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1:30:44

상계역

상계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진접 방면
불암산
← 1.2 ㎞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동북선
건설 중
시종착
}}}}}}
역명 표기
4호선 상계
Sanggye
上溪 / [ruby(上渓, ruby=サンゲ)]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 182 ( 상계동 156-203)
소속 영업사업소
4호선 상계영업사업소 상계역
운영 기관
4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4호선 1985년 4월 20일
역사 구조
지상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상계동의 판자촌3.2.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사건 사고
6.1. 열차 추돌사고
7. 연계 교통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상계역2.jpg
시종착역이던 시절 회차하는 GEC 초퍼 열차[1]

2. 역 정보

파일:attachment/sanggyae.jpg
역사
파일:상계역개통.jpg
옛 폴사인
파일:상계역.jpg
옛 역명판
위 사진이 촬영되었을 당시 4호선의 지상역 구형 역명판이 이와 같이 원형 역명판이었다. 4호선의 다른 지상역이었던 불암산역, 노원역, 창동역, 동작역도 마찬가지였다.
파일:상계역 4호선.jpg
4호선 대합실
파일:역안내도_상계.png
역 안내도 크게 보기
4호선 1차 구간인 한성대입구역 ~ 상계역 구간이 개통된 1985년 4월 20일부터 불암산역[당시]까지 연장개통 되기 전인 1993년 4월 20일까지 8년 동안 시종착역 역할을 맡았다.

시종착역일 때에는 지금의 불암산역[당시] 방향으로 X자형 선로 전환기를 타고 가다가 상계대림아파트 동편에서 선로가 끊겨 있었으나, 불암산역 개통 후 약 1년 반 정도 지난 1994년 하반기에 선로 전환기가 철거되어 시종착역의 기능을 영원히 상실하게 되었다.

승강장은 지상 3층에 있으며, 둥그스름한 역 외벽을 새로 고쳤다. 원래 애벌레 같은 둥글고 긴 외벽에 수직 외벽을 덧대였다. 위성사진 등으로 보면 여전히 예전 외벽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승강장 끝 부분에는 원형 지붕인 시절의 구조물이 여전히 남아 있다.

출구는 본래 1층에서 상계로 및 한글비석로22길에 면한 두 개가 있었으나 1991년에 벽산아파트와 상계역 2층을 바로 연결하는 육교가 설치되어 3번 출구로 지정되었고, 2000년에 대호프라자와 상계역 2층을 바로 연결하는 육교가 설치되어 4번 출구로 지정되었다. 2022년에 상계동과 중계동 쪽의 원활한 보행자 왕래를 위해 3번 출구로써 설치된 육교가 철거된 대신 같은 자리에 횡단보도가 설치되고 상계역 북쪽과 남쪽을 잇는 개방통로가 설치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벽산아파트 상가 상인들이 크게 반발하기도 했다.[5][6]

2013년 3월 말 당현천 생태화 공사가 완전히 끝나고 개통되었다. 상계역 자체가 당현천 바로 위에 나란히 지어진 고로, 당현천길 시발점에서부터 삼창 아파트까지는 고가 아래를 지나간다.

불암산역 방향과 노원역 방향 양쪽에 엄청난 드리프트가 있다. 곡선 반경은 200m 이하여서 탈선 방지용 선로가 붙어 있을 정도이다. 때문에 주변 아파트 주민들은 레일마찰 소음에 시달려 민원을 넣는 경우가 많았다. 노원역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1985년 개통 당시에는 해당 구간에 아파트도 없는 시골 벌판에 비닐하우스와 판자집이 가득한 곳이었다. 아파트는 개통 이후에 건설하였다.

진접선 개통 이후 진접방향 첫차 시간 불암산역에서 착발하는 열차가 있으나, 한 정거장 차이로 이 역에서는 이용할 수가 없다. 이 역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창동차량사업소에서 출고하여 불암산역까지 회송하는 열차를 그냥 바라만 보고 있을 수밖에 없다.

