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08:57:56

정자(한자)/각국의 표준자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정자(한자)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 일본어 훈독의 한자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한자문화권의 문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현재 사용되는 문자 사라진 문자
대한민국 한글 구결 · 옛한글
한자 정자(정체자, 번체자)
약자(대한민국)
주음부호(대만) · 한어병음(대륙) · 통용병음(대만) · 대라병음(대만) · 객가어병음(대만)
월어병음(홍콩, 마카오)
한글 전 한국어 표기
대만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예일식 관화 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예일식 광동어 병음
홍콩 · 마카오
중국 대륙 간체자 · 한어병음 · 몽골 문자( 내몽골) · 고장자( 광시) · 신장자( 광시) · 티베트 문자( 티베트) · 위구르 문자( 위구르) · 동파 문자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싱가포르 간체자 · 번체자 · 한어병음 502 간체자
일본 신자체 만요가나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헨타이가나
베트남 쯔꾸옥응으 쯔놈 }}}}}}}}}

1. 개요2. 한국의 정자(正字)
2.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2.2. 대법원 선정 인명용 한자
3. 대만의 정체자4. 홍콩의 정체자
4.1. 2007년 개정4.2. 대만 자형과의 차이
5. 일본6. 정체자 글꼴
6.1. Windows 글꼴6.2. 안드로이드 글꼴6.3. iOS 글꼴
7. 기타8. 외부 링크

1. 개요

  • 지역별로 전통적인 형태의 한자 자형(字形)은 미묘하게 다른 경우가 많다. 한자얼마나 오래된 문자인지를 생각해 보면, 근대까지 나라마다 한자 자형에 큰 차이가 없었다는 건 그야말로 기적에 가까운 수준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 한국과 대만, 홍콩은 모두 전통적인 형태의 한자를 쓰므로 전체적으로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PC에서 확대해 보면 모를까, 워낙 획이 많아서 (특히 자필 문서의 경우) 비슷해 보이지만 관습적인 차이가 있다.
  • 홍콩 등에서 쓰이는 광동어 백화문을 표기할 때 독자적인 한자( 방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mat1, 어떤), (tam5, 도랑), (mou5, 없다), (ge2, ~의), 𡃁(leng1, 어리다), 𨋢(lip1, 승강기)등… 홍콩은 한동안 대만의 정체 문자 코드인 Big5를 갖다 썼는데, 이런 독자 한자 중 상당수는 Big5에 없어서 전산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런 경우 '㗎' 대신 'o架'처럼 口 부수를 비슷하게 생긴 o로 대체해서 표기하는 꼼수를 썼다. 유니코드에 홍콩식 광동어 백화문 전용 한자가 다 들어간 건 2009년이 다 되어서였다.
  • 유니코드의 이체자(異體字) 기준은 굉장히 미묘해서, 거의 똑같이 생긴 글자를 다른 코드에 할당하거나, 똑같은 차이인데도 어떤 경우에는 통합했고 어떤 경우에는 분리했으며 분명 다른 티가 나는 글자를 같은 코드에 통합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곤 하는데 이런 게 생각보다 많다. 분명히 똑같은 차이인데 어떤 경우에는 통합돼 있고(情) 어떤 경우에는 분리돼 있다(淸/清). 그래서 뭐가 통합돼 있고 뭐가 분리돼 있는지 일일이 외울 자신이 없다면 그냥 해당 언어 입력기로 치는 게 속 편하다. 다른 티가 나는 글자를 같은 코드에 통합한 경우, 글꼴을 제작한 국가에 따라 같은 글자가 다르게 렌더링된다.
  • 한국 국가기술표준원은 완성형 표준을 제정할 때 한국어 독음이 여러 개인 일부 한자를 그 독음 수만큼 중복 배당했다. 예를 들어 분명 똑같이 생긴 見(견, U+898B)와 見(현, U+FA0A)을 컴퓨터는 다른 글자로 인식한다. 자세한 내용은 완성형/중복 한자 문서에 있다.
  • 영어권 위키낱말사전에서는 중화권 정체자를 기준으로 자원을 설명하고 있다.

