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육·해군 항공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육군 항공대 |
단좌 전투기 | Ki-27,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 Ki-87, ◈ Ki-88, ◈ Ki-94, ◈ Ki-98, Ki-100, †ⓩ Ki-162, ◈ⓩ Ki-200 슈스이, ◈ⓩ Ki-201 카류, †ⓩ Ku-4 | |||
복좌 전투기 | Ki-45 토류, ◈ Ki-83, Ki-102, ◈Ki-93 | |||||
폭격기 습격기 |
BR.20 치코냐,
Ki-21,
Ki-30, Ki-32, Ki-48, Ki-49 돈류, Ki-51, Ki-67 히류, † Ki-91 |
|||||
자살 공격기 | Ki-115 츠루기 | |||||
훈련기 | Ki-9, Ki-6, Ki-17, Ki-55, Ki-54, Ki-79, Ki-86 | |||||
정찰기 | Ki-16, Ki-36, Ki-46 | |||||
해군 항공대 |
<colbgcolor=#2f4f2f> 함재기 |
<colbgcolor=#2f4f2f> A 함상 전투기 |
A5M, A6M 제로센, A7M 렛푸, † A8M 리쿠후, † N1K3-A 시덴 카이 二 | |||
B 함상 공격기 |
B5M, B5N, B6N 텐잔, B7A 류세이 | |||||
C 정찰기 | C3N, C5M, C6N 사이운,▼ D4Y1-C | |||||
D 함상 폭격기 |
D1A, D3A, † D3Y 묘조, D4Y 스이세이 | |||||
E 수상정찰기 | E2N, E7K, E9W, E10A, E13A, E14Y, E15K 시운, E16A 즈이운 | |||||
F 수상관측기 | F1M, F1A | |||||
G 육상공격기 | G3M, G4M, G5N 신잔, G8N 렌잔, † G10N 후가쿠 | |||||
H 비행정 | H6K, H8K, H11K 소우쿠 | |||||
※ J 국지전투기 | J1N 겟코, J2M 라이덴, †J3K 17시 국지전투기, ◈ J4M 센덴, ◈ J5N 텐라이, ◈ J6K 진푸, ◈ J7W 신덴, †ⓩ J7W2/J7W3 신덴 카이, ◈ⓩ J8M 슈스이, ◈ⓩ J9Y 킷카, ▼ N1K-J 시덴, ▼ N1K2-J 시덴 카이, ▼ N1K3-J 시덴 카이 一, ▼ N1K4-J 시덴 카이 三, ▼† A7M3-J 렛푸 카이 | |||||
K 훈련기 | K5Y, K9W 코우요, K10W, K11W 시라기쿠, ▼ A6M2-K, ▼ M6A1-K 난잔 | |||||
L 수송기 | DC-2, L2D, L3Y, L4M, ▼ H6K-L, ▼ H8K-L 세이쿠, ▼ H11K-L 소우쿠, ▼ G5N2-L 신잔 카이 | |||||
M 특수공격기 MX 특수활공기 |
MXY-7 오카, ◈(제식명 불명)N 토카, M6A 세이란, D4Y4 스이세이 | |||||
N 수상전투기 | N1K 쿄후, ▼ A6M2-N | |||||
P 폭격기 | P1Y 긴가 | |||||
Q 초계기 | Q1W 토카이, Q2M 타이요, †Q3W 난카이 | |||||
R 육상정찰기 | ◈ R2Y(세이운, 케이운), ◈ⓩ R2Y2 케이운 카이, ▼ J1N1-R | |||||
S 야간전투기 | ◈S1A 덴코, ▼ J1N-S 겟코, ▼ P1Y1-S 바야코, ▼ P1Y2-S 쿗쿄, ▼ D4Y2-S 스이세이 | |||||
<colbgcolor=#000000> 노획 항공기 |
LaGG-3-8,
I-16, 투폴레프 SB F2A 버팔로, P-40, B-17(D/E), P-51C, F4U 콜세어, F6F 헬캣, 커티스 BT-32, CW-21, DB-7, 마틴 139 호커 허리케인, 브리스톨 블렌헤임 |
|||||
독일로부터 수입한 기체 | 하인켈 72, A7He, AxHe, 하인켈 He 119, 융커스 Ju 87 슈투카, 메서슈미트 Bf 109E-7, 포케불프 Fw 190A-5, 메서슈미트 Me 210 A2, 메서슈미트 Me 410, ⓩ 메서슈미트 Me163, †ⓩ 메서슈미트 Me 262, † 포케불프 Ta 152, † 융커스 Ju 390, † V2 미사일 | |||||