승강장과 대합실 사이에 엘리베이터가 아닌 수직형 휠체어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 어느 시간에 가도 높은 확률로 앉아갈 수 있는 역이다. 바로 다음역이 4호선 열차 대부분이 시종착하는 불암산역이니 당연하다. 진접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를 타면 꽤 혼잡하다. 출근시간 등과 같은 혼잡시간의 경우 그 다음역인 노원역부터는 거의 대부분 서서 가게 된다. 그 전역인 상계, 불암산역이 서울의 대표적인 주거밀집지역을 관통하는 역이어서 그렇다.

3. 역 주변 정보

파일:상계역초기.jpg
개통 초기 상계역 주변 모습
파일:2001-5-30_5.jpg
상계역 1번 출구 모습 (2001년 5월 30일 촬영)
인근의 인구는 많지만 이 역을 중심으로 한 1km 반경으로 상권이 분산되어 있다. 이는 도시철도망이 비교적 조밀하게 조성된 상계동 및 노원구 일대의 상황에 따라 이해하면 간단한데, 각각의 역마다 큰 역세권이 구축될 것을 기대하기에는 (그 자신이 역세권이기도 한) 주변 대형 상권의 인력이 너무 강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상계역에서 불과 1km 거리에는 서울 동북부의 대표적인 상권 중 하나인 노원역 상권이 이미 구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노원역 상권은 4호선 라인을 따라 미아리를 거쳐 종로까지 이어지는 서울의 구도심 상권과 연결되고, 7호선/동일로 라인을 따라가면 서울 동북부의 대규모 개발시기에 설치된 상업/공공시설들이 점점히 이어지고 있다. 상계역은 이러한 중심가 라인에서 한발짝 벗어난, '중심가 바깥에 조성된 대규모 거주지역'에 위치한 역이기에 주변의 인구는 당연히 많지만 그에 비해 역세권의 규모는 비교적 작은 편이었다. 달리 말하면, 이 역은 역 자체가 중심가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기보다는 거주자를 중심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역이므로 '인근 거주자가 많은 지역의 역=대규모 역세권'식의 단순한 이해는 부적절하다. 인근에서 이와 비슷한 사례로 녹천역을 찾을 수 있는데, 이 역시 역에서 1km 정도 반경으로 흩어진 상권에 고리처럼 둘러싸인 역이다. 즉 도시철도 역이라는 호재가 있더라도 1k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상권이 중복 생성되기는 어려운 것이었다.

하지만 상계역 앞에도 상권은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녹천역'과 비슷한 사례라고 비교하였으나, 이는 '주변 대형 역세권의 인력때문에 해당 역세권의 형성이 위축되는 현상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발생했다는 뜻이지 역세권(상권) 자체의 규모, 즉 그 위축의 정도에 있어서는 비할 바가 못 된다. 녹천역 상권(?) 은 아파트단지 상가 2개가 전부인데 비해 상계역 상권은 노원역과 같은 대규모 상권에 비하면 규모가 작고, 전형적인 동네 상권+시장 분위기이긴 하지만 웬만한 가게는 다 있는 동네 번화가 수준의 상권은 제대로 형성되어 있다. 역 바로 옆에 서점도 있고, 역 동쪽에 먹자골목도 형성되어 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 롯데리아가 유일하게 상계역 바로 앞에 입점하였으나 폐점했다. 2012년경에 상계역 5분 거리에 롯데리아가 다시 생겼다. 이러한 상계역 상권은 노원역 상권에서 상계역-당고개 방향으로 상업지구의 한 갈래가 뻗어나온 형태로 발전하였다고 볼 수도 있으며, 특히 노원구 치고는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조성되어 있지 않은 상계역 주변의 특성상 1980년대 후반 이후 개발된 신시가지의 상권이라기보다는 구시가의 상권에 가까워 보이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특징도 있는 편이다.

상계 주변에 있는 학교로는 재현고등학교가 있고 바로 옆에는 공업계 특성화고인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가 있다.

