있는 곳에서 시작하고 내부에서 승진을 하든지 이직을 해서 연봉을 높이든지 하는 것이 보편적이었으나 최근 탑20 대학의 리크루팅을 살펴보면 탑부틱의 선호도가 벌지브래킷 은행 중 유럽계 은행 (CS, UBS, DB 등) 보다는 높게 나오기도 한다. 최근들어 이직보다는 회사나 입사자나 모두 A to A를 선호하는 경향이 생겼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최선호는 아무래도 미국계 은행.
- 에버코어 Evercore Partners
- PJT 파트너스 PJT Partners
- 센터뷰 파트너스 Centerview Partners
- 라자드 Lazard
- 훌리핸 로키 Houlihan Lokey
- 제프리스 Jefferies
- 파렐라 와인버그 파트너스 Perella Weinberg Partners
- 윌리엄블레어 William Blair & Company
- 구겐하임 파트너스 Guggenheim Partners
- 모엘리스 Moelis & Company
- 그린힐 Greenhill & Company
- 파이퍼 제프리 Piper Jaffray Companies
- 스티펠 Stifel
유럽에도 영국, 프랑스 등 국가에 굴지의 Boutique가 자리하고 있지만, 국내 현실상 국내의 웬만한 증권사도 압살하는 규모를 지닌 미국계 Boutique에 대한 인지도도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하물며 유럽계 Boutique는...이하 생략.
6.3. 한국의 대형 투자은행
2Q24기준 자기자본 순위는 다음과 같다
국내 초대형 IB(자기자본 4조원 이상)는 2022년 5월 기준 총 8곳으로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이 있다. 다만, 자기자본 4조원을 넘었을 때 가장 큰 혜택인 발행어음 사업 인가는 이 중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미래에셋증권 총 네 곳만 득했다.
각 증권사마다 강점을 보이는 세부 분야는 모두 다른데 예를들어 IPO의 경우 한국투자증권이, DCM은 KB증권이, M&A의 경우 삼성증권 순이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스위스, 호주, 일본, 홍콩, 싱가포르와 같은 금융 선진국에 비해 IB가 늦게 시작된 케이스지만 빠르게 따라잡으면서, 현재로는 외국계에 크게 뒤지지 않는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최근에 증권사 IB 사업이 호황을 겪으면서 대대적으로 인원을 충원하는 등 한층 더 사이즈를 키우고 있다.
- IPO: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대신증권이 강세다. 대체적으로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 NH투자증권, 삼성증권 > KB증권 > 대신증권 순으로 본다. 한편 최근 미래에셋증권는 IPO 문제에 있어서 좋은 평을 못 받는다.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IPO 건수는 많지만 자사의 광대한 영업망을 발판으로 해서 IPO 대상 기업의 가치를 무리하게 높게 책정하고, 공모가를 높여 받는다. 기업 입장에서는 좋지만 공모주 투자 이후 실제 상장하고 나면 공모가를 높인 기업들은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떨어지므로 주주들한테 평판이 나빠지는 것.
- M&A/ 인수금융: 한국의 M&A 시장에선 외국계 투자은행이 소수의 대규모 M&A 건을 처리해 가장 큰 손이고, 그 뒤를 이어 증권회사보단 삼일, 삼정, 안진, 한영 등의 회계법인 내 딜링부서, 중소벤처기업전문은 브릿지코드에서 국내 증권사보다 훨씬 많은 일감을 따가는 편이다. 증권회사에선 삼성증권이 유일하게 외국계와 견주는 자문실력을 가지고 있고 최근 미래에셋증권, KB증권, 신한투자증권이 리그테이블에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인수금융/PE는 NH투자증권이 전통의 강자이고 KB증권, 신한투자증권 등 은행계 증권사들이 뒤를 따르는 중이다.
