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21:20:09

신원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북한 황해청년선에 있는 동명의 역에 대한 내용은 신원역(황해청년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원역
파일:GJLine_icon.svg
역명 표기
중앙선 신원
Sinwon
新院 / [ruby(新院, ruby=シヌォン)]
경의·중앙선
주소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신원역길 7 (신원리 480-29)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 양원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 양평역 관리[1]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중앙선 1965년 11월 5일
중앙선 2009년 12월 23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역사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2면 5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중앙선
신 원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미디어에서7. 연계 교통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신원역.jpg
현 역사
(2009년 준공)
파일:신원역.png
구 역사
(1965년 준공, 2007년 철거)
파일:신원역 경의중앙선.jpg
맞이방
한번 보면 잊히지 않던 옛 신원역
신원역은 1965년 11월 5일 중앙선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 1975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1993년 간이역 격하에 이어 2001년에는 신호장으로 변경되었는데, 2009년 수도권 전철이 운영되며 여객 취급을 재개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현재에는 깔끔한 외관의 현대식 건물이지만, 중앙선 복선전철화 이전에는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낡은 외관에 한번 보면 매우 잊기 어려운 독특한 모양을 띠고 있었다. 슬라브 단층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팔당역과 비슷한 일자형 구조이지만, 지붕의 방향이 반대인, 납작한 건물 형태를 띠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역사 모양의 독특함 때문에 옛 역사 철거 당시 많은 아쉬움을 남기기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131번[2].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신원역길 7 (신원리 480-29) 소재.

2. 역 정보

1939년 중앙선 개통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은 역으로, 개통 후 26년이 지난 1965년에 개업한 역이다.

2001년 9월 8일 신호장으로 격하, 2005년부터 무인화되었으며 2008년 3월 10일에는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이후 공사를 거쳐 2009년 12월 23일부터 신역사와 함께 수도권 전철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 역은 달월역 개통 이전 수도권 전철 이용객 수 최저역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었다. 하루 평균 이용객수가 곡산역절반밖에 안 된다. 신원, 원덕, 곡산 순서로 대표적인 잉여역사 중 하나로 손꼽힌다. 한 때 수도권 전철 이용객 수 최저역 지위는 2010년 오빈역이 개통되면서 갱신한 적도 있다. 전철 개업 이전에도 신호장으로 격하되었던 적이 있을 정도로 수요가 저조했었다. 그러나 일반열차는 의외로 신호장 격하 이후에도 몇 년 간 정차했다.

주요 이용객은 서울 가는 마을 사람이거나 부용산을 등산하러 오는 산악 동호인들이다. 그리고 양평군 내의 타 역들과는 달리 역에서 버스정류장까지의 거리는 가까우나 도로상황에 따라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 단점.

구 역사가 매우 특이하게 생겼던 터라 많은 철도 동호인들이 구 역사의 보존을 바랐지만 결국 철거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신원1리(묘곡, 샘골, 풀무골)에 위치하고 있으며, 역 주변은 작은 마을들이 모여 있는 시골 분위기로 이용객이 매우 적다.

파일:신원역 VS 마을 크기.png
신원역과 신원리 마을 크기 비교. 역사 건물 면적이 신원리 마을 크기와 맞먹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반응

역 바로 앞에는 남한강이 흐르고 있고 그야말로 산 좋고 물 좋고 공기 좋고 사람 없는 농촌 마을에 역을 놓았다. 강변이어서 주변 경치는 좋다. 게다가 근처에 부용산이 존재하는데 원덕역이나 운길산역처럼 부용산역 내지는 신원(부용산)역으로 역명을 정했으면 관광 수요를 원활하게 잡을 수도 있었을 지도 모른다.