그리고 상계동 비둘기들의 주 거주지역으로 유명하다. 역 특성상 굴다리 지형이 형성되어 굴다리 틈새들 사이로 엄청난 양의 비둘기 거주지가 형성되어 있다. 실제로 상계역 굴다리 밑으로 가보면 엄청난 양의 비둘기 배설물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계역이니까 상계동에 볼 일 있으면 여기로 가면 되겠지'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1, 3번 출구로 나오면 중계동이고, 사실 상계역은 상계동의 동북쪽 외곽에 위치한 역이라 중심가와는 상당히 떨어져 있다. 상계역과 불암산역의 경우 산 밑에 있는 역이라 서울-노원구-상계동 시가지의 거의 끄트머리에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게다가 상계동은 행정동이 상계 1~10동까지 있는 초거대 동이라서 중심가와의 거리가 썩 가깝지도 않다. 당장에 상계동에 있는 전철역만 세어봐도 4호선인 불암산역, 상계역, 환승역인 노원역과 7호선인 수락산역, 마들역으로 총 5개 역이 상계동에 존재하는 사실만 봐도 상계동이 얼마나 넓은 동인지 알 수 있다.
  • 수락산 - 당고개 방면으로 바라봤을때 왼쪽에 보이는 산이다. 지역 주민들은 잘 찾아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락산 진입이 어려우므로 7호선 수락산역에서 하차해서 진입하는 게 이롭다.
  • 불암산 - 당고개 방면으로 바라봤을 때 오른쪽에 보이는 산이다, 재현중·고등학교 가는방면으로 가면 등산로가 보인다. 불암산역에서 내려서 접근하는 사람들도 많다.
  • 재현중학교· 재현고등학교 - 시가지가 아닌 산 중턱에 자리잡기 때문에 고저차가 상당하고, 특히 중학교의 경우에는 등산을 한다고 보면 된다. 중·고등학교 운동장이 3개씩이나 된다.
  • 상계제일중학교 - 2000년까지 상계여자중학교였다.
  •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 2002년까지 상명공업고등학교였다.
  • 서울계상초등학교
  • 서울중계초등학교
  • 삿갓봉 근린공원
  • 상계중앙시장 - 상계역에서 내려 노원역 방향으로 약 330미터를 걸으면 된다.
  • 당현천
  • 은행사거리 학원가 - 서울 버스 1140, 1142, 1224번으로 조금 가야 한다. 걸어서 가려면 15분 정도 소요된다.
  • 상계역 자전거 대여소 - 하루 1000원, 1년 1만원 당현천길로 바로 접근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3.1. 상계동의 판자촌

상계동 벽산아파트와 상계동 대림아파트가 있는 곳은 1980년대 대규모 철거가 이루어진 판자촌 달동네였다. 1988 서울 올림픽 유치가 확정되자 서울 전역에 재개발의 바람이 불었고, 이는 올림픽을 계기로 서울을 방문할 외국인들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당위를 타고 빠른 속도로 이뤄졌다.

올림픽을 잘 치러야 한다는 명분을 가진 정부는 서울 재개발을 강력히 밀어붙였는데 이 때 재개발 대상이 된 곳 중 하나가 상계역 앞 판자촌이었다. 1986년에 상계역 앞 판자촌은 철거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 빈민가에서 무리한 철거 집행이 이뤄진 탓에 거주자들이 강력히 반발했으나, 결국 행정대집행을 통해 최후까지 반발하던 세입자의 건물들도 1987년에 완저히 철거되고, 1989년에 벽산아파트와 대림아파트로 재개발된다. 영화 홀리데이에서도 살짝 언급되었다. 당장 도시 미관을 개선하는데는 도움이 되었지만 하층민들에게 반감을 샀고, 그것이 그대로 폭발하여 1993년 전국철거민연합이라는 괴물을 탄생시키고 말았다.

