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메소포타미아 음악 |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 |
그리스 음악 |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 |||
중세 음악 | 노트르담 악파 | 레오냉 · 페로탱 | ||
아르스 노바 | 비트리 · 마쇼 | |||
기타 |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 |||
르네상스 음악 | 부르고뉴 악파 | 뒤파이 · 뱅슈아 | ||
플랑드르 악파 |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 |||
이탈리아 |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
스페인 | 빅토리아 | |||
영국 |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 |||
독일 |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 |||
프랑스 |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 |||
이탈리아 |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 |||
중부 유럽 |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 |||
영국 | 퍼셀 · 헨델 · 애비슨 | |||
고전주의 | 전고전(로코코) |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 ||
초기 고전파 |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 |||
낭만주의 | 전기 낭만주의 | 초기 낭만파 |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 |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 |||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 |||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 |||
오페라 |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 |||
빈 왈츠 |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 |||
후기 낭만주의 |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 ||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 |||
프랑스 후기 낭만 |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 |||
러시아 후기 낭만 |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 |||
영국 낭만주의 |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 |||
폴란드 낭만주의 |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 |||
미국 후기 낭만 |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 |||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 |||
국민악파 | 러시아 |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 ||
중부 유럽 | 스메타나 · 드보르자크 · 야나체크 · 에네스쿠 · 도흐나니 · 흐리스토프 · 블라디게로프 · 모니우슈코 · 비에니아프스키 · | |||
북유럽 | 닐센 · 그리그 · 시벨리우스 · 알벤 | |||
스페인 |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 |||
프랑스, 이탈리아 |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 |||
20세기음악 | ||||
인상주의 |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 |||
신고전주의 |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 |||
제2 빈 악파 |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 |||
프랑스 근현대 음악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 |||
영국 근현대 음악 |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 |||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영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랭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 |||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 |||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 |||
헝가리 근현대 음악 |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 |||
폴란드 현대 음악 |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 |||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 |||
이탈리아 현대 음악 |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 |||
한국 현대 음악 |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 |||
기타 |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탄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첸 · 도이처 | }}}}}}}}} |
요한 파헬벨 Johann Pachelbel |
|
|
|
상상화 (1748) | |
<colbgcolor=#000><colcolor=#fff> 본명 |
요한 크리스토프 파헬벨 Johann Christoph Pachelbel |
출생 | 1653년 8월 말 |
신성 로마 제국 뉘른베르크 자유제국도시 | |
사망 | 1706년 3월 (향년 52세) |
신성 로마 제국 뉘른베르크 | |
세례일 | 1653년 9월 1일 월요일 |
신성 로마 제국 뉘른베르크 | |
장례 | 1706년 3월 9일 화요일 |
신성 로마 제국 뉘른베르크 | |
직업 |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
사조 | 바로크 음악 |
자녀 | 6남 2녀 |
종교 | 기독교( 개신교, 루터회) |
서명 |
[clearfix]
1. 개요
|
토카타 C장조. 볼프강 륍잠 연주 |
완벽하고 흔치 않은 거장.
― 다니엘 에벌린(Daniel Eberlin), 당시 아이제나흐 궁정의 카펠마이스터
― 다니엘 에벌린(Daniel Eberlin), 당시 아이제나흐 궁정의 카펠마이스터
바로크 시대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 연도상으로 보면 디트리히 북스테후데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중간 세대이다.