2. 한국의 정자(正字)

우리나라에서 정자(正字)라고 하면 통상 강희자전의 자형을 기준으로 여깁니다. … 그러나 우리나라는 대만, 일본, 중국처럼 국가 차원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언론, 출판, 폰트 제작사 등 민간에서 이미 관행적으로 정자처럼 통용되고 있는 속자들을 배척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역시 “강희자전의 자형을 기본으로 하고 현재 널리 통용되는 자형을 고려하되,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는 한국에서 통용되는 한자를 기본으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10467)
  • 한국에서 한자를 교육할 때 기본적으로 정자를 바탕으로 한다. 1972년 제정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가 그것이며, 흔히 '상용한자'라고 한다. 2000년에 44자를 교체했다. 그러나 대만, 홍콩 등과는 달리 국가에서 제정한 표준 자형은 없다. 한국에는 국가에서 지정한 표준 한자 자형이 없으므로, 한국의 한자 자형이 어떠하다고 설명하는 것은 일종의 독자연구 내지는 집단연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1]
    • 한국에서도 어떤 한자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이 쓰이고 덜 쓰이는 자형이 있기는 하다. 예를 들어 현재 한국의 인쇄체에서 (할 위) 자는 와 같은 이체자가 있지만, 외국 자료이거나 고문서를 그대로 옮겨 쓴 자료가 아닌 이상 為(일본, 대만의 표준 자형)라는 자형을 쓰는 일이 거의 0에 가깝다. (풍년 풍) 자의 경우, 원래 이 글자는 '예도 례' 자이고 豐의 속자에 해당하지만, 원형을 살려 豐이라고 쓰는 경우 역시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형이 미묘하게 다른 글자들, 예를 들면 유니코드 상에서 자형이 통합되어 있는 글자들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합의가 없기 때문에, 폰트에 따라 다양한 자체가 나올 수 있다. 실제로 한문 교재 중에는 같은 글자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폰트를 씀에 따라 한자의 자형(대표적으로 부수)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節은 글꼴에 따라 왼쪽 아래가 다르게 출력되기도 하고(적어도 세 가지 모양이 있다), 港은 글꼴에 따라 오른쪽 아래가 巳로 출력되기도 하고 己로 출력되기도 한다. 이게 다 표준 없이 민간의 관행에 의존해 왔기 때문이다.
    • 이것의 해결책으로 유니코드의 "이체자 선택자(IVS; Ideographic Variation Selector)"와 표의문자 이체자 데이터베이스(IVD; Ideographic Variation Database)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자형 하나하나에 엄격한 일본어 위키문헌 같은 곳에서 그 사용례를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IVS(U+E0100~)를 원형이 되는 문자 뒤에 덧붙이면 그 자형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다만 지원하는 폰트와 프로그램이 상당히 적다.
  • 한자능력검정시험 기관으로 저명성이 높은 한국어문회 강희자전이 정자와 가깝다며 질의응답을 해 준다. 다만, 교육용 한자와 일부 차이점을 보이며, 오히려 속자를 우선순위에 놓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바로 하위 문단 참조. 더불어 한국의 정자는 필기에서 자주 쓰이는 모양으로 표준화되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신자체나 간화자는 물론이고 다른 나라의 정체자에 비해서도 필기하기 불편하다.

2.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그나마 가장 공신력 있다고 볼 수 있는 자형을 찾아볼 수 있는데, 교과서 등지에서 사용되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에 따르면 " 강희자전의 자형을 기본으로 하고 현재 널리 통용되는 자형을 고려하되,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는 한국에서 통용되는 한자를 기본으로 한다."라고 규정하였고, 표에서 해당 한자를 나열하여 자형을 표시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목록의 자형과 기타 자형을 몇 가지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rowcolor=#fff>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한국어문회 완성형 한국어
훈음
강할 강
풍년 풍
서늘할 량
손윗누이 자
봉우리 봉
끊을 절
숨길 비
이웃 린
낳을 산
巖, 岩 바위 암
嘆, 歎 탄식할 탄
그림 화
놀이 희
토끼 토
栢, 柏 측백 백

2.2. 대법원 선정 인명용 한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자/인명용 한자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만의 정체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자표준자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홍콩의 정체자

