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리역 (사하구청) |
||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하 단 ← 0.8 ㎞ |
1호선 (103) |
노포 방면
사 하 0.9 ㎞ → |
역명 표기 | ||
1호선 |
당리 Dangni 堂里 / [ruby(堂里, ruby=タンニ)] |
|
주소 |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지하405 ( 당리동) | ||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
하단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 ||
운영 기관 | ||
1호선 | 부산교통공사 | |
개업일 | ||
1호선 | 1994년 6월 23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심도: 12.71m)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clearfix]
1. 개요
대합실 |
부역명은 사하구청으로 인근에 사하구청이 있어서 붙여졌다. 하지만, 2번과 4번 출구는 하단동에 있다.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은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이 있는 평범한 주거지역으로 조성되어 있다. 사하구청은 5번 출입구에서 안쪽으로 더 들어가야 나오니 주의. 사하구청으로 가려면 사하역이 아닌 이 역에서 내려야 한다. 4번 출구로 나가면 당리시장이 나온다.당리동의 동원베네스트아파트 방면으로 가면 승학산으로 등산할 수 있는 등산통로가 있다. 단 급격한 경사와 오르막길이기 때문에 마을버스인 사하2-1번을 타고 가야 한다. 당리역과 동원베네스트아파트를 연계한다.
4. 일평균 이용객
당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bgcolor=#f06a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12,503명 | 비고 | ||
2003년 | 11,986명 | ||||
2004년 | 11,414명 | ||||
2005년 | 10,877명 | ||||
2006년 | 9,618명 | ||||
2007년 | 9,382명 | ||||
2008년 | 9,976명 | ||||
2009년 | 9,913명 | }}}}}}}}} | |||
2010년 | 10,350명 | ||||
2011년 | 11,107명 | ||||
2012년 | 11,255명 | ||||
2013년 | 11,671명 | ||||
2014년 | 12,116명 | ||||
2015년 | 12,178명 | ||||
2016년 | 12,696명 | ||||
2017년 | 13,552명 | ||||
2018년 | 13,958명 | ||||
2019년 | 14,397명 | ||||
2020년 | 10,754명 | ||||
2021년 | 10,929명 | ||||
2022년 | 11,894명 | ||||
2023년 | 12,588명 | ||||
출처 | |||||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2020년 기준 일평균 이용객은 10,754명으로 전반적으로 수요가 저조한 사하구 안의 역들 중에서는 그나마 이용객이 많은 편이지만, 1호선 전체를 놓고 보면 역시 승객 수가 적다.
- 특이사항이 있다면 15년 전에 비해 이용객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대다수의 부산 도시철도 역들은 2000년대 초반~중반의 폭락으로 인하여 2010년대 이후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초반의 수요를 보이지 못하고, 그나마 이 당시보다 승객이 증가한 곳은 신도심 지역 또는 대규모 재개발 지역, 도심과 부도심 역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런데 당리역은 어느 곳에도 해당되지 않는데도 이 때보다 더 많은 사람이 타고 내린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 이 이유는 하단역 중앙차로가 복잡하여 넘쳐 흐르는 환승 수요가 이 역 까지 영향을 미친 것에 있다. 부산 도심에서 지하철 탄 승객들이 하단역에서 명지, 녹산 방면으로 3,58-2,520번 버스를 갈아타려는 승객들의 착석 보장을 위해 전 역인 이 당리역에서 하차해 버스로 환승하는 것을 선호하는 현상이 증가하였다.[1]
5. 승강장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
역 안내도 |
하단 ↑ | |||
하 | ㅣ | ㅣ | 상 |
↓ 사하 |
상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하단· 신평· 낫개·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하 | 남포· 서면· 동래· 노포 방면 |
역 구내에 3퍼밀의 구배가 있다.
동대신역과 마찬가지로 지하 1층 맞이방과 지상을 연결하는 엘리베이터에도 출구 번호가 붙어있다. 원래는 1~6번 출구가 모두 계단이었지만 승객 편의를 위해 기존 3~4번 출구를 엘리베이터 전용 출구로 변경했다. 특히 3번 출구는 수요를 고려했는지 엘리베이터가 2개 설치되어 있는데,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당리역 버스 정류장과 바로 연계된다. 특히 동원베네스트아파트로 가려는 버스 환승 승객들은 모두 3번 출구를 이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6. 연계 교통
- 사하구청(당리역)(정류장 번호: 10-067)
- 사하구청(당리역)(정류장 번호: 10-070)
- 부산 버스 2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3 - 신호주거단지행
- 부산 버스 16 - 엄궁행
- 부산 버스 58-2 - 강서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26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138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171 - 강서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심야1000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001[심야] - 하단행
- 사하구청(당리역)(정류장 번호: 10-068)
7. 사건 사고
2017년 2월 12일 오후 3시 23분, 당리역 200m 전방에서 환풍기가 떨어져 서대신역~ 신평역 운행이 약 1시간 가량 중단되어 모든 열차가 서대신역 착발로 타절되었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승객 150명이 선로를 통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1, #2 #3다행히 기관사가 위험을 인지하고 열차 속도를 줄여서 망정이었지 그대로 정속으로 운행했다간 하마터면 대형 참사가 발생할 뻔 했던 아찔한 순간이었다.
이 구간이 다른 곳처럼 역 사이 간격이 길었다면[4] 전동차 운행속도가 시속 60㎞ 이상으로 높아져 환풍기 붕괴사고가 더 일찍 발생하고 더 심각한 충돌사고를 냈을 수도 있다. 원인은 완벽한 인재(人災)로써 안전불감증이 가져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8. 둘러보기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다대포해수욕장 -
다대포항 -
낫개 -
신장림 -
장림 -
동매 -
신평 -
하단 -
당리 -
사하 -
괴정 -
대티 -
서대신 -
동대신 -
토성 -
자갈치 -
남포 -
중앙 -
부산역 -
초량 -
부산진 -
좌천 -
범일 -
범내골 -
서면 -
부전 -
양정 -
시청 -
연산 -
교대 -
동래 -
명륜 -
온천장 -
부산대 -
장전 -
구서 -
두실 -
남산 -
범어사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특히 58-2번의 경우 RH 시간대에 사하구청 정류장에서부터 입석이 발생할 정도로 승객들이 많이 탑승하며 기다리는 대기줄이 매우 길다. 오죽하면 58-2번 기다리는 줄까지 그려놓았을 정도. 강서공영차고지 이전이후 58-2의 하단역 단축으로 상당한 반발이 일어나 다시 환원될 정도로 당리역 환승수요가 상당히 높다.
[심야]
심야포함
[심야]
심야포함
[4]
사하-당리 간 간격은 0.9km로 평균이다. 만약
서대신역-
대티역에서 이런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돌이킬 수 없는 끔찍한 참사가 발생하였을지도 모른다. 서대신-대티 간 간격은 위쪽에
대티터널이 위치한 관계로 1.4km로 상당히 긴 편이며
서대신동 드리프트랑 다르게전동차 운행속도가 시속 80km를 넘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