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2 09:55:57

콜롬비아 육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scudo_Ejercito_Nacional_de_Colombia.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scudo_Armada_Nacional_de_Colombia.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scudo_Fuerza_Aerea_Colombiana.svg.png
콜롬비아 육군
EJC
콜롬비아 해군
ARC
콜롬비아 공군
FAC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scudo_Infanteria_de_Marina_de_Colombia.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oat_of_arms_of_colombian_national_police.svg.png
콜롬비아 해군보병대
IMC
콜롬비아 국가경찰
PONAL
<colbgcolor=#CC0000><colcolor=#fff> 콜롬비아 육군
Ejército Nacional de Colombia
Colombian Army
파일:콜롬비아 육군기.svg 파일:콜롬비아 육군 엠블럼.svg
깃발 엠블럼
창설일 1810년 7월 20일
기념일 8월 7일(보야카 전투)
소속 콜롬비아군
병력 273,150명
모토 《 Patria, Honor, Lealtad 》
조국, 명예, 충성
사령관 프란시스코 에르난도 쿠비데스 그라나도스
위치 콜롬비아 보고타
참전 콜롬비아 독립전쟁
콜롬비아 내전
콜롬비아 쿠데타
1828년 페루의 볼리비아 침공
그란콜롬비아-페루 전쟁
6.25 전쟁

1. 개요2. 역사
2.1. 기틀2.2. 독립과 그란콜롬비아2.3. 내전과 국경분쟁2.4. 전문화의 시기2.5. 폭력사태와 한국전쟁참전과 쿠데타
3. 콜롬비아 내전4. 편제5. 계급6. 육군사령관7. 장비8. 사건사고9. 여담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콜롬비아 육군.

2. 역사

2.1. 기틀

콜롬비아 육군의 뿌리는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 누에바 그라나다 부왕령에 구축해 놓은 주군군체계와 방어체계때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러한 형태는 외국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의 빈번한 침략을 대항하기 위해 주둔군은 주로 해안가에 배치되었는데 이들은 주로 퇴역한 군인으로 구성되어있었다.

가장 심화되었던 프랑스의 스페인침공으로 인해서 1810년 카타르헤나(Cartagena), 소코로(Socorro), 팜플로나(Pamplona), 산타페(Santa Fe)에 자치위원회가 설립되었다. 이후 산타페의 연대 사령관 호세 마리아 몰레도(José María Moledo)는 무력 충돌을 피하고자 중립을 지켰으나 그의 부하 안토니오 바라야(Antonio Baraya)는 자신의 중대를 최고 통치위원회 명령을 기다렸으며, 위원회는 국가 방위 자원대대(Voluntarios de Guardia Nacional)를 창설하여 바리야에게 지휘권을 주었다. 반대로 파나마(Panamá), 산타마르타(Santa Marta), 리오아차(Riohacha), 포파얀(Popayán)의 주둔군은 스페인의 충성하였는데 콜롬비아 애국자들과 대립을 하였다.

