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5 15:18:41

감독 대행

감독대행에서 넘어옴
1. 개요2. 대한민국의 사례3. 감독 대행 경험이 있는 인물
3.1. 현재 감독 대행을 역임하고 있는 사례3.2. 감독 대행을 맡은 뒤 해당 구단의 정식 감독으로 승진한 사례3.3. 감독 대행을 맡은 뒤 다른 구단의 정식 감독으로 취임한 사례3.4. 감독 대행은 했지만 정식 감독은 되지 못한 사례3.5. 감독을 먼저 한 후 감독 대행을 한 사례
4. 여담

1. 개요

監督代行, Caretaker manager

프로 스포츠에서 감독이 여러 사유로 팀을 떠났을 경우[1] 전임 감독의 권한과 직무를 이어받아 정식 감독이 임명될 때까지 팀을 지도하는 임시 감독을 뜻한다.

2. 대한민국의 사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권한대행/사례
,
,
,
,
,

감독 대행은 말 그대로 감독이 복귀하거나 정식 감독이 선임되기 전까지 1/2경기만 임시로 감독 역할을 하는 임시방편으로 운용되어야 하는 체제이지만, 유독 K리그나 KBO 리그 같은 한국 프로 스포츠의 경우 구단들은 새로운 감독을 선임하지 않고 코치 등을 감독 대행으로 선임해 남은 시즌을 버티려고 하는 사례가 많은데 이럴 경우 대개 시즌이 끝날 때까지 결과를 본 뒤 감독 대행이 기대 이상의 성적을 내면 그를 정식 감독으로 선임하며 반대로 이런 반전의 기미를 보이지 못했을 때가 돼야 새로운 감독을 선임한다.

감독 대행은 성적에 대한 전적인 책임에서 자유로운 편인데, 유리하게 해석할 때는 감독이 되고 불리할 때는 코치가 된다.[2] 하지만 감독 대행을 하는 것과 정식 감독의 직함 차이는 어마어마한데, 아무나 벤치의 감독석에 앉아 있으면 똑같아 보일지 몰라도 프로 무대는 감독 대행 혹은 임시 감독의 직함 아래서 지도자가 제 역량을 발휘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스포츠도 결국 여러 사람들이 한데 뭉쳐 하나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며, 갈수록 선수들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게 프로 구단의 생리인데, 감독이나 지도자, 리더가 언제 하차할지 모르는 임시직인데 선수들이 그를 바라보고 따라가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감독 대행 스스로가 자신과 선수들을 대하는 자세도 다른데, 감독처럼 으스대는 걸로 보일까봐 축구의 경우는 감독 대행 직함을 달고는 대개 구단 트레이닝복을 입은 채 벤치에 앉는 경우가 대다수이다.[3]

구단 입장에서는 팬들이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을 누군가에게 돌릴 수 없기 때문에 “지금 코치진이 선수들을 가장 잘 안다.”는 이유로[4] 감독 대행을 먼저 세워 놓은 뒤 책임에서 회피하고자 감독 대행 체제를 길게 유지하는데, 이건 구단 입장에서는 굉장히 무책임한 일이다. 감독 대행으로 오랜 기간 버티고는 있는데 감독도 아니고 코치도 아니고 그렇다고 책임을 묻기에도 어렵고 안 물을 수도 없는 애매한 상황을 자꾸 만드는 꼴이며, 몇 달씩 감독도 없이 팀을 운영한다는 건 프로로서의 자세에 어긋나며, 프로 무대에서 감독을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라는 마인드로 대하는 건 아닌지 반성해야 할 일이다.

3. 감독 대행 경험이 있는 인물

프로 리그 1군에서 경험한 사례만 수록하며 프로 2군이나 아마추어 리그는 제외한다.

