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아사히 신문이 2000년 투표로 선정한 " 지난 1천년간 일본 최고의 문인"의 리스트이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나쓰메 소세키 | 무라사키 시키부 | 시바 료타로 | 미야자와 겐지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마츠오 바쇼 | 다자이 오사무 | 마쓰모토 세이초 | 가와바타 야스나리 | 미시마 유키오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아리시마 타케오 | 무라카미 하루키 | 엔도 슈사쿠 | 세이 쇼나곤 | 요사노 아키코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모리 오가이 | 요시카와 에이지 | 오에 겐자부로 | 무라카미 류 | 이시카와 다쿠보쿠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다니자키 준이치로 | 이노우에 야스시 | 미우라 아야코 | 아베 코보 | 다카무라 고타로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후지사와 슈헤이 | 시마자키 도손 | 나카하라 츄야 | 고바야시 잇사 | 세리자와 고지로 | |
31위부터는 링크 참조. |
<colbgcolor=#000><colcolor=#fff> 다자이 오사무 [ruby(太宰治, ruby=だざい おさむ)]|Osamu Dazai |
|||
<nopad> | |||
본명 | 쓰시마 슈지 ([ruby(津島 修治, ruby=つしま しゅうじ)]) | ||
출생 | 1909년 6월 19일 | ||
일본 제국 아오모리현 키타쯔가루군 가나기촌[1] | |||
사망 | 1948년 6월 13일 (향년 38세) | ||
일본 도쿄도 기타타마군 미타카정[2] | |||
직업 | 소설가, 사회운동가[3] |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학력 |
카나기제1심상소학교 (졸업) 아오모리중학교 (졸업) 히로사키고등학교 (졸업) 도쿄제국대학 문학부 ( 불문과 / 중퇴) |
|
묘소 | 도쿄도 미타카시 젠린지 | ||
신체 | 175cm[4] | ||
부모 |
아버지 쓰시마 겐에몬[5] 어머니 쓰시마 다네 |
||
아내 | 쓰시마 미치코 (1938년 결혼) | ||
자녀 |
장녀 쓰시마 소노코 장남 쓰시마 마사키 차녀 쓰시마 유코 삼녀 오오타 하루코[6] |
||
장르 | 소설 | ||
등단 | 열차 (1933) | ||
대표작 | 달려라 메로스, 인간실격, 사양 |
[clearfix]
1. 개요
|
恥の多い生涯を送って来ました。 自分には、人間の生活というものが、見当つかないのです。
부끄럼 많은 생애를 보냈습니다. 저로서는, 인간의 삶이라는 것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 인간실격」 中[7]
부끄럼 많은 생애를 보냈습니다. 저로서는, 인간의 삶이라는 것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 인간실격」 中[7]
오다 사쿠노스케, 사카구치 안고와 함께 전후 무뢰파(無賴派)를 대표하는 일본의 소설가. 1909년 아오모리현 가나기촌(현 고쇼가와라시)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쓰시마 슈지([ruby(津島 修治, ruby=つしま しゅうじ)])이다.
위키에 따르면, '다자이 오사무'라는 필명을 쓴 까닭은 본명인 '츠시마 슈지'를 그가 태어난 고향인 아오모리현 키타츠가루(北津軽) 지방 사투리로 읽었을 때 '지시마 슈우지'라고 읽히지만[8] '다자이 오사무'라는 필명은 츠가루 사투리로 읽었을 때도 똑같이 '다자이 오사무'라고 읽히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편 이름의 治(다스릴 치)는 돌림자이다. 형제들의 이름도 큰형은 분지(文治), 둘째 형 에이지(英治), 셋째 형 케이지(圭治), 동생 레이지(礼治)... 이런 식이기 때문.
2. 생애
2.1. 어린 시절
|
쓰시마 가문 가계도 표에서 나온것과 달리 쓰시마 슈우지는 사남[9]이다. |
쓰시마 가문은 현재도 아오모리를 기반으로 일본 국회에 진출해 있는데, 쓰시마 겐에몬, 다자이의 형 쓰시마 분지, 다자이의 사위 쓰시마 유지를 거쳐 현재는 다자이의 외손자인 쓰시마 쥰(津島淳)이 아오모리현 제1구 중의원 의원을 역임하고 있다. 쓰시마 겐에몬의 화려한 저택은 잘 보존되어 다자이 박물관 '사양관'으로 쓰이고 있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일본 문학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의 엄청난 부자 가문에서 태어난 소설가다.[10]
다자이 본인에 따르면 쯔시마 가문은 빈농으로 살다가 증조부 때부터 고리대금업으로 가문이 흥했다고 한다. 다자이는 자신의 이런 집안 내력과 풍요로운 현실을 탐탁지 않게 여겼고, 이는 훗날 그의 인생을 파격적인 방향으로 이끈다.
아버지 겐에몬과 어머니 다네 사이에서 태어난 11남매 중 열째로, 6남이었으나 첫째, 둘째 형은 요절해 사실상 4남으로 자랐다. 그 외의 형제로는 3명의 형, 4명의 누나와 3살 연하의 유일한 동생(17세에 요절)이 있으며, 증조할머니, 할머니, 고모와 사촌 누이 4명, 하녀를 포함한 30명에 달하는 대가족 속에서 자라났다. 이 중 3~8살 때까지 다자이를 돌봐 준 14살의 유모 타케는 <추억>이라는 작품에 등장하기도 한다.
1916년 가나기 제1진조소학교에 입학했다.
1920년 증조모가 별세했다.
1922년 소학교를 졸업하고 메이지 고등소학교에 입학하는데, 이 학교에서 고향 친구들을 많이 사귄다. 이 시절 친구들은 소설 <친우교환>에 등장한다. 중학교에 바로 가지 않은 것은 수석으로 졸업했음에도 다자이의 학업성적을 걱정한 아버지가 학력을 보충하기 위해 지방 사무조합에서 운영하던 학교에 입학시켜 1년 동안 다니게 하였기 때문이다. 그는 재학 중 친척이었던 담임 선생님으로부터 방과 후에는 국어, 산술 등의 과목을 개인 지도받기도 했다.
1923년 아오모리현립 아오모리 중학교에 입학했고, 같은 해 아버지가 향년 53세로 별세했다. 성적은 모든 과목에서 우수했다. #
1925년 3월 '아오모리 교우회지'에 발표한 <마지막 섭정>을 시작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다. 친구들과 함께 동인지 <성좌>, <신기루>를 창간했고, 본격적으로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1926년에는 큰형, 셋째 형과 함께 잡지 <아온보>를 창간하기도 했다.
1927년 중학교 4학년을 마치고 히로사키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인간실격의 주인공 오바 요조 역시 중학교 4학년을 마치고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다만 요조는 아버지의 뜻으로 고등학교에 진학했지만 다자이의 아버지는 이 시기에 이미 고인이 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무렵 이즈미 교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문학에 심취했으나 같은 해 7월 아쿠타가와가 자살하자 큰 충격을 받아 학업을 포기하고 화류계에 입문할 생각으로 기다유(義太夫)를 배운다. 겐로쿠 시대에 다케모토 기다유(竹本義太夫)가 시작한 조루리의 한 파로 대가 굵은 샤미센을 사용했다. 기다유를 배우고 요정에 출입하며 우울하게 지내다가 15세의 게이샤 오야마 하츠요(게이샤로서의 이름은 베니코)를 만났다.