-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형사~소형사까지 가리지 않고 실력있는 본부/팀이 많지만 회사 단위로 봤을 때 국내 부동산은 한국투자증권, 메리츠증권, 해외 부동산은 미래에셋증권이 가장 유명하며, NH투자증권이 국내외 각각의 시장에서는 상기 최상위권 회사들에 밀리나 골고루 뛰어난 실적을 거두고 있다. 특별자산(SOC/인프라/에너지) 관련 PF는 국내는 단연 산업은행 위주였으나 최근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이 은행, 운용 등 지주 네트워크를 통해 힘을 발휘하고 있고, 해외는 NH투자증권과 하나증권이 유명하다.[40]
다만 해외에서도 이름을 날리고 있는 한국계 사모 펀드 회사들과 달리 한국의 증권사들은 아직 미국, 유럽, 홍콩 등 해외에서 안 먹힌다.(...) 허나 최근 사이에 국내 증권사들이 급격한 성장세를 맞아 규모를 어마어마한 속도로 확장하며 나름 명함을 내밀정도는 되었으나, 이들 금융 선진국에 비해서 한국의 증권사들은 많이 부족한 수준. 즉 타국 기업이 미국증시 IPO를 위해 굳이 한국 증권사를 찾아서 선택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골드만삭스나 JP모건 체이스는 한국증시 상장을 위해 한국기업이든 중국기업이든 컨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국 증권사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이나 최근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IB를 중심으로 아시아권 IPO Deal이나 유럽 오피스 매각자문에 공동주간사로 참여하는 등 해외 주간 실적도 서서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
6.4.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투자은행
- 리만 브라더스 Lehman Brothers: 크고 아름답게 파산한 후 북미 사업부분을 영국의 바클레이즈에, 나머지 부분을 일본의 노무라 증권에 분할매각하였다. 노무라 증권은 이 과정에서 리먼이 가지고 있던 각종 내부 금융정보들을 수년간 일본어로 번역하는 사업을 진행(그래서 노무라증권 밑에 번역회사가 따로 설립됐다), 투자 노하우를 쌓게 된다. 그러나 뉴욕타임즈 등에서 지적했듯이 인수 노력에 대비해서 League Table 상에서 주목할만한 성과는 없었다는 비판도 있다.
- 베어 스턴스 Bear Stearns: 2008년 파산 직전 JP 모건에 매각됨.
- 살로만 브라더스 Salomon Brothers: 1998년 씨티그룹에 매각됨. 이후 Salomon, Smith & Barney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모건 스탠리에 재매각.
7. 미디어에서의 취급
현실과는 다르게(?) 대부분의 미디어에서는 일에 파묻혀 사는 워커홀릭 + 젊은 나이에 돈과 향락에 파뭍혀 사는 탕아적인 측면 + 소시오패스적인 면이 강조되어서 나오는 편이다. 비슷한 케이스로 비교할 수 있는 변호사의 경우는 자신의 과오를 깨닫고 정의의 투사로 각성한다는 클리셰라도 있지만, 여기는 이런 것도 없다... 그나마 최근에는 헤지펀드 쪽이 더 주목을 받는 듯.7.1. 관련 작품
- 갬블[41]
- 더 울프 오브 월스트리트
- 마진콜
- 보일러 룸
- 빅 쇼트[42]
- 아메리칸 사이코[43]
- 어느 멋진 순간[44]
- 에쿼티[45]
- 월 스트리트
- 인사이드 잡
- 작전(영화)[46]
- 코스모폴리스
- 돈(영화)
- 블랙머니(영화)
- 빌리언스[47]
8. 기타
금융권 분야는 90% 이상, 컨설팅은 60% 이상을 학사 인력으로 채우고 대학원 학위는 직무 연관성이나 쓸모 자체가 없다.일반인들에게는 투자은행이라는 개념이 익숙하지 않다.그래서 투자은행이라는 이름을 보고 IBD에서 일한다는 사람에게 주식투자의 전망에 대해 물어보거나, 투자은행이라는 이름을 보고 상업은행처럼 적금과 보험에 대해 질문하기도 한다. 그래서 트레이더를 하는 사람들은 그냥 '주식한다' 말하고 그 이상의 오해에 대해서는 묵살하기도 한다.
