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제국의회 중의원 의장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초대 나카지마 노부유키 |
제2대 호시 토오루 |
제3-5대 쿠스모토 마사타카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제3-5대 쿠스모토 마사타카 |
제6대 하토야마 가즈오 |
제7-10대 카타오카 겐키치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제7-10대 카타오카 겐키치 |
제11대 고노 히로나카 |
제12대 마츠다 마사히사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제13대 스기타 데이이치 |
제14·17대 하세바 스미타카 |
제15·16·20대 오오카 이쿠조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
제14·17대 하세바 스미타카 |
제18·21대 오쿠 시게사부로 |
제19대 시마다 사부로 |
제15·16·20대 오오카 이쿠조 |
|
제14대 | 제15대 | |||
제18·21대 오쿠 시게사부로 |
제22·23대 카스야 기조 |
제24대 모리타 시게루 |
||
제16대 | 제17대 | |||
제25대 모토다 하지메 |
제26대 가와하라 모스케 |
제27대 호리키리 센베에 |
제28대 후지사와 이쿠노스케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제29대 나카무라 게이지로 |
제30대 아키타 기요시 |
제31대 하마다 쿠니마츠 |
제32대 도미타 고지로 |
|
제20대 | 제21대 | |||
제33대 코야마 쇼쥬 |
제34대 다코 이치민 |
제35대 오카다 타다히코 |
제36대 시마다 도시오 |
|
제22대 | ||||
제37대 히가이 센조 |
제38대 야마사키 다케시 |
|||
일본 국회 중의원 의장 | ||||
제23대 | 제24대 | |||
제39대 마쓰오카 고마키치 |
제40대 시데하라 기주로 |
제41대 하야시 조지 |
제42·43대 오노 반보쿠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
제42·43대 오노 반보쿠 |
제44대 쓰쓰미 야스지로 |
제45대 마쓰나가 토오 |
제46대 마스타니 슈지 |
|
제28대 | 제29대 | |||
제47대 호시시마 니로 |
제48대 가토 료고로 |
제49·50대 기요세 이치로 |
||
제30대 | 제31대 | |||
제51·56대 후나다 나카 |
제52대 야마구치 기쿠이치로 |
제53대 아야베 겐타로 |
제54대 이시이 미쓰지로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제55대 마쓰다 다케치요 |
제51·56대 후나다 나카 |
제57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
제58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제59대 호리 시게루 |
제60·61대 나다오 히로키치 |
제62대 후쿠다 하지메 |
||
제37대 | 제38대 | |||
제63대 후쿠나가 겐지 |
제64대 사카타 미치타 |
제65대 하라 켄자부로 |
제66대 타무라 하지메 |
|
제39대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제67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제68대 도이 다카코 |
제69대 이토 소이치로 |
제70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제46대 | |
제71·72대 고노 요헤이 |
제73대 요코미치 다카히로 |
제74대 이부키 분메이 |
||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
제75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
제76·77대 오시마 다다모리 |
제78대 호소다 히로유키 |
||
제49대 | 제50대 | |||
제79·80대 누카가 후쿠시로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0230ae>
일본국 제67대 중의원 의장
사쿠라우치 요시오 櫻內義雄 | Sakurauchi Yoshio |
|||
|
|||
출생 | 1912년 5월 8일 | ||
도쿄부 도쿄시 | |||
사망 | 2003년 7월 5일 (향년 91세) | ||
도쿄도 시부야구 | |||
재임기간 | 제23-24대 통상산업대신 | ||
1964년 7월 18일~ 1965년 6월 3일 | |||
제44대 농림대신 | |||
1972년 12월 22일~ 1973년 11월 25일 | |||
제41대 건설대신 제6대 국토청장관 |
|||
