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f4c81><colcolor=#fff> 국제올림픽위원회 Comité International Olympique(프랑스어)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영어) |
|
설립 | 1894년 6월 23일 ([age(1894-06-23)]주년) |
본부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로잔 |
가입국 | 5개 대륙 올림픽 위원회, 206개국 |
공용어 | 프랑스어, 영어 |
위원장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토마스 바흐 |
부위원장 |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 응 세르 미앙 [[호주| ]][[틀:국기| ]][[틀:국기| ]] 존 코츠 [[틀:국기| ]][[틀:국기| ]][[아루바| ]] 니콜러 후베르츠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살리작스[1] |
사무총장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크리스토퍼 더케퍼르 |
웹사이트 | | | | | | | | |
| | | | |
[clearfix]
1. 개요
<colbgcolor=#0f4c81><colcolor=#fff> |
|
스위스 로잔에 있는 Olympic House |
하위 조직으로는 206개 회원국의 국가올림픽위원회(NOC)가 있으며[2] 올림픽에 내보낼 선수들은 이 국가 올림픽 위원회의 허가를 받은 후 국제올림픽위원회에 명단을 넘겨야 한다.
주요 업무는 4년마다 하계올림픽과 동계올림픽, 그리고 청소년올림픽을 개최하고 주관하는 것이다. 1992년까지는 하계올림픽과 동계올림픽이 같은 해에 열렸으나 그 이후부터는 2년씩 번갈아서 하고 있다. IOC 총회는 매년 열리는데, 이 총회에서 2년마다 한 번씩 7년 후(청소년 올림픽은 5년 후)의 올림픽 개최지를 결정하기 위한 투표를 한다. 이 때마다 전 세계 각국의 국가원수( 대통령, 총리 등)나 각국의 기업가들이 몰려와서 주목을 끌고 있다. 처음에는 IOC 총회에 국가원수 참여 금지를 하자는 말이 있었다. 스포츠 정신이 무색해지고 올림픽 개최마저 국가 간의 현실적인 외교전으로 변질하고 있다는 평가가 강하다. 하지만 오히려 IOC 내부에서는 국가원수의 IOC 총회 유세를 반기고 있다. 국가원수와 같은 최고위 인사들이 직접 참여하면 당연히 올림픽 개최에 대한 관심도 더욱 커지고, 이것은 상업적인 이익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2019년 개정된 올림픽 헌장에 의해 투표제 대신 IOC가 직접 도시를 지명해서 찬반투표 방식으로 바뀌었다.
최근 비용 적자 문제로 올림픽 유치하겠다는 도시가 적어지자[3] 부랴부랴 공동 개최[4] 등을 허용하는 내용의 어젠다 2020를 발표하였다. 또한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폐막 직후에 모바일, 인터넷 방송이라고 볼 수 있는 올림픽 채널을 개국시켰다.
IOC 쇼핑몰은 IOC가 의도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의 후신인 국민체육진흥공단과 KOC의 역할을 대행하는 대한체육회의 문제다. 서울올림픽이 종료되고 나서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소속 사람들은 대한체육회와 국민체육진흥공단으로 나뉘어 각자의 길을 가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마스코트 및 대회 파생 상품을 수탁, 관리하게 되는 기관이 이원화되어 관리체계가 흐트러지게 된 것이다. IOC 공식 홈페이지 쇼핑몰에는 역대 올림픽 기념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결제화폐 단위는 스위스 프랑으로만 결제되며 카드는 오로지 비자카드만 받는다.
하위 지역 올림픽위원회들이 창설한 기구에 대륙별로 아시아올림픽평의회, 유럽올림픽위원회, 아프리카올림픽위원회연합, 범아메리카스포츠기구, 오세아니아국가올림픽위원회가 존재한다.
의외로 FIA도 가입된 상태이다. 즉, 이론적으로 보면 자동차 대회도 정식 종목으로 넣을 수는 있다. 모터스포츠도 일단 스포츠이기 때문이다. 지중해 게임도 IOC의 승인으로 열리는 중이다.
