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11:36:15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중세 음악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스페인 빅토리아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중부 유럽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초기 고전파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폴란드
낭만주의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미국
후기 낭만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중부 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흐리스토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모니우슈코 파일:폴란드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신고전주의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제2 빈 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 음악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영국 근현대 음악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헝가리 근현대 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폴란드 현대 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 음악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 에이나우디
한국 현대 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
Alessandro Stradella
파일:스트.jpg
출생 1643년[1] 7월 3일[2]
교황령 볼로냐
사망 1682년 2월 25일 (향년 38세)[3]
제노바 공화국 제노바
직업 작곡가, 가수
사조 바로크 음악

1. 개요2. 생애
2.1. 초기와 로마시절2.2. 베네치아에서의 애정행각2.3. 제노바에서의 최후
3. 낭만적으로 각색된 스트라델라의 삶4. 스트라델라의 음악
4.1. 음악 스타일4.2. 주요 작품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 반도 출신의 이탈리아인 음악가. 바로크 중기의 가장 중요한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오페라 오라토리오를 비롯한 성악곡을 주로 작곡했지만, 기악음악 분야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작품들을 남겼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음악보다도 후술되는 방탕하고 극적인 삶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2. 생애

2.1. 초기와 로마시절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까지 확인된 사항은 그가 일반적인 음악가들과 달리 토스카나의 귀족 집안 출신이었다는 것과, 볼로냐에서 교육을 받았다는 것 정도이다. 음악 교육을 어떻게 받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략 20세 무렵에는 이미 재능 있는 음악가로 나름 알려져 있는 상태였다. 음악경력 초기에 그는 성악가로 활동했는데, 한동안 그의 성악가로서 능력이나 명성이 당대 최고의 수준이었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스트라델라가 살던 시절에 카스트라토 가수들이 득세했던 것을 생각해 보면 이런 평가는 많이 과장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1665년 경부터 본격적인 전업작곡가 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1667년 로마로 이주하였다. 로마에서 스트라델라는 스웨덴 크리스티나 여왕[4]의 전속 작곡가로 활동하면서 주로 종교음악을 많이 작곡하였다.

여왕의 전속 작곡가로 활동하는 것 외에도 그는 가수로 오페라 무대에 오르기도 했고[5], 1671년에는 현존하는 그의 최초의 오페라 라우린다 또는 비안테(La Laurinda ovvero Il Biante)가 작곡 및 공연되었다. 1676년에는 그의 대표작인 오라토리오 성 요한 세례자(San Giovanni Battista)이 공연되었다.[6]

한편 그가 로마에 오면서 음악적 재능과 함께 방탕한 기질도 본격적으로 포텐이 터졌는데, 처녀 유부녀 가리지 않고 여러 여자들과 애정행각을 벌인 탓에 평이 매우 좋지 않았다. 1669년경 그는 동료 음악가였던 카를로 로나티(Carlo Ambrogio Lonati)와 공모하여 로마 대성당에서 돈을 훔쳤다가 발각되는 바람에 한동안 로마에서 도망쳐서 이곳 저곳을 전전해야 했다. 이후 분위기가 잠잠해지자 로마로 돌아왔으나, 이번에는 나이 많은 여자에게 돈을 받고 당시 추기경이었던 치보(Cibo)의 조카뻘 되는 사람을 중매시켜주었다가 추기경의 분노를 사서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또 로마에서 도망쳐야 했다. 눈치를 보다가 어렵게 로마에 돌아온 이후에도 바람둥이 기질을 고치지 못한 그는 많은 로마 귀족들의 미움을 샀고, 음악가로서의 명성에도 불구하고 자리를 얻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그는 1677년에 이런저런 이유로 로마를 완전히 떠나야 했다.