1977년 11월 28일~ 1978년 12월 7일 | |||
제21대 외무대신 | |||
1981년 11월 30일~ 1982년 11월 27일 | |||
제67대 중의원 의장 | |||
1990년 2월 27일~ 1993년 6월 18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게이오기주쿠 (졸업)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 / 학사) |
||
직업 | 정치인 | ||
가족 |
아버지 사쿠라우치 유키오 조카손자 후쿠다 다쓰오 외손자 오타 세이이치 손녀사위 사쿠라우치 후미키 |
||
최종 당적 |
|
||
지역구 | 도쿄도 제1구 → 시마네현 선거구 → 시마네현 전현구 → 비례 주코쿠 블록 | ||
의원 선수 | 18 ( 중), 1 ( 참) | ||
의원 대수 | 22, 23,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중), 2 ( 참) | ||
약력 |
사쿠라우치 유키오 중의원 비서 클라시에 주식회사 사원 19선 중의원 의원 일본전화 대표이사 중의원 외무위원장 법무 정무차관 제18대 통상산업대신 자유민주당 간사장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일련정종 전국 단신도 협의회 회장 제67대 중의원 의장 |
}}}}}}}}} |
[clearfix]
1. 개요
중의원 의장을 역임한 일본의 정치인. 메이지 태생의 마지막 국회의원 중 한명이기도 하다.[1]2. 생애
1912년 5월 8일 일본 도쿄부 도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사쿠라우치 유키오 (櫻内幸雄, 1880~1947)는 시마네현 야스기시 출신으로, 제2차 와카쓰키 내각에서 상공대신을, 히라누마 내각에서 농림대신을, 요나이 내각에서 대장대신을 지낸 실력자였다.게이오기주쿠 유치사(초등부)와 게이오기주쿠 중학교, 고등학교를 거쳐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했다. 1938년 징병제에 의해 입대했고 1년후 제대했다. 그 이후 아버지 유키오의 사설 비서를 지냈다.
1947년 제2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민주당 소속으로 도쿄 1구에 출마해 첫 당선되었다. 하지만 2년뒤인 1949년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동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이후 1950년 제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본적지인 시마네현 지방구에서 상대 후보인 코타키 아키라를 389표차로 꺾고 당선되었지만, 재검표 결과 요시오의 표 상당수가 아버지 유키오의 이름으로 표기된것이 드러나 1952년 1월 당선무효 판정을 받았다.
이후 1952년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시마네현 전현구에 개진당 후보로 입후보해 당선되었고, 국정 복귀에 성공했다. 개진당 시절에는 당선 동기 나카소네 야스히로와 함께 청년파 의원으로 활동했고, 보수 합동 이후 자민당에서는 고노 이치로 파벌에 소속되있었다. 기시 노부스케 내각에서 법무 정무차관, 중의원 외무위원장을 지내다가 1964년 제3차 이케다 하야토 내각 출범 당시 통상산업대신에 임명되며 처음으로 입각하였다.
같은해 고노 이치로가 사망하자 당선 동기인 나카소네파의 간부로 활동했다. 이후 농림대신, 건설대신, 국토청장관, 자민당 정무조사회장, 외무대신, 자유민주당 간사장 등 여러 요직들을 역임했다. 자민당 간사장 재임 중인 1980년. 40일 항쟁 등으로 격해진 주류파인 오히라 마사요시파와 그 나머지 파벌인 비주류파간의 갈등을 조정하는데 안간힘을 썼지만, 결국 비주류파가 야당과 합세하여 해프닝 해산을 일으켰다.[2] 이러한 주류파와 비주류파의 냉랭한 분위기가 이어지던 와중에 선거운동 기간이던 6월 12일 오히라 총리가 급사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다. 사쿠라우치는 선거의 책임자로서 주류파·반주류파의 의견을 통합해 자민당을 대승으로 이끌었다.
사쿠라우치는 40일 항쟁과 오히라의 급사라는 혼란 속에 악재를 딛고 선거를 대승으로 이끌었다는 공을 세우며 스즈키 젠코 총재 시절에도 자민당 간사장으로 유임되었다. 한때는 그의 이러한 이점을 토대로 해서 사쿠라우치 총재 옹립안이 떠오르기도 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재 시절에는 파벌 회장을 맡아 1980년대 중후반 자민당의 전성기를 이끌었다.[3] 그러나 1989년 리쿠르트 사건으로 인해 나카소네가 자민당을 탈당하자, 사쿠라우치는 한동안 나카소네파의 회장을 맡았다.