1928년 동인지 <세포문예>를 창간했고, 본명에서 한자만 바꾼 辻島衆二(쓰시마 슈지)라는 이름으로 <무간나락>이라는 작품을 발표하였다. 이 때 동인으로 가담한 이소노가미 겐이치로(石上玄一郞)의 영향으로 마르크스주의를 접하게 되어 프롤레타리아 문학에 심취했으나 자신의 사회적 계급에 절망한 다자이는 1929년 12월 안정제의 일종인 칼모틴을 과다 복용하여 자살을 시도했다. 다자이의 형도 좌익 운동에 가담했다가 사망했다.
1930년 히로사키 고등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도쿄제국대학 불문학과에 입학했다. 하지만 사실 프랑스어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단지 프랑스 문학을 동경해서 지원한 것이었다. 또 당시 일본 대학교 1학년 과정은 오늘날 대학교의 2~3학년 수준에 해당했다. 여기엔 당시 일본 교육제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 시절 고등학교는 유럽 김나지움(예비대학교)[11]에 해당하는 것이었기에, 오늘날 대학 교양 수준(1학년~2학년)의 수업이 진행되었고, 대학은 입학하자마자 대학 전공 수업이 진행되었다. 다자이 오사무가 나온 히로사키 고등학교가 종전 후 히로사키 대학으로 바뀐 것이 그 예다. 오늘날의 도쿄대 교양학부는 구제 일고(一高)의 후신이다. 결국 학업에는 적응하지 못하고 좌익 운동에 깊이 가담한 나머지 수업에는 거의 나타나지도 않았다고 한다.
이 무렵 다자이는 반제국주의 학생 연맹에 가입하고, 자신의 집을 근거지로 하여 조직의 기관지를 인쇄하거나 중앙 위원회 회의 장소로 제공하는 등 적극적으로 좌익 활동을 했으며 직접 전단을 살포하거나 모금 운동을 하기도 하였다. 결국 유급을 거듭한 다자이는 출석 일수 부족으로 제적 처분을 받았다. 이때 "교수님들 이름을 한 명이라도 말할 수 있으면 제적시키지 않겠다"는 농담 같은 제안을 들었으나 한 명도 말하지 못해서 결국 제적되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제적 심사가 아니라 졸업 시험이라는 얘기가 있으나 이는 거짓이다. 정확히는 졸업 시기에 있었던 구두 시문이다.
이 무렵 그에게 큰 영향을 끼친 이부세 마스지를 만났고, 1930년 11월 카페 여종업원 타나베 시메코(田部シメ子, 가명 타나베 아쯔미라)와 가마쿠라의 고유루기곶에서 바다에 투신하여 동반 자살을 시도했지만 시메코만 죽고 다자이는 살아남아 자살방조죄로 체포되었으나 기소유예로 석방된다. 이 때의 경험은 그의 소설 < 인간실격>, <어릿광대의 꽃>에서 묘사된다. 두 작품 주인공의 이름도 '오오바 요죠'로 같다. <인간실격>에서 시메코 역할을 하는 여성의 이름은 발음이 비슷한 '츠네코'이다.
1931년부터 오야마 하쯔요와 동거를 시작했고, 슈린도(朱麟堂)라는 이름으로 정형시 하이쿠를 짓는 데 골몰하면서 계속 좌익 운동에 가담했으나 1932년 돌연 심경의 변화를 일으켜 경찰에 자수하였다. 그의 고향 집까지 경찰이 찾아와 가족들이 그의 좌익 활동 사실을 알게 되자 당시 현의원이었던 맏형이 분노하여 “아오모리 경찰서에 출두하여 좌익 운동에서 이탈할 것을 서약하지 않으면 송금을 중단하고 모든 인연을 끊겠다”는 편지를 보냈기 때문. 하지만 이런 자신의 행동에 깊은 자기혐오를 느꼈다고 한다. 이 시기 <추억>을 집필하기 시작하였다.
2.2. 작가 데뷔 이후
1932년 이후 다자이는 소설가로 본격적인 행보를 보이며 1933년 단편 소설 <열차>를 발표했다. 이 때 처음으로 '다자이 오사무'라는 필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소설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에 대한 다자이의 존경심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후 1933~1934년에 걸쳐 동인지에 여러 작품을 발표하면서 문우들과 친교를 맺는다.1935년 소설 <역행>을 발표하며 미야코 신문사 입사 시험에 응시했으나 낙제했고, 두 자살과 같은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35년은 다자이의 인생에서 여러모로 파란만장한 해였다. 맹장염이 복막염으로 발전하는 바람에 3개월 동안 병원에서 요양했고, 진통제로 사용한 파비날에 중독되었으며 그 해 처음으로 만들어진 아쿠타가와 상의 후보로 올랐으나 2위로 낙선했다. 이후에도 끝내 이 상을 단 한 번도 수상하지 못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이 시기 작품 활동은 더욱 활발해져 첫 작품집을 내기도 했으나, 파비날 중독이 재발하여 병원에 두 번이나 입원하기도 했다. 퇴원 후에도 약물 중독 증세가 더욱 심해지자 걱정하던 이부세 마스지와 주위 동료들은 ‘결핵을 치료하기 위한 요양’이라 속이고 그를 무사시노 병원의 정신 병동에 입원시켰다. 그는 한 달 후에 완치한 후 퇴원했는데, “나를 인간으로도 생각하지 않는 모양이다. 나는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고 말았다”고 했을 정도로 깊은 정신적 상처를 받았다. 이 경험은 이후 < 인간실격>의 결말을 통해 묘사된다.
1937년 오야마 하츠요가 자신이 입원한 동안 집안 친척 코다테 젠시로(小館善四郎)와 불륜을 저질렀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을 받아 타니가와 온천(谷川温泉)에서 하츠요와 함께 칼모틴을 복용하여 동반 자살을 시도했으나 역시 미수에 그친다. 이 경험 역시 < 인간실격>에서 묘사되었다. 이후 잠시 절필했으며, 귀경 후 하츠요와 결별했다. 오야마 하츠요는 1944년 중국 칭다오에서 향년 32세로 사망했다.
1938년 친구의 소개로 야마나시현 미사카 고개에 있는 텐가차야를 방문해 3개월 간 머물렀다. 그곳에서 이부세 마스지에게 코후시 출신의 이시하라 미치코(고등학교에서 지리와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를 소개받아 결혼했다. 결혼 후 아내의 고향인 코후시에 정착한 다자이는 정신적으로 안정되어 많은 작품을 창작했고, 밝은 분위기의 작품도 많아졌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 일본 교과서에도 실린 국민 소설 달려라 메로스가 있다.
1941년 6월 장녀 소노코가 태어났고, 11월 징집 영장을 받았으나 흉부 질환으로 면제받았다. 태평양 전쟁 중에도 집필을 계속했는데,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츠가루(津軽)>가 있다. 자신의 고향을 여행하며 쓴 기행문 형식의 이 소설은 문학적으로도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앞 문단에서도 언급된 소설가이자 평론가인 사토 하루오는 '다른 모든 작품을 없앤다고 해도 <츠가루> 하나만 있으면 그는 불멸의 작가 중 한 사람이다' 라고 평하였다.
비록 면제를 받았으나 다자이도 전쟁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1942년에는 <불꽃놀이(후에 <일출 전>으로 개제)>를 발표했으나 시국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전문 삭제 명령을 받았고, 1943년에는 <종달새의 소리>를 완성했으나 검열 우려로 인해 출판이 연기되었으며, 1944년에 출판했으나 인쇄소가 공습을 당해 출판 직전의 책들이 몽땅 소실되었다. 다행히 교정판이 남아 있어서 1945년 <판도라의 상자>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이 시기 다자이는 치열한 작가 정신으로 창작에 매진하며 다양한 시도를 했으나 시대 상황으로 인해 절망과 좌절을 거듭하며 작품 발표를 거의 하지 못하는 등 슬럼프에 빠졌다. 도쿄 대공습 때 가족들을 모두 처가로 보내고 혼자 도쿄에 남았다가 집이 파괴되는 바람에 뒤늦게 처가로 피난했고, 3개월 후 처가도 공습으로 전소되어 다자이의 고향으로 피난하기도 했다.
