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1:53:43

고려대역

고려대(종암)
파일:Seoulmetro6_icon.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려대역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동북선
건설 중
}}}}}}}}} ||
역명 표기
6호선 고려대 (종암)
Korea Univ. (Jongam)
高麗大(鐘岩) / 高丽大学 / [ruby(高麗大, ruby=コリョデ)]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지하1 ( 종암동 29-18)
소속 영업사업소
6호선 동묘영업사업소 고려대역
운영 기관
6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6호선 2000년 12월 15일
역사 구조
지하 4층 (심도: 31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
6.1. 안암로
6.1.1. 1번 출구6.1.2. 6번 출구
6.2. 종암로-고산자로
6.2.1. 3번 출구6.2.2. 4번 출구6.2.3. 5번 출구
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 역 정보

파일:고려대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파일:고려대역 6호선.jpg
대합실

역 이름은 인근에 위치한 고려대학교에서 따온 것이다. 병기역명은 종암으로 이 역이 속한 법정동에서 유래했다.

본래 1991년에 제안된 이름은 법정동 이름에서 따온 종암이었고,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는 이를 수정하여 종암(고려대앞)이라고 결정했다.[1] 그러나 1995년에 이름이 바뀌어 주역명이 고려대가 되고 종암은 병기역명으로 들어갔다.[2] 본래 서울시에서는 대학역명을 주역명으로 쓰는 것을 가급적 피하고자 하여 고려대 대신 종암을 주역명으로 결정했으나 고려대학교가 이에 반발했고, 역사부지가 고려대학교 소유지 일부[3]를 점하고 있어 보상 차원에서 주역명과 병기역명을 뒤집었다.

고려대역이 위치한 도로는 성북구 종암동 동대문구 제기동 경계이며 출구는 동대문구 제기동에 더 많지만 역사 부지는 성북구 종암동에 많이 속해 있다. 그리고 인근에 성북구 안암동 경계도 지척에 있다.

역사(驛舍)가 굉장히 깊은데 실제 역의 위치가 고려대 라이시움 바로 밑에 있고 고려대 부지를 지나가기 때문이다. 이 라이시움은 6호선 공사와 함께 설계 및 시공되었으며, 학교측과 고려대 학생들의 요구로 6호선 1번 출구가 라이시움에 통합된 건축물로 세워져 1번 출구를 통해 고려대학교 안으로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있다.

6호선 공사 당시 이 역부터 화강암 지대가 발견되어 공사가 늦어졌다. 6호선 성북구-중랑구 구간은 지질 구조가 심하게 괴상해서 현재의 기술로도 시공이 상당히 힘들다고 한다. 가장 난구간은 안암~고려대 구간이었는데, 고려대학교 부지라서 공사가 제한적인데다 지질조사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던 화강암 내부 단층까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건설지나 언론 기사에 따르면 원래는 고려대학교와 가까운 안암로에만 출입구를 만들어 놓고 12호선이 개통할 즈음에 더 추가하려 했으나, 일대 주민들이 "12호선이 언제 개통할지도 모르는데 그냥 만들어달라"고 요구하여 결국은 고산자로상에도 출입구를 추가로 설치하게 되었다. 12호선과 동북선의 현황을 보면 잘한 선택이다. 이 외에 6호선 대합실에서 6호선 승강장으로 내려가는데 지하 2층에 넓은 빈 중간층이 있는데 이는 향후 12호선과의 환승 대합실인 것으로 보인다.[4] 그리고 12호선과 교차하는 부분의 6호선 본선 구조물 보강에 대한 대책도 논의되었다.

3기 지하철 계획이 무산되는 바람에 환승 계획이 없던 일이 되는 듯했지만 서울 경전철 동북선 계획이 나오면서 빛을 보게 되었다.[5] 동북선 고려대역은 동대문구 관할이 될 예정이다.

3번 출구의 표준 캐노피 설치 공사를 2017년 8월 3일부터 9월 25일까지 진행했다.

3. 역 주변 정보

역 바로 옆에는 고려대학교가 있다. 그리고 길 건너로는 평범한 대학 상가가 포진해 있다. 이 역이 생기기 전까지 지하철로 통학하는 고려대생들은 제기동역에서 걸어가거나(약 10~15분), 신설동역이나 성신여대입구역에서 마을버스를 타고(약 5분) 통학을 해야만 했었다.

많은 이들이 고려대학교 캠퍼스는 안암동에 위치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히는 안암동과 종암동에 걸쳐 있으며 동 경계는 경영대 건물 뒤쪽에서부터 도서관과 사범대 사이까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라이시움을 비롯한 사범대, 교우회관 등은 종암동에 위치한다.

