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6 17:19:42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TOV 방정식에서 넘어옴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 자전 주기) · 공전( 공전 주기) · 중력( 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 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 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 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 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 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 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 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 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 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상대성 이론
Theory of Relativity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2A1A5B>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colcolor=#00a0de><colbgcolor=#2A1A5B> 배경 상대성 이론/역사 · 맥스웰 방정식 · 마이컬슨-몰리 실험
기초 가설 상대성 원리 · 광속 불변의 원리 등가 원리( 중력 · 관성력)
이론 체계 시공간( 세계선 · 고유 시간 · 고유 길이 · 민코프스키 다이어그램 · 아인슈타인 표기법) · 미분기하학( 리만 다양체)
로런츠 변환( 로런츠 인자) · 로런츠 군 아인슈타인 방정식 · 힐베르트 액션
( 슈바르츠실트 계량 ·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 커 계량/커-뉴먼 계량)
현상 동시성의 상대성 · 시간 지연 · 길이 수축 · 질량-에너지 등가원리 · 상대론적 효과( 도플러) 중력 렌즈 효과 · 중력파 · 적색편이
응용 및 심화 기본 상호작용 · 상대론적 역학 ·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천체물리학( 천문학 둘러보기) · 통일장 이론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타임 패러독스 · 중력 자성
쌍둥이 역설 · 막대와 헛간 역설 · 아광속 · 초광속 · 타키온 중력자 · 블랙홀( 블랙홀 둘러보기 · 사건의 지평선 · 중력 특이점 · 양자블랙홀) · 우주론 · 우주 상수 }}}}}}}}}}}}

1. 개요2. NSE 표준모델3. 지구 밀도4. TOV 방정식5. 질량미분방정식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Tolman-Oppenheimer-Volkoff equation) 또는 줄여서 TOV 방정식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이 유체 정역학적 평형(Hydrostatic equilibrium 또는 hydrostatic balance)에서 상태방정식 또는 관계식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가][나]

1934년 및 1939년 미국의 리처드 톨먼(Richard Chace Tolman)이[3][4][나] 그리고 1939년 미국의 로버트 오펜하이머(Robert Oppenheimer)와 조지 볼코프(George Volkoff)가[다]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한계(TOV 리밋,Tolman-Oppenheimer-Volkoff limit)를 기술하면서 함께 제안되는 포스트 뉴턴 역학(post newtenian mechanics)을 기술하는 상대론적 역학(relativistic mechanics)의 일반 상대성 이론(Theory of Relativity) 방정식이다.[7][8]

2. NSE 표준모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표준 모델(Navier-Stokes equation standard model)
[math( \rho (a) = \rho g - \nabla P + \mu \nabla^2 \textbf{u} )]로부터
[math( \text{밀도(가속도) 항 = (밀도)중력항 - 압력항 + 점성(가속도)항} )]에서
가속도(항)를 0으로 놓으면 압력항과 중력항이 유체 정역학적 평형을 이루는 상태방정식
[math(x,y=0, \dfrac{\partial P}{\partial x},\dfrac{\partial P}{\partial y}=0 )]에서
[math(\dfrac{\partial P}{\partial z} = \rho g )] - (1)
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힘[math((F)= ma)]로부터
중력(F)은 [math( F= {mg} )] - (2)
g는 중력가속도이고
중력(F) = [math( G {{mM}\over{r^2}})]에서
중력 상수[math( (G) = \dfrac{Fr^2}{mM} )] - (3)
(3)에 (2) 을 대입하면
[math( G = \dfrac{mgr^2}{mM} )]
[math( G = \dfrac{gr^2}{M} )]
[math( g = \dfrac{GM}{r^2} )] - (4)
(1)에 (4)를 대입하고 [math(z)]축을 구체(sphere)의 반경 [math(r)]로 정리하면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의 기본항(terms)
[math( \dfrac{d P}{d r} = \rho \dfrac{GM}{r^2} )]를 얻을 수 있다.