9. 관련 용어
[1]
주로 발행사로 표현되며 주식시장에 상장되어있는 일반 회사들을 생각하면 된다
[2]
이 경우 고객은 투자자, Buy-Side에 있는
자산운용사의
펀드매니저,
투자자문사등이 대부분이다.
[3]
금융권에서 서로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부서간에 장벽을 친다고 해서 쓰는 말. 이말의 어원은 바로
만리장성이다.
[4]
M&A가 체결되었냐, 상장이 되었냐,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했냐
[5]
JP 모건에서 중국 금수저 채용전형으로 100여명을 뽑았고 1억 달러 이상의 이득을 봤다. 한 JP 모건의 고위급 투자은행가는 ‘채용 소개서vs수익’이라는 차트를 만들어 채용한 중국 고위급 자녀 채용에 따르는 보상 금액 흐름을 분석하기도 했다.
[6]
예를 들어, 대차대조표가 맞지 않다면 어디서 잘못되었는지 찾아낼 때까지 봐야 한다.
[7]
골드만삭스는 딜 소싱 부분이 아니라 documentation 이나 CM 부분에 해당, BofA메릴린치는 잠재적 고객사들의 파이낸싱 사이클을
기계학습으로 분석해 딜소싱에 참고하는 방식
[8]
본래 2년짜리 계약직인 사원급 investment banking analyst에서 대리급 정규직인 investment banking associate으로 MBA 없이 승진하는 경우를 뜻한다. MBA 학위 소지자의 경우 바로 investment banking associate으로 입사한다.
[9]
여기서 고객은 법인고객, 대부분은
자산운용사의
펀드매니저를 의미한다.
[10]
국가별로 다름
[11]
해당 저자는 베어스턴스, JP 모건 등에서 채권 트레이더 경험자라고 한다.
[12]
켄쇼 도입으로 인해 수요가 줄었다는 말은 잘못 전해진 말이다 실제 월가에서 트레이더로 일했던 유튜버
월가아재에 의하면 켄쇼의 경우 리서치 관련 스타트업이며 트레이더가 해고된 것과 켄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라고 한다 월가 현역 강의 기본편 I: 금융 시장의 참여자들 1편
https://www.youtube.com/watch?v=shkJe9MrejQ&t=594s 참고 바람
[13]
Bulge Bracket은 IBD 와 Sales & Trading 한정, Boutique 은행들은 보통 M&A Advisory 업무만 담당
[14]
사실 회사 입장에서는 주니어 뱅커 한 명 뽑는 비용 및 교육시키는 데 드는 비용을 생각하면 큰 돈이 아니다. 이미 괜찮은 신입으로 판단했다면 절대로 다른 회사에 뺏기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15]
Private Equity,
Hedge Fund,
Family Office 혹은
Investment Management.
[16]
Analyst 출신 Associate.
[17]
15위가 커트라인인 건 아니지만, 그 밑으로는 특이한 경력이 없으면 서류전형에서 커트당한다.
[18]
(= 아이비 리그)
[19]
2022년 8월 사임했다. 사임 이유는 칼라일 창립자들과의 트러블.
[20]
참고로 Custom Computer Programming Services로 청원한 사람 108,332명
[21]
투자은행은 아니지만 심지어 세계적인 사모 펀드인 칼라일의 전 CEO와 KKR의 현직 CEO는 한국인, 블랙스톤의 CFO 또한 한국인이다.
[22]
즉, 2년치 채용인원을 합친 것
[23]
Recruiting Team
[24]
보너스 지급 시즌과 관련, 1분기 후반에 많이 올라온다.
[25]
명문대가 아니면 인터뷰 기회가 없는 회사가 많다.