2.2. 독립과 그란콜롬비아

1810년 7월 23일, 안토니오 바라야를 국가 방위 자원대대이 창설되고 첫번째 대대장이었다.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Francisco de Paula Santander), 아타나시오 지라르도트(Atanasio Girardot),
헤르모네게스 마자(Hermógenes Maza)와 같은 독립 영웅이 등장하였다. 1811년 3월 28일에 스페인이 팔라세에서 승리하였고, 1814년까지 안토니오 나리뇨가 두번째 사령관이었다. 당연히 이시기는 유럽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이베리아 반도를 침공하면서 촉발된 것이였다. 1814년 4월 17일 이베리아 반도 전쟁은 발랑세 조약으로 체결함으로 써 다시 페르난도 7세가 스페인의 국왕으로 복위하였다. 페르난도 7세는 파블로 모릴로(Pablo Morillo)를 누에바 드라나다를 통치회복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레콩키스타하기위해 대략16,000이상이었고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 모릴로는 일시적으로 누에바 그라나다를 회복하였고, 후한 데 시마노(Juan de Sámano)는 다시 총독으로 복귀하였다. 모릴로는 공포통치와 군사법원을 설립하여 많은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에콰도르의 독립영웅과 사람이 총살되었으며, 어러한 통치로 인해 독립군은 고산지대로 대피하였다. 이러한 상황속 시몬 볼리바르,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가 움직였으며, 절정에 다다른 독립군과 스페인군 1819년 보야카 전투(batalla de Boyacá)에서 독립군이 승리함으로써 누에바 그라나다 부왕령은 몰락하였고, 그란 콜롬비아가 독립하였다. 그란콜롬비아의 1820년 중반까지 25,000명~30,000명의 병력이 있었지만 절반은 민병대, 1824년 콜롬비아 보병은 아야쿠초 전투이후 창설되었다.

볼티게로스 근위대대(Batallón Voltígeros de la Guardia), 소총 대대(Batallón Rifles), 브라보스 데 아푸레 대대, 알비온 대대외 정규군, 민병대, 게릴라군까지 무장과 훈련이 제각각이라서 부대단위 질과 힘이 다양하였다. 1821년 7월 28일 페루가 독립을 선언하였고 그란콜롬비아는 지원하였다. 1829년 7월 27일 페루와 그란콜롬비아간의 전쟁에서 그란콜롬비아가 전술적으로 승리와 동시에 그란콜롬비아 해제를 불러왔다. 이후 현재까지 페루 콜롬비아 에콰도르 볼리비아와 관계는 좋지가 않다.

2.3. 내전과 국경분쟁

그란 콜롬비아의 해체 이후에 신생 뉴 그라나다 공화국은 에콰도르 전쟁 이후 군대를 전문화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시도를 하였고, 산탄데르 정부때는 군복과 외화규제에 관한 법령을 제정하였고, 모스케라 정부때는 보병, 포병, 기병의 상징을 만들고 군복을 정규화하여 법령을 공포하였다.

그러나 내전은 군대의 병력과 기술의 진보를 어렵게 하였다. 전문화를 하기 위해서 1847년 설립된 구식 군사학교를 폐쇄하고 진보된 군사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861년부터는 공과대학으로 개칭되었고, 1884년에 군사학교라고 지었다.

주권전쟁 콜롬비아-에콰도르 전쟁이 끝난후 리오네그로(Rionegro)에서 체결된 1863년 헌법헌장의 영향을 받아 콜롬비아 합중국으로 나눴다. 각 주는 자신만의 헌법과 재정, 무기와 화약거래, 군대창설과등등의 자유를 가지고 있었는데, 문제는 이곳에서 발생되었는데 이러한 지방분권화로 각주에서 재정 및 군대가 독립적으로 활성화 되자 국가간의 갈등과 국가내에 갈등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었고, 이에 무장충돌도 발생되어 내부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국가가 불안정하였다. 중앙집권이 낮은 상황이어서 중앙헌법은 부재상태였고, 이상황에 취할수 있는 조치는 없었기 때문이다. 각주에서 제정한 법은 자신들 편의에 맞게 조정하였다. 가장 문제는 국간의 관세, 통행세는 내부시장 형성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종합적으로 합의점을 찾지 못해 지역갈등은 심화되었고 결과적으로 국가적갈등으로 번져버렸다.

이에 연합군(콜롬비아 합중국의 군대는 연합군이라고 불렀었다.)은 "콜롬비아 경비대(Guardia Colombiana)"으로 축소 되었다. 당시 주임무는 국가간의 적대관계가 시작되었을때 개입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600명의 병력을 운영하였지만 전시가 되었을 때 1000명으로 운영될정도의 예산을 보유하였다. 그러나 산탄데르의 군대보다는 턱없이 적었고, 실제로 주간에 무력충돌이 발생했을 시 경비대의 작전능력은 미미한 수준이다. 여기에 콜롬비아군의 병력공급과 개인화기, 화약, 군복을 공급하는 것도 다른 주였기에 다른 주는 경비대에 비해 더 쉽게 무장을 할수있었다. 그렇기에 경비대의 능력은 내부적으로 질서유지하는것이 끝인 수준이었지만 종합적으로 별다른 효과는 보지 못하였다.