참고로 기능올림픽은 IOC와 아무 관계없다.앙기모따
2. IOC 총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총회(IOC 총회)는 크게 올림픽 의회(Olympic Congress)와 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IOC Session, 이하 총회)로 나눠지며, 올림픽 의회는 올림픽 헌장을 개정하는 일이 있거나 자문을 구하는 일이 있으면 개최하도록 되어 있으며, 총회와 같이 열린다. 마지막 올림픽 의회는 제13회로 2009년 코펜하겐에서 열었다. 서독 바덴바덴에서 열린 제84회 총회 때 1988 서울 올림픽 개최가 결정되었는데, 이 때는 제11회 올림픽 의회가 열리는 중이었다.총회는 올림픽 의회 기간 중 열리거나 올림픽 대회 기간 중 열리도록 되어있다. 한국에서 열린 IOC 총회로는 1988 서울 올림픽 기간 동안에 열린 제94회 총회(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1999년에 서울에서 열린 제109회 총회(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에 열린 제132회 총회(2022년 청소년 하계올림픽이 본래 127회 총회에서 2023년으로 연기 개최하기로 했었으나 이 총회에서 그 결정을 번복, 원래대로 2022년에, 그리고 아프리카 대륙에서 개최하기로 결정)가 있다.
3. 대한민국과 북한의 회원 지위
IOC에서 개최한 과거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은 그냥 Korea로 표기하고, 북한은 DPR Korea로 기재, 대한민국이 정통 Korea인 것처럼 취급됐었다. 이건 대한민국이 먼저 IOC 회원국이 됐던 것과 관련이 있다.[5]대한올림픽위원회의 전신 조선올림픽위원회[6]가 1947년에 IOC로부터 먼저 한반도의 유일 국가올림픽위원회(NOC)로 인정을 받았다. 그래서 이를 이어 받은 대한민국(남한)이 Korea를 선점하게 된다. 하지만 북한은 1957년에야 따로 가입하게 되면서 부득이 DPR Korea로 기재하게 되었다.[7][8] 이게 이어지고 있어서 IOC 주관 대회에서 남북한이 맞붙으면 Korea 대 DPR Korea로 표기됐다. 그래서 현지의 경기 진행 요원들이나 외국의 중계진들이 헷갈려서 실수하는 경우가 은근히 자주 발생한다. 남북한끼리 안 붙어도 헷갈려서 소동이 벌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남북한끼리 붙으면 더 헷갈려 한다. 전광판에 점수를 잘못 기재했다가 잠시 경기를 중단하고 정정한다든지 등등.
다만 이런 표기는 혼란을 유발하기 때문인지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부터는 대한민국이 풀네임인 Republic of Korea로 꼬박꼬박 기재된다. 그래서 이제 Korea 대 DPR Korea라는 표기는 볼 수 없게 됐다.[9]
그냥 Korea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재등장하게 된다. 남북단일팀이 처음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 팀의 표기를 Korea로 기재하였다. 단 단일팀의 코드는 프랑스어에서 딴 COR로 써서 대한민국(KOR)과 구분한다.
3.1. 역대 대한민국 IOC 위원
<rowcolor=#fff> 순서 | 이름 | 임기 |
1 | 이기붕 | 1955년~1960년 |
2 | 이상백 | 1964년~1966년 |
3 | 장기영 | 1967년~1977년 |
4 | 김택수 | 1977년~1983년 |
5 | 박종규 | 1984년~1985년 |
6 | 김운용 | 1986년~2005년 |
7 | 이건희 | 1996년~2017년 |
8 | 박용성 | 2002년~2007년 |
9 | 문대성 | 2008년~2016년 |
10 | 유승민 | 2016년~2024년 |
11 | 이기흥 | 2019년~ |
12 | 김재열 | 2023년~ |
4. 역대 IOC 위원장
- 대체로 한번 들어오면 지속적으로 연임하는 편이다. 다만 21세기들어 8년임기에 한차례 4년 중임, 총 12년으로 임기가 못박히면서 제8대 자크 로게부터는 임기가 고정된다.