종전 후 1946년 한 해 동안 15편의 작품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했고, 몰락한 화족의 이야기를 다룬 1947년작 장편 소설 < 사양>이 베스트 셀러에 올랐다.
1948년 다자이에게 불후의 명성을 안겨 준 자전적 소설 < 인간실격>과 <앵두(桜桃)>를 집필했다. 여담으로 다자이 오사무의 기일을 일본에서는 '앵두 기일'로 부른다고 한다. 그러나 같은 해 다자이는 타마가와 상수로(玉川上水)에서 내연녀 야마자키 토미에와 투신하여 동반 자살했다. 자살 동기에 대해서는 무수한 추측이 난무했는데 내연녀와의 문제 때문이라는 설, 아내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이 다운증후군이기 때문이라는 설 등이 횡행했지만 정확한 사유는 알 수 없었다. 과거에 야마자키가 게이샤였던 것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고는 하지만 실상은 아무도 모른다. 청산가리 음용 후 투신했다는 소문이 돌아 상수로 수질 검사가 시행되기도 했다. 6월 13일에 투신했고 6월 19일에 시신이 발견되었는데, 공교롭게도 이날은 다자이의 39번째 생일이었다. 다자이의 시신을 수색하는 기간 동안에는 하염없이 비가 내렸다고 한다.
동료 작가 사카구치 안고는 다자이의 죽음을 가장 빨리 안 사람 중 한명으로, 알고 지내던 기자를 통해 신문이 나오기 전보다 일찍 알아버려 매스컴을 피해 잠시 행방을 감춘 적이 있었다. 그때 방문하는 기자들 편으로 두고간 편지가 신문 발행일보다 일러서, 다자이와 내연녀가 사실 살아있고 안고가 어딘가에 두사람을 숨겨둔 것이 아닌가 하는 소동이 일기도 했다. 또한 추리소설 작가이기도 했던 안고는 다자이가 남긴 유서 문체가 엉망인 것을 근거로, 당시 다자이가 술에 만취한 상태로 혼자서 자살이니 뭐니 감행할 상태가 아니었지만 제정신이 아닌 상태로 내연녀에게 꼬드김 당해서 동반자살당한 건 아닌가 추측했다.
유작은 <굿바이>가 되었다. 아사히 신문에 연재 중이던 소설이었는데 13화까지 쓴 상태였다고 하며[12], 결국 미완성으로 남게 되었다. 그러므로 죽기 전 완성한 마지막 작품은 < 인간실격>이 된다.
묘소는 도쿄도 미타카시 젠린지에 있는데, 다자이의 생전 바람에 따라 모리 오가이의 묘소 맞은편 오른쪽에 다자이의 묘소가 마련되었다.[13]
3. 미시마 유키오의 디스
생전 무려 다섯 차례의 자살 시도 끝에 마지막 시도가 성공하여 요절한 탓에 무겁고 우울한 작가로만 알려져 있지만 의외로 유머러스한 작품들도 여러 편 썼다. <오토기조시(お伽草紙)> 그런 대표적인 경향의 작품이다. 원작은 무로마치 시대에 나온 일본의 설화집이다.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은 일본 전쟁 중에 방공호 속에서 아버지가 어린 아들에게 '혹부리 영감님'이니 '우라시마 타로' 같은 일본의 오래된 옛날 이야기를 다룬 그림책을 읽어 주면서 머릿속에서는 그 이야기를 자기 멋대로 변형시켜서 독자들에게 보여주고 있다는 구성이다.이 때문에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을 싫어했던 미시마 유키오는 "그럼 다자이가 쓴 <오토기조시>를 부정해봐라"라는 지적에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는 일화를 전한다. 미시마 유키오도 처음에는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허구의 방황-다스 게마이네(虚構の彷徨, ダス・ゲマイネ)>를 읽고 그를 높이 평가했고 <사양>도 대단히 높게 평가했지만 후에 이 소설에 나오는 몰락 화족의 언행이 비현실적이라고 다자이까로 돌변했다.
예를 들어 <사양>의 주인공은 기품 있는 귀족가문 출신이지만 사용하는 말은 귀족의 일본어가 아닌데, 귀족 출신 엘리트 코스를 밟아왔고 언제나 사전 자료조사에 철저한 미시마가 보기엔 어떻게 보였을까? 이후 다자이와 만날 기회가 있었는데 면전에서 "당신의 문학은 싫습니다"라고 까버렸다. 미시마가 이 발언을 할 때는 당시 젊은 문인들이 나름대로 문단의 거목으로 대접받던 다자이에게 단체로 인사를 갔을 때였는데, 이 말을 들은 다자이는 잠시 동안 아무 말도 못하고 미시마를 바라보다가 "그래도 역시 좋아하니깐 여기 온 거겠지"라고 얼버무렸다. 이후 기회가 있을 때마다 다자이를 까는 데 힘을 기울였다. 다자이를 비판하는 글을 쓰면서 우선 그의 외모부터가 마음에 안 든다고 언급하는등 인신공격도 서슴치 않았는데, 심지어 다자이가 자살하자 "그런 개같은 성격이 문제라서 그 인간은 자살한 거다. 냉수마찰이나 기계체조 같은 규칙적인 생활을 했으면 자살했을 리가 없다"라고 거의 폭언 수준의 발언을 쏟아내며 신나게 조롱했다. 정작 미시마 본인도 할복 자살했다. 그것도 아주 처참한 과정과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문학 평론가들이나 심리학자들은 이런 미시마의 다자이 디스에 대해 " 미시마의 내면에는 다자이와 비슷한 부분이 있어서 더 격렬하게 깐 거다"라는 평을 하고 있다.
1968년에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에서 있었던 강의에서 "나는 다자이와는 더욱 더 대조적인 방향을 향하려 하는데, 그것은 아마 내 안의 어딘가에 다자이와 같은 부분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더욱 분발해서 그와는 반대되는 쪽으로 가는 것이겠지요."(「학생과의 티치인 - 국가 혁신의 원리」)라고 발언하거나, 무라마쓰 다케시(村松剛)나 출판사 『신초(新潮)』의 편집자에게 자기 스스로를 "다자이와 같다"는 취지의 발언은 그가 자신의 내면을 인식하였음을 보여준다. 정신분석학에서 자기 내면에 어두운 모습을 그림자라고 부르고 이걸 부정할수록 그림자가 더욱 커진다고 하였는데 미시마가 적절한 예다.
4. 아쿠타가와상과의 악연
이 아쿠타가와 상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하면 이렇다. 다자이는 아쿠타가와를 존경하던지라 상에 나름대로 욕심이 났다. 이때 심사위원인 카와바타 야스나리의 심기를 고려해서 본래 다른 작품을 내려고 했다가 <역행>을 제출했다는 이야기는 오류이고, 아쿠타가와상의 최종 후보에 오른 작품은 <역행>이 맞으나 실제로는 <역행>과 함께 <어릿광대의 꽃>이라는 작품도 후보로 올라 있었다. 그리고 다자이의 강력한 후원자였던 사토 하루오는 <역행>보다는 <어릿광대의 꽃> 쪽을 최종 후보로서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다자이 또한 <어릿광대의 꽃>으로 아쿠타가와상 수상을 하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그러나 심사위원 중 한 명이었던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다자이의 <어릿광대의 꽃>을 다자이의 실제 생활과 연관지어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후보 작품으로 선정되는 것을 꺼렸고, <어릿광대의 꽃>은 최종 후보 작품 명단에서 제외되게 된다. 그리고 결국 이 해 아쿠타가와상은 이시카와 타츠조(石川 達三)의 <소우보(蒼氓)>란 작품이 수상하게 되었다(참고로, 최종선고 과정 때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심사회에 결석했다). 이 때문에 빡친 다자이는 "작은 새를 키우고, 무도회를 보러 다니는 것이 그렇게 훌륭한 생활인가? 찔러버릴까, 라고도 생각했었다. 악당이라고도 생각했었다..."라고 문예통신이란 잡지에서 가와바타를 공격하기도 했다.[14] 결국 다자이에 이어 가와바타 역시 친한 사이였던 미시마 유키오의 자살 이후 역시 자살하게 된다.