2.2. 베네치아에서의 애정행각

사실상 로마에서 추방당한 스트라델라는 이번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으로 갔다. 베네치아의 유력자였던 알비제 콘타리니(Alvise Contarini)는 스트라델라를 자신의 정부(情婦)인 아그네제 반 유펠레(Agnese Van Uffele)의 음악교사로 삼고 그녀에게 음악을 가르치도록 했다. 그런데 이 의뢰는 말 그대로 고양이한테 생선을 맡긴 격이었다. 스트라델라와 아그네제는 그대로 눈이 맞아서 사보이아 공국의 수도 토리노로 사랑의 도피를 해버렸던 것이다.

콘타리니는 바람난 자신의 애인을 뒤쫓아 토리노까지 왔는데, 사보이아 공국의 섭정 사부아느무르의 마리 잔 밥티스트(Marie-Jeanne-Baptiste de Savoie)[7]는 두 사람을 인도해 달라는 콘타리니의 요청을 거부하였다. 콘타리니는 포기하지 않고 토리노 대주교에게 "스트라델라와 아그네제를 결혼시키거나 아그네제를 수녀원으로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에 두 사람은 결혼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런데 혼인서약서에 사인을 하던 날 밤, 결혼 관련 절차를 마치고 성당에서 나온 스트라델라는 갑자기 뒤에서 덮친 2명의 괴한에게 칼에 찔려서 쓰러진다. 이 두 괴한은 앙심을 품은 콘타리니가 고용한 청부업자들로, 스트라델라가 쓰러지자 죽은 것으로 생각하고 바로 프랑스 대사관으로 도망쳤다. 그런데 스트라델라는 큰 상처를 입었지만 다행히 죽지는 않았고, 모처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 마리 잔 밥티스트는 자객을 숨겨준 프랑스 대사관과 당시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에게 이 사태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했고, 이어진 지루한 협상 끝에 스트라델라는 안전을 보장받고 토리노를 떠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이에 스트라델라는 부상에서 회복하고 이듬해인 1678년 제노바 공화국으로 떠났다.[8]

2.3. 제노바에서의 최후

제노바에서 그는 자신의 음악 동료였던 카를로 로나티를 다시 만났으며, 그의 주선으로 제노바의 귀족들과 극장에 음악을 써주고 돈을 벌었다. 제노바에서 안정을 찾은 그는 이 시기에 중요한 작품을 많이 남겼는데, 그의 현존하는 오페라 6곡 중 4곡이 제노바에서 작곡된 것이다.

이처럼 제노바에서 그나마 마음을 잡고 조용히 사는가 싶었는데, 1682년 스트라델라는 반치 광장(Piazza Banchi)에서 칼에 찔려 피살된 채로 발견된다. 그를 죽인 사람(들)의 신원은 끝내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 암살을 사주한 주체는 당시 제노바의 유력가문이었던 로멜리니(Lomellini) 집안이 확실시되고 있다. 당시 스트라델라는 죽을 고비까지 넘겼음에도 버릇을 고치지 못하고 롬멜리니 가문의 딸과 염문을 뿌리고 있었는데 그녀의 오빠들이 이에 대해 크게 분노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제노바에서 사망한 스트라델라는 제노바의 산타 마리아 성당(Santa Maria delle Vigne)에 안장되었다.

3. 낭만적으로 각색된 스트라델라의 삶

중요한 작곡가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오늘날에는 음악보다 그의 극적인 인생사가 더 많이 알려져 있는데,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바로크 시기에 활동한 르네상스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음악가로서 명성이 높았던 탓인지 스트라델라 당대에도 그의 굴곡많은 인생은 상당한 화제거리가 되었는데, 프랑스의 의사이자 아마추어 철학자/작가였던 피에르 부드로(Pierre Bourdelot, 1610-1685)는 자신의 책 <음악의 역사(Histoire de la musique)>[9]에서 스트라델라의 행적에 대해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최근까지도 스트라델라의 실제 인생사에 대해 알려진 것이 많지 않았던 탓에 부드로의 기록은 이후에 거의 정설로 굳어졌으며, 오늘날까지도 인용되는 그의 여러 일화와 전설이 고착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 결과 부드로가 기록한 스트라델라의 전기는 지나치게 낭만적으로 덧칠된 것으로 사실상 스트라델라를 모티브로 한 소설에 가까운 수준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콘타리니가 보낸 암살자들이 스트라델라가 작곡한 오라토리오를 듣고 감동받는 바람에 그를 죽이지 않고 오히려 도망치라고 조언을 했다던가 사랑하는 여인과 도피행각을 벌이다 최후에 두 사람이 같이 암살되었다던가 하는 일화들이 회자되고 있는데, 이는 모두 부드로의 <음악의 역사>에 나오는 이야기들로 실질적인 근거는 없다.