이 역은 고려대학교 부지의 한쪽 끝에 위치한다. 때문에 고려대학교에 처음 방문하는 사람은 지리를 잘 모르고 고려대역에 내려서 한참을 걷는 경우가 많다. 만일 법대, 사범대, 경영대, 중앙광장, 중앙도서관, 라이시움 등에 볼일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바로 옆 안암역을 이용해야 한다. 또한 고려대역은 동대문구와 성북구의 경계선이다.

지리적으로 고려대학교 전체를 놓고 봤을 때 매우 구석에 위치해 있어 일반적인 이미지나 그 이름에 비해서는 고려대생들의 이용 빈도가 높지 않은 역이다. 법대(로스쿨), 경영대, 사범대생 정도를 제외하고는 이용할 일이 별로 많지 않다. 이쪽 학생들도 오히려 안암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아니면 밤늦게까지 도서관(백주년기념관 열람실 포함)에서 공부하다가 귀가하는 고대생들이나 소위 "법후(법대 후문)"라고 불리는 원룸촌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이 주로 이용한다. 실제로 고려대병원이나 고려대 근처의 상업지구 역시 대부분 안암역 근처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이·공대생과 고려대역에서 만날 약속을 잡으면 육두문자를 들을 확률이 급증한다.[6]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의 수업은 대부분 라이시움에서 진행되므로 영재원 수업을 듣기 위해 가는 것이라면 무조건 고려대역을 이용해야 한다.

수시 논술고사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안암역과 같이 터져나가게 된다. 그래서 안암역과 이 역에서 승객을 무임승차 시키고 내리는 역에서 정산하도록 하는 일이 많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6_icon.svg 고려대(종암)역 출구 정보
1 고려대학교
안암동
성북구 건강가정지원센터
2 종암중학교
서울숭례초등학교
서울종암경찰서 방면
3 국립산림과학원(홍릉숲)
서울사범대학부설중· 고등학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제기치안센터
4 정화여자중· 상업고등학교
서울홍파초등학교
제기동한신아파트
5 제기동
6 고려대사거리
제기시장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d7c2f><bgcolor=#cd7c2f> 연도 || 파일:Seoulmetro6_icon.svg ||<bgcolor=#cd7c2f>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7,390명 [7]
2001년 12,879명
2002년 17,186명 비고
2003년 18,648명
2004년 19,166명
2005년 19,596명
2006년 20,423명
2007년 19,949명
2008년 20,135명
2009년 20,270명 }}}}}}}}}
2010년 20,832명
2011년 20,806명
2012년 20,655명
2013년 20,668명
2014년 20,441명
2015년 20,205명
2016년 19,845명
2017년 19,054명
2018년 19,002명
2019년 19,179명
2020년 12,445명
2021년 12,594명
2022년 15,006명
2023년 16,650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이름답게 고려대역의 주 수요처는 고려대학교 학생들이다. 학교 부지 일부를 잠식할 정도로 학교와 가깝게 붙어있는지라, 통학생 및 외부인들이 고려대학교를 찾을 때 이 역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다. 다만 고려대학교 캠퍼스의 상당수가 전 역인 안암역에 더 가까워서 두 역으로 수요가 분산되는지라 고려대역의 이용객 수는 그리 많지 않다.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16,650명이 이용하여 일평균 승하차 순위 22위를 나타냈고 6호선 평균 수준에 그친다.

이 역의 특징은 2010년대 들어서 꾸준히 이용객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6호선 대부분 역들은 개통한 지 [age(2000-08-07)]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뒤늦게 탄력을 받고 수요가 증가 또는 유지되고 있는데 고려대역만큼은 예외다. 정점을 찍은 시기는 2010년으로, 서울의 전철역들이 2012~2014년까지 상승세를 보였던 것을 고려하면 비교적 일찍 상승 폭이 꺾이고 하락세가 일찍 찾아왔다. 하필이면 2008년에 하루 이용객 2만 명을 넘고 곧바로 하락세가 시작된 까닭에, 아주 조금씩 이용객이 감소했음에도 2016년에는 일평균 2만 명 밑으로 떨어졌다.