글라이더, 무동력기, 미사일 | † Ki-147, † Ki-148, † MXY8 아키구사 | |||||
◈ 시제, 프로토타입 / † 페이퍼 플랜, 수입 실패 / ⓩ 제트 혹은 로켓 엔진 장착기 / ▼ 타 목적 기체를 유용함 ※ 국지전투기: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 요격기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거나 이 틀에 기재되지 않은 일본군의 항공병기 전체 목록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참조. ※ 연합군(특히 미국)이 대전기의 일본 항공기를 지칭할때 사용했던 코드에 대해서는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조. ※ 템플릿:일본 제국의 항공병기를 참조해 주세요. 전반적인 내용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Japanese Imperial Navy Reconnaissance and Bombing Seaplane Aichi E16A "Paul" ZuiUn
水上偵察機 愛知 E16A 瑞雲
1. 개요
아이치 항공기가 생산한 일본군 해군의 수상 정찰기 겸 급강하폭격기. 기체약호는 E16A. 연합국 코드명은 " 폴(Paul)".2. 개발경위 및 설계이념
일본군 해군은 12식 2좌수상정찰기로서 수상정찰기와 폭격기의 통합을 꾀해 250kg 폭탄을 탑재하고 급강하폭격이 가능한 정도의 능력을 원했다[1]. 항공병력이 열세인 일본해군이 순양함에 탑재되는 수상급강하폭격기로 열세를 만회하려는 구상에 의해 기대된 기종이었지만 개발에 난행을 겪어 즈이운에 이르러서 겨우 통합된 것이다.1940년 2월 아이치 항공기에 시작지시가 내려졌는데, 최대속도 463km/h 이상, 최대항속력 2,500km 이상, 근접전 성능이 양호하고 급강하폭격이 가능해야 하는 꽤 어려운 요구였다. 아이치는 이에 기초해 14식2좌수상정찰기(1941년에 16식수상정찰기로 개칭)의 개발을 개시해 1942년 3월에 시작 1호기를 완성시켰다. 성능시험의 결과 같은 해 11월에 채용이 결정되어 그 후 실용시험을 거쳐 1943년 8월 즈이운 11형으로서 제식채용되었다.
3. 기체 구조
속도 측면을 중심으로 한 고성능을 실현하기 위해 동체와 주익이 날렵하게 되어 있다. 플로트 지주 부분에 급강하폭격용 다이브 브레이크를 갖추고 있었는데, 수상기로서는 세계 최초의 장비였다. 다이브 브레이크는 지주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시 좌우로 여는 형태의 것이었다. 주익은 공중전 플랩을 장비하고 있어 단순히 수상 폭격기뿐만 아니라 급강하 폭격기로서도 이례적인 것이다. 물론 급강하 폭격기는 전투기를 어느 정도 겸해 공중전을 한 경우도 많지만, 공중전 플랩까지 채용하는 경우는 즈이운 말고는 없었고, 이 기체가 어떻게 다용도 성능을 추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양산형에서는 엔진이나 무장의 강화 외에 기체 구조의 강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급강하 때 공중분해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다이브 브레이크에 슬릿 모양의 구멍을 뚫는 개수도 행해졌다. 위의 제원을 보면 알겠지만 이 기체는 SBD 돈틀리스에 준하는 성능을 지녀 수상기 중에선 이례적으로 전력으로써의 가치가 높았다. 게다가 당시 수요에 비해 항모가 부족했던 일본해군으로서는 비행갑판 없는 함정에서도 발진가능한 수상기에 폭격기능이 있다는 것만해도 큰 메리트였으며 적 수상기는 물론 적 함재기와도 어느정도 공중전까지 수행할 수 있었던 이상적인 물건이었다. 따라서 전투 항공 초계(CAP)에 매우 적합했다.