[26]
Sales and Trading 부문 중 브로커에 해당한다.
[27]
미국 본사를 주 60-80시간으로 잡았을 때
[28]
이것도 대부분은 미국본사를 취직하거나 홍콩지사/싱가폴지사에 취직하고 한국사무소에 가려는 인력들은 극소수
[29]
이 때문에 토종 인턴이 외국대 출신 인턴이 쓴 보고서를 교정하는 경우도 있다. 똥군기 때문이거나 토종 인턴이 영어를 더 잘해서 생기는 현상이 아니라, 비즈니스 글쓰기에 더 능숙하다는 뜻이다.
[30]
2006년 당시 스기모토 히로유키는 골드만삭스의 Managing director였던 타치바나 요조의 접대를 받았다. 즐거운 술자리를 만들어주고 업계 사람들도 주선해주는 것이 그 내용이었다. 그러다 골프도 치고 동반여행을 가는 등 서로 친한 사이가 되었다. 스기모토가 도산한 뒤에도 타치바나의 진심어린 격려로 인해 기사회생할 수 있었다고 한다. (출처: 미쳐야 사업이다, 스기모토 히로유키 저)
[31]
모건 스탠리에서 2004년 'D'사 M&A을 주선할 때 30여명이 투입되었는데, 그 중 10여명이 홍콩 지사 파견인력이었다.
[32]
국내 금융시장 악화 4년전인 2013년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골드만삭스 서울지사 평균 연봉 3억4천만원.
서울지사 2017년 현재는 한국 금융시장 수익성 악화로
서울지사 2명이 설문조사한 결과를 평균내면 2억원
[33]
그리고 미국 본사 연봉 평균은
2009년 9억원,
2013년 "보너스만"(연봉 제외) 4억5천만원. 전체 연봉은 훨씬 웃돈다는 말.
[34]
JPMorgan이 Chase 은행을 합병하면서 투자은행 및
상업은행 업무를 같이 하고 있음
[35]
2019년 이전의 이름은 Bank of America Merrill Lynch.
미국 2위 규모의 투자은행이었으나
2008년
대침체 이후
뱅크 오브 아메리카에 인수됨
[36]
캐나다 왕립 은행의 투자은행 법인
[37]
웰스파고의 투자은행 법인
[38]
몬트리올 은행의 투자은행 법인
[39]
SK그룹 소속이던 시절부터 SK 계열사 채권 발행 물량을 소화하며 리그테이블 상위권에 위치했다
[40]
특히 해외 인프라의 경우 최근 해외 투자 건들이 다수 부실화, 미매각되면서 대형 증권사들도 대부분 해외 인프라 투자본부를 해체하는 수준에 이르렀는데 이 두 회사만 여전히 예년 수준의 인력과 자금을 운영하고 있다.
[41]
엄밀히 말하자면
닉 리슨이 파산시킨
베어링스 은행은 상업은행이다. 하지만
영국에서는
투자은행과
상업은행의 경계가 모호하며
닉 리슨이 하던 업무는 투자은행에서의 PI 업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42]
이외에도
마이클 루이스가 쓴 책의 상당수가 월스트리트와 투자은행을 다루고 있다. 일단 본인부터가 투자은행 출신.
[43]
주인공의 직업이 월스트리트 부티크의 M&A Specialist이다. 그러나 영화의 주제 특성상 제대로 일을 하는 장면은 하나도 안 나온다.
[44]
주인공의 직업이 영국 투자은행 업계 직원. 초반에 영국의 여의도라고 할 수 있는 시티 오브 런던의 모습이 나온다. 오이 모양으로 생긴 런던 밀레니엄타워에 대한 정보는
노먼 포스터 항목 참조
[45]
다른 영화들과 달리 증권사 여직원에 대해 다루지만 망작이라는 평가
[46]
박용하가 생전 마지막으로 찍은 영화
[47]
헤지펀드 관련 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