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02:14:14

미하일 고르바초프

고르바쵸프에서 넘어옴

<colbgcolor=#cd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인민위원장

블라디미르 레닌
제2대
이오시프 스탈린
임시
게오르기 말렌코프
제3대
니키타 흐루쇼프
제4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제5대
유리 안드로포프
제6대
콘스탄틴 체르넨코
제7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

미하일 고르바초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cd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국가원수
<rowcolor=#ffd700> 소비에트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초대 초대 제2대 제3대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 니콜라이 시베르니크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아나스타스 미코얀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안드레이 그로미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초대 초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정부수반
<rowcolor=#ffd700> 소련 인민위원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이오시프 스탈린 게오르기 말렌코프 니콜라이 불가닌 니키타 흐루쇼프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총리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티호노프 니콜라이 리시코프 발렌틴 파블로프
<rowcolor=#ffd700> 서기장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술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주석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옐레나 스타소바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옐레나 스타소바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초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e90606>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인물 ( 198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80'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attachment/time_1980.jpg 파일:attachment/time_1981.jpg 파일:attachment/time_1982.jpg 파일:attachment/time_1983.jpg 파일:time-person-of-the-year-84.jpg
<rowcolor=#fff> 1980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1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2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3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4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파일:attachment/time_1985.jpg 파일:external/img.timeinc.net/1101870105_400.jpg 파일:attachment/time_1987.jpg 파일:attachment/time_1988.jpg 파일:attachment/time_1989.jpg
<rowcolor=#fff> 1985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6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7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8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9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파일:Time_Inc_white.png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앙리 뒤낭 프레데리크 파시 엘리 뒤코묑 샤를 알베르 고바
<rowcolor=#cd9f51> 1903 1904 1905 1906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윌리엄 랜들 크리머 국제법학회 베르타 폰 주트너 시어도어 루스벨트
<rowcolor=#cd9f51> 1907 190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에르네스토 모네타 루이 르노 클라스 아르놀드손 프레드리크 바예르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국제평화국 알프레트 프리트
<rowcolor=#cd9f51> 1911 1912 1913 191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토비아스 아서르 엘리후 루트 앙리 라퐁텐 국제적십자위원회
<rowcolor=#cd9f51> 1919 1920 192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우드로 윌슨 레옹 부르주아 얄마르 브란팅 크리스티안 랑에
<rowcolor=#cd9f51> 1922 1925 192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리드쇼프 난센 오스틴 체임벌린 찰스 G. 도스 아리스티드 브리앙
<rowcolor=#cd9f51> 1926 1927 1929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페르디낭 뷔송 루트비히 크비데 프랭크 켈로그
<rowcolor=#cd9f51> 1930 1931 1933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나탄 셰데르블롬 제인 애덤스 니컬러스 버틀러 노먼 에인절
<rowcolor=#cd9f51> 1934 1935 1936 193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아서 헨더슨 카를 폰 오시에츠키 카를로스 라마스 로버트 세실
<rowcolor=#cd9f51> 1938 1944 1945 1946
파일:국제연맹기(1939).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svg
난센 국제난민 사무국 국제적십자위원회 코델 헐 에밀리 그린 볼치
<rowcolor=#cd9f51> 1946 1947 1949 195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Quaker_star-T.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존 모트 퀘이커 봉사협회 존 보이드 오어 랠프 번치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195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UN기.svg
레옹 주오 알베르트 슈바이처 조지 마셜 유엔난민기구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레스터 피어슨 도미니크 피르 필립 노엘베이커 앨버트 루툴리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1964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다그 함마르셸드 라이너스 폴링 국제적십자위원회 마틴 루터 킹
<rowcolor=#cd9f51> 1965 1968 1969 1970
파일:유니세프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국제노동기구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유니세프 르네 카생 국제노동기구 노먼 볼로그
<rowcolor=#cd9f51> 1971 1973 1974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빌리 브란트 헨리 키신저 레득토
(수상 거부)
사토 에이사쿠
<rowcolor=#cd9f51> 1974 1975 197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숀 맥브라이드 안드레이 사하로프 베티 윌리엄스 메어리드 코리건
<rowcolor=#cd9f51> 1977 1978 1979
파일:국제앰네스티 로고.svg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국제앰네스티 안와르 사다트 메나헴 베긴 마더 테레사
<rowcolor=#cd9f51> 1980 1981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아돌포 에스키벨 유엔난민기구 알바 뮈르달 알폰소 가르시아
<rowcolor=#cd9f51> 1983 1984 1985 1986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레흐 바웬사 데즈먼드 투투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엘리 비젤
<rowcolor=#cd9f51> 1987 1988 1989 1990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오스카르 아리아스 유엔 평화유지군 달라이 라마 14세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cd9f51> 1991 1992 1993
파일:미얀마 국기(1974-2010).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아웅 산 수 치 리고베르타 멘추 넬슨 만델라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rowcolor=#cd9f51> 1994 199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이츠하크 라빈 시몬 페레스 야세르 아라파트 조지프 로트블랫
<rowcolor=#cd9f51> 1995 1996 1997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퍼그워시 회의 카를로스 벨로 조제 하무스오르타 조디 윌리엄스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국경없는의사회의 로고.svg
지뢰금지국제운동 존 흄 데이비드 트림블 국경없는의사회
<rowcolor=#cd9f51> 2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대중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01 || 2002 || 2003 ||