그러나 생산량이 적다는 점과, 해상 초계용 항공 레이더의 부재로 실전투입과 성능을 더 끌어올릴 기회가 소멸되어 가치를 증명할 수 없었다. 특히 ASV Mk.II와 같은 초경량 초계용 항공 레이더의 부재는 필리핀해 해전에서 E13A와 F1M 수상기의 야간 색적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육안 색적에 의존하여 적의 주력함대를 포착하지 못한 경우가 잦았으므로 모처럼 다목적 플랫폼으로 설계된 즈이운에게 가장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다.
항공전함 이세와 휴가에 D4Y 스이세이와 함께 배치가 예정되었으나 양산기가 이미 대만항공전에 투입되어버린 상황이어서 이세와 휴우가는 함재기 없는 항공전함이 되어버렸다.
4. 활약
1944년 봄부터 부대배치가 이루어져 필리핀 방면의 야간폭격등에 사용되었으며, 특히 어뢰정 공격에서는 나름대로의 전과를 보였다. 그 후 오키나와전에서도 폭격이나 초계 등에 이용되었지만 이때부터는 전황의 악화가 뒤따라 즈이운과 같은 수상기가 활약할 만한 곳은 거의 없어졌다.결국 항공전함 이세/ 휴가에 탑재할 계획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렇다 할 전과도 세우지 못한 채 종전을 맞았다.
5. 제원
수상정찰기 서운 E16A 'Paul' 전장 : 10.84 m 전폭 : 12.80 m 전고 : 4.74 m 주익면적 : 28.00m² 전장비중량 : 3,800 kg 최고속도 : 448 km/h 승무원 : 2명 엔진 : 미쓰비시 킨세이 54형(공랭성형, 1,300마력) 항속거리 : 2,535 km 실용상승한도 : 10,280 m 무장 : 20mm 기관포 x 2, 7.7mm 선회기총 x 1(초기형) 13mm 선회기총(양산형), 60kg 폭탄 2개 또는 250kg 폭탄 1개 |
6. 미디어 등장
- 함대 컬렉션에서 기본적인 수상폭격기로 등장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가지 즈이운 파생기가 등장했다. 현재 즈이운 및 파생기체는 8종에 달하며 게임내 단 4개밖에 존재하지않는 7성급 SS홀로++ 레어도 중 하나를 즈이운이 차지하고 있다.[2] 게임에서 이세와 휴가가 대사마다 즈이운을 언급하며 애니메이션 2기에서는 즈이운은 매우 좋은 기체라고 대사까지 등장한다. 더 나아가 오프라인 행사에서 1:1사이즈 즈이운을 만들고 정기적으로 즈이운 축제를 개최할 정도로 토테미즘화 시키고 있다. 칸코레 운영진은 거의 집착에 가까운 수준으로 즈이운을 좋아한다.
- 전함소녀에도 3성급 수상폭격기로 등장한다. 대공/대잠/폭격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수상기이지만 성능이 그리 좋지는 않다. 2018년 겨울이벤트 보상으로 즈이운 12형이 등장한다.
- 벽람항로에서도 항공전함이 장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수상폭격기로 등장하지만, 항공전함 자체가 전함과 항모 사이에서 너무나도 어중간한 성능을 보이는데다 즈이운마저 꽤나 처참한 성능을 자랑하는지라 항공전함으로의 개조 자체가 추천되지 않으며 설령 사용해도 더 등급이 높은 세이란, 스이세이12형 등이 추천된다. 이 탓에 디시 등지에서는 가장 완벽한 함재기라는 조롱을 듣고 있다.
- Naval Creed:Warships에서 고티어 일본 함선 대다수의 수상기로 쓰인다, 주로 전투기로써 성능을 보여주지만 그중 토네, 아가노, 이부키는 특이하게도 폭탄을 장착하고 임무를 수행한다, 데미지는 썩 좋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