이런 시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자이 오사무의 강력한 후원자이자 스승격인 존재이기도 했던 사토 하루오가 아쿠타가와 상의 심사위원이었기 때문에 다자이는 1회 수상의 좌절에 굴하지 않고 이듬해인 1936년에도 제2회 아쿠타가와상의 수상을 노렸지만 1935년 10월에 발표한, 다자이의 회심의 역작 <다스 . 게마이네>는 후보에 오르지 못하고, 그해 아쿠타가와 상도 해당 작품 없음으로 결론이 나버렸다. 그리고 1936년도 상반기를 대상으로 한 제3회 아쿠타가와 상의 대상 후보에 다자이의 <만년(晩年)>이 고려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듣자, 다자이는 자존심을 접고 사토 하루오는 물론 카와바타에게까지 사정하는 편지를 보냈다. 그리고 카와바타도 "나는 예선 후보 작품을 빠짐없이 읽었다. 의구심이 가는 작품은 두 번씩 읽었다. 다자이씨의 작품집 <만년>도 이전에 읽었다. 이번에 적당한 후보 작품이 없다면, 다자이씨의 특출난 재능이 수상을 해도 좋을 것이다"라며 호의적인 반응을 비췄다.
하지만 제3회 아쿠타가와 상은 오다 타케오의 <성외(城外)>에게 돌아가고, 다자이의 아쿠타가와 상 수상은 다시 무산되어 버렸다. 그리고 당연시하던 아쿠타가와 상 수상에 거듭 좌절한 다자이가 사토 하루오와의 서간을 공개하며 자신이 떨어진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불만을 표출했고, 이에 분개한 사토 하루오도 소설 <아쿠타가와 상>에서 다자이의 둔감함을 비난, 둘은 한동안 서먹한 사이가 된다. 그리고 3회 이후 아쿠타가와 상 후보 선정의 기준이 "한 번 후보에 오른 작가의 작품은 다시 후보로 선정하지 않는다"로 확립되면서 다자이의 아쿠타가와 상 도전은 끝내 물거품이 되고 만다.
사실 위에서는 아쿠타가와에 대한 동경이라고 간단히 썼지만, 실은 좀더 복잡한 이유가 있다. 당시 다자이는 약물 중독으로 인해 불어난 빚을 청산하기 위해서라도 상금이 필요했다. 또한 자신의 지난 일들을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함으로써 명예를 회복하고픈 심정이었을 것이다. 그는 도쿄에 상경한 이후, 동반자살을 감행하였으나 자신만 살아남았으며, 가족조차 반기지 않은 화류계 여자와 결혼했으며, 비합법 활동을 하고, 대학은 수업도 듣지 않고 성적은 형편없으니 졸업조차 하지 못해 취직도 실패하는 등 가족들에게 민폐만 끼쳤으니까.
5. 시가 나오야와의 대립
다자이 오사무는 대표작 중 하나인 <츠가루>에서 일본의 당대 최고의 소설가 중 하나였던 시가 나오야(志賀 直哉)를 정면으로 까버렸다. 이 사람은 아쿠타카와 류노스케도 스승으로 여겼던 사람이다.일본의 어느 50대 작가에 대한 질문을 받고는 "그다지 좋지 않아"라고 그만 무심결에 답해버렸다. 최근 그 작가의 과거 작품들이 어찌 된 영문인지, 거의 숭배에 가까울 정도로 도쿄의 독서인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것 같았다. '신'이라는 묘한 호칭을 사용하는 사람도 나타나서, 그 작가를 좋아한다고 고백하는 것은 그 독서인의 취미의 고상함을 증명하는 수단이 되는 이상한 풍조마저 생겨났다. 정작 그야말로 응원이 오히려 그 사람에게 폐가 된다는 식으로 그 작가는 아주 곤혹스러워하며 쓴웃음을 짓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나는 예전부터 그 작가의 기묘한 권세를 보고 츠가루 사람의 어리석은 마음[15]에서 "천한 놈이다. 단지 운이 좋았을 뿐이다!" 라고 혼자 흥분하여 순순히 그 풍조를 따라갈 수 없었다. 그리하여 최근에 그 작가의 작품을 대부분 다시 읽어보고 '훌륭해!'하고 생각했지만 특별히 취미의 고상함은 느낄 수 없었다. 오히려 야비한 점이 이 작가의 장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그려진 세상도 구두쇠 소시민이 별 의미 없이 거드름을 피우며 상황에 따라 울고 웃는 것이다. 작품의 주인공은 자신의 삶의 방식에 대해 때때로 '양심적'으로 반성을 하지만 그런 부분은 특히 진부하고 그런 불쾌감을 주는 반성이라면 차라리 하지 않는 쪽이 좋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문학적' 미숙함에서 벗어나려고 해서 오히려 그것에 빠져버린 것 같은 좀스러움이 느껴졌다.
다자이 오사무. 서재곤 번역 『쓰가루 · 석별 · 옛날 이야기』. 문학동네, 2011 : P.60~61)
다자이 오사무. 서재곤 번역 『쓰가루 · 석별 · 옛날 이야기』. 문학동네, 2011 : P.60~61)
물론 직접적으로 이름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소설의 신(小説の神様)'이라는 별명은 이미 당대에 붙여진 별명이었기 때문에 '이 어느 50대 작가'가 시가 나오야를 가리킨다는 사실은 명백했다. 시가 나오야는 이 사건 이후 다자이 오사무를 계속해서 혹평했으며, 가쿠슈인을 나오는 등 상류층 출신이었던 시가 나오야는 다자이 오사무가 뒤에 출간한 <사양>에 나오는 몰락귀족 출신 딸의 말투가 산골마을 여중을 나온 여자의 말투와 같다면서 혹평했다. 물론 다자이도 가만 있지 않고 문예잡지 등을 통해 시가 나오야를 계속해서 디스했다.[16][17]
예를 들면 다자이가 쓴 <범인>이라는 작품을 시가는
"처음부터 너무 뻔한 이야기라서 끝까지 읽지 않아도 결말이 눈에 다 보이고 시시하더라."
라고 대놓고 깠는데, 다자이는 자신이 연재하던 평론 여시아문(如是我聞)에서
"소위 '결말'이라는 것을 꽁꽁 숨기고 숨기다가 불쑥 들이미는 것, 그것을 범상치 않은 재능이라 여기는 선배는 딱하기 그지없다. 예술은 시합이 아니다. 봉사다. 읽는 이를 상처입히지 않고자 하는 봉사인 것이다. 그렇지만
상처를 입고 기뻐하는 변태도 많기 때문에 참을 수가 없다(중략) '결말'을 피하면서 그러나 그것에 대한 암시와 흥분으로 글을 써온 것은 네 녀석 아니던가?"