}}}}}} ||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선정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ime 100: The Most Important People of the Century
지도자들 & 혁명가들 부문 #
파일:external/img.timeinc.net/1101980413_400.jpg
시어도어 루스벨트 블라디미르 레닌 마거릿 생어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엘리너 루스벨트
아돌프 히틀러 윈스턴 처칠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다비드 벤구리온 마오쩌둥
마틴 루터 킹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마거릿 대처 로널드 레이건 미하일 고르바초프
레흐 바웬사 넬슨 만델라 요한 바오로 2세 호찌민 탱크맨
같이 보기: 과학자 & 사상가 부문, 예술가 & 연예인 부문, 건설자 & 거인 부문, 영웅 & 아이콘 부문 }}}}}}}}}
<colbgcolor=#cd0000>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초대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
Михаи́л Горбачёв | Mikhail Gorbachev
파일:gorvachev.jpg
<colcolor=#ffe400> 본명 미하일 세르게예비치 고르바초프
Михаи́л Серге́евич Горбачёв
Mikhail Sergeyevich Gorbachev
출생 1931년 3월 2일
소련 러시아 SFSR 북캅카스 지방 메드베젠스키군 프리볼노예
(現 러시아 북캅카스 연방관구 스타브로폴 지방 크라스노그바르데이스키군 프리볼노예)
사망 2022년 8월 30일 (향년 91세)
러시아 모스크바 연방시 서부 행정구 쿤체보구 모스크바 중앙임상병원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재임기간 초대 대통령
1990년 3월 15일 ~ 1991년 12월 25일
제6대 서기장
1985년 3월 10일 ~ 1991년 8월 24일
제11대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1988년 10월 1일 ~ 1989년 5월 25일
초대 소련 최고회의 주석
1989년 5월 25일 ~ 1990년 3월 15일
서명 파일:미하일 고르바초프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부모 아버지 세르게이 안드레예비치 고르바초프
어머니 마리야 판텔레예브나 고르바초바[1]
배우자 라이사 막시모브나 고르바초바 (1953–1999, 사별)[2]
자녀 딸 이리나 미하일로브나 비르간스카야
외손녀 아나스타샤 비르간스카야
학력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법학 / 준석사)
스타브로폴 농업연구소 (경제학[3] / 석사)
종교 무종교 (사실상 러시아 정교회)[4]
신체 175cm
주요 서훈 노벨평화상
10월 혁명 훈장
노력적기훈장
레닌훈장 (3회)
사도 성 안드레이 훈장
}}}}}}}}}
1. 개요2. 생애3. 평가4. 여담5. 대중매체에서
5.1. 영화5.2. 게임5.3. 기타
6. 소속 정당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초대 소련 대통령 취임 선서[5]