3. 지구 밀도

[math(\text{밀도}(\rho)= \dfrac{\text{질량}(M)}{\text{부피}(V)} )]
따라서
[math( M= \rho V )]
지구와 같은 구체 [math( \left( V = \dfrac{4}{3} \pi r^3 \right) )]의 별(star) 질량은
[math( M = \rho \dfrac{4}{3} \pi r^3 )]이고
구체의 반경[math(r)]에서 미분방정식으로 정리하면
[math( dM = \rho 4 \pi r^2 dr)]
[math( \dfrac{dM}{dr}= \rho 4 \pi r^2 )]
질량미분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4. TOV 방정식

1934년 리처드 톨먼(Richard Chace Tolman)이 제안한 TOV방정식 초기원형
에너지-모멘텀 텐서의 특성(The nature of the energy-momentum tensor)과 완전유체의 경우에서의 일반 표현(General expression in the case of a perfect fluid)
[math( T^{\alpha \beta}_{0} = \begin{pmatrix} P^0_{xx} & P^0_{xy} & P^0_{xz} & 0 \\ P^0_{yx} & P^0_{yy} & P^0_{yz} & 0 \\ P^0_{zx} & P^0_{zy} & P^0_{zz} & 0 \\ 0 & 0 & 0 & \rho_{00} \end{pmatrix} \qquad)](0)[나]85.1 [라]53.5
아인슈타인 텐서 [math( G_{11} )]로 부터 조사되는 구형 대칭의 정적 선 요소(Static line element with spherical symmetry) 와 에너지모멘텀 텐서 미분값
[math( 8 \pi P_0 = e^{-\lambda} \left( \dfrac{\nu'}{r} + \dfrac{1}{r^2} \right) - \dfrac{1}{r^2} +\Lambda \qquad)](1)[나]95.13 [라]46.6
[math( \dfrac{dP_0}{dr} = -\dfrac{1}{2} (\rho_{00}+P_0)\nu' \qquad)] (2)[나]95.13
카를 슈바르츠실트의 외부 및 내부 솔루션(Schwarzschild’s exterior and interior solutions)[마]
[math( ds^2= -e^{\lambda}dr^2 -r^2d\theta^2 -r^2sin^2\theta d\phi^2 + e^{\nu} dt^2 \qquad)] (3)[나]96.1 [라]38.13 [마](14)
[math( ds^2= - \dfrac{dr^2}{1- \dfrac{2m}{r}- \dfrac{\Lambda r^2}{3}} -r^2 d\theta^2 -r^2 sin^2 \theta d\phi^2 + \left( {1- \dfrac{2m}{r}- \dfrac{\Lambda r^2}{3}} \right) dt^2 \qquad)] (4)[나]96.3 [라]57.8
(0)과 (1)로부터
[math( 8 \pi P_0 = e^{-\lambda} \dfrac{\nu'}{r} + e^{-\lambda} \dfrac{1}{r^2} - \dfrac{1}{r^2} +\Lambda )]
[math( \Lambda = 0 )]으로 놓으면
[math( 8 \pi P_0 = e^{-\lambda} \dfrac{\nu'}{r} + e^{-\lambda} \dfrac{1}{r^2} - \dfrac{1}{r^2} +0 )]
[math( 8 \pi P_0 = e^{-\lambda} \dfrac{\nu'}{r} + \dfrac{e^{-\lambda} -1}{r^2} +0 )]
[math( 8 \pi P_0 = e^{-\lambda} \dfrac{\nu'}{r} + \left( \dfrac{e^{-\lambda} -1}{r^2} \right) )]
[math( 8 \pi P_0 -\left( \dfrac{e^{-\lambda} -1}{r^2} \right)= e^{-\lambda} \dfrac{\nu'}{r} )]
[math( r^2 (8 \pi P_0) - r^2 \left(\dfrac{e^{-\lambda} -1}{r^2} \right) = r^2 \left( e^{-\lambda} \dfrac{\nu'}{r} \right) )]
[math( r^2 8 \pi P_0 - \left({e^{-\lambda} -1} \right) = r \left(e^{-\lambda} {\nu'} \right) )]
[math( \dfrac{1}{r}\left( r^2 8 \pi P_0- \left({e^{-\lambda} -1} \right) \right) = \left(e^{-\lambda} {\nu'} \right) )]
