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상세3. 목록
3.1.
수도권 전철
4. 여담3.1.1.
수도권 전철 1호선3.1.2.
서울 지하철 2호선3.1.3.
수도권 전철 3호선3.1.4.
수도권 전철 4호선3.1.5.
수도권 전철 5호선3.1.6.
서울 지하철 6호선3.1.7.
서울 지하철 7호선3.1.8.
수도권 전철 8호선3.1.9.
서울 지하철 9호선3.1.10.
인천 도시철도 1호선3.1.11.
인천 도시철도 2호선3.1.1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3.1.13.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3.1.14.
수도권 전철 경춘선3.1.15.
수도권 전철 경강선3.1.16.
수도권 전철 서해선3.1.17.
신분당선3.1.18.
인천국제공항철도3.1.19.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3.1.20.
서울 경전철 신림선3.1.21.
김포 골드라인3.1.22.
용인 에버라인3.1.23.
의정부 경전철3.1.24.
GTX-A
3.2. 부산3.3. 대구3.4. 대전3.5. 광주[clearfix]
1. 개요
상대식 승강장의 경우 역 구조에 따라 개찰구를 통과하지 않고서는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철도역이 존재한다.2. 상세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은 대부분 개찰구 밖에 화장실이 존재한다. 개찰구 안에 화장실을 설치할 경우 한 쪽 방향에만 설치하면 화장실이 없는 쪽 승강장을 이용하는 승객은 화장실을 갔다가 다시 돌아오려면 개찰구를 2번이나 통과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양 쪽 방향 모두 설치하면 건설 및 유지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물론 예외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대청역은 전자에, 원시역은 후자에 해당한다.노선 상의 중간 시·종착역이거나 종착역임에도 불구하고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중간역이라면 그냥 다음 열차를 탄 다음 반대편 횡단이 가능한 역에 내려서 반대 방향으로 돌아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노선 상의 종착역은 내리지 않고 회차선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게 아니라면 반드시 개찰구를 건너야 한다. 재승차 환승 할인 제도를 이용하면 운임을 추가로 내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긴 하다.
일반적으로 환승역은 환승통로를 이용하면 횡단이 가능하지만, 선로공유 구간이거나 간접환승 등의 기타 이유로 인해 환승역임에도 불구하고 개찰구를 통과하지 않으면 횡단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수도권 전철에서는 중랑역이 유일한 케이스로, 역방향 환승은 개찰구를 통과해야만 한다.
반대편 횡단의 가능 여부는 항상 고정적이지 않으며, 개찰구 구조를 변경하게 되면서 횡단 가능 여부가 변화하기도 한다. 쌍문역, 마천역 등은 한 때 횡단이 불가능했으나 지금은 횡단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반대로 횡단이 가능한 역을 횡단이 불가능한 역으로 바꾸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주로 개찰구 별로 나갈 수 있는 출구가 나뉘어져 있는 역을 개찰구 밖에서는 어디든지 나갈 수 있게 바꾸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당고개역이 있다. 엘리베이터 설치로 인해 개찰구가 분리된 경우는 부산 2호선의 감전역, 구남역, 수정역 등이 있다.
이론상 1면 2선 섬식 승강장도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하게 만들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섬식 승강장을 열차 크기보다 훨씬 크게 만들어 놓고 승강장 전체를 벽으로 분리한 다음에 열차가 정차하는 공간만 운임 구역으로 만들어 바로타 구조로 만들면 된다. 하지만 굳이 이렇게까지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1면 2선 섬식 승강장은 반대편 횡단이 전부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다만 쌍섬식 승강장 중에서는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경우가 일부 존재한다.
3. 목록
단선 승강장과 같이 반대편 승강장 자체가 없는 경우는 포함하지 않는다.한 때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했으나 현재는 가능한 경우 취소선으로 처리한다.
- 기호 설명
3.1. 수도권 전철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 |
1호선 평택역 | |
2호선 신정네거리역 | |
3호선 대청역 | |
4호선 당고개역 | |
5호선 답십리역 | |
8호선 다산역 | |
인천 1호선 예술회관역 | |
경강선 이매역 |
3.1.1. 수도권 전철 1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은 서울교통공사가, 나머지 구간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한다.