여튼 이 부드로가 기록한 그의 행적이 워낙 인상적이었던 탓에 이를 모티브로 한 예술 작품도 많이 창작되었는데, 대표적인 작품이 1837년 프랑스 파리에서 공연된 루이 니더마이어(Louis Niedermeyer)의 오페라 스트라델라(Stradella)와 1844년 함부르크에서 공연된 프리드리히 폰 플루토우(Friedrich von Flotow)의 오페라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Alessandro Stradella)이다. 이 둘보다는 덜 알려져 있는 작품으로 주세페 시니코(Giuseppe Sinico)가 1863년에 작곡한 오페라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가 있다.

세자르 프랑크도 20세 무렵에 오페라 스트라델라(Stradella)를 작곡하였는데 피아노 악보(2대의 피아노 버전)만 완성된 채로 중단되었기 때문에 프랑크 당대에는 이 작품이 상연되지 않았다가 1983년에야 이 악보의 오케스트레이션이 완료되어 공연이 성사되었다. 현재는 음반도 나와있다.

미국 소설가 프랜시스 매리언 크로포드(Francis Marion Crawford)는 베네치아에서 벌어졌던 그의 연애사를 낭만적으로 각색한 소설 스트라델라(Stradella)를 1909년에 출판하기도 했다. 공교롭게도 크로포드는 이 소설을 발간한 직후인 1909년 55살로 병사했다.

이처럼 스트라델라는 음악 못지 않게 자신의 삶 자체도 비록 각색된 것이긴 하지만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부드로에 의해 각색된 스트라델라의 일화들이 음악 에세이집이나 클래식 소개 책자 등에 많이 실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4. 스트라델라의 음악

4.1. 음악 스타일

결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는 인생사와 별도로 음악적으로는 상당히 중요한 작곡가이다. 바로크 후기를 화려하게 장식했던 각종 음악 장르들, 예를 들어 (후기 바로크 양식의) 오페라, 오라토리오, 합주 협주곡, 트리오 소나타, 칸타타, 변주곡 등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반드시 스트라델라가 등장한다.

그의 음악적 능력은 당시부터 유명했으며 그 덕분에 사생활에서 온갖 잡음을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죽을 때까지 일자리와 후원이 끊기지 않았다. 바로크의 모든 음악가들이 그렇듯 그의 작품도 일부는 유실되거나 불완전하게 남아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300여곡의 작품이 현존하고 있다.[10]

그는 성악과 기악분야 모두에서 상당히 중요한 작품들을 남겼는데, 특히 후기 바로크 협주곡의 기본 양식이 된 합주 협주곡, 즉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의 선구적인 작품들을 남기고 있다. 그가 작곡한 합주협주곡의 전신인 '신포니아'나 소나타와 같은 작품을 들어보면 빠른 악장과 느린 악장의 교대 배치나 각 악기간 화성적인 어울림을 추구하는 등의 후대 합주 협주곡에서 볼 수 있는 기본적인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독주악기로 이루어진 콘체르티노와 합주부인 콘체르토 그로소의 두 그룹으로 이루어진 악기 편성을 사용했는데, 이 편성 방식은 후배인 코렐리가 자신의 합주 협주곡에 도입해서 큰 음악적 성과를 이루었다. 또한 당시에는 시도되지 않았던 대담한 화성법을 자주 도입하였는데, 당대 사람들에게는 그가 들려주는 새로운 음향이 상당히 인상적이었을 것이다.
《12곡의 신포니아》 中 2번