<rowcolor=#fff> 대수 | 이름 | 국적 | 임기 | 비고 |
1 | 드미트리우스 비켈라스[10] | 그리스 왕국 | 1894년~1896년 | IOC 공동 창립자 |
2 | 피에르 드 쿠베르탱 | 프랑스 제3공화국 | 1896년~1925년 | |
3 | 앙리 드 바리에 라투르 | 벨기에 | 1925년~1942년 | |
4 | 시그프리드 에드스트룀에 | 스웨덴 | 1942년~1952년 | |
5 | 에이버리 브런디지 | 미국 | 1952년~1972년 | |
6 | 마이클 모리스[11] | 아일랜드 | 1972년~1980년 | |
7 |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 스페인 | 1980년~2001년 | |
8 | 자크 로게 | 벨기에 | 2001년~2013년 | 명예 위원장[12] |
9~10 | 토마스 바흐 | 독일 | 2013년~2025년(예정) | 최초의 금메달리스트 출신( 펜싱) |
11 | 미정 | 2025년~ |
5. IOC 여성과 스포츠 트로피
<colbgcolor=#131230><colcolor=#fff> |
2019 IOC Women and Sport Awards |
Introduced in 2131230, the IOC Women and Sport Awards are given to individuals or organisations that have made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encouragement and reinforcement of women’s and girls’ participation in sport, be it access to the field of play, courtside, or in sports administration and leadership roles.
2017 만들어진 IOC 여성과 스포츠 트로피는 IOC가 매년 스포츠 발전에 기여한 여성 스포츠인에게 주는 상으로서 각 대륙별 1명씩 5명과 월드 여성과 스포츠 트로피 수상자 1명 등 6명에게 수여하고 있다. 2013 대한민국 여성스포츠 발전을 위한 포럼은
이곳에서 볼 수 있다.<rowcolor=#fff> 연도 | 월드 트로피 | 아프리카 | 아메리카 | 아시아 | 유럽 | 오세아니아 |
2017 | 비르기타 케르비넨 | 리데 안 우오바 조마 | 파트리시아 산헤니스 | 일본 여자 테니스 협회 | 안드룰라 바실리우 | 주디 오토 |
2018 | 엑자시바시 스포츠 클럽 | 레이철 무토가 | 찬드라 크로퍼드 | 사마르 나사르 | 다이나 구지네비추테 | 로런 잭슨 |
2019 | 류보춘 | 자투그베 “나탈리” 노아메시에 | 코스타리카 여성 스포츠 협회 | 사다 알이스마일리 | 모라나 팔리코비치 그루덴 | 바누아투 배구 협회 |
6. 선수 위원
자세한 내용은 IOC 선수 위원 문서 참고하십시오.IOC 선수 위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 2018 ~ 2026 |
엠마 테르호 ( 핀란드, 아이스하키) |
아스트리드 야콥센 ( 노르웨이, 크로스컨트리 스키) |
||
2020 ~ 2028 |
파우 가솔 ( 스페인, 농구) |
마야 블로츠초브스카 ( 폴란드, 사이클) |
페데리카 펠레그리니 ( 이탈리아, 수영) |
오타 유키 ( 일본, 펜싱) |
|
2022 ~ 2030 |
마틴 푸어카드 ( 프랑스, 바이애슬론) |
프리다 한스도터 ( 스웨덴, 알파인 스키) |
|||
2024 ~ 2032 |
앨리슨 펠릭스 ( 미국, 육상) |
킴 부이 ( 독일, 체조) |
제시카 폭스 ( 호주, 카누) |
마커스 다니엘 ( 뉴질랜드, 테니스) |
}}}}}}}}} |
7. IOC 공인 스포츠협회
7.1. 하계올림픽국제경기연맹연합(ASOIF)
하계올림픽종목협의회 소속 스포츠 협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제수영연맹 |
세계 양궁 연맹 |
세계육상연맹 |
세계배드민턴연맹 |
국제농구연맹 |
국제복싱연맹 |
국제카누연맹 |
국제사이클연맹 |
|
국제승마연맹 |
국제펜싱연맹 |
국제축구연맹 |
국제골프연맹 |