역에서 내리자마자 선로 아래의 굴다리를 통해 오른쪽으로 가면 몽양길이 있고 그 길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2011년 11월 27일에 개관한 몽양 여운형 생가 기념관이 있으며, 기념관을 방문하려고 이 역을 찾는 수요가 조금은 있다. 이 때문에 역 뜯어고칠 때 이름을 몽양역으로 고치자는 견해도 있었다던데 그냥 신원역으로 했다. 참고로 여름 저녁 무렵엔 생가 터를 가지 않는 게 좋은데, 역 주변은 주차 시설과 자전거 주차공간까지 있는 등 나름 정비되어 그런 일은 없지만 굴다리 쪽으로 들어서자마자 미친듯이 몰려드는 벌레들을 흡입할 수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7c4a3><bgcolor=#77c4a3> 연도 || 파일:GJLine_icon.svg ||<bgcolor=#77c4a3> 비고 ||
2009년 231명 [3]
2010년 315명
2011년 367명
2012년 449명
2013년 511명
2014년 542명
2015년 523명
2016년 511명
2017년 526명
2018년 443명
2019년 430명
2020년 383명
2021년 408명
2022년 415명
2023년 417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달월역이 개통되기 전까지 수도권에서 가장 이용객이 적었던 역이다.[4] 2017년 기준으로도 수도권 전철 전체를 통틀어 세 손가락에 꼽히는 공기수송 역이다.
  • 수도권 전철 중앙선에서 지평역 다음으로 승하차객이 적은 역이다. 지평역은 원래 전철 계획이 없었다가 지역민들의 요구로 하루 4회 들어가는 임시역의 성격임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꼴찌는 바로 이 신원역이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에서 두 역 말고 하루 평균 1,000명 미만이 이용하는 곳은 오빈역, 원덕역이 전부다. 경의중앙선으로 범위를 넓혀도 운행 횟수가 매우 적은 임진강셔틀 구간 역을 제외하면 가장 수요가 적으며, 심지어 곡산역보다도 한참 적다.
  • 역세권 규모에 비하면 이용률은 의외로 높다. 역 뒤쪽은 산이요, 역 앞쪽은 남한강이 흘러 역세권이라고는 역 앞의 아주 조그만 마을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사실 중앙선 복선화를 할 때 폐역을 했어도 전혀 지장이 없었을 곳이지만, 원래 있었던 역을 폐쇄시키는 것은 부담이 많이 되므로 일종의 복지 차원에서 영업한다고 볼 수 있는 곳이다.
  • 각역정차를 포함한 일부 급행이라도 정차하는 역 중에서 가장 수요가 적은 역이다. 이 역보다 수요가 적은 모든 역은 급행열차가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역 자체에 진입하지 않는다.[5]

5. 승강장

파일:신원역 승강장.jpg
경의·중앙선 승강장
양수
4 3 2 1
국수
1·2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완행 국수· 양평· 용문· 지평 방면
3·4 구리· 청량리· 용산· 문산 방면

2017년경 2, 3번선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6. 미디어에서

영화 럭키에서 형욱이 영화 촬영장에 가기 위해 신원역으로 간다.

7. 연계 교통

신원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신원역
(46067)
<colcolor=#ffffff> 시내
맞춤형
직행좌석 [6]
신원역
(46066)
시내
맞춤형

8. 둘러보기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3c7a6>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서경주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경주}}}}}}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X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308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3087>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GJLine_icon.svg 양수(K130), 신원(K131), 국수(K132), 아신(K133), 오빈(K134), 양평(K135), 원덕(K136), 용문(K137), 지평(K138)
파일:KTX BI_White, Red.svg 양평
파일:ITX-새마을 BI_All White.png 매곡, 삼산, 석불, 양동, 용문, 일신, 지평
}}}}}}}}}



[1] 양수역 책임 [2] 2005년까지 이촌역의 역번호였다. [3] 개통일인 12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4] 달월역은 마을 주민의 수요도 거의 없다시피하며, 신원역 근처 기념관처럼 마땅한 관광지가 있지도 않기 때문에 어찌보면 당연하다. [5] 각역정차 구간을 제외하면 강촌역, 수도권 내부에 위치한 역으로만 한정하면 신촌역이 꼴찌이다. [6] 비공식 정차로, 정체가 극심할 경우 여기서 양수리 가는 승객들을 내려주고 양수리를 무정차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