파일:attachment/an_excerpt_from_the_film_sanggyedong_olympic.jpg

1960~1970년대 달동네(또는 판자촌)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청계천이나 2000년대 신림 난곡지역의 철거 이슈에 비해 상계동 달동네 철거는 그리 주목받지 못했다. 철거가 남의 일이 아니었던 1960~1970년대의 상황에 비해 1980년대 중후반쯤 되면 사회 전반적으로 경제성장을 이루었다는 자신감이 있었던 덕분에 판자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줄었고, 서울 올림픽으로 찾아올 많은 외국인에게 멋있는 서울을 보여줘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1970년대의 대규모 달동네 철거 이후 해당 지역에서 쫒겨난 거주자들이 유입되어 형성된 소규모 달동네들은 이런 사회적 무관심과 분할되어 작아진 규모 때문에 빈번히 강제 철거를 당했고, 그러면서도 사회적 관심을 제대로 받지도 못했다. 특히 상계동, 그리고 2000년대의 난곡이 그렇다.

김동원 감독은 이 시기 철거민들의 모습을 그대로 담은 30분 가량의 다큐멘터리 영화 < 상계동 올림픽>을 찍었는데, 이 작품은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사에 남을 작품으로 기억되고 있다.

상계역 앞 판자촌은 철거되었지만, 지금도 상계동 인근 수락산 자락에는 판자촌 가옥 구조 형태가 남아 있는 달동네가 몇몇 곳 남아 있다. 판잣집을 짓고 살다가 벽돌 등으로 집을 지어서 판잣집은 아니나 과거 판잣집 가옥 구조 형태는 남아 있다. 중계본동 흥안운수 차고지 근처의 백사마을, 불암산역 주변인 당현천마을, 양지마을, 합동마을, 희망촌 등이 그것이다. 이들 달동네는 1967년부터 정부가 서울 도심 판잣촌을 밀며 토지 불하를 조건으로 판잣촌 주민들을 이주시켜서 형성된 지역으로, 서울 최후의 달동네로 많이 소개된 곳이기도 하다. 당고개 지역도 최소 1970년대부터 형성된 유서 깊은 지역이다. 서울 다른 지역 달동네와 달리 여기는 정부가 계획적으로 조성된 달동네라는 점이 특징이다.

3.2.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4_icon.svg 상계역 출구 정보
1 중계4동주민센터
불암산공원
재현중· 고등학교
청암1·2·3단지아파트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노원롯데캐슬시그니처아파트
상계제일중학교
불암대림아파트
2 상계2동주민센터
상계2치안센터
상계119안전센터
상계6·7동주민센터
상계중학교
노원역지구대
성민복지관
3 노원수학문화관
중계중학교
서울중계초등학교
평화종합사회복지관
청암중·고등학교·청암예술학교 방면
4 상계5동
노원아이파크아파트
서울계상초등학교
서울상계초등학교
온곡중학교
노원중앙도서관
5 상계5동주민센터
상계중앙시장
노원센트럴푸르지오
상계벽산아파트
상계대림아파트
상계한신1·2·3차아파트
당고개지구대
서울신상계초등학교
서울둘레길 1코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4e3><bgcolor=#00a4e3> 연도 || 파일:Seoulmetro4_icon.svg ||<bgcolor=#00a4e3>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4년 66,666명
1995년 72,330명
1996년 62,564명
1997년 57,600명
1998년 57,561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55,932명 비고
2001년 53,941명
2002년 53,458명
2003년 51,654명
2004년 50,096명
2005년 48,432명
2006년 47,373명
2007년 46,231명
2008년 45,564명
2009년 45,047명 }}}}}}}}}
2010년 44,940명
2011년 44,852명
2012년 44,346명
2013년 44,496명
2014년 44,207명
2015년 43,411명
2016년 42,664명
2017년 41,479명
2018년 40,349명
2019년 40,240명
2020년 30,986명
2021년 31,042명
2022년 33,407명
2023년 35,866명
2024년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7]