|
국제체조연맹 |
국제핸드볼연맹 |
세계하키연맹 |
국제유도연맹 |
|
국제근대5종경기연맹 |
세계롤러스포츠연맹 |
국제조정연맹 |
국제럭비연맹 |
|
국제요트연맹 |
국제사격연맹 |
국제스포츠클라이밍연맹 |
국제서핑협회 |
|
국제탁구연맹 |
세계태권도연맹 |
국제테니스연맹 |
국제트라이애슬론연맹 |
|
국제배구연맹 |
국제역도연맹 |
국제레슬링연맹 |
}}}}}}}}} |
- WA( 수영)
- WA ( 양궁)
- WA ( 육상)
- BWF ( 배드민턴)
- FIBA ( 농구)
- ICF ( 카누)
- UCI ( 사이클)
- FEI ( 승마)
- FIE ( 펜싱)
- FIFA ( 축구)
- IGF ( 골프)
- FIG ( 체조)
- WS (롤러스포츠)
- IHF ( 핸드볼)
- FIH ( 필드 하키)
- IJF ( 유도)
- UIPM ( 근대 5종)
- WR ( 조정)
- WR ( 럭비)
- WS ( 요트)
- ISSF ( 사격)
- IFSC ( 스포츠 클라이밍)
- ISA ( 서핑)
- ITTF ( 탁구)
- WT ( 태권도)
- ITF ( 테니스)
- WT ( 트라이애슬론)
- FIVB ( 배구)
- IWF ( 역도)
- UWW ( 레슬링)
7.1.1. 준회원
7.2. 동계올림픽종목협의회(AIOWF)
동계올림픽종목협의회 소속 스포츠협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제바이애슬론연맹 |
국제봅슬레이경기연맹 |
세계컬링경기연맹 |
국제아이스하키연맹 |
국제루지경기연맹 |
국제빙상경기연맹 |
국제스키연맹 |
7.3. 국제스포츠연맹인정종목협회 (ARISF)
- FAI (에어스포츠)
- IFAF ( 미식축구)
- FIA (자동차경주)
- FIB ( 밴디)
- WBSC ( 야구, 소프트볼)
- WCBS ( 당구)
- CMSB (불)
- IBF ( 볼링)
- WBF ( 콘트랙트 브리지)
- ICU ( 치어리딩)
- FIDE ( 체스)
- ICC ( 크리켓)
- WDSF ( 댄스스포츠)
- IFF ( 플로어볼)
- WFDF ( 프리스비)
- IFI (아이스스톡)
- WKF ( 가라테)
- WAKO ( 킥복싱)
- IKF (코프볼)
- WL ( 라크로스)
- ILSF ( 인명구조)
- FIM (모터사이클)
- IFMA ( 무에타이)
- UIAA (등산, 등반)
- WN ( 넷볼)
- IOF ( 오리엔티어링)
- FIPV (펠로타)
- FIP ( 폴로)
- UIM (파워보팅)
- IRF (라켓볼)
- WS (롤러스포츠)
- FIAS ( 삼보)
- ISMF (스키등산)
- IFSC ( 스포츠 클라이밍)
- WSF ( 스쿼시)
- IFS ( 스모)
- ISA ( 서핑)
- TWIF ( 줄다리기)
- CMAS (수중스포츠)
- FISU (대학스포츠)
- IWWF ( 수상스키)
- IWUF ( 우슈)
8. 비판 및 논란
국제 기구답게 FIFA보다 더 심하면 더 심했지 결코 덜하지 않은 부정부패를 자랑한다. 그럼에도 제대로 된 조사나 감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이다.승부조작부터 시작해서 각종 정치적, 상업적 이해관계가 오고가는 세계 각국의 뇌물판.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때부터 미국이 매수한 것을 시작으로 사실상 특정 국가[13]에 의해 사유화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2020년대에 들어서는 그나마 책임자 처벌이라도 형식적으로 이루어진 솔트레이크와는 달리 사실상 개최국을 위한 빵셔틀로 전락해 버렸다.[14]
2020 도쿄 올림픽과 연관한 논란에서 선수들의 안전을 내팽겨쳐 버리거나 정치적 중립 의무를 저버리는 모습을 보였으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도 역시 개최국 중국의 인권 탄압을 옹호하고 이에 반발하는 서구 국가들을 비난하기도 했다.
즉, 공정한 심판을 내리는 올림픽 위원회가 아닌 사실상 돈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주식회사 수준의 추태를 보이고 있다.