[math( \dfrac{1}{r}\left( r^2 8 \pi P_0- \left({e^{-\lambda} -1} \right) \right)\left( e^{-\lambda}\right)^{-1} = {\nu'} )]
[math( \dfrac{1}{r}\left( r^2 8 \pi P_0- \left({e^{-\lambda} -1} \right) \right)\left( e^{-\lambda}\right)^{-1} = \dfrac{d\nu}{dr} \qquad)] (5)
(3)과 (4)로부터
[math( e^{\lambda}= \left( \dfrac{1}{{1- \dfrac{2m}{r}- \dfrac{\Lambda r^2}{3}}} \right) )]이고
[math( e^{-\lambda} = \left( e^{\lambda} \right)^{-1})]일때 [math( e^{-\lambda} = e^{\nu} )]이다.[바]62.6
[math( \Lambda = 0 )]으로 놓으면
[math( e^{-\lambda}= \left( {1- \dfrac{2m}{r}- 0} \right) )]
[math( e^{-\lambda}= \left( {1- \dfrac{2m}{r}} \right) )]을 얻을 수 있다.(6)
(5)에 (6)을 제공하면
[math( \dfrac{1}{r}\left( r^2 8 \pi P_0 - \left( \left( {1- \dfrac{2m}{r}} \right) -1 \right) \right)\left( {1- \dfrac{2m}{r}} \right)^{-1} = \dfrac{d\nu}{dr})]
[math( \dfrac{1}{r}\left( r^2 8 \pi P_0 -\left( {1- \dfrac{2m}{r}} \right) +1 \right)\left( {1- \dfrac{2m}{r}} \right)^{-1} = \dfrac{d\nu}{dr})]
[math( \dfrac{1}{r} \left( r^2 8 \pi P_0 -1 + \dfrac{2m}{r} +1 \right) \left( 1- \dfrac{2m}{r} \right)^{-1} = \dfrac{d\nu}{dr} )]
[math( \dfrac{1}{r} \left( r^2 8 \pi P_0 + \left( \dfrac{2m}{r} +1 -1\right) \right) \left( 1- \dfrac{2m}{r} \right)^{-1} = \dfrac{d\nu}{dr} )]
[math( \dfrac{1}{r} \left( r^2 8 \pi P_0 + \left( \dfrac{2m}{r} \right) \right) \left( 1- \dfrac{2m}{r} \right)^{-1} = \dfrac{d\nu}{dr} )]
[math( \dfrac{1}{r} \left( r^2 8 \pi P_0 + \dfrac{2m}{r} \right) \left( 1- \dfrac{2m}{r} \right)^{-1} = \dfrac{d\nu}{dr} \qquad )] (7)
(2)에서
[math( \dfrac{dP_0}{dr} = - \dfrac{(\rho_{00}+P_0) \nu'}{2} )]
[math( \dfrac{dP_0}{dr} = - \dfrac{(\rho_{00}+P_0) }{2} \nu' )]
[math( \dfrac{dP_0}{dr} = - \left( \dfrac{\rho_{00}+P_0 }{2} \right) \dfrac{d\nu}{dr} )]
(7)을 대입하면
[math( \dfrac{dP_0}{dr} = - \left( \dfrac{\rho_{00}+P_0 }{2} \right) \dfrac{1}{r} \left( r^2 8 \pi P_0 + \dfrac{2m}{r} \right) \left( 1- \dfrac{2m}{r} \right)^{-1} )]
[math( 8\pi)]를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Einstein field equations)에서 에너지-모멘텀 텐서 계수 [math( k= \dfrac{8\pi G}{c^4} )]로 전부 반영하면
[math( \dfrac{dP_0}{dr} = - \left( \dfrac{\rho_{00}+P_0 }{2} \right) \dfrac{1}{r} \left( r^2 \dfrac{8\pi G}{c^4} P_0 + \dfrac{2m}{r} \right) \left( 1- \dfrac{2m}{r} \right)^{-1} \qquad)] (8)
(8)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Tolman-Oppenheimer-Volkoff equation)의 기본 모델(standard model)을 얻을 수 있다.