대만은 1982년에 常用國字標準字體表(상용국자표준자체표)를, 홍콩은 1985년에 常用字字形表(상용자자형표)를 완성하였다. 표준이 조금씩 다르지만 대만에서 먼저 Big5 코드와 대만 표준 글꼴을 만드는데 성공하여 홍콩에서도 대만에서 쓰는 자형이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래도 대만과 홍콩 자형의 차이를 열거하자면 다음과 같다. 중국어 위키백과의 설명을 참조했다.
  • 夢, 權, 觀, 舊 등 일부 글자의 윗부분 초두머리를 ⺾이 아닌 卝으로 쓴다. 이 글자들은 역사적으로 ⺾과 관련이 없다. 전서에서는 구별이 되었는데 예서로 넘어오면서 유사한 모양으로 수렴하게 된 것이다.
  • 告(알릴 고), 周(두루 주), 害(해칠 해)의 경우, 대만에서는 세로획이 口에 닿지 않지만, 홍콩에서는 닿는다(告의 경우 吿와 같이). 憲(법 헌)의 세로획 또한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 隙(틈 극)의 경우, 대만에서는 오른쪽을 小白小의 형태로 쓰거나 이 자형이 와전되어 少日小로 쓰는 자형도 보이지만, 𨻶(U+28EF6) 홍콩에서는 小日小의 형태로 쓴다.
  • 虜(사로잡을 로)의 경우, 대만에서는 중간을 毌으로 쓰지만, 홍콩에서는 田으로 써서, 虍 아래 男으로 쓴다.
  • 反(돌이킬 반)의 경우, 대만에서는 첫 획을 가로획으로 처리하여 厂부터 쓰지만, 홍콩에서는 첫 획을 약간 삐친다.
  • 寺(절 사)의 경우, 대만에서는 위쪽을 士로 쓰지만, 홍콩에서는 土로 쓴다.
  • 少(적을 소)의 경우, 대만에서는 가운데 세로획을 丨(뚫을 곤)으로 쓰지만, 홍콩에서는 한국에서처럼 가운데를 亅(갈고리 궐)로 쓴다. 다만 步(걸을 보), 賓(손 빈)은 少와 관련이 없으므로, 대만과 홍콩 모두 세로획을 丨으로 쓴다.
  • 夊(천천히 걸을 쇠)와 夂(뒤져올 치)의 구분을 하지 않고, 위치가 어디에 있든 夂로 쓴다.
  • 叟(늙은이 수)의 경우, 대만에서는 臼의 아래획을 끊고 세로획이 又에 닿지만, 홍콩에서는 臼의 아래획을 끊지 않고, 세로획이 又에 닿지 않는다.
  • 肅(엄숙할 숙)의 경우, 대만에서는 肀와 𣶒의 형태로 쓰지만, 홍콩에서는 가운데에 一이 하나 더 들어가 𦘒과 𣶒의 형태로 쓴다.
  • 於(어조사 어)의 경우, 대만에서는 오른쪽 위를 人으로 쓰지만, 홍콩에서는 於를 꼭 旗(기 기)에서 其(그 기)를 뺀 것처럼 쓰고 두 점을 찍는다. 다른 나라에서 쓰는 글자와 가장 괴리가 심한 글자로, 후술할 홍콩 표준자체 글꼴 참조. 애당초 於는 旋, 族, 旗 등의 㫃(깃발 나부낄 언)과 관련도 없는데 왜 홍콩 자형이 저런지는 알 수 없다.
  • 亦(또 역), 赤(붉을 적)의 경우, 홍콩에서는 왼쪽 삐침을 세로획으로 쓴다.
  • [2]와 邊(가 변) 등의 경우, 홍콩에서는 儿의 오른쪽을 점으로 처리한다. 다만, 陸(뭍 륙), 睦(화목할 목)처럼 오른쪽에 붙는 경우에는 그러지 아니한다.
  • 冗(쓸데없을 용)의 경우, 대만에서는 아래를 儿으로 쓰지만, 홍콩에서는 几로 쓴다. 沉(가라앉을 침)도 그러하다.
  • 肉(고기 육)의 변형 부수 月의 경우 대만에서는 안쪽 부분을 冫으로 쓰지만, 홍콩에서는 왼쪽에 있지 않으면 月의 첫획을 세로획으로 쓴다.
  • 茲(무성할 자, 이 자)의 경우, 대만에서는 단독으로 쓰는 경우를 제외하고 兹로 처리하지만, 홍콩에서는 모든 경우에 茲로 쓴다. 艹 아래에 幺 두 개 있는 형태로, 玄이 두 개 있는 玆(검을 자)와는 다르다. 단, 孶(부지런할 자)와 孳(무성할 자)의 코드가 분리되어 있어서, 원칙대로라면 둘 다 孶로 적어야 하지만, '무성할 자'의 경우에는 兹로 적는 孳로 가르치고 있다.
  • 電(번개 전)의 경우, 대만에서는 아래의 电이 위를 꿰뚫지 않지만, 홍콩에서는 위를 꿰뚫어 쓴다.
  • 次(버금 차)의 경우, 대만에서는 왼쪽 부분을 二로, 홍콩에서는 왼쪽 부분을 冫으로 쓴다.
  • 充(채울 충), 育(기를 육), 流(흐를 류), 棄(버릴 기) 등의 경우, 대만에서는 𠫓(ㄊ)를 3획으로 쓰나, 홍콩에서는 4획으로 쓴다.
  • 榻(걸상 탑)의 경우, 대만에서는 오른쪽 위를 冃로 쓰지만, 홍콩에서는 曰로 쓴다.
  • 畢(마칠 필)의 경우, 대만에서는 田 아래의 가운데 획을 떨어뜨리지 않으나, 홍콩에서는 十十으로 떨어뜨려서 쓴다. 華(빛날 화)의 경우는 위의 艹(초두)와 가운데의 艹을 모두 十十으로 떨어뜨려서 쓴다.