라고 반박한다. 이에 대한 평가는 각자 알아서....그런데 시가 나오야는 1883년생, 다자이 오사무는 1909년생. 26세 연하로 나이도 훨씬 어린데다 당시 문단에서 그야말로 신적 존재였던[18] 시가 나오야를 거스른다는 것은 당시 문단에서 사형선고와 다름없었다고 한다. 좋게 말하면 다자이 오사무의 패기를 보여주는 것이고, 나쁘게 말하면 정신세계의 파탄을 엿볼 수 있다 하겠다.
사실 다자이와 같은 사조인 사카구치 안고나 오다 사쿠노스케도 시가의 소설을 사상도 별로고 희작성(다른 말로 하면 재미)도 없으면서 태도만 진지한 소설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나머지 두 사람 역시 그 무렵의 주류 문단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당연하다면 당연한 반응이다. 특히나 오다 사쿠노스케의 경우에는 그러한 소위 주류가 된 사람들로부터 문학성을 두고 상당히 까이고 있던 면도 있었기 때문에 더 반발심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그의 견지는 그가 쓴 평론인 <가능성의 문학>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사카구치 안고는 한 술 더 떠서 다자이가 자살한 뒤 "세간이 시가 나오야가 오다 사쿠노스케와 다자이 오사무를 죽음으로 몰아넣었다는 말을 떠들어대고 있는데, 일정 부분에서 그건 사실이다."라고까지 표현하면서 강하게 디스했다. 시가 나오야는 1948년 8월 15일에 쓴 다자이 오사무의 죽음에 관한 수필 '다자이 오사무의 죽음(太宰治の死)'에서 "나는 다자이 군이 내게 반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자연스럽게, 다소는 악의를 갖고 말하게 되었다(私は太宰君が私に反感を持つてゐる事を知つてゐたから、自然、多少は悪意を持つた言葉になつた)"고 자신이 다자이에게 악의가 있었음을 인정했고[19] "내가 하는 말이 심신 모두가 약해져 있던 다자이 군에게는 몇 배가 되어 울렸으리라. 그건... 다자이 군에게 있어서도, 내게 있어서도 불행한 일이었다(私の言った事が心身共に弱っていた太宰君には何倍かになって響いたらしい。これは…太宰君にとっても、私にとっても不幸な事であった).", "다자이 군의 심신 모두가 그리 쇠약해져 있는 사람인 줄을 알았더라면 내가 먼저 다가가 그와 좀 더 대화할 여지가 있었을 것을, 지금은 유감스럽게 생각한다(太宰君が心身共に、それ程衰へてゐる人だといふ事を知つてゐれば、もう少し云ひようがあつたと、今は残念に思つてゐる)"이라며 자신의 행동이 어른스럽지 못했음을 후회하였다고 한다. [20]
그리고 현재 일본문학계에서의 위상은 다자이 오사무쪽이 훨씬 높다. 국내에서도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은 제법 널리 알려져 있지만, 시가 나오야는 일본문학에 대해 깊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듣보잡 수준. 물론 그렇다고 해서 시가 나오야의 소설이 수준이 낮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시대를 초월한 '고전'이 될 작품이라는 측면에서 다자이 오사무쪽이 더 높이 평가받는다는 것.
6. 작품 특징
단편과 장편을 모두 잘 쓰는 걸로 정평이 나 있었고 <만원(滿願)> 같은 불과 원고지 몇 매밖에 되지 않는 엽편소설을 쓰기도 했다. <여학생>은 1인칭 시점으로 화자가 여성이라서 남성인데도 여성의 심리를 어찌 그리 잘 아냐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특정 여성의 일기를 바탕으로 써서 그런 것이라는 비판이 있기도 하다. 후대의 연구에 의하면 작문에 관심이 많았던 아리아케 시즈라는 여성이 자신이 쓴 일기를 다자이 오사무에게 보냈고, 다자이 오사무는 이 일기를 고쳐서 <여학생>이라는 작품으로 만들어낸 것이었다. 해당 일기 원본을 입수한 평론가에 의하면 소설과 일기 내용이 거의 90% 이상 일치한다고 한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다자이의 이런 도작 내지는 모작 의혹이 한두 번도 아니라는 것. 하지만 이 소설은 당시 여고생에 대해서는 소름 끼칠 만큼 세세하게 묘사하고 깔끔하게 마무리한다.한국출판사들, 민음사, 창비 등에서는 '사양' 등을 예시로 들며 그를 페미니즘적 작가로 평하기도 한다. 가까운 서점에서 민음사 또는 창비의 사양의 뒷표지를 봐보자.
쇼와 10년대(1935~45년)를 대표하는 무뢰파[21]의 선두주자로, 사카구치 안고, 오다 사쿠노스케, 이시카와 준과 더불어서 상당히 퇴폐적인 작풍의 대명사로 꼽힌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불안한 정신상태 때문이었는지는 몰라도 동시대 작가들 중에서 가장 절대자를 강렬하게 요구한 작가라는 연구도 있다. 그래서인지 성경과 기독교에 깊은 관심을 가졌고 <駈込み訴え>[22]에서는 이스카리옷 유다의 갈등을 소재로 하기도 했다.
그의 말년 작품인 인간실격은 엄청난 판매고를 기록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책 중의 하나로 꼽힌다. 또한 달려라 메로스는 일본의 국민소설로 불리며 교과서에까지 수록되었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23]
미우라 아야코의 소설인 빙점에서도 여주인공인 요오코가 자신의 어머니에게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인 ' 사양'을 예로 들며 간접적으로 그녀의 추궁을 피하는 장면이 있었다.
나츠에: 요오코, 오늘 어딜 갔었지?
요오코: 엄마, 다자이 오사무의 <사양> 읽어 보셨어요?
나츠에: 어딜 갔었는지 묻고 있잖아, 지금?
요오코: 그 책을 봤는데, 비밀이 생겼다는 것은 어른이 되었다는 증거[24]래요. 그럼 저도 이젠 어른이 된 거예요, 엄마.
요오코: 엄마, 다자이 오사무의 <사양> 읽어 보셨어요?
나츠에: 어딜 갔었는지 묻고 있잖아, 지금?
요오코: 그 책을 봤는데, 비밀이 생겼다는 것은 어른이 되었다는 증거[24]래요. 그럼 저도 이젠 어른이 된 거예요, 엄마.
미술 활동도 잠깐이지만 한 적이 있다. 그의 오랜 친우였던 일본의 미술가 히레자키 준(鰭﨑潤)과 교류하며 미술에도 관심을 가졌던 적이 있고, 그가 그렸던 히레자키의 초상화 또한 전해진다. 기독교에 관심을 가졌던 것도 히레자키의 영향으로, 2022년 어느 문학 신문 기자가 도쿄를 방문하여 특별전에 참가한 기사도 있다.
7. 여성 관계
호색한으로 유명한 인물이 결코 아니지만, 은근히 엮인 여성들이 많다. 첫 애인 하츠요(통칭 베니코), 동반자살을 시도한 타나베, 정식으로 결혼한 아내 미치코, <사양>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펜팔 친구에서 내연 관계가 되어 아이까지 얻게 된 오오타 시즈코( 인간실격에서 유일하게 실명으로 등장), 전쟁 미망인으로 알게 되어 그와 최후를 함께한 마지막 정부 야마자키 토미에까지.특히 첫 애인이었던 오야마 하츠요와의 스토리가 화려하다. 다자이는 21세 때 그녀가 고향 유지의 첩이 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마음이 동요하여 그녀를 도쿄로 데려왔다. 명문가 자제가 게이샤를 불러들였다는 소문이 고향에 퍼지면서 엄청난 소동이 벌어졌는데, "모든 친척들을 놀라게 하고 어머니에게 지옥의 고통을 맛보게 했다"고 할 정도로 충격이 컸다.