(8)우변 마지막항[math( \left( 1- \dfrac{2m}{r} \right)^{-1} )]을 정리해보면
[math( \left( 1- \dfrac{2m}{r} \right)^{-1} = \dfrac{1}{ 1- \dfrac{2m}{r}} = \dfrac{1}{ \dfrac{1}{1}- \dfrac{2m}{r}} = \dfrac{1}{ \dfrac{r-2m}{r} } = \dfrac{\dfrac{1}{1}}{ \dfrac{r-2m}{r} } = \dfrac{r}{r-2m} \qquad)] (9)
(8)에 (9)를 대입하고 이것을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기본 모델로 정리하면
[math( \dfrac{dP_0}{dr} = - \left( \dfrac{\rho_{00}+P_0 }{2} \right) \dfrac{1}{r} \left( r^2 \dfrac{8\pi G}{c^4} P_0 + \dfrac{2m}{r} \right)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dfrac{1}{r}\left( \dfrac{\rho_{00}+P_0 }{2} \right) \left( \dfrac{r^2 8 \pi G P_0}{c^4} + \dfrac{2m}{r} \right)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dfrac{1}{r}\left( \rho_{00}+P_0 \right)\dfrac{1}{2} \left( \dfrac{r^2 8 \pi G P_0}{c^4} + \dfrac{2m}{r} \right)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dfrac{1}{2} \left( \dfrac{r^2 8 \pi G P_0}{c^4} + \dfrac{2m}{r} \right)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dfrac{1}{2} \left( \dfrac{r^3 8 \pi G P_0 + 2m c^4}{c^4 r} \right)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dfrac{1}{2} \left( \dfrac{r^3 8 \pi G P_0}{c^4 r} + \dfrac{2m c^4}{c^4 r} \right)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dfrac{1}{2} \left( \dfrac{r^3 8 \pi P_0}{c^4 } + \dfrac{2m c^4}{G c^4 } \right) \dfrac{G}{r}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dfrac{G}{r}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dfrac{1}{2} \left( \dfrac{r^3 8 \pi P_0}{c^4 } + \dfrac{2m }{G } \right)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dfrac{G}{r}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dfrac{1}{2} \left( \dfrac{r^3 8 \pi P_0}{c^4 } + \dfrac{2m }{G } \right) \left(\dfrac{m}{m}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dfrac{G}{r}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dfrac{1}{2} \left( \dfrac{r^3 8 \pi P_0}{c^4 } + \dfrac{2m }{G } \right) m\left(\dfrac{1}{m}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m \dfrac{G}{r}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dfrac{1}{2} \left( \dfrac{r^3 8 \pi P_0}{c^4 } + \dfrac{2m }{G } \right) \dfrac{1}{m}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m \dfrac{G}{r}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dfrac{1}{2} \left( \dfrac{r^3 8 \pi P_0}{c^4 } \dfrac{1}{m} + \dfrac{2m }{G } \dfrac{1}{m} \right)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m \dfrac{G}{r}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dfrac{1}{2} \left( \dfrac{r^3 8 \pi P_0}{c^4 m } + \dfrac{2}{G } \right)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m \dfrac{G}{r}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left( \dfrac{1}{2}\dfrac{r^3 8 \pi P_0}{c^4 m } + \dfrac{1}{2}\dfrac{2}{G } \right) \left( \dfrac{r}{r-2m} \right) )]
[math( \dfrac{dP_0}{dr} = - m \dfrac{G}{r} \dfrac{1}{r}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left( \dfrac{r^3 4 \pi P_0}{c^4 m } + \dfrac{1}{G } \right) \left( \dfrac{r}{r-2m} \right) )]
우변의 첫째항을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기본항으로 정리해보면
[math( \dfrac{dP_0}{dr} = -\dfrac{Gm}{r^2} \rho_{00}\left(1 +\dfrac{P_0}{\rho_{00}} \right) \left( \dfrac{r^3 4 \pi P_0}{c^4 m } + \dfrac{1}{G } \right) \left( \dfrac{r}{r-2m} \right) \qquad)] (10)
을 얻을 수 있다.