그가 남긴 실내악 소나타(트리오 소나타)나 바이올린 소나타에서도 다악장 체제를 도입하고 악기의 기교적인 측면이 좀더 두드러지는 등 동시대의 다른 작곡가들에 비해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스트라델라는 오페라나 오라토리오 분야에서도 후기 바로크시기에 꽃을 피운 바로크 극음악의 산파 역할을 한 작곡가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그가 작곡한 오페라 6곡과 오라토리오 6곡의 악보가 남아 있는데, 당시의 다른 유명 작곡가들과 비교하면 작품 수가 상당히 적은 편이다. 그나마도 일부는 미완성이거나 후대의 가필이 의심되는 상황.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들의 영향력은 대단해서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등 다음 세대의 쟁쟁한 후배 작곡가들이 그가 남긴 각종 음악적 성과를 수용하고 체계화시켰으며, 자신들의 음악에 스트라델라의 음악을 자주 인용했다.[11]

특히 오페라 비슷한 수준으로 웅장해진 오라토리오의 원조가 조반니 레그렌치와 스트라델라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트라델라는 자코모 카리시미의 성악 + 통주저음의 오라토리오 편성을 한층 더 확대시켜서 극음악 반주에 합주음악의 편성을 본격적으로 채용하였고 곡 중간에 일종의 간주곡인 '리토르넬로'[12]를 삽입했다. 또 스트라델라는 아리아와 레치타티보를 확실하게 분리시켰는데, 이러한 수법들은 바로크 후기부터 하나의 양식으로 정착됐으며 심지어 현대의 오라토리오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스트라델라의 170여곡에 달하는 칸타타를 비롯한 다수의 중창이나 합창에서 대위법적인 처리가 자주 나타난다. 전술한 그의 대표작인 오라토리오 < 세례자 요한>의 듀엣이나 중창을 들어보면 각 가수들이 독립적으로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합창의 한 성부를 맡고 있다는 느낌이 드는데, 이런 대위법적인 특성은 후대의 바흐 헨델의 합창음악을 예견하게 한다.

4.2. 주요 작품

아시다시피 바흐와 헨델을 제외한 바로크 작곡가들 대부분이 바로크시대가 끝난 이후 잊혀졌다가 20세기에 복권되었는데, 스트라델라는 20세기 이후에도 비발디, 코렐리, 스카를라티 부자(父子) 등 이탈리아 출신의 쟁쟁한 후배들에게 가려져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으며 전술한 것처럼 각색된 그의 인생사만 종종 부각되었다.

뒤늦게 스트라델라가 바로크 후기를 장식했던 각종 음악 양식의 선구자였으며 바로크 중기의 음악가중 최고의 독창성과 음악성의 소유자였다는 것을 인정받으면서 비로소 그의 음악이 재조명되었다. 스트라델라의 음악양식은 바로크 중기와 후기의 과도기에 위치하고 있지만 후배 대작곡가들에게 뒤지지 않는 음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 그의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오페라
1. 라우린다 또는 비안테(La Laurinda ovvero Il Biante,1671)
2. 코리스페로(Il Corispero, 미완성 작품으로 1677경 작곡)
3. 부성의 힘(La forza dell'amor paterno,1678)
4. 트레스폴로 선생(Il Trespolo tutore,1679)[13]
5. 영웅적인 사랑의 경쟁(Le gare dell'amor eroico, 1679)
6. 사랑을 위한 죽음(Moro per amore,1681)
  • 오라토리오
1. 에스델(Ester, 1670 or 1673)
2. 성 세례자 요한(San Giovanni Battista, libretto di Ansaldo Ansaldi,1675)
3. 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San Giovanni Grisostomo,1676)
4. 성녀 펠라자(Santa Pelagia, 1677)
5. 수잔나(La Susanna, 1681)
6. 성녀 에디타(Santa Editta, vergine e monaca, regina d'Inghilterra, 작곡연대 불명)
- 별의 힘 또는 다모네(La forza delle stelle ovvero Il Damone, 1673) : 그의 세속칸타타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 키르케(La Circe,1668): 1668년 버전과 작곡시기 불명의 개작 버전이 있다.
- 바르케지오(Il Barcheggio, 1681)
  • 기악 작품
1. 소나타 1집 - 12곡으로 바이올린 & 지속저음(basso continuo) 편성[15]
2. 소나타 2집 - 2곡으로 바이올린과 류트(또는 비올론첼로) & 지속저음 편성
3. 소나타 3집 - 9곡으로 바이올린 2대 & 지속저음 편성
4. 대 오르간 소나타(Sonate per organici grandi) - 3곡으로 현악합주와 오르간 지속저음 편성[16]