3.1.1.1. 서울 지하철 1호선
3.1.1.2. 경부선
3.1.1.3. 경부고속선
3.1.2. 서울 지하철 2호선
- 모든 구간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다.
3.1.2.1. 본선
- 을지로입구역: [시·종착]
- 을지로3가역: 3호선 승강장을 통해서만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환승통로]
- 을지로4가역: 5호선 승강장을 통해서만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환승통로]
- 신당역: [환승통로]
- 한양대역: [과거]
- 뚝섬역: [과거]
- 구의역: [과거]
- 잠실역: [환승통로][과거]
- 잠실새내역
-
종합운동장역: 9호선 개통으로 환승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개찰구 위치가 변경되면서 현재는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 선릉역: 분당선 승강장을 통해서만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환승통로]
- 역삼역
- 교대역: 3호선 승강장을 통해서만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환승통로][과거]
- 사당역: 4호선 승강장을 통해서만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환승통로]
- 낙성대역: [과거]
- 문래역: [과거]
-
영등포구청역: 당산 방면 승강장에서 5호선과의 환승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개찰구 위치가 변경되면서 현재는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 합정역: [환승통로]
- 신촌역
3.1.2.2. 신정지선
3.1.3. 수도권 전철 3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구간은 서울교통공사가, 일산선 구간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한다.
3.1.3.1. 일산선
3.1.3.2. 서울 지하철 3호선
- 불광역: 6호선 승강장을 통해서만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환승통로]
- 압구정역: [과거][시·종착]
- 대청역: 대화 방면 승강장 쪽에만 화장실이 있기 때문에 오금 방면 승강장 쪽에서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개찰구를 여러 번 이용해야 한다.[과거][화장실]
- 일원역: [과거]
3.1.4. 수도권 전철 4호선
3.1.4.1. 서울 지하철 4호선
- 당고개역: [과거][시·종착]
-
쌍문역: 2009년 말 개찰구 위치 변경으로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하였으나, 2021년 10월 역사 리모델링으로 개찰구 위치가 다시 변경되면서 현재는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 수유역: [과거]
- 미아역: [과거]
- 미아사거리역: [과거]
- 혜화역: [과거]
- 숙대입구역: [과거]
-
삼각지역: 6호선 승강장을 통해서만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였으나, 역사 리모델링으로 개찰구 위치가 변경되면서 현재는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 신용산역
3.1.4.2. 과천선
3.1.5. 수도권 전철 5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구간과 하남선 구간을 모두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다.
3.1.5.1. 서울 지하철 5호선
- 김포공항역: 9호선/공항철도 승강장을 통해서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지만, 모두 환승 게이트가 존재하므로 환승 게이트를 두 번 통과해야 한다.[환승통로]
- 발산역
- 우장산역: [과거]
- 오목교역
- 답십리역
-
마천역
3.1.6. 서울 지하철 6호선
3.1.7. 서울 지하철 7호선
3.1.8. 수도권 전철 8호선
3.1.8.1. 별내선
3.1.8.2. 서울 지하철 8호선
3.1.9. 서울 지하철 9호선
3.1.10. 인천 도시철도 1호선
3.1.11. 인천 도시철도 2호선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없다.3.1.1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모든 구간을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한다.
3.1.12.1. 경의선
3.1.12.2. 중앙선
3.1.13.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모든 구간을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한다.