(10)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에서 NSE 기본항(terms) [math( \dfrac{d P}{d r} = \rho \dfrac{GM}{r^2} )]를 제외한 나머지 3개 항들(terms) [math( \left(1 + \dfrac{P_0}{\rho_{00}} \right) \left( \dfrac{r^3 4 \pi P_0}{c^4 m } + \dfrac{1}{G } \right) \left( 1- \dfrac{2m}{r} \right)^{-1} )] 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총질량(Total Mass,M)을 [math( E=mc^2 )]으로 다루어 이를 포스트 뉴턴 역학 근사값(the post-Newtonian mechanics approximation)으로 다룰 수 있다.

5. 질량미분방정식

슈바르츠실트 해(Schwarzschild solution)로 주어지는 선성분(line element)
[math( e^{\lambda}= \left( \dfrac{1}{{1- \dfrac{2m}{r}- \dfrac{\Lambda r^2}{3}}} \right) )]으로부터
[math( e^{-\lambda} = \left( e^{\lambda} \right)^{-1})]이므로
[math( e^{-\lambda}= \left( 1- \dfrac{2m}{r}- \dfrac{\Lambda r^2}{3} \right) )]를 조사할 수 있다.
[math( \Lambda =0 )]으로 놓으면
[math( e^{-\lambda}= \left( 1- \dfrac{2m}{r}\right) )]를 얻을 수 있다.
[math( e^{-\lambda})]로부터 [math( m)]를 얻기위해 유도(derivation)해보면
[math( m = \dfrac{1}{2} 2m)]
[math( = \dfrac{1}{2} r \dfrac{2m}{r} )]
[math( = \dfrac{1}{2} r\left( +1 - 1 + \dfrac{2m}{r} \right) )]
[math( = \dfrac{1}{2} r\left( 1 - \left( 1- \dfrac{2m}{r} \right) \right) )]
[math( \left( 1- \dfrac{2m}{r}\right) = e^{-\lambda})]로 놓으면
[math( = \dfrac{1}{2} r\left( 1 - e^{-\lambda} \right) )]를 조사할 수 있다.