4.1. 2007년 개정

  • 홍콩 교육서의 상용자자형표는 2007년 개정을 한 뒤, 홍콩 초등학교 학습 글자 및 단어표에 반영하여 홍콩 초등학생들에게 교육하게 하였다. 후술할 컴퓨터 자형의 표준은 자주 바뀌었기 때문에 '홍콩 초등학교 학습 글자 및 단어표'가 가장 신뢰할 만하다. 이 때문에 자유 홍콩 자형이라는 홍콩 표준자형을 완벽하게 구현한 글꼴이 나오기에 이른다.
  • 溼(젖을 습), 瘉(병 나을 유), 沈(잠길 침), 襃(칭찬할 포)를 홍콩에서 많이 쓰는 濕, 癒, 沉, 褒로 쓰도록 개정하였다.
  • 讀(읽을 독), 續(이을 속) 등의 경우, 대만에서는 오른쪽 부분을 賣(가운데가 罒)로 쓰지만, 홍콩에서는 오른쪽 부분을 𧶠(가운데가 四)으로 쓴다. 𧶠은 '팔 육'이라는 글자였다. 어차피 똑같이 '팔다'라는 뜻이고, 賣(팔 매)에서 소리를 얻는 글자는 없다. 일본에서도 賣, 讀, 續를 똑같이 売, 読, 続으로 쓰고, 중국에서도 똑같이 卖가 들어간 형태로 간화한다. 2007년 개정판에서 賣로 통합해서 대만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 다만, 후술할 홍콩 표준 자체 글꼴에서는 여전히 𧶠으로 쓴다.
  • 开(幵, 평평할 견), 并(幷, 아우를 병)의 첫 번째 세로획을 홍콩에서는 삐치지 않고 세로획을 유지하는데, 2007년 개정판에서 대만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 丱(쌍상투 관), 亦(또 역), 赤(붉을 적)의 경우에는 그대로 세로획을 유지한다.
  • 竹(대나무 죽)의 오른쪽 세로획을 亅(갈고리 궐)이 아닌 丨(뚫을 곤)으로 처리하여 왼쪽과 오른쪽이 완전히 같도록 하였다.
  • 陷(빠질 함), 焰(불 당길 염)에 쓰이는 臽은 ク처럼 쓰던 것을 2007년 개정판에서 沒(잠길 몰)의 오른쪽 윗부분처럼 쓰도록 하였다.
  • 潛(잠길 잠), 僭(참람할 참)에 쓰이는 兂[3]은 2007년 개정판에서 대만처럼 旡(숨막힐 기)로 쓰도록 하였다. 蠶(누에 잠)은 위에 있어서 자리가 없어서 그런지 초판본부터 旡로 되어있다.

