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와 시대 전후
시데하라 내각 幣原内閣 | Shidehara Cabinet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945년 10월 9일 ~ 1946년 5월 22일 | ||
출범 이전 | 이후 | ||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 | 제1차 요시다 내각 | }}} | |
<colbgcolor=#808080> 내각총리대신 | 시데하라 기주로 / 제44대[복원] | ||
여당 | |||
연립여당 | |||
|
|||
|
|
▲ 시데하라 내각 출범 기념사진 |
[clearfix]
1. 개요
1945년 10월 5일,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이 조각 54일 만에 총사퇴[2]하자, 쇼와 덴노의 명으로 내대신 기도 고이치가 요시다 시게루와 히라누마 기이치로 前 총리 등의 협조를 통해 시데하라 기주로를 총리로 내세우고 수립한 거국일치내각이다.1946년 4월 10일,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처음 열린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하토야마 이치로가 이끄는 일본자유당이 승리[3]하면서 해산되었다.
2024년 시점에서 일본에서 마지막으로 성립된 거국일치내각이다.
2. 각료 목록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colcolor=#fff> 외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요시다 시게루 | |
내무대신 | 호리키리 젠지로 → 미츠치 추조 | |
사법대신 | 이와타 추조 | |
대장대신 | 시부사와 케이조 | |
육군대신 → 제1복원대신 | 시모무라 사다무 → 시데하라 기주로 | |
해군대신 → 제2복원대신 | [[요나이 미쓰마사|요나이 미츠마사]] → 시데하라 기주로 | |
문부대신 | 마에다 다몬 → 아베 요시시게 | |
후생대신 | 아시다 히토시 | |
농림대신 | 마츠무라 켄조 → 소에지마 센파치 | |
상공대신 | 오가사와라 산쿠로 | |
운수대신 | 타나카 타케오 → 무라카미 기이치 | |
무임소대신 | 코바야시 이치조 | |
마츠모토 요시 | ||
츠기타 다이자부로 | ||
나라하시 와타루 | ||
이시구로 타케시게 |
}}}}}}}}} ||
2.1. 국무대신
- 비고란에 쓰여진 것을 제외하고는 1945년 10월 9일 임명
직책 | 대수 | 성명 | 소속 | 특이 사항 | 비고 |
내각총리대신 | 제44대 | 시데하라 기주로 |
귀족원 동화회 |
제1·2복원대신 겸직 | |
외무대신 | 제56대 | 요시다 시게루 |
귀족원 무회파 |
유임 | |
내무대신 | 제63대 | 호리키리 젠지로 |
귀족원 연구회 |
첫 입각 | |
제64대 | 미츠치 추조 |
귀족원 연구회 |
전임 1946년 1월 26일 취임 |
||
대장대신 | 제49대 | 시부사와 게이조 |
귀족원 연구회 |
첫 입각 | |
육군대신 | 제36대 | 시모무라 사다무 |
군인 육군 대장 |
유임 1945년 12월 1일 면직[4] |
|
제1복원대신 | 초대 | 시데하라 기주로 |
귀족원 동화회 |
내각총리대신 및 제2복원대신 겸직 |
1945년 12월 1일 취임 |
해군대신 | 제24대 | 요나이 미쓰마사 |
군인 해군 대장 |
유임 1945년 12월 1일 면직[5] |
|
제2복원대신 | 초대 | 시데하라 기주로 |
귀족원 동화회 |
내각총리대신 및 제1복원대신 겸직 |
1945년 12월 1일 취임 |
사법대신 | 제46대 | 이와타 주조 |
귀족원 동화회 |
유임 | |
문부대신 | 제59대 | 마에다 다몬 |
귀족원 동성회 |
유임 | |
제60대 | 아베 요시시게 |
귀족원 동성회 |
첫 입각 1946년 1월 13일 취임 |
||
후생대신 | 제14대 | 아시다 히토시 |
중의원 일본 자유당 |
첫 입각 | |
농림대신 | 제2대 | 마츠무라 켄조 |
중의원 일본 진보당 |
유임 | |
제3대 | 소에지마 센파치 |
민간인 관료 |
첫 입각 1946년 1월 13일 취임 |
||
상공대신 | 제2대 | 오가사와라 산쿠로 |
중의원 일본 진보당 |
첫 입각 | |
운수대신 | 제2대 | 다나카 다케오 |
중의원 일본 진보당 |
첫 입각 1946년 1월 26일 면직 |
|
제3대 | 무라카미 기이치 |
민간인 철도원 |
첫 입각 1946년 1월 26일 취임 |
||
무임소대신 | - | 고바야시 이치조 |
귀족원 무소속 클럽 |
전재부흥원 총재 |
1945년 10월 30일 취임 1946년 3월 9일 면직 |
- | 마츠모토 요시 |
귀족원 무소속 클럽 |
헌법문제조사위원회 위원장 | ||
- | 쓰기타 다이자부로 |
귀족원 동성회 |
내각서기관장 겸임[겸1] | 첫 입각 | |
- | 나라하시 와타루 |
중의원 무소속 |
내각서기관장 겸임[겸1] |
첫 입각 1946년 2월 26일 취임 |
|
- | 이시구로 타케시게 |
농림성 관료 |
법제국장관 겸임 |
첫 입각 1946년 2월 26일 취임 |
3. 주요 사건
3.1. 1945년
- 10월 9일: 시데하라 내각 출범
- 10월 11일: 시데하라 기주로 총리, 연합군 최고사령부 방문 및 최고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와 면담[8]
- 11월 23일: 재벌 해체 칙령(「会社ノ解散ノ制限等ノ件」) 공포
- 12월 1일: 육군성·해군성 폐지, 제1·2복원성으로 개편
- 12월 18일: 중의원 해산
3.2. 1946년
[복원]
제1복원대신, 제2복원대신 겸임.
[2]
패전에도 불구하고
더글러스 맥아더에게 자주 대들던 총리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에게 염증을 느낀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압박으로 인한 것이란 분석이 많다.
[3]
그런데 정작 하토야마가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공직 추방 명령과 금고형을 선고받으면서 총리직은
요시다 시게루에게 넘어갔다.
[4]
1945년
12월 1일 육군성 폐지
[5]
1945년
12월 1일 해군성 폐지
[겸1]
1946년 1월 13일 교체
[겸1]
1946년 1월 13일 교체
[8]
이때 재벌 해체, 농지 개혁, 노동 개혁이라는 3대 과제를 연합군 최고사령부로부터 부여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