변화는 1970년대에 개선되기 시작했으며, 외국에서 무기를 수입하였고, 보병부대에는 윈테스터 소총과 카빈소총을 공급하였다. 각 주에서도 군대를 개선하기 위해 훈련과 전술, 화기를 개선하기위해 유럽에 장교를 고용하였고, 독일장교는 미국산 소총보다는 독일산 소총으로 대체하라고 권고하였다. 1881년대 들어서자 연합군은 군대에 마우저에서 소총을 구매하여 공급하였다.

1886년 새로운 헌법이 공포되면서 정부는 중앙집권화를 시작하여, 필수적인 세금독점과 국력을 중앙으로 집중하였고, 이러한 방법으로 각주의 군대와 중앙군대와의 평등화및 같은 임무로 규정하였다. 또 한 자체 군사력을 보유하기 위해선 합당하고 명백한 사유가 필요했고, 지방정부에 무장충돌과 전쟁에 관해 반대입장을 가졌다. 각주의 병력을 민병대형태로 남겨, 나름 지휘권을 인정해주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중앙군의 소속으로 격하시킨 상태였다. 새로운 중앙집권주의 체제로 정부는 군대를 전문화하기 위한 문적으로 프랑스로부터 군사사절단을 고용하였지만 1895년 남북전쟁, 1899년 천일전쟁으로 콜롬비아의 군사, 화기, 기술진보가 지연되었다.

2.4. 전문화의 시기

1902년 천일전쟁(Guerra de los Mil Días)이 끝나고 라파엘 레예스 프리에토(Rafael Reyes Prieto)장군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레예스는 훈련과 장비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30,000명의 병력을 현대화를 재개하였다. 1907년 사관학교가 설립되고, 1909년 전쟁대학이 설립되었다. 이를 칠레 군사사절단은 1913년 ~ 1914년까지 개편하기위해 있었고, 1927년 ~ 1928년 칠레와 스위스 군사사절단이 있었다.

콜롬비아-페루 전쟁으로 콜롬비아는 6200명이 참여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국에 사절단을 파견하였고, 이협력을 통해서 콜롬비아 장교는 미국에서 교육받을수 있었다. 또 1944년 육군총사령부와 육군참모총장직책이 신설되었다.

2.5. 폭력사태와 한국전쟁참전과 쿠데타

1928년 후 잠재된 초당적 폭력사태는 1948년 4월 9일 절정에 다다라서 보고타조(Bogotazo)발생하여 국가는 당파간의 무장출돌과 갈등에 시선을 두고 있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군대를 투입하여 무장출돌이 발생하는 곳에 공공질서를 회복시키기 위해 투입하여 정당의 무장단체와 대립을 이루었다. 1949년 ~ 1953년 사이에 대립의 장기화로 인해 군대는 반격으로 변모하였고, 1951년부터 군대는 정당무장단체에 대하여 소탕작전과 폭격을 시작하였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 유엔결의안에 따라서 콜롬비아 정부는 미육군 제24 사단에 배속되어 보병대대(5100명)과 함정 3척을 파견하였다.

인기없는 정권과 답없은 보수당을 몰아내기위해 1953년 육군은 쿠데타를 지원하여 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Gustavo Rojas Pinilla)가 대통령이 되어 군사독재와 정권이 되었으며 반대파는 심한업악을 하였고, 콜롬비아내 시설기반구축과 여성의 권익을 향상시켰다. 1956년 수에즈 전쟁으로 콜롬비아는 제2대대를 유엔비상군(UNEF)의 일원으로 배치되었다. 1954년 군사산업이 활성화 되어 인두밀(Indumil)이 설립되었다.