4.2. 대만 자형과의 차이

  • 아래 표는 대만 자형과의 차이를 열거했는데, 유니코드에서 분리된 것만을 소개한다. 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꼭 어느 쪽이 전통을 따른다고 볼 수는 없고, 전통과 현지인들의 쓰는 습관이 조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 그중 兌(바꿀 태)가 들어가는 자형과 告(알릴 고), 戶(지게 호)는 유니코드 문제로 중국어(홍콩)으로 설정을 해도 대만과 똑같이 보인다. 홍콩처럼 吿로 입력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 정체자는 파란 바탕으로 표시.
<rowcolor=#fff> 대만 정체자 홍콩 정체자 한국어 훈음
알릴 고
무리 군
돈대 대
대 대
속 리[4]
밀가루 면
봉우리 봉[5]
평상 상
펼 서
쬘 쇄
시호 시[6]
거짓 안
더러울 오[7]
따뜻할 온
누울 와
지킬 위[8]
단장할 장
투구 주[9]
나타날 저
붙을 착[10]
천거할 천
굴뚝 창
파 총
바꿀 태
집 호

5. 일본

일본은 약자로 바뀌지 않은 한자는 마찬가지로 강희자전 글꼴에 가깝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 신자체와 한국 한자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 부분이 있으며, 强, 凉, 飜으로 쓰는 것처럼 일본 신자체와 일치하지 않는 자형도 좀 있다.

6. 정체자 글꼴

6.1. Windows 글꼴

파일:mingliu_old_and_new.png
  • 대만 정체자의 표준글꼴은 Windows 기본 글꼴에 내장되어 있다. 흑체(黑體, 한글의 고딕체에 해당)로는 微軟正黑體(Microsoft Jhenghei), 송체(宋體, 한글의 명조체에 해당)로는 微軟新細明體(Mingliu), 해체(楷體, 해서체)로는 微軟標楷體(Kaiti)가 있다. 다만 細明體는 Windows XP 때까지만 해도 강희자전 글꼴에 가까운 글꼴이었는데, Windows Vista로 넘어오면서 교육부 표준자형을 채용한 新細明體로 바뀌었다.
  • 중화민국 교육부에서도 정식으로 표준자형 글꼴을 배포하고 있다. 해서체, 송체(명조체에 해당)
  • 홍콩 정부에서도 정식으로 표준자형 글꼴을 배포하고 있다. 송체를 배포하고 있는데, 홍콩 컴퓨터 한자 글꼴 참고 가이드(香港電腦漢字字形參考指引)에 따른 것으로, 홍콩 표준을 완전히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오류가 조금 있다. 해서체는 홍콩 교육부에서 발표한 자형 그대로 나와있다. 흑체는 홍콩의 iOS 9.0 버전부터 기본 글꼴로 설정된다.
    • 贏(남을 영) 등의 왼쪽 아래에 쓰이는 月(달 월)의 안쪽에 두 개의 가로획으로 되어 있는데, 홍콩에서는 왼쪽에 쓰이는 肉(고기 육)에서 온 月은 안쪽을 冫으로 쓴다.
    • 胡(오랑캐 호)의 오른쪽에 쓰이는 月은 왼쪽 획이 삐쳐있는데, 홍콩에서는 오른쪽에 쓰이는 肉에서 온 月은 왼쪽을 삐침이 아닌 세로획으로 쓴다.
    • 括, 刮, 活, 話에서의 舌이 '혀 설'에서의 舌처럼 干과 口로 되어 있는데, 홍콩에서도 括 등은 오른쪽을 千과 口로 쓴다.
    • 그 밖에 隙(틈 극), 毒(독 독), 虜(사로잡을 로), 滋(불을 자), 電(번개 전), 縣(고을 현) 등의 한자는 대만 표준자형을 따르고 있어, 홍콩 표준자형과 맞지 않다.
    • 2017년 5월에 개정판이 나왔는데, 이번에는 '혀 설'에서의 舌마저 千과 口로 쓰고 나섰다. 그래서 Pingfang HK와 Source Han Sans(Noto Sans CJK) HK에서는 舌의 홍콩 자형이 千과 口로 되어있다.