1990년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제67대 중의원 의장에 올랐다.[4] 55년 체제의 마지막 중의원 의장으로서 PKO 법안 통과와 1993년 미야자와 기이치 개조 내각 불신임의안 통과에 따른 국회 해산(거짓말쟁이 해산, 嘘つき解散) 서사를 직접 낭독했다. #
1996년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서는 비례 주코쿠 블록에 입후보해 당선되었다. 사쿠라우치는 2000년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노익장을 과시하며 강한 출마 의욕을 나타내고 있었지만[5], 당시 자민당 간사장 이었던 노나카 히로무가 정년제 도입을 이유로 그와 하라 켄자부로 2명의 의원을 정계에서 은퇴시켰다.[6]
2003년 7월 5일, 호흡 부전으로 도쿄 시부야구의 병원에서 향년 91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3. 논란
- 1992년 1월 19일, 시마네현에서 열린 신년회에서 "미국 자동차 업계는 일본 부품을 사달라고 한다. 미국이 일본에 고개를 숙이고 자동차 하청 공장이 되는 것은 한심하다. 문제의 근본은 미국 노동자들의 질이 열악하다는 데 있다. 미국 노동자는 너무 일하지 않는다. 일하지 않고 높은 급료를 원한다. 30% 정도는 글자도 읽을 수 없다. 간부가 지령을 내려도 문서로 넘길 수 없다. 불합격품도 많이 나오고 있다." 라고 발언해 미국인 노동자를 폄하하는 발언을 했다. 그러자 미국 전문가들은 사쿠라우치의 발언을 일제히 비판하는 성명을 냈다.[7]
- 1996년 9월 19일 시마네현 마츠에시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개인 연설회에서 일본의 역사 교과서에서 구 일본군이 아시아국가들을 식민상태에서 해방시킨 점은 소홀히 다루고 침략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발언해 주변 국가의 논란을 일으켰다. 또한 사쿠라우치는 이해 총선 승리로 자민당 재집권을 축하하며 " 난징 대학살에 대한 사실을 재검토 해야 할 필요가 있다"라는 발언을 하였다. #, #
4.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1947 - 1950 | 창당 |
1950 - 1952 | 합당 | |
|
1952 - 1954 | 합당 |
|
1954 - 1955 | 합당 |
|
1955 - 2003 |
합당 정계은퇴 사망 |
5. 선거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46 |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도쿄 1구 |
|
37,296 (14.1%) | 당선 (2위) | 초선 |
1949 |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30,172 (9.1%) | 낙선 (6위) | |||
1950 | 제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시마네현 지방구 | 140,981 (32.3%) | 당선 (1위) | 초선[8] | |
1952 |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시마네현 전현구 |
|
75,335 (17.0%) | 당선 (2위) | 재선 |
1953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5,426 (15.0%) | 당선 (2위) | 3선 | ||
1955 |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79,170 (17.5%) | 당선 (1위) | 4선 | |
1958 |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69,009 (15.2%) | 당선 (4위) | 5선 | |
1960 |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9,932 (17.2%) | 당선 (2위) | 6선 | ||
1963 |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1,229 (15.8%) | 당선 (4위) | 7선 | ||
1967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1,891 (18.1%) | 당선 (1위) | 8선 | ||
1969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1,075 (15.9%) | 당선 (4위) | 9선 | ||
1972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3,021 (15.6%) | 당선 (3위) | 10선 | ||
1976 |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8,395 (14.1%) | 당선 (2위) | 11선 | ||
1979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8,531 (16.4%) | 12선 | |||
1980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2,670 (16.8%) | 당선 (3위) | 13선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6,620 (18.4%) | 당선 (2위) | 14선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0,384 (16.1%) | 15선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9,890 (15.8%) | 16선 | |||
1993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3,905 (13.2%) | 당선 (4위) | 17선 | ||
1996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비례 주코쿠 블록 | 1,578,140 (-%) | 당선 (3번) | 18선 |
6. 여담
-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오랜 팬으로 알려져, 오랫동안 다카라즈카 가극단 관련 단체인 애보회(愛宝会)의 회장을 맡았다. 또 일본 카누 협회 회장, 일본 국제무역촉진협회 회장, 세계연방일본국회위원회 회장, 협화협회[9] 회장직을 역임 하는 등 각종 단체의 회장직을 역임하였다.