환승역도 아니고 대형 상권도 없음에도 노원구 내에서 상당한 이용객을 자랑하는데 그 원인이 경쟁자가 되는 상계역 주변의 버스노선이 별로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은행사거리 일대에서 도심으로 갈 때에 이 역을 이용하는 수요도 상당하다. 역세권임에도 불구하고 도로는 최대 크기가 왕복4차선이니 차량이 조금만 많으면 속도가 나오지 않아 정시성을 가진 철도에게 경쟁력을 많이 상실한 것이다. 현재는 상계역의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는 듯하면서도 노원구의 인구 감소로 조금씩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환승수요가 많은 상계역 특성상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개통되면 하계역과 같이 수요가 크게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4호선

파일:IMG_9018.jpg
4호선 승강장
파일:상계역 2022.jpg
4호선 역명판 [8]
불암산
노원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불암산· 별내별가람· 오남· 진접 방면
노원· 창동· 사당· 오이도 방면

상계역의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노원방면으로 3퍼밀 하구배가 있다. 불암산역 방향으로 23퍼밀 상구배가 있다. 불암산역-상계역 구간은 당현천을 복개하면서 같이 지은 구간이기 때문에 경사가 크다.

5.2. 서울 경전철 동북선(예정)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파일:D116.jpg
동북선 상계역 조감도
115정거장
시종착
서울 경전철 동북선 미아사거리· 고려대· 왕십리 방면
서울 경전철 동북선 시종착

6. 사건 사고

6.1. 열차 추돌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상계역 전동열차 추돌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연계 교통

파일:상계역연계교통.png
A
11240 상계벽산아파트 1138 상계중앙시장 방면
1139 상계동주유소 방면
1224 상계역 방면
1-8 노원역 방면
서울09출근
B
11391 상계역 1138 불암대림아파트 방면
1139
1224
1-8 의정부(고산동, 민락동) 방면
서울09퇴근
C
11515 상계역 노원01 상계3동파출소 방면
노원11 영신약국 방면
D
11243 벽산아파트103동 1137 상신교회 방면
1143
노원05
E
11233 상계역 1137 상계중앙시장입구 방면
1143 상계동주유소 방면
F
11393 상계역 1140 상계동주유소 방면
1142 상계중앙시장입구 방면
1224 상계역 방면
G
11392 상계역 1140 중계주공3단지 방면
1142
1224
파일:지하철 출구_4.png 번 출구
상계역(4번 출구) 대여소 (1625)
  • 역 동쪽 길에 택시 대열이 있다.
  • 당현천 복원공사가 이루어진 뒤로, 현재 별도의 환승 주차장은 갖추고 있지 않다.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e3> 진접선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불암산
서울 지하철
4호선
불암산 - 상계 - 파일:Seoulmetro7_icon.svg 노원 - 파일:Seoulmetro1_icon.svg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파일:UiLine_icon.svg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파일:Seoulmetro1_icon.svg 동대문 -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파일:Seoulmetro3_icon.svg 충무로 - 명동 - 회현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서울역 - 숙대입구 - 파일:Seoulmetro6_icon.svg 삼각지 - 신용산 - 파일:GJLine_icon.svg 이촌 - 파일:Seoulmetro9_icon.svg 동작 - 파일:Seoulmetro7_icon.svg 총신대입구(이수) - 파일:Seoulmetro2_icon.svg 사당 - 남태령
과천선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정
안산선 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파일:SBLine_icon.svg 한대앞 - 파일:SBLine_icon.svg 중앙 - 파일:SBLine_icon.svg 고잔 - 파일:SB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초지 - 파일:SBLine_icon.svg 안산 - 파일:SBLine_icon.svg 신길온천 - 파일:SBLine_icon.svg 정왕 - 파일:SBLine_icon.svg 오이도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서울 경전철 동북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사진 속 열차는 3호선에서 운행되고 있었다가 폐차되었다. [2] 개정 전 10번. [당시] 당고개역 [당시] 당고개 [5] 「윤기섭 시의원, 4호선 상계역 인근주민의 숙원민원 “상계역 개방통로 설치” 해결!」, 세계타임즈, 2022-09-02 [6] 「상계역 벽산상가 육교 철거에 벽산상가 상인들 크게 반발」, 대한뉴스, 2022-07-26 [7]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8] 2020년 7월경 서울남산체로 교체되었다. 기존 역명판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