6.2. 안드로이드 글꼴

안드로이드 기기의 경우 제조사에서 제각기 커스터마이징을 마친 뒤에 출하되므로, 기종에 따라 출력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 구버전 AOSP에서 사용되던 DroidSansFallback은 어느 나라의 자형에도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 미묘한 서체였다. 굳이 따지자면 중화인민공화국식 번체에 가깝다.
    • 갤럭시의 경우 초창기부터 자체 폰트를 도입하였으므로, 한국어 로캘에서는 한국식 자형이 출력됐다가 언젠가부터 다시 대륙식으로 돌아갔다. 갤럭시 S8 오레오(8.0) 기준 언어 설정 두 번째를 '繁體中文(台灣)'으로 설정하고 한자를 입력하면 대만 정체자로 표기된다. LG전자의 최근 기종은 한국식 자형을 완벽히 지원한다.
    • (특히 일본어 로캘을 사용하거나, 가나 뒤에 오는 글자인 경우) 일본어 기본 서체인 모토야 마루베리(マルベリ)가 사용될 때도 있다. 둥글둥글한 느낌의 폰트라면 아마 이것일 것이다.
    • 소니나 샤프같은 일본 제조사나, 화웨이 같은 중국 제조사들도 어느 순간 기본 폰트를 변경하기 시작했다.
  • 안드로이드 기종에서 표시되는 한자 글꼴은 중국에서 기술을 들여온 글꼴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정자와 약간 거리가 있는 자형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角(뿔 각)의 아래를 用으로 쓴다든가, 吳(나라이름 오)를 '吴'로 쓰고, 冎(살 발라낼 과)의 안쪽을 ㄱ으로 쓴다.
  • 안드로이드 5.x부터는 AOSP에서 Noto Sans CJK KR을 기본 서체로 쓴다. 삼성이나 LG(안드로이드 6.0 버전부터 기본 한글폰트가 Noto Sans CJK KR로 변경됨) 같은 국내 제조사의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 제조사의 커스텀 서체가 들어간다. 그러나 기기의 언어 설정을 한자문화권의 다른 언어로 맞춰 놓고 사용한다면 일반적으로 그 나라의 자형으로 표시된다. 현재는 삼성 등에서도 업데이트를 하면 더 이상 중국의 자형이 아닌 한국의 자형으로 표시된다.
  • AOSP의 경우, 안드로이드 버전 6.0에서 기본 언어를 중국어 번체로 변경했을 때 표준자형에 대응되는 Source Han Sans(Noto Sans CJK) TC가 적용된다. 한글의 경우 AOSP 5.0부터 이미 Noto Sans CJK가 적용되었으나 일본어와 중국어에서는 6.0에서부터 도입되었다.
파일:android6_chin_trad.jpg
  • 다만 위 사진처럼, 업데이트 이후 기존 폰트와 새로운 자형을 지원하는 폰트가 섞여서 렌더링되는 불상사가 일어나기도 했다.
  • 어느 버전부터는 안드로이드에서도 繁體中文(香港)으로 설정했을 때 홍콩 정체자로 표기된다.

6.3. iOS 글꼴

  • iOS에서의 정체자 글꼴은 기본 언어를 중국어(대만), 중국어(홍콩)으로 변경했을 때 각 국가/지역에서 정한 정체자 자형에 맞는 글꼴이 적용된다. 한국어 상위 설정에서는 애플산돌고딕네오 AppleGothic으로 출력되며, 일본어 상태에서는 히라기노 각 고딕(ヒラギノ角ゴ)으로 출력된다. 우선순위가 상위로 설정된 언어의 기본 폰트에 없는 글자인 경우 바로 하위 언어의 기본 폰트로 Fallback된다.
파일:Heiti_TC_old_and_new.png
  • 초기의 iOS에서 사용하던 기본 글꼴 Heiti TC는 강희자전체에 가까웠으나, iOS 4.0 이후 교육부 표준자형에 가까운 새로운 Heiti TC로 바뀌어서, 新細明體 자형이 바뀌었을 때와 같은 불만의 소리가 나오고 있다.
파일:yu_font_hktw.png
  • iOS 9.0부터는 Heiti TC가 Pingfang TC라는 글꼴로 대체되어서, 완벽하게 대만 교육부 표준자형을 구현하고 있다. 이 때부터 기본언어를 중국어(홍콩)으로 바꾸었을 때, 기본 글꼴이 Pingfang HK로 설정되어, 홍콩의 표준자형을 구현한다. 특히 於(어조사 어)의 홍콩 표준자형이 이상해서, 홍콩 아이폰 사용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 현재는 아이폰에서 중국어(홍콩)으로 설정하면 Source Han Sans(Noto Sans CJK) HK으로 구현된다. 안드로이드도 어느 버전부터 그 기능을 추가되었다.