두 사람이 동거를 시작하자 어쩔 수 없이 큰형이 상경하여 “결혼은 인정하지만 집안에서 제적시키겠다”며 그들의 관계를 수락하였다. 그리하여 큰형과 하츠요는 각각 고향으로 돌아가 호적에서 이름을 빼 분가를 했고, 비로소 ‘다자이’라는 이름으로 오야마 가문에 폐백을 보냈다. 그 사이 도쿄에 남아 있던 다자이는 타나베와 만나 그녀와 동반 자살을 하려다 실패한 후 요양 차 머무르던 아오모리의 시바타 여관에서 하츠요와 약식으로 결혼식을 올렸다.
8. 작품 목록
8.1. 단편집
제목 | 발간년도 | 수록 작품 |
<colbgcolor=#fff,#1f2023> 만년 晩年 |
<colbgcolor=#fff,#1f2023> 1936년 | <colbgcolor=#fff,#1f2023> [25] |
허구의 방황 다스 게마이네 虚構の彷徨 ダスゲマイネ |
1937년 | [26] |
이십세기 기수[27] 二十世紀旗手 |
[28] | |
사랑과 미에 관해서 愛と美について |
1939년 | |
여학생 女生徒 |
[29] | |
피부와 마음 皮膚と心 |
1940년 | [30] |
추억 思い出 |
[31] | |
여자의 결투 女の決闘 |
[32] | |
도쿄 팔경 東京八景 |
1941년 | [33] |
치요조 千代女 |
[34] | |
풍문 風の便り |
1942년 | [35] |
늙은 하이델베르크 老ハイデルベルヒ |
[36] | |
여성 女性 |
[37] | |
신천옹 信天翁 |
[38] | |
후지산 백경 富嶽百景 |
1943년 | [39] |
길일 佳日 |
1944년 | [40] |
새로 쓰는 여러나라 이야기 新釈諸国噺 |
1945년 | [41] |
옛날 이야기 お伽草紙 |
[42] | |
완구 玩具 |
1946년 | [43] |
박명 薄明 |
[44] | |
원숭이 얼굴을 한 젊은이 猿面冠者 |
1947년 | [45] |
어릿광대의 꽃 道化の華 |
[46] | |
오손 선생 언행록 黄村先生言行録 |
[47] | |
오바스테 姥捨 |
[48] | |
겨울의 불꽃놀이 冬の花火 |
[49] | |
낭만 등롱 ろまん燈籠 |
[50] | |
비용의 아내 ヴィヨンの妻 |
[51] | |
광언의 신 狂言の神 |
[52] | |
여신 女神 |
[53] | |
앵두 桜桃 |
1948년 | [54] |
8.2. 장편 소설
제목 | 발간년도 | 비고 |
<colbgcolor=#fff,#1f2023> 신 햄릿 新ハムレット |
<colbgcolor=#fff,#1f2023> 1941년 | |
정의와 미소 正義と微笑 |
1942년 | |
우대신 사네토모 右大臣実朝 |
1943년 | |
쓰가루 津軽 |
1944년 | |
석별 惜別 |
1945년 | |
판도라의 상자 パンドラの匣 |
1946년 | |
사양 斜陽 |
1947년 | |
인간실격 人間失格 |
1948년 | |
굿바이 グッド・バイ |
[55] |
8.3. 기타
제목 | 발간년도 | 비고 및 수록 작품 |
<colbgcolor=#fff,#1f2023> 다자이 오사무 수상록 太宰治随想集 |
<colbgcolor=#fff,#1f2023> 1948년 | <colbgcolor=#fff,#1f2023> 작품집. 수필과 소설이 섞여있다.[56] |
여시아문 如是我聞 |
1948년 | 수필 및 평론집. |
지도 地図 |
2009년 | 초기작들을 모은 단편집. 사후에 출판됨. |
9. 평가
다자이는 일본 근대문학 특유의 문학 장르인 사소설을 나름대로 개척한 작가로 손꼽히는데, 남다른 독자성을 지닌 천재성 넘치는 작풍을 보인다. 예리하고 섬세한 감수성과 뛰어난 스토리텔러로서 천부적 재능을 타고났으며, 인간의 속성과 삶의 모습들에 대한 다소곳한 풍자를 통해 인간의 고뇌와 진실을 고즈넉하게 파헤치고 있어 때로는 잔잔한, 때로는 벅찬 감동을 안겨준다.암울한 내용에서부터 가볍고 유머러스한 작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창작을 했다. 초기 작풍은 삶에 대한 불안감이 주로 나타나 있다. 생가인 츠시마 가문에서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를 스스로의 눈으로 목격하고 자랐기에 그의 마음속에는 강자를 향한 비판과 약자를 향한 사랑이 함께 자리잡고 있었다. 동반 자살 후 죽은 여성에 대한 자책으로 작품 중에서 성서를 자주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결혼한 뒤에는 생활의 안정을 찾으면서 밝은 내용의 작품을 많이 발표하였다.
해마다 그의 생일인 6월 19일에 그를 추모하는 '앵두기'가 묘소 앞에 개회될 정도다. 심지어 다자이의 제자인 타나카 히데미츠는 그의 무덤 앞에서 자살하기도 했다. (참고자료 ①2014년 열림원 출판, 단편집 <달려라 메로스>의 역자 전규태의 후기 겸 해설. ②2005년 도서출판 하늘연못 출판, 작품집 <여자의 결투>의 김성수 해설.)
10. 한국어 번역
다자이 오사무는 일본 근대 문학 작가들 중 한국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작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작품들은 한국어로 활발하게 번역되어왔다. 특히 대표작인 인간실격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번역본만 해도 10여 종에 달한다.2023년에는 교보문고에서 가장 많이 팔린 고전으로 다자이의 인간실격이 선정되기도 했다. 한국 독자들은 인간실격에 ‘난해하다’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건지 잘 모르겠다’ 는 등의 평가를 하기도 하지만 그 이름의 유명세는 무시할 수 없는 듯 하다.
2014년 12월, 출판사 도서출판b에서 다자이 오사무 전집을 전 10권으로 완간하였다. 다자이 오사무는 자신의 고향에 대한 기행문 형식의 소설인 쓰가루를 비롯해, 어복기(魚服記) 등 츠가루 사투리를 쓰는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을 몇 편 썼는데, 다자이 오사무 전집에서는 츠가루 사투리를 모두 전라도 방언으로 번역했다.
소설가 김승옥이 기획한 다자이 오사무 컬렉션도 있는데, 이쪽은 전집은 아니고 선집이다. 현재 단편집 두 권과 '사양'이 나와 있다. 이 번역집은 사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중간중간 문장이 삭제되어 있는 부분도 있고 존댓말이 반말이 된다거나 아예 오역인 부분도 있다.
11. 매체에서
- 푸른 문학 시리즈에서 인간실격, 달려라 메로스 등의 대표작이 애니메이션화되었다.
- 모에화
- 2013년 문호 스트레이독스 - 다자이 오사무
- 2016년 문호와 알케미스트 - 다자이 오사무
- 2017년 뱀파이어 로맨스 - 다자이 오사무
-
2019년
이세계 실격 -
선생
본명은 나오지 않지만 인간 실격과 일치한다. 주인공이 삿쨩이라는 여성과 동반자살을 기도했다가 이세계 당첨 트럭에 치여서 이세계로 전송되었다. 체력도 마력도 1뿐에, 어째서인지 맹독 속성[57]이다.[58] - 달이 아름답다라는 일본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아즈미 코타로 라는 캐릭터가 자주 언급하는 인물 중 하나이다.