이러한 이유를 명확히 말할 수는 없겠으나, 고려대역 주변이 수십 년 동안 재개발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이 말인즉슨 역 주변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다는 이야기다. 아마도 이것이 수요 감소의 원인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고려대학교의 중심 대학가가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정문 일대에서 안암역 부근에 위치한 개운사길과 참살이길로 이동한 것도 그 이유로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정문 일대는 상권이 거의 쇠락해서 별다른 상점을 찾아볼 수 없고 고려대역 부근에 위치한 사범대, 경영대, 로스쿨 재학생들도 대부분 안암역 부근에서 식사를 해결하거나 약속을 잡는다. 실제로 안암역은 6호선 승하차량 순위에서도 꾸준히 최상위권을 마크하면서 명실공히 고려대학교의 중심 상권임을 보이고 있다.[8]

5. 승강장

5.1. 서울 지하철 6호선

파일:Koreauniv-pf.png
6호선 승강장 [9]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안암
월곡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안암· 동묘앞· 월드컵경기장· 응암 방면
월곡· 석계· 태릉입구· 신내 방면

5.2. 서울 경전철 동북선(예정)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파일:D104.jpg
동북선 고려대역 조감도
제기동
105정거장
서울 경전철 동북선 왕십리 방면
서울 경전철 동북선 미아사거리· 하계· 상계 방면

고대앞삼거리에 역이 생길 예정으로, 상계역 방향의 다른 환승역들에 비하면 기존 노선에 가깝게 지어져 비교적 수월하게 6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6. 연계 교통

평일 고려대학교 셔틀버스는 1번 출구로 나와서 광장을 가로지르면 보이는 택시정류장에서 탑승할 수 있다.

그리고 시내버스로 고려대를 오가는 것은 지하철역과는 상관없이 안암로 방향으로 가는 차를 타고 고려대학교 정문앞, 안암로터리 등을 이용하는 편이 훨씬 낫다.[10] 미아에서 고려대학교 방향으로 뻗어 있는 종암로가 엄청나게 넓은 대로인데, 이 대로가 고려대역에서 고산자로와 안암로로 나눠지고 안암로에서 안암역 방향으로 가는 고려대로는 좁은 길이라 그대로 안암로를 따라 쭉 내려가는 교통량이 훨씬 많다. 이 때문에 고려대역 주변을 지나는 버스노선은 수십 개에 달하지만 안암역 주변을 지나는 버스노선은 두세 개밖에 없고 배차도 길기 때문이다. 물론 안암로를 따라 쭉 내려가는 버스는 무척 자주 오며, 본교의 경우 고려대학교 정문 앞에, 이공계의 경우는 안암로터리에서 하차한다.[11]

6.1. 안암로

6.1.1. 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고대앞(08156) ||
간선
지선
심야

6.1.2. 6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고려대학교앞(06175) ||
간선
지선
심야

6.2. 종암로-고산자로

6.2.1. 3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고려대역3번출구(06591) ||
마을

6.2.2. 4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고려대역.고대앞삼거리(06173) ||
간선
지선

6.2.3. 5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고려대역.고대앞삼거리(06174) ||
간선
지선

7. 기타

  • 6호선의 역명을 가나다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장 먼저 배치되는 역이다.


[1] 6.7호선驛 명칭등 서울시 67건을 확정(경향신문) [2] 다시「가양대교」로(조선일보) [3] 역 바로 위에 고려대학교 라이시움이 위치한다. [4] 한때는 미리 지은 12호선 승강장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었다. [5] 출처 : 뉴시스 [6] 고려대역 출구에서 이·공대 출입구(안암역 방향)까지는 1km에 육박한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도보 소요 시간 평균 15~20분이다. 여담으로 이·공대 해당 출입구에서 성신여자대학교 프라임관(과학관) 옆 출입구까지의 거리가 600m 조금 더 된다. [7]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8] 비슷하게 대학교 부지에 존재하는 역인 한양대역의 경우도 이용객이 2호선 최하위를 찍고 있다. 그러나 고대역과는 달리 적어도 통학에 있어서는 절대적인 위치에 있으며, 수요량이 6호선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이기 때문에 똑같이 대학생만 이용하는 역임에도 이용객이 2022년 기준 5천 명 정도의 차이가 난다. 결정적으로 환승의 마스터피스라고 불리우는 왕십리역까지 합치면 진작에 고려대역은 물론이요 안암역도 나가리 취급할정도다. [9] 신내 방면 승강장이다. [10] 고려대역이라고 나오는 버스 정류장은 고려대역보다 약간 북쪽, 즉 교우회관 인근이므로 접근성이 떨어지며, 반대쪽(미아 방향)은 넓은 대로를 건너서 많이 걸어야 한다. 물론 승차한 버스 노선이 안암로로 가지 않고 고산자로로 가는 경우는 어쩔 수 없이 고려대역 인근에서 내려야 하는데 차라리 그 전에 내려서 안암로 방향 버스로 환승하는게 좋다. [11] 고려대학교 병원/의과대학의 경우는 학교로 들어가는 마을버스를 이용하던가, 아예 안암역을 이용하는 게 좋다.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7c2f> 응암순환선
일반 구간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서울 경전철 동북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