7. 기타

  • 상술한 대로 '돈대 대'는 대만에서 교육부에서는 臺로 쓰고, 민간에서 台로 많이 쓴다. 臺를 소리요소로 하는 글자로는 擡와 檯가 있다. 薹(유채 대)는 苔(이끼 태)로 쓰지 않는다.

    • 민간에서 台로 많이 쓰기 때문에 대만 자체도 민간에서는 台灣으로 많이 쓴다. 하지만 교육부에서는 臺灣으로 쓰도록 하고 있다. 灣(물굽이 만)은 손으로 쓰지 않는 한 정체자를 쓰는 대만에서는 약자 湾으로 쓰지 않는다.
    • 홍콩에서는 台를 표준으로 삼고 있는데, 같은 MTR이지만 MTR 홍콩섬선 포트리스힐역은 炮台山站으로, MTR 튄마선 송웡토이역은 宋皇臺站으로 쓴다.
    • 擡(들 대)는 정체자를 쓰는 곳에서 抬로만 쓴다. 擡는 Big5 코드에조차 실려있지 않다. 일본에서는 동음 대체로 인해 擡頭(대두)를 台頭로 쓴다.
    • 檯(대 대)는 臺의 이체자로 뜻을 강조하기 위해 木을 붙인 글자이다. 홍콩에서 枱로 쓰기도 한다. 그래서 櫃檯(궤대, 카운터)라는 단어는 정체자를 쓰는 곳에서 櫃檯, 櫃臺, 櫃枱, 櫃台 네 가지로 쓸 수 있는 셈이다.
  • 分(몫 분), 占(차지할 점), 布(펼 포), 凶(모질 흉)을 份, 佔, 佈, 兇으로 쓰는 것은 대만 공식 표기로는 한국에서처럼 分, 占, 布, 凶을 쓰도록 하고 있는데, 일본에서의 동음 대체와 중국에서의 이체자 정리와 일치한다.
    • 份이라고 쓰는 경우는 문서를 세는 양사, 股份(고분, 주식), 年份(년분), 月份(월분)이라고 할 때에나 쓴다. 대만 신분증은 身分證으로, 홍콩의 신분증은 身份證으로 쓴다. 민간에서는 많이 쓰지만, 공식 문서에서 部分을 部份이라고 쓰는 등의 표기는 틀린 것이다.
  • 성으로 쓰는 裵(옷 치렁치렁할 배)와 曺(성 조)는 정체자로 裴와 曹(무리 조)로 쓴다. 이는 간체자로도 마찬가지라서 배씨와 창녕 조씨는 중국어권에서 글자를 바꿔써야 한다. 특히 한국에서 曺와 曹는 다른 글자로 취급되다시피 한다.
  • '실 선'은 대만과 홍콩 모두 線을 표준으로 삼고 있는데, 홍콩의 전철 MTR과 홍콩의 텔레비전 방송국 TVB는 線을 綫으로 쓴다. 예를 들어, TVB의 중국어 명칭은 無綫電視라고 쓴다.
  • '뿌릴 쇄'와 '쬘 쇄'의 대만, 홍콩 표준자형 선정기준이 서로 다르다.
    • '뿌릴 쇄'는 대만과 홍콩 모두 灑로 쓰는 것을 표준으로 삼는다. 洒라는 약자가 있는데, 酒(술 주)와 헷갈리기 때문에 표준이 되지 않았다. 비슷한 예로, 대만에서는 麪(국수 면)을 麵으로 쓰는데, 麫으로 잘못 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丏은 '가릴 면'이고, 丐는 '빌 개'이다.
    • '쬘 쇄'는 대만에서 晒로, 홍콩에서 曬로 쓰기 때문에, 洒를 灑로 쓰는 대만에서는 이중잣대를 적용한 것처럼 보인다. 晒는 광동어에서 조사로 쓰이는데, 이 때에는 曬로 쓰지 않는다. 한편 晒는 唔該晒(감사합니다) 같이 어기조사로도 쓰이고, 賣晒(매진, 다 팔리다)처럼 표준중국어의 完에 해당하는 보어로도 쓰인다.
  • 才(재주 재)는 표준중국어에서 '겨우', '비로소'라는 뜻으로 쓰이고, '겨우 재'는 纔인데, 대만과 홍콩의 표준은 획수가 훨씬 적은 才이다. 이렇게 획수가 적은 한자를 표준으로 삼은 예로는, 灶(부엌 조←竈)[11], 只(다만 지←祇祗衹)[12], 什麼(무엇←甚麼)가 있다. 한편 '심할 심'으로서의 甚은 什으로 쓰지 않는다.
  • '증명할 증'은 대만과 홍콩 모두 證을 표준으로 삼는데, 대만의 경우 証도 복수 표준으로 삼고 있다. 왜냐하면 証도 '바른말할 정'이라는 글자였기 때문에, '원래 다른 글자였으나, 지금 속자로 쓰는 것은 둘 다 표준으로 삼는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술하였듯이 신분증이나 각종 공식 증명서에서는 정자 證을 쓴다.