12. 기타
자녀로는 아내 미치코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1941년생 장녀 소노코와 1944년생 아들 마사키(10대에 요절), 1947년생 차녀 사토코, 그리고 같은 해 오오타 시즈코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 하루코가 있다.이 중 사토코는 '츠시마 유코'라는 필명으로 유명 작가가 되었으며, 한국어로도 여러 작품이 번역되어 있다. 사토코는 2016년에 별세했다.
2000년 아사히 신문에서 '지난 1000년 간 일본 최고의 문인은 누군가?'라는 설문 조사에서 7위를 기록했다. 1위는 나쓰메 소세키, 2위는 무라사키 시키부, 3위 시바 료타로, 4위 미야자와 겐지, 5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6위 마쓰오 바쇼, 7위 다자이 오사무, 8위 마쓰모토 세이초, 9위 가와바타 야스나리, 10위 미시마 유키오였다. #
NMB48의 첫번째 정규앨범 てっぺんとったんで!의 수록곡 중 하나의 제목이 太宰治を読んだか?(다자이 오사무를 읽었는가?)이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장남인 아쿠타가와 히로시[59]가 다자이 오사무를 굉장히 존경했다. 1946년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 ‘신햄릿’의 상연 허가를 받으러 다자이를 방문했던 아쿠타가와 히로시의 회상에 따르면, 자기소개를 하자 다자이는 “아쿠타가와라면 ‘그’ 아쿠타가와가 맞느냐”며 수줍어하면서도 정말 좋아했고 자기 작품을 무대에 올리는 일에 쾌히 허락해 주었다. 다자이 오사무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를 무척 존경했던 것을 생각하면 묘한 인연. 다만 해당 작품의 상연은 여러 가지 사정으로 불발되었다고 한다.
키가 굉장히 컸던 것으로 추정된다. 상술한 아쿠타가와 히로시의 회상에 따르면 본인의 키가 171cm였는데, 다자이 오사무는 자기가 올려다봐야 할 정도로 키가 컸다고 한다. 다자이 본인은 자신의 키가 174에서 175cm라고 했다는데, 171cm가 올려다봐야 할 정도면 그 정도 키라고 보기는 어렵고 180cm를 넘었을 수도 있다.
얼굴 크기에 열등감이 있었다. 다자이 오사무의 수필 <용모>를 보면, 원래도 큰편이던 자신의 얼굴이 한층 커진것 같다고 하며 얼굴 크기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미남이란, 얼굴이 작고 이목구비가 잘 모여 있는 사람을 말한다. 얼굴이 엄청 큰 미남이란, 실제로 그다지 예가 없는 듯하다. 상상하기조차 어렵다."
[1]
현 고쇼가와라시. 1920년, 정(町)제도 시행. 이후 2005년, 카나기정, 시우라촌이 (구)고쇼가와라시와 합병해 고쇼가와라시가 되었다.
[2]
현 미타카시. 1950년 시(市)제 시행으로 군에서 이탈.
[3]
초기엔 사회주의 운동에 투신했으나, 후에 가족들의 강요로 중단했다.
[4]
당시 굉장한 장신이었으며, 현 일본 성인 남성의 평균 신장보다도 큰 키다.
[5]
혼전성은 마츠키. 처가인 쓰시마 가의 데릴사위였다.
[6]
불륜 관계인 오오타 시즈코 사이에서 낳은 딸이다.
[7]
흔히 첫 문장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정확히 말하면 「인간실격」 중 '첫 번째 수기'의 첫 문장이다. 작품의 서술 순서로 볼 때에는 사실상 첫 문장이기는 하다.
[8]
한국으로 치면
경상도 사투리에서 '송병철'이라는 이름이 된 발음으로 가운데 '병' 자가 '병'와 '비응'의 중간 발음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는 것과 비슷하다.
[9]
정치인들만 따지다 보니 저렇게 된 것이다.
[10]
이러한 부에 견줄 만한 대상으로는
미시마 유키오 정도를 꼽을 수 있다.
[11]
영국식 표현으로는 college다. 김나지움은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같은 도이치계들이 쓰던 표현.
[12]
하필 투신한 날도 13일이라 이런저런 말이 나오기도 했다.
[13]
다자이의 묘지를 방문할 생각인 한국 독자들이 있다면 미리 일러두는데, 이곳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공동묘지 안쪽으로 들어가는 길도 잘 보이지 않게 되어있고 묘지가 있다고 나타내는 푯말도 잘 보이질 않는다. 주변 현지인들에게 물어봐서 대답을 듣고 찾으려고 해도 일본어 실력을 떠나서 말로만 듣고 찾기가 어렵다. 비슷해 보이는 절이 두개가 붙어있기 때문…
[14]
카와바타 본인은 시크하게 "쓸데없는 망상 좀 하지 마라. 본인의 불안정한 사생활에 대한 지적마저도 듣기 불편한 소리로 들렸다면 내 단호히 취소하겠다"며 받아쳤지만.
[15]
작중에서 츠가루 사람들에 대해 다자이는 "그 지역 풍습은 사람들이 어리석어서 권세 있는 사람 앞에서도 복종하거나 두려워하는 법이 없다"고 한 군담소설의 내용을 빌려, 성공한 사람이든 지위가 높은 사람이든 "저게 지가 잘나서 된 줄 아나? 천한 주제에
어쩌다 조상 잘 만나서,
어쩌다 운이 좋아서 출세한 거지, 순수하게 자기 실력만으로 이룬 게 뭐 있다고!"라고 까기 바쁘다고 묘사하고 있다. 실제로 츠가루 속에서는 현지 출신으로 지위가 높은 데다 공도 많이 세운 군대 장성도 고향을 방문하면서 일부러 수수한 옷차림으로 눈에 안 띄게 갔다는 일화가 실려 있다.
[16]
작중 인물이 귀족 출신의 여성이라면서 쓰는 말투는 어디 시골 가게 종업원 같은 말투를 쓰냐는 시가에게 다자이가 반박하기를, 하나는 시가 나오야 본인이 쓴 소설 <토끼>에서도 귀족 가문의 딸이라는 등장 인물이 "아버지도 토끼를 죽이실 수 있으세요(おとうさまは、うさぎなどお殺せなさいますの)?"라고 귀족답지 않은 상스러운 말을 쓰지 않았느냐는 것, 그리고 다자이가 황족 가운데 "요새 사양을 자주 읽고 있는데 내용이나 작중 인물의 처지가 지금 내 처지에 비추어 너무 공감이 되었다"라고 발언했다는 것 등이었다.(출처: <다자이 오사무 전집> 제10권 '여시아문') 다자이의 말을 신뢰한다면 현실에서 몰락한 황족들이나 화족 입장에서는 사양을 읽으면서 주인공 여성(몰락 귀족)이 시골 촌뜨기 같은 말투를 쓰든 귀족 같은 말투를 쓰든 다자이가 다룬 전체 내용에 비추어 보면 작품 전체를 흔드는 대단한 오류랄 것도 없는 '사소한 문제' 정도로 취급하고 "작가가 귀족 출신도 아닌데 이 정도야 모를 수도 있지" 정도로 넘어간 모양.
[17]
토끼를 죽이실 수 있으세요 운운한 것은 다자이는 시가의 소설 '토끼'라고 했지만 실은 그것은 시가의 소설이 아닌 수필로, 시가의 딸인 기미코(貴美子)가 토끼를 기르는 문제에 대해 시가에게 「기르게 되면 아버님에게 반드시 죽게 될 수밖에 없을 걸요(飼ってしまえばお父様屹度お殺せになれない)」라고 한 말을 다자이가 잘못 인용한 것이었다. 나중에 시가는 「여시아문」의 해당 대목을 읽은 기미코에게 「죽이지 않았으니 전혀 이상할 거 없다」(お殺せにならないで少しも変じゃない)라고 달랬다고 한다.