3.1. 현재 감독 대행을 역임하고 있는 사례

3.2. 감독 대행을 맡은 뒤 해당 구단의 정식 감독으로 승진한 사례

3.3. 감독 대행을 맡은 뒤 다른 구단의 정식 감독으로 취임한 사례

3.4. 감독 대행은 했지만 정식 감독은 되지 못한 사례

3.5. 감독을 먼저 한 후 감독 대행을 한 사례

4. 여담

  • 대개 전임 감독의 사임 등의 이유가 아닌 이유로 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감독으로서의 자격증을 비롯한 자격 요건을 제대로 갖추진 못해서 감독 대행 타이틀을 달고 사실상의 감독 역할을 하는 사람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성균관대학교 감독 시절의 설기현.
  • 성남 FC의 경우 이미 두 차례나 감독 대행을 경질하거나 내보내고 감독 대행의 대행을 선임하는 촌극을 빚기도 하였으며, 그 결과 성남은 2016년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그래도 2019년에 승격해 1부로 다시 돌아왔다.
  • 성남 FC 대행의 대행 사태 4년 후인 2020년, 기업구단인 FC 서울 감독 대행 대행 대행이라는 한술 더 뜨는 초유의 사태를 만들었다. 최용수 감독 해임 이후 김호영 감독 대행 체제로 팀이 굴러가고 있었는데, 김호영 대행이 정식 감독 선임 문제로 구단과 갈등을 빚다가 사퇴하면서 박혁순 코치가 급하게 감독 대행으로 선임되어 남은 리그 경기를 주관했다. 그런데 이 해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AFC 챔피언스 리그가 중단되었다가 시즌 말미에 모든 경기를 카타르에서 중립 구장 체제로 소화하는 방식으로 재개되었는데, 하필 박혁순 대행은 P급 자격증을 가지고 있지 않아 아챔에서 구단을 지휘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리자 급하게 이원준 스카우터를 다시 대행으로 재선임하며 사상 초유의 대행(김호영)의 대행(박혁순)의 대행(이원준)이라는 웃지 못할 상황이 나오고 말았다.
  • 서울의 대행의 대행의 대행 사태 이후 3년 뒤 전 세계 최고 리그라는 EPL에서 토트넘이 안토니오 콘테 감독을 경질한 후 크리스티안 스텔리니를 대행으로 올렸지만 뉴캐슬전 전반 20분 만의 5실점이라는 최악의 사태를 보이고 경질되면서(…) 라이언 메이슨이 대행의 대행으로 오르는 촌극을 보이고 있다(…).
  • 박효진은 강원 한 팀에서, 비센테 델보스케 레알 마드리드 CF에서 감독 대행만 세 번을 맡았다. 다만 박효진은 정식 감독까지는 올라가지 못한 반면, 델보스케는 세 번째 감독 대행 당시의 공로를 인정받아 정식 감독으로 승격되었고 승격 하루가 지난 뒤에 치러진 99-00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으로 승격을 자축했다.
  • SBS 축구 예능 골 때리는 그녀들의 경우, 출전 정지 구단도 참여하는 SBS컵에 한해서만 기존 감독 중 랜덤한 인물이 감독 대행을 맡는다.


[1] 성적 부진으로 인한 경질이나 자진사퇴, 가정사, 질병으로 인한 요양이나 사망 등이 대표적이다. [2] 물론 모든 감독 대행들이 이렇게 무책임하게 피한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으며, 감독 대행들도 그 자리에서 늘 최선을 다 하며, 감독의 빈자리가 느껴지지 않게 열심히 한다. [3] 실제로 인천 유나이티드 FC에서 감독 대행을 해 본 적이 있는 축구 감독 김봉길은 “감독 대행은 감독이 아니다. 그냥 직함 하나 달라 보이지만 엄청난 차이가 난다. 나는 감독 대행을 하는 동안 괜히 감독이라고 으스대는 것 같아 경기장에 양복도 못 입고 나갔다.”라고 언급한 바가 있다. 단, 인천은 이기형 체제 이후로는 코치들을 임시적으로 감독 대행으로 기용하다가 정식 감독을 선임하는 등 감독 대행 체제의 장기화를 지양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4] 사실 급하게 새로운 감독을 선임하면 기존 선수단과 코치진의 스타일을 파악하는 데에 다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것도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5] 감독 당시에는 대구 오리온스 [6] 2015년부터 튀비즈의 수석 코치였다가 2017년 감독의 경질로 인해 잔여 시즌을 감독 대행 신분으로 보냈으며 시즌이 끝난 뒤 튀비즈와 결별했다. [7] 세르지오 파리아스 감독이 떠나고, 2010년 부임한 상반기 와우데마르 레무스 감독이 희대의 삽질로 경질된 이후 임시 대행 체제로 포항 스틸러스를 맡아 감독 경질 3일 후에 벌어진 AFC 챔피언스 리그 16강 전임 감독 형님과의 더비(VS 가시마 앤틀러스)에선 어수선한 선수단 분위기를 잘 수습해서 원정에서 1:0 승리를 이끌어냈다. [8] 팬들은 김사니를 감독 대행 취급하지 않는다. [9] 국민타자 이승엽은 정식 야구단의 코치 경험 없이 2023년 두산 베어스 1군 감독직에 올랐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