3.1.13.1. 분당선
3.1.13.2. 수인선
3.1.14. 수도권 전철 경춘선
3.1.15. 수도권 전철 경강선
3.1.16. 수도권 전철 서해선
3.1.17. 신분당선
3.1.18. 인천국제공항철도
3.1.19.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없다.3.1.20. 서울 경전철 신림선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없다.3.1.21. 김포 골드라인
3.1.22. 용인 에버라인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없다.3.1.23. 의정부 경전철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없다.3.1.24. GTX-A
3.2. 부산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 |
부산 1호선 다대포항역 | |
부산 2호선 주례역 | |
부산 3호선 구포역 | |
동해선 동래역 |
3.2.1.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다대포항역
- 낫개역
- 신장림역
- 장림역
- 동매역
- 신평역: [시·종착]
- 하단역
- 당리역
- 사하역
- 동대신역
- 토성역
- 자갈치역
- 남포역
- 부산역
- 초량역
- 좌천역
- 범일역
- 서면역: 2호선 승강장을 통해서만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환승통로]
- 부전역
- 동래역: [환승통로]
- 명륜역: [과거]
- 온천장역: [과거]
- 부산대역: [과거]
- 장전역: [과거]
- 구서역: [과거]
- 두실역
- 남산역
- 범어사역
- 노포역: [과거][시·종착]
3.2.2.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중동역
- 동백역
- 벡스코역
- 센텀시티역
- 민락역
- 냉정역
- 주례역
- 감전역: [과거]
- 사상역
- 덕포역
- 모덕역
- 모라역
- 구남역: [과거]
- 구명역
- 덕천역: 3호선 승강장을 통해서만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환승통로]
- 수정역: [과거]
- 화명역
- 율리역
- 금곡역: [바로타]
- 증산역
- 양산역: [시·종착]
3.2.3. 부산 도시철도 3호선
3.2.4.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없다.3.2.5. 동해선
3.3. 대구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 |
대구 1호선 칠성시장역 |
3.3.1.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3.2. 대구 도시철도 2호선
3.3.3.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없다.3.3.4. 대경선
3.4. 대전
3.4.1.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없다.3.4.2. 충청권 광역철도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없다.3.5. 광주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 |
광주 1호선 농성역 |
3.5.1. 광주 도시철도 1호선
4. 여담
부산 1호선의 경우 하행 방면으로는 동래역이 반대편 횡단이 가능한 마지막 역이다. 명륜역 ~ 노포역 구간은 9개 역 연속으로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데, 다대포항역 ~ 사하역 구간과 공동으로 전국에서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가장 많이 연속되는 구간이다. 부산 1호선은 유일하게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 횡단이 가능한 역보다 더 많은 전철 노선이다. 원래는 1호선의 온천천 구간은 동래역만 불가능했고 나머지 역들은 반대편 횡단이 다 가능하였다. 이후 동래역은 4호선이 개통되면서 환승통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 역은 역사 리모델링으로 인해 온천천 구간의 반대편 횡단 가능 여부가 전부 반대로 바뀌었다. 또한 노포역도 반대편 횡단이 가능했지만, 공영주차장과 버스터미널 등의 연결통로를 뚫는 과정에서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하게 바뀌었다. 그러나 양산선 개통 이후 다시 가능해질 예정이다.
[환승통로]
환승통로를 통한 반대편 횡단만 가능한 역이다.
[환승제한]
환승역임에도 불구하고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해 특정 방향의 환승은 개찰구를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역이다.
[과거]
과거에는 반대편 횡단이 가능했던 역이다.
[시·종착]
노선 상의
중간 시·종착역 또는
종착역이다.
[화장실]
반대편 횡단은 불가능하나,
개찰구 안에 화장실이 있는 역이다.
[바로타]
한 쪽 방면이라도
바로타 구조인 역이다.
[환승통로]
[과거]
[시·종착]
[시·종착]
[환승통로]
[환승통로]
[환승통로]
[과거]
[과거]
[과거]
[환승통로]
[과거]
[환승통로]
[환승통로]
[과거]
[환승통로]
[과거]
[과거]
[환승통로]
[과거]
[과거]
[시·종착]
[환승통로]
[과거]
[시·종착]
[과거]
[화장실]
[과거]
[과거]
[시·종착]
[과거]
[과거]
[과거]
[과거]
[과거]
[환승통로]
[과거]
[환승통로]
[환승통로]
[과거]
[환승통로]
[시·종착]
[바로타]
[환승통로]
[시·종착]
[환승통로]
[환승통로]
[환승제한]
[시·종착]
[환승통로]
[환승제한]
[환승통로]
[시·종착]
[화장실]
[바로타]
[환승통로]
[시·종착]
[바로타]
[시·종착]
[시·종착]
[환승통로]
[환승통로]
[과거]
[과거]
[과거]
[과거]
[과거]
[과거]
[시·종착]
[과거]
[과거]
[환승통로]
[과거]
[바로타]
[시·종착]
[과거]
[과거]
[환승통로]
[시·종착]
[시·종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