2. 생애
1653년, 뉘른베르크의 중산층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한스 파헬벨은 와인상이었다. 어릴때부터 음악에 관심이 많았던 파헬벨은, 성 제발두스 교회에서 성가대의 수석 성가대원인 음악가이자 음악교사인 하인리히 슈베머에게서 기초적인 음악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같은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를 담당한 뉘른베르크 악파의 중요한 음악가인 게오르그 카스파 베커에게서도 수학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 기록은 오늘날에 와서는 신빙성을 의심받고 있다. 다만 슈베머와 베커는 모두 뉘른베르크 악파의 창시자로 꼽히는 요한 에라스무스 킨더만의 제자들이기 때문에 가능성은 어느정도 있지 않을까 싶다.파헬벨의 생애에 대한 중요한 기록은 1740년 함부르크에서 요한 마테존이 쓴 전기 모음집 《개선문의 기초(Grundlage einer Ehrenpforte)》로, 이 책에 의하면 젊은 파헬벨은 학문과 음악에 대한 열정이 넘쳤고 매우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성 로렌츠 교회의 부속학교에서 초등교육을 마친 파헬벨은 1669년, 알트도르프 대학에 입학했다. 하지만 부친의 재정난 때문에 1년만에 대학을 그만두어야 했다.
하지만 학업에 대한 열정을 멈출수 없던 파헬벨은 레겐스부르크의 김나지움 포티쿰에 장학생으로 입학했다. 워낙 공부 잘하는 모범생이라 교수들이 감동을 먹고 학교밖에서 음악을 배우는것도 허락해 줬을 정도였다고 하니 알만하다. 이 시기에 파헬벨에게 음악을 가르친 선생은 킨더만의 요한 카스파르 케를의 제자인 카스퍼 프렌트로 그에게서 이탈리아 오페라나 가톨릭 교회 음악을 접하게 된것으로 보인다.
2.1. 음악 활동
파헬벨은 신성 로마 제국의 수도였던 빈의 성 슈테판 대성당에 오르간 연주자로 공식적인 음악 생활을 시작했으며 후에 1677년 아이제나흐 궁정의 오르가니스트로써 1년 동안 봉직했다.이후 에어푸르트로 옮겨가 그 자리에 12년 동안 일했다. 바로 이곳에서 파헬벨은 바흐 가문의 요한 암브로지우스 바흐와 인연을 맺기 시작하여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누나 요한나 유디타 바흐의 대부가 되었고, 형이었던 요한 크리스토프를 3년동안 가르치기도 했다. 이곳에서 결혼했지만 흑사병으로 부인을 잃었으며 재혼을 해 슬하에 일곱 자녀를 두었다. 이후 2년간 슈투트가르트에서, 3년간은 고타에서 오르가니스트로 일했고 말년에는 교향 뉘른베르크의 성 제발두스 교회에서 일하다가 1706년에 향년 52세로 선종했다.
3. 작품 세계
|
오르간을 위한 샤콘느 f단조. |
파헬벨의 작품은 히데오 츠카모토(Hideo Tsukamoto)의 분류를 따라 T. 번호로 표기한다. 분명 나름대로 다작을 한다고 하긴 했는데, 어째 대중적인 평가는 원 히트 원더.[1]
- 다양한 교회 음악들 (오르간용)
3.1. 카논과 지그
자세한 내용은 카논(음악) 문서 참고하십시오.작곡가로서 여러 곡을 남겼지만, 사실 그가 지금도 대중들에게서도 두고두고 화자될 정도로 그를 유명하게 만든 대표곡은 역시 카논이다. 정확한 이름은 《세 대의 바이올린과 통주저음을 위한 카논과 지그 라 장조》(독일어: Kanon und Gigue in D-Dur für drei Violinen und Basso Continuo)인데, 사실 상 유일하게 대중적으로 알려진 그의 곡이다. 더 정확히는 이 곡 중 지그를 제외한 초반부가 파헬벨의 카논으로 알려진 것이다.
파헬벨의 카논은 클래식의 주류에서 잊혀졌다가 만들어진지 225년뒤인 1919년에 파헬벨의 음악에 관심을 가진 학자 구스타프 베크만(Gustav Beckmann, 1894~1935)에 의해 악보가 출판되고, 21년뒤 1940년 보스턴 팝스 오케스트라가 음반을 처음 냈으며, 다시 40년뒤에 아카데미 수상작인 1980년 영화 보통 사람들에 삽입되면서 비로소 대중에 알려지게 되었다. 즉, 대략 300년 가까이 묻혀있다가 부활한 곡이다.
[1]
실제로 파헬벨의 작품번호는 T.500에 육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