그 외에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러시아인 선수들을 중립국 출신 선수로 출전시키려고 하자 우크라이나는 보이콧을 감수하고 큰 반발을 하고 있고, 영국 등 일부 유럽 국가들도 반발하는 실정이다. 최소한 FIFA와 ISU는 전쟁범죄를 저지른 국가에 한해서는 엄격한 것과는 대조적인데, FIFA는 2022 카타르 월드컵 때 유럽 플레이오프 B에 편성된 러시아를 우크라이나 침공의 책임을 물어 실격 처리했고 ISU 또한 같은 이유로 러시아인 빙상 선수의 국제 대회 출전을 금지했다. 그나마 러시아인 선수들을 중립국 출신 선수가 아니라 러시아 국가대표 자격으로 출전시키던 IBA(국제복싱연맹)를 퇴출하긴 했지만 이건 토마스 바흐 위원장을 매우 높이 평가해야 할 게 아니라 그냥 IBA가 토마스 바흐 위원장 입장에서 봐도 선을 넘는 모습을 많이 보였기 때문에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한 것에 가깝다.
9. 관련 문서
[1]
7대 위원장이였던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의 아들
[2]
한국은
대한체육회가 NOC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3]
2022 동계올림픽 유치전에서 노르웨이 같은 부국도 개최 비용 문제로 인한 주민 반대가 높아 유치 계획을 포기했을 정도다.
[4]
올림픽은
FIFA 월드컵과 달리 국가 단위가 아니라, 보통 하나의 도시에서 유치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5]
경위는 다르지만 비슷하게 대한민국을 정통 Korea로 취급해주는 케이스로
만국우편연합(UPU)이 있다. 해당 문서 참고.
[6]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전에 설립되어서 '조선'이라는 이름을 썼지만 얼마 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 대한올림픽위원회로 명칭을 바꿨다. 참고로 대한체육회(조선체육회 후신)와 대한올림픽위원회는 공식적으로 별도의 조직이었지만 2009년에 대한체육회(Korea Olympic Committee)로 통합됐다.
[7]
초창기에는 North Korea였으며 뒤에 DPRK로 바뀌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아닌 북조선으로 참가한 올림픽은 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이 유일하다.
[8]
IOC의 경우 국가/지역 표기에서 핵심이 되는 명칭 앞에 수식어가 붙을 경우 그 수식어의 약칭을 그대로 앞에 써준다. 그래서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가 DPR Korea로 적힌 것. 반면
FIFA의 경우 이런 수식어는 닥치고 뒤로 보낸다. 그래서 FIFA에서 북한이 Korea DPR로 기재된다. 참고로 FIFA에서는 IOC와 달리 그냥 Korea로만 적는 경우가 없는데 대한민국은 Korea Republic으로 적는다. 역시 '국호 앞에 있던 수식어는 뒤로 보내기' 원칙이 적용된 것.
[9]
이전에
대만이 ROC를 사용하였으나
중화 타이베이의 약어인 TPE로 대체되면서, 혼란은 대폭 줄어들게 되었던 것과 같은 이유가 된다. 다만 1932, 1936, 1948년의 중화민국 팀은 족보 꼬이게 됐다. 그리고 독일 분단 기간 서독이 그냥 독일(Germany)을 사용했던 적도 있었다. 독일어권에서 열렸던
1972 뮌헨 올림픽과
1976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에서도 개최국 언어인 독일어 표기에서 동독과 서독을 DDR과 Deutschland로 하였다.
[10]
IOC 창립시에 대회 개최국 조직위원장이 차기 대회까지 IOC위원장을 겸하기로 하여 초대 개최예정국 그리스의 조직위원장 비켈라스가 IOC 위원장을 맡았으며 2회 파리 올림픽 이후 이 원칙은 깨졌다.
[11]
3대 킬라닌 남작이라 킬라닌 경으로 불리기도 한다.
[12]
Honorary President of the IOC
[13]
특히 개최국
[14]
다만 아무리 개최국이라도 IOC 핵심 인사들에게
향응을 똑바로 제공하지 못하면 얄짤없이 무시당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