[18]
다자이가 평생의 롤모델로 삼았던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시가 나오야의 소설을 아쿠타가와 자신의 이상으로 삼았으니 말이 더 필요할까.
[19]
이것도 어느 정도는 다자이에게도 책임이 없다고 할 수도 없긴 하다.
[20]
물론 시가 나오야가 쓴 이 글에 대해서는 다자이의 죽음과 관련해 자신에게 쏟아지던 비난에 대한 변명 비슷한 것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
[21]
혼미 속에 허탈함과 퇴폐를 표방한 일본 작가들의 유파.
[22]
국내에는 <직소>, <유다의 고백>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
[23]
1990년대에 장편 애니화하기도 했지만 망했다. 이후
모리미 토미히코가 리메이크를 한 바 있다.
[24]
요오꼬가 예로 든 부분은 정확히는 "다른 동물에게는 절대로 없고 사람만이 가진 것. 그건 바로 비밀이란 거예요."라는 대사다.
[25]
잎 / 추억 / 어복기 / 열차 / 지구도 / 원숭이 섬 / 참새 / 어릿광대의 꽃 / 원숭이 얼굴을 한 젊은이 / 역행 / 그는 옛날의 그가 아니다 / 로마네스크 / 완구 / 도깨비불 / 장님 이야기
[26]
어릿광대의 꽃 / 광언의 신 / 허구의 봄 / 다스 게마이네
[27]
한국에서는 「태어나서 죄송합니다」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판되었다.
[28]
광언의 신 / 허구의 봄 / 암컷에 관해서 / 창세기 / 갈채 / 이십세기 기수 / HUMAN LOST
[29]
만원 / 여학생 / I can speak / 후지산 백경 / 나태의 카루타 / 우바스테 / 황금 풍경
[30]
속천사 / 잎벚꽃과 마적 / 미소녀 / 개를 키우는 이야기 / 형들 / 멋쟁이 아이 / 팔십팔야 / 아, 가을 / 여인훈계 / 데카탕스 항의 / 피부와 마음 / 갈매기 / 늙은 하이델베르크
[31]
추억 / 다스 게마이네 / 이십세기 기수 / 푸른 나무의 말 / 후지산 백경 / 정직 노트 / 춘서 / 시정 싸움 / 혐주 / 곤혹의 변 / 낮선 사람 / 마음의 왕자 / 울적한 재난
[32]
여자의 결투 / 유다의 고백 / 고전풍 / 아무도 모른다 / 봄의 도적 /
달려라 메로스 / 젠조를 생각하다
[33]
도쿄 팔경 / HUMAN LOST / 여치 / 일등 / 실패원 / 리즈 / 맹인독소 / 로마네스크 / 거지 학생
[34]
부엉이 통신 / 사도 / 청빈담 / 복장에 관해서 / 아가씨 은어 / 치요조 / 낭만 등롱
[35]
풍문 / 신랑 / 누구 / 개를 키우는 이야기 / 갈매기 / 리츠코와 사다코 / 지구도
[36]
형들 / 사랑과 미에 관해서 / 푸른 나무의 말 / 늙은 하이델베르크 / 멋쟁이 아이 / 팔십팔야 / 추풍기 / 단편집 / 속천사 / 화촉
[37]
십이월 팔일 / 여학생 / 잎벚꽃과 마적 / 여치 / 등롱 / 아무도 모른다 / 피부와 마음 / 부끄러움 / 기다리다
[38]
생각나는 꽃 / 벽안탁발 / 암컷에 관해서 / 창세기 / 갈채 / 소리에 관해서 / 창작 여담 / 등롱 / 「만년」에 관해서 / 하루의 노고 / 다두사 철학 / 답안 낙제
[39]
후지산 백경 / 여학생 / 만원 / 유다의 고백 / 여자의 결투 /
달려라 메로스 / 그는 옛날의 그가 아니다 / 로마네스크
[40]
귀거래 / 고향 / 산화 / 수선화 / 금주의 마음 / 작가의 수첩 / 길일 / 오손 선생 언행록 / 꽃보라 / 불심암
[41]
가난의 고집 / 대력 / 사루즈카 / 인어의 바다 / 나카가와 / 의리 / 여적 / 붉은 북 / 세련된 사람 / 유흥계 / 요시노야마
[42]
혹부리 영감 / 우라시마 이야기 / 카치카치산 / 혀 잘린 참새 / 청빈담 / 지쿠세이
[43]
완구 / 어복기 / 지구도 / 원숭이 섬 / 장님 이야기 / 피부와 마음 / 여치 / 개를 키우는 이야기
[44]
작은 앨범 / 일출 / 철면피 / 도쿄니까 / 눈 오는 밤의 이야기 / 지쿠세이 / 박명
[45]
원숭이 얼굴을 한 젊은이 / 다스 게마이네 / 이십세기 기수 / 신 햄릿
[46]
어릿광대의 꽃 / 거지 학생 / 풍문
[47]
귀거래 / 고향 / 수선 / 금주의 마음
[48]
열차 / I can speak / 오바스테 / 도쿄 팔경 / 부엉이 통신 / 찾는 사람 / 치요조
[49]
겨울의 불꽃놀이 / 봄의 낙엽 / 고뇌의 연감 / 돌아오지 않는 친구에게 / 찬스
[50]
나태의 카루타 / 고전풍 / 낭만 등롱 / 화폐 / 수필
[51]
토카톤톤 / 남녀 동등권 / 친구 교환 / 메리 크리스마스 / 아버지 / 어머니 / 비용의 아내
[52]
광언의 신 / 허구의 봄 / HUMAN LOST / 갈매기 / 누구 / 청빈담 / 십오년간
[53]
미소녀 / 봄의 도적 / 아무도 모른다 / 맹인독소 / 복장에 관해서 / 아가씨 은어 / 여신
[54]
오상 / 범인 / 향응부인 / 술의 추억 / 미남자와 담배 / 메이산 / 여류 / 철새 / 가정의 행복 / 앵두
[55]
연재 도중 다자이 오사무가 자살하여 미완으로 남았다. 「인간실격」에 함께 실려 출판되었다.
[56]
시정 싸움 / 혐주 / 모르는 사람 / 미나노가와와 우자에몬 / 약자의 양식 / 용모 / 유월 십구일 / 식통 / 고쇼가와라 / 푸른 숲 / 교장 삼대 / 어느 충고 / 염천한담 / 요코즈나 / 가죽 지갑 / 텐구 / 초상화 / 예술을 싫어하다 / 바다 / 쓰가루 지방과 체호프 / 답장 / 같은 별 /
오다 군의 죽음 / 포스포레센스 / 아침
[57]
자살하려고 독약을 먹는데 죽지를 않는다. 심지어 적이었던 그레이트울프라는 늑대가 그를 죽이려고 물었는데, 바로 그의 피 속에 있던 맹독에 의해 제대로 물어뜯지도 못하고 바로 살짝 물자마자 울프 자신이 독이 퍼져 즉사한다.
[58]
게다가 중간에 나오는 팻의 이름이
메로스다. 정확히 말하면 그 요괴는 이름이 없는데, 그 세계로 온 주인공 작가가 메로스라고 이름을 지은 것이다. 주인공이 다자이 오사무를 모티프로 만든 인물이기 때문.
[59]
배우이자 연출가. 극단 사계의 이름을 지어준 사람으로도 유명하다. 1966년 NHK 대하드라마 미나모토노 요시츠네 등에 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