- 1990년 7월 사쿠라우치는 소련을 방문해 당시 소련 대통령인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회동을 가지며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조기 방일을 요청했지만, 고르바초프는 사쿠라우치가 북방 영토 문제를 회담 의제로 꺼내는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그리고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방일 시기는 사쿠라우치·고르바초프 회담 2일 뒤에 열린 사쿠라우치와 이케다 다이사쿠 창가학회 회장과의 회견을 통해 1991년 봄으로 정해지는것으로 사실상 결론을 지었다.
- 1990년 미일 정상회담 이후 미국 취재진들에게 "곧 벚꽃이 피어납니다. 제 이름은 사쿠라우치, 즉 체리입니다. 미일 관계에서도 곧 벚꽃이 피게 될것입니다." 라는 발언이 "I'm Cherry Boy" 라는 뜻으로 퍼져, 당시 미국 취재진을 당혹시킨 적이있다.[10]
- 1990년 2월 기자들 앞에서 "어째서 언론은 정책과학연구소(나카소네파)를 사쿠라우치파 라고 부르지 않는가?" 라는 불만을 털어놓았다. 참고로 그는 1982-1987, 1989.5-1990.2 까지 나카소네파의 회장을 맡고 있었다.
- 말년에는 "사쿠라우치·하라 전 의장이 의석에 가는 데 몇 분이 걸릴까" 라는 주제가 미디어에서 여럿 다루어진 적이 있다. 하지만 관찰 결과 80대 후반이라는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의석까지 착석하는데 단 30초 밖에 걸리지 않았다는 사실이 포착되었다. # 덧붙여서 그는 일찍이 "국회의원 빨리걷기의 모임"을 주최하고 있었다.
[1]
또 다른 한명은 사쿠라우치와 동일하게 중의원 의장을 지냈던
하라 켄자부로(原健三郎, 1907-2004)이다.
[2]
정작 파벌간의 갈등을 조정하는 간사장직을 맡고있던 사쿠라우치는 비주류파인 나카소네파에 소속되어 있었다.
[3]
자민당은 1986년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버블 경제 효과로 300석에 육박하는 의석을 획득하며 1960년대 후반 ~ 1970년대 초 이후로 제2의 전성기를 누렸다.
[4]
그의 중의원 의장 취임으로 파벌 회장 자리는
와타나베 미치오가 이어받았다.
[5]
당시
아사히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장수국 일본, 장수현(県)
시마네현, 장수 대표 사쿠라우치"(
#) 라는 말을 하며 일본이 이만큼
고령사회가 되었으므로, 비례 명부 중 최소한의 인원은 노년층의 권리를 위해서 80대 이상으로 채워야 한다" 라고 주장했다.
[6]
이때 은퇴한 두 사람의 나이는 무려 88세(사쿠라우치), 93세(하라)에 육박했다.
[7]
당시 미국 교육부 차관보로 재직 중이던 다이앤 라비치(Diane Ravitch, 1938~)은 식자율 문제가 과장되었다며 미국인 중 문맹인 사람은 약 5%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8]
1952.1 의원직 상실
[9]
기시 노부스케가 설립한
싱크 탱크 단체이다.
[10]
참고로 그 당시 미국에서 체리 보이는 은어로
동정,
여장 남자,
동성애자 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분류
- 일본의 정치인
- 일본의 남성 정치인
- 일본 중의원 의장
- 일본의 부총리
- 일본 외무대신
- 일본 건설대신
- 일본 국토청 장관
- 일본 농림수산대신
- 일본 경제산업대신
- 1912년 출생
- 2003년 사망
- 일본민주당(1954년) 국회의원
- 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
- 자유민주당(일본) 간사장
- 제2대 일본 참의원 의원
- 제23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25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26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27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28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29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0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1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2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3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4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5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6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7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8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9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0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1대 일본 중의원 의원
- 도쿄도 출신 인물
- 게이오기주쿠대학 출신
- 종2위
- 욱일대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