3. 콜롬비아 내전



4. 편제

  • 콜롬비아 국방부
    • 육군 사령부(COEJC)
    • 제2사령부(SECEJ)
  • 기획정책참모부(JEMPP)
    • 인사부(CEDE1)
    • 정보및 방첩부(CEDE2)
    • 운영부(CEDE3)
    • 물류부(CEDE4)
    • 기획부(CEDE5)
    • 통신부(CEDE6)
    • 육군교육부(CEDE7)
    • 재정관리부(CEDE8)
    • 종합행동개발부(CEDE9)
    • 육군공학부(CEDE10)
    • 종합법무부(CEDE11)
  • 육군참모총장(JEMGF)
    • 참모사령부(COPER)
    • 예비군모집및통제사령부(COREC)
    • 교육및교리사령부(CEDOC)
      • 물류사령부(COLOG)
      • 육군공병사령부(COING)
    • 작전본부(JEMOP)
      • 육군 제1사단(DIV01)
        • 제2여단
        • 제10기갑여단
      • 육군 제2사단(DIV02)
        • 제1여단
        • 제5여단
        • 제30여단
      • 육군 제3사단(DIV03)
        • 제3여단
        • 제23여단
        • 제29여단
      • 육군 제4사단(DIV04)
        • 제31여단
        • 제22정글여단
        • 제7여단
      • 육군 제5사단(DIV05)
        • 제6여단
        • 제8여단
        • 제9여단
        • 제13여단
      • 육군 제6사단(DIV06)
        • 제12여단
        • 제27여단
        • 제26합동정글여단
      • 육군 제7사단(DIV07)
        • 제4여단
        • 제11여단
        • 제14여단
        • 제15여단
        • 제17여단
      • 육군 제8사단(DIV08)
        • 제16여단
        • 제28여단
        • 제18여단
    • 육군 공습항공사단(ㅍ)
      • 제25항공여단
      • 제32항공여단
      • 제33항공여단
    • 마약밀매방지특수여단
    • 특수항공작전대대(BAOEA)
    • 제47특수부대
      • 특수부대 훈련대대
      • 제1특수부대
      • 제2농촌특수부대
      • 제3농촌특수부대
      • 제4농촌특수부대
      • 제5특수부대
      • 도시특수부대
    • 도시테러방지특수부대 알파그룹
      • 군사정보전투지원사령부(CAIMI)
        • 제1군사정보여단
        • 제2군사정보여단
      • 군사방청전투지원사령부(CACIM)
        • 제1방첩여단
        • 제2방첩여단
    • 통신사이버방위작전지원사령부(CAOCC)
    • 전략배치사령부
    • 종합행동지원사령부(CAAID)
    • 신속전개군(FUDRA)
    • 제3보병대대(BICOL3)
    • 국가적위협특별사령부(CECAT)

5. 계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콜롬비아군/계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육군사령관