8. 외부 링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김영옥,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 표준화 연구' 논문 참조. 보러 가기 [2] 藝(심을 예), 勢(권세 세)의 옛 글자로, 執(잡을 집)과는 다른 글자이다. [3] 兂은 비녀를 꽂은 모양으로 簪(비녀 잠)의 초문인데, 이를 旡로 쓰는 것은 상투를 자른 느낌이 든다. 일본에서도 潛을 潜으로 적어서 상투가 유지되어 있는 모양이다. [4] 한국에서는 두 형태 모두 쓰는데, 裏가 일상에서 널리 쓰이는 데에 비해 裡는 거의 이리시 전용으로만 쓰인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접사 '리'의 한자표기를 裏와 裡 둘 다 혼용하고 있다. [5] 한국에서는 두 형태 모두 쓴다. [6] 현재 한자사전에서 '시호 시'는 諡이고, 謚는 '웃을 익'이나 諡의 속자라고 되어 있지만, 이는 후세에 '시호 시'를 諡로 써놓고 謚에 '웃을 익'이라는 훈음을 억지로 부여한 것에 불과하다. [7] 소전의 자형을 보면 홍콩의 污에 가깝다. 중국 간체자도 그 자형을 쓰고, 한국과 일본은 汚을 쓴다. 반면 대만은 于에서 소리를 얻는 글자를 于로 통일시켰다. [8] 소전의 자형을 보면 홍콩의 衞에 가깝다. 강희자전에서도 전통적으로 衞를 정자로, 衛를 속자로 여기고 있지만, 이는 갑골문이 나오기 전의 해석이다. 갑골문의 衛는 네거리(行)에서 사람이 지키는(韋) 모습이다. 참조 [9] 원래는 '맏아들 주'이지만, 홍콩에서 통합되었다. '투구 주'는 由 아래에 冃(쓰개 모)이지만, '맏아들 주'는 由 아래에 月(육달월)이다. [10] 着이 著에서 나왔으므로 여기서는 着을 著의 속자로 보았다. [11] 민간 신앙의 '조왕신'이라고 할 때 쓴다. [12] 순서대로 祇(땅의 신 기), 祗(공경 지), 衹(가사 기)이다. 只만으로도 충분히 '다만'이라는 뜻을 나타낼 수 있는데, 비슷한 발음을 빌려쓰는 通假(통가) 용법이 지금까지도 쓰인다. [13] 페이스북 페이지 안드로이드 앱 [14] 안드로이드 앱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