기타: 몇곡의 신포니아


[1] 1639년생이라는 설도 있다. [2] Carlo Vitali, " Stradella, bolognese per caso. Nuovi documenti biografici scoperti da Davide Mingozzi", lesalonmusical.it [3] 1639년생이 맞다면 향년 42세 [4] 스웨덴 개신교 국가였는데 1654년 크리스티나 여왕은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고종사촌 오빠인 츠바이브뤼켄-클레부르크 궁정백 칼 구스타브에게 양위하고 교황청의 배려로 프랑스 이탈리아 반도 이곳 저곳으로 옮겨다녔는데 1667년 당시에는 로마에 머무르고 있었다. [5] 현재 4개의 오페라에서 그가 가수로 무대에 섰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6] 작곡자 스스로도 이 오라토리오를 자신이 쓴 가장 훌륭한 작품으로 생각했다. 오늘날의 평가도 크게 다르지 않다. [7]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의 두번째 부인으로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의 어머니. [8] 그와 사랑의 도피를 벌인 아그네제의 운명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수녀원에 들어갔을 수도 있고 콘타리니가 데려갔을 수도 있다. 확실한 것은 스트라델라가 제노바에 갈 때에는 그녀와 헤어지고 혼자 갔다는 것이다. [9] 사실 이 책은 그의 유고집으로, 그의 사후 그의 조카에 의해 1715년에 파리에서 출판되었다. [10] 그만큼 후배 음악가들이 그의 작품을 많이 참고하고 연주했다는 뜻이다. 당시만 해도 유명하지 않거나 종교적 음악이 아닌 작품들은 그대로 유실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11] 말이 좋아서 인용이지, 오늘날 관점에서 보면 표절이다. 저작권 개념이 없던 당시에는 선배 작곡가들이 사용한 주제나, 춤곡의 모티브를 돌려쓰기 하는 것이 유행이었다. 심지어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자신의 오라토리오 이집트의 이스라엘인《Israel in Egypt》 (HWV 54) 중 5개의 합창 '그분께서 말씀하시자(he spake the word)', '비 대신 우박을(he gave them hailstones)', '당신 백성을(but as for his people)', '주님을 경외하고(And believed the Lord)', '그들은 들으리(The People Shall Hear)'에서 스트라델라의 세레나타 Qual prodigio è ch'io miri(내가 명예롭게 생각하는 것)를 그냥 베꼈다 봐도 좋을 정도로 인용했다. 스트라델라의 Qual prodigio e ch'io miri? 가운데 신포니아와 헨델의 이집트의 이스라엘인 가운데 He Spake the Word 를 비교해서 들어보자. [12] 리토르넬로는 보통 합주 협주곡에서 독주와 합주가 반복되는 수법을 가리키는 용어인데 여기서는 단순히 극 중간에 삽입되는 짧은 기악음악을 가르킨다. [13] 희극 오페라로 오페라부파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14] 스트라델라 시절에 세속 칸타타는 세레나타(serenata)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15] 11번 곡은 주제와 24개의 변주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토니오 비발디, 아르캉젤로 코렐리의 유명한 라폴리아 변주곡을 비롯해서 바로크시기의 변주곡에 큰 영향을 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6] 3번 소나타에는 트럼펫이 추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