파일:콜롬비아 국장.svg
육군 총사령관
Comandante en Jefe del Ejército
성명 임기 계급
1대 안토니오 바라야 리카우르테(Antonio Baraya Ricaurte) 1810년 ~ 1813년 준장
2대 안토니오 나리뇨(Antonio Nariño) 1813년 ~ 1814년 원수
3대 시몬 볼리바르(Simón Bolívar) 1814년 ~ 1817년 원수
4대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Francisco de Paula Santander} 1817년 ~ 1819년 소장
5대 시몬 볼리바르(Simón Bolívar) 1819년 ~ 1821년 원수
6대 라파엘 우르다네타 파리아스(Rafael Urdaneta Faría) 1821년 ~ 1822년 원수
7대 호세 힐라리오 로페즈(José Hilario López) 1831년 ~ 1832년 준장
8대 토마스 시프리아노 데 모스케라(Tomás Cipriano de Mosquera) 1841년 ~ 1842년 소장
9대 마누엘 마리아 프랑코(Manuel María Franco) 1854년 준장
10대 토마스 시프리아노 데 모스케라(Tomás Cipriano de Mosquera) 1854년 소장
11대 토마스 헤레라(Tomás Herrera) 1854년 원수
12대 호아킨 파리 리코르테(Joaquín París Ricaurte) 1854년 소장
13대 토마스 시프리아노 데 모스케라(Tomás Cipriano de Mosquera) 1854년 ~ 1855년 소장
연방군 육군 총사령관
Comandante en Jefe de los Ejércitos de la Confederación
1대 페드로 알칸타라 헤란(Pedro Alcántara Herrán) 1860년 원수
2대 호아킨 파리 리코르테(Joaquín París Ricaurte) 1860년 ~ 1861년 원수
3대 마르셀로 부아트라고 몬손(Marcelo Buitrago Monzón) 1861년 준장
4대 라몬 에스피나 가메즈(Ramón Espina Gámez) 1861년 원수
육군 제1군 사령관
Comandante de la I Columna del Ejército
1대 산토스 아고스타 카스티요(Santos Acosta Castillo) 1866년 ~ 1867년 원수
2대 다니엘 델가도 파리(Daniel Delgado París) 1867년 ~ 1868년 준장
3대 훌리안 트루히요 라르가차(Julián Trujillo Largacha) 소장
연방군 육군 총사령관
Comandante en Jefe de los Ejércitos de la Confederación

7. 장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현대 콜롬비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CD116> 현대의 콜롬비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CD116> 소총
<colbgcolor=#FCD116> 돌격소총 갈릴, 갈릴 ACE, TAR-21, M16A2, M4A1
지정사수소총 갈라츠, M110
저격소총 M24, M82, M95, MSR
기관단총 UZI, MP5
권총 M1911A1, M9, 제리코 941, 코르도바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네게브, M249, K3 경기관총, M60, FN MAG, M134, M2HB
유탄발사기 M79, M203, MGL Mk.1, Mk.19
대전차화기 M72, APILAS, AT4, 스파이크-MR/LR/ER, BGM-71, RPG-22
박격포 M4, M30, MO-120 RT
맨패즈 FIM-92, 미스트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현대 콜롬비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콜롬비아군 (1945~현재)
Fuerzas Militares de Colombia
<colbgcolor=#FCD116> 기타 전차 <colbgcolor=#FCD116> '''[[경전차|
경전차
]]'''
M3A1 스튜어트R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LAV III | M1117 가디언 | RG-31 니알라 | BTR-80 카리브 | EE-11 우루투 | EE-9 카스카베우 | 헌터 TR-18 | EJC 타이탄(A~C) | ISBI 메테오로 | 버펠R | M20 에스카라바호M/R | M8 LACR | M3 스카웃 카R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M113(A1/A2 → A3)
차량 소형 [[ATV|
ATV
]] 캔암 커맨더 MAX · 디펜더 HD8 · 매버릭 X3 · 아웃랜더(XT/800R)
[[소형 전술차량|
IMV
]] 험비 | 샌드캣 | M-462 아비르 | M715
민수용
쉐보레 콜로라도 CSLS
트럭
군용
M35(A1/A2) | M939 | 나비스타 MV 7400 | 우랄-4320
상용
쉐보레 코디악 | 이스즈 엘프
'''[[자주포|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 ATMOS 2000} | 호야 SAA-1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AM8M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육군
}}}}}}}}}