[math( m= \dfrac{1}{2} r\left( 1 - e^{-\lambda} \right) )]이므로
지구와 같은 구체 [math( \left( V = \dfrac{4}{3} \pi r^3 \right) )]의 별(star) 질량을
[math( M = \rho V=\rho \dfrac{4}{3} \pi r^3 )]로 다룰 때
질량미분방정식 [math( \dfrac{dM}{dr}= \rho 4 \pi r^2 )]에서와 같이
질량미분방정식 [math( \dfrac{dm}{dr}= \rho 4 \pi r^2 )]를 조사할 수 있다.[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d0d0d> <tablebgcolor=#0d0d0d>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연구 업적 및 프로젝트 <colcolor=#000,#fff> 양자역학( 보른-오펜하이머 근사)
맨해튼 계획( 트리니티 실험)
천체물리학( 스나이더-오펜하이머 모형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생애 생애
소속 하버드 대학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컬리지) · 괴팅겐 대학교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UC 버클리 ·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관련 인물 루이스 스트로스 · 레슬리 그로브스 · 리처드 파인만 · 존 폰 노이만 · 엔리코 페르미 · 클라우스 푹스 · 에드워드 텔러 · 한스 베테 · 닐스 보어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패트릭 블래킷
관련 매체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 오펜하이머(영화)( 바벤하이머) ·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오펜하이머)
}}}}}}}}} ||



[가] FEBRUARY 15, 1939 PH YS ICAL REVIEW VOLUM E 55,On Massive Neutron Cores,J. R, OPPENHEIMER AND G. M. VOLKOFF,Department of Physic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liforni https://blackholes.tecnico.ulisboa.pt/gritting/pdf/gravity_and_general_relativity/Oppenheimer-Volkoff_On-Massive-Neutron-Cores.pdf [나] Relativity Thermodynamics And Cosmology 1943 Richard Chace Tolman, 발행인 Clarendon Press https://archive.org/details/in.ernet.dli.2015.177229 [3] EFFECT OF INHOMOGENEITY ON COSMOLOGICAL MODELS By RICHARD C. TOLMAN,NORMAN BRIDGE LABORATORY OF PHYSICS,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Communicated February 12, 1934 http://authors.library.caltech.edu/9466/1/TOLpnas34c.pdf [4] Static Solutions of Einstein's Field Equations for Spheres of Fluid,Richard C. Tolman,Phys. Rev. 55, 364 – Published 15 February 1939 DOI:https://doi.org/10.1103/PhysRev.55.364 https://authors.library.caltech.edu/4362/1/TOLpr39.pdf [나] [다] On Massive Neutron Cores , J. R. Oppenheimer and G. M. Volkoff Phys. Rev. 55, 374 – Published 15 February 1939 https://blackholes.tecnico.ulisboa.pt/gritting/pdf/gravity_and_general_relativity/Oppenheimer-Volkoff_On-Massive-Neutron-Cores.pdf [7] The Post-Newtonian Equations of Hydrodynamics in General Relativity. doi:10.1086/148432 # [8] \[OSTI.GOV\] Journal Article: POST-NEWTONIAN n-BODY EQUATIONS OF THE BRANS--DICKE THEORY. JOURNAL ARTICLE · 01 1월 1969 · Astrophys. J., 158: 81-3(Oct. 1969). OSTI ID:4733238 https://doi.org/10.1086/150172 [나] [라] THE MATHEMATICAL THEORY OF RELATIVITY BY A. S. EDDINGTON, M.A., M.Sc., F.R.S. PLUMIAN PROFESSOR OF ASTRONOMY AND EXPERIMENTAL ,PHILOSOPHY IN THE UNIVERSITY OF CAMBRIDGE 1923 https://www.gutenberg.org/files/59248/59248-pdf.pdf [나] [라] [나] [마]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따른 질량 점의 중력장에 대해서 (Über das Gravitationsfeld eines Massenpunktes nach der Einsteinschen Theorie) Royal Prussian Academy of Science (Reimer, Berlin 1916, pp. 189-196) 저자: 카를 슈바르츠실트(Karl Schwarzschild) https://ko.wikisource.org/wiki/%EC%95%84%EC%9D%B8%EC%8A%88%ED%83%80%EC%9D%B8%EC%9D%98_%EC%9D%B4%EB%A1%A0%EC%97%90_%EB%94%B0%EB%A5%B8_%EC%A7%88%EB%9F%89_%EC%A0%90%EC%9D%98_%EC%A4%91%EB%A0%A5%EC%9E%A5%EC%97%90_%EB%8C%80%ED%95%B4%EC%84%9C [나] [라] [마] [나] [라] [바] THE MATHEMATICAL THEORY OF RELATIVITY BY A. S. EDDINGTON, M.A., M.Sc., F.R.S. PLUMIAN PROFESSOR OF ASTRONOMY AND EXPERIMENTAL ,PHILOSOPHY IN THE UNIVERSITY OF CAMBRIDGE 1923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