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상급대장, 대장, 중장, 소장은 각각 미군의 대장, 중장, 소장, 준장에 상응. ※ 윗 첨자 † : 전사 ※ 윗 첨자 ok : 총사령관(Oberkommandierender) ※ 윗 첨자 s : 총사령관 대리(Stellvertreter) ※ 윗 첨자 c : 참모총장(Chef des Generalstabes) ※ 윗 첨자 m : 전쟁성 장관(Kriegsminister)
키르히바흐는
헝가리 죈죄시(Gyöngyös)에서
오스트리아 제국군
중장 페르디난트 폰 키르히바흐(Ferdinand von Kirchbach)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작센 출신 귀족 가문인 키르히바흐 가문은 여러 독일 군대에서 장군들을 배출했으며, 동생 요한 페르디난트(Johan Ferdinand von Kirchbach)와 함께 가문의 전통을 이어 군인의 길을 걸었다. 11세의 나이에
장크트푈텐의 사관학교에 입학했고, 이후
아이젠슈타트로 옮겨 수학했다.
테레지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1875년 9월 1일 제5용기병연대
소위로 임관했다. 1880년
중위로 진급했으며, 1881년부터 1884년까지
황립 및 왕립 전쟁대학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수학했다. 1885년 참모부에 배속되어 1890년까지 복무했다. 키르히바흐는 1891년 제9용기병연대로 전보되었고, 1893년
소령으로 진급하여 제15군단 참모장을 지냈다. 1895년부터 1897년까지는
스타니슬라우의 기병사단 참모장을 역임했다. 1896년
중령으로 진급했으며, 1897년부터 1899년까지 제1용기병연대에서 복무했다. 1899년 4월 제3군단 참모장이 되었고, 같은 해 5월
대령으로 진급했다. 1901년 제5용기병연대장이 되었고, 1904년에는 제12기병여단장이 되었다. 1905년
소장으로 진급했으며, 1907년부터 1909년까지
빈의 제10기병여단장을 지냈다. 1909년
테메시바르의 제1기병사단장이 되었고, 1910년
중장으로 진급했고, 그는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의 측근 중 한명이 되었다. 1911년 3월 오스트리아 영방 기병감독관이라는 새로운 직책에 임명되었다. 1914년 5월
기병대장으로 진급했다.
키르히바흐는 제1군단을 지휘하며
크라쿠프의 사령관을 맡았다.
러시아 제국 국경에서의 수송부대 보호와 제1군 좌익에서의 공세 개시라는 첫 임무를 수행했다. 8월 전투에서 타네프 북쪽의 그의 제1군단은 크라시니크 전투의 승리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1916년 5월 그의 군단은 남티롤 전선으로 이동하여 제3군 소속으로
남티롤 공세에 참가했다. 그러나
이탈리아군의 수적 우세와 오스트리아-헝가리군 포병의 약한 지원으로 인해 공세는 실패로 끝났다. 이후
동부전선으로 복귀하여 1916년 9월 8일 제7군 사령관이 되었다.
브루실로프 공세 당시
카르파티아 능선에서 성공적인 방어작전을 수행했다. 10월 20일에는
쾨베시 장군과 지휘권을 교체하여 제3군 사령관이 되었고, 11월 1일
제국상급대장으로 진급했다. 1917년 3월 5일 제4군 사령관이 되었으나 건강악화로 보직을 내려놓아야 했다. 같은 해 10월 현역에 복귀했으나 여전히 건강이 좋지 않았다. 12월 8일 백작 작위를 받았다. 1918년 초
오데사에 본부를 둔 헤르손 주 오스트리아-헝가리군 사령관이 되어 이 지역의 평화 유지와 농산물 확보를 담당했다. 그러나 4월 초 건강 문제로 다시 현역에서 물러났다. 몇 달간의 요양 후 전선 복귀를 자청하여 1918년 9월 24일 황제
카를 1세에 의해 서부전선 오스트리아-헝가리군 감독관으로 임명되었다. 종전 된 후에는
오스트리아에 머물며 건강을 완전히 회복했다. 1939년 5월 20일
샤른슈타인에서 83세로 사망했다.
키르히바흐는
프란츠 페르디난트와
콘라트 주변의 젊고 진보적인 장군 그룹에 속했다. 기병감독관으로서 영방 기병대의 교육과 훈련 수준을 정규군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힘썼다. 동부전선에서 크라시니크 전투의 승리와 카르파티아에서의 성공적인 방어작전 등 여러 중요한 전투에서 뛰어난 지휘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917-18년의 건강 문제로 인해 전쟁 후반기에는 제한된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키르히바흐'으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