파일:콜롬비아 국장.svg
콜롬비아 육군의 장갑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EE-9 AFV 브라질 121대 4대 -
M8 그레이하운드 AFV 미국 - 10대 - 의전용으로 비축
LAV III APC 미국 / 캐나다 32대 - 50대
M113A1/A2 APC 미국 54대 - -
EE-11 APC 브라질 56대 - -
M1117 APC 미국 147대 65대 - 3대는 교육용으로 운용
아이마라 2000 APC 콜롬비아 - 2대 -
PTRC-2005 APC 콜롬비아 4대 - -
험비 APC 미국 812대 - -
VRC 코브라 APC 콜롬비아 6대 - -
콜롬비아 육군의 포병장비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ATMOS 2000 자주곡사포 이스라엘 - - 18문
조야 SAA-1 자주곡사포 콜롬비아 6문 - -
산타 바르바라 155/52 견인곡사포 스페인 15문 - 10문
GIAT LG1 견인곡사포 프랑스 23문 - -
M101 견인곡사포 미국 85문 - -
M116 견인곡사포 미국 - 70문 -
콜롬비아 육군의 방공장비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M-462 단거리 SAM 이스라엘 8대 - -
보포스 M1 대공포 스웨덴 12문 - -
콜롬비아 육군의 무인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CIAC ART UAT 콜콤비아 - - -
RQ-11 UAT 미국 51대 - -
스캔이글 UAT 미국 22대 - -
콜롬비아 육군의 항공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An-32 수송기 우크라이나 2기 - -
킹에어 200 수송기 미국 18기 - -
킹에어 350 수송기 미국 25기 - -
킹에어 90 수송기 미국 6기 - -
세스나 206 수송기 미국 15기 - -
세스나 208 수송기 미국 19기 - -
UH-60Q 블랙호크 공격헬기 미국 53기 - -
UH-1 다목적 헬기 미국 38기 - -
벨 212 다목적 헬기 미국 26기 - -
Mi-17 다목적 헬기 러시아 20기 - -

8. 사건사고

9. 여담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893,#383b40><tablebgcolor=#ffffff,#1f202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E1126> 상징 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그란 콜롬비아 · 누에바그라나다 공화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콜롬비아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콜롬비아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경제 경제 전반 · 콜롬비아 페소
국방 콜롬비아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스페인어
지리 보고타 · 산타 크루즈 섬 · 다리엔 갭
민족 콜롬비아인
}}}}}}}}} ||

세계의 육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 대한민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the_Korean_People%27s_Army.svg.png 북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Ground_Force_Flag_of_the_People%27s_Republic_of_China.svg.png 중국 파일:육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 파일:대만 육군기.svg 대만
동남아시아 파일:싱가포르 육군기.svg 싱가포르 | 태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ietnam_People%27s_Army_insignia.png 베트남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ambang_TNI_AD.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육군기.svg 필리핀 | 말레이시아
서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Israeli_Army_%28Land_Arm%29_Flag.svg.png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남아시아 파일:Flag_of_Indian_Army.svg.png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투르크메니스탄
동유럽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육군 엠블럼.svg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루마니아
서유럽 파일:영국 육군기.svg 영국 | 파일:프랑스 육군 로고.svg 프랑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2px-Flag_of_the_Royal_Netherlands_Army.svg.png 네덜란드 |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육군 로고.svg 독일 | 파일:스위스 육군 엠블럼.svg 스위스 연방 | 파일:폴란드 육군 엠블럼.svg 폴란드 | 파일:Emblem_of_Czech_Land_Forces.svg.png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남유럽 이탈리아 | 스페인 | 파일:포르투갈 육군기.png 포르투갈 | 튀르키예 | 그리스 |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War_flag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북유럽 스웨덴 | 덴마크 |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북아메리카 파일:미합중국 육군기.svg 미국 |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Logo_de_Ej%C3%A9rcito_Mexicano.svg.png 멕시코
남아메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oat_of_arms_of_the_Brazilian_Army.svg.png 브라질 | 파일:칠레육군기.png 칠레 | 페루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Army_of_Egypt.svg.png 이집트 |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1.png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오세아니아 파일:Flag_of_Australia.svg.png 호주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