소련 러시아의 정치인.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6대 서기장,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과 최고회의 주석[6]을 거쳐 소련의 최초이자 마지막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의 최고 권력자로 재임하면서 소련 내 개혁 정책인 글라스노스트(개방)와 페레스트로이카(개혁)을 추진했다. 동시에 20세기 후반을 대표하던 미국과 소련 간 냉전을 종식시킨 인물이자 소련 붕괴를 야기한 정치인으로 평가받는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하일 고르바초프/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하일 고르바초프/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 고르바초프는 역대 소련 지도자 중 유일하게 소련 시절에 태어난 사람이다. 나머지는 모두 러시아 제국 시절에 태어났다. 또한 유일하게 소련에서 독립한 러시아인으로 죽은 지도자이기도 하다.
  • 김일성이 혹으로 유명하듯 이 사람도 머리에 있는 점인지 흉터인지 화상 자국인지 정체 모를 모반(birthmark)이 그의 대표적인 트레이드 마크라 할 수 있다. 영문판 위키백과에 따르면 'port-wine stain(화염상 모반 또는 포도주색 모반)'이라는 양성종양이라고 한다. 본인의 말에 의하면 처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고 탈모가 온 이후에 생긴 거라고. 고르바초프의 어린 시절이나 젊은 시절 사진에는 이 모반이 없는 것으로 봐서 선천적인 것은 아닌 듯하다. 만화 같은 그림에서 이 사람을 묘사하면 십중팔구로 저 흉터 자국을 반드시 그려넣는다. 러시아 시사 만화에선 '반점이'라고 나오면서 그의 정책을 비판하는 묘사도 있었다.

    90년대에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몇몇은 알 수도 있는데 머리에 초콜릿이 흘러내린 것 같다고 해서 한국에서의 별명이 "고르바초코"였다. 칸쵸 그러나 서기장 취임 이전 사진에서는 필름에 인위적으로 수정을 가해 반점을 지웠기 때문에 없다. 자세히 보면 모양이 한반도와 만주 쪽 지도를 닮은데다 희미하게 휴전선도 보이는 것 같기도 하다. # 한국의 젊은 사람들도 고르바초프가 정확히 뭘 한 사람인지는 몰라도 '머리에 지도가 그려져있는 사람'이라고 말할만큼 모반이 상당히 임팩트가 크다.
  • 1997년에는 피자헛 광고에 출연했다. 고르바초프가 피자헛에 등장하자 한 중년 남성이 "저 인간 때문에 정치, 경제적으로 위기에 빠졌어!"라고 외친다. 그러나 아들과 어머니가 각각 "그래도 우리는 기회를 얻었어요." / "피자헛 같은 곳에 올 수 있게 되었잖아요."라면서 고르바초프를 편들며, 결국 그 중년 남성을 포함한 식당에 있던 모든 이들이 고르바초프에게 감사를 표한다는 훈훈한 내용. 실제로 구 소련권에 최초의 피자헛 매장이 들어선 연도는 재임 중인 1990년이었다. 당시 초인플레이션으로 소련 서기장 연금이 2달러 수준으로 떨어지고 옐친의 견제까지 받으면서 재단 활동이 좌절되자 기금 마련을 위해 광고에 출연했다.

    훗날 해당 광고를 기획했던 톰 다비샤이어(Tom Darbyshire)에 따르면 당시 고르바초프는 피자 광고 제안에 내켜하지 않았다. 우선 광고 촬영은 러시아에서 하고, 각본은 고르바초프가 동의해야만 했으며 먹는 모습을 보여줘서는 안됐다. 제작진은 광고 촬영을 위해 붉은 광장을 통째로 비워서 촬영을 하고, 배우들도 세대 갈등을 통해 당시 러시아인들의 혼란을 최대한 표현하려 했다. 다비샤이어는 고르바초프가 촬영 당일 약속시간보다 늦게 도착했지만, 그럼에도 미국에서 온 촬영진들에게 추수감사절에 고생한다면서 직접 피자를 나눠주는 등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고 회고했다. (출처) 워싱턴 포스트

    피자헛 광고는 촬영 당시나 오늘날까지도 자주 화제에 오르거나 풍자의 대상이 되지만 고르바초프 본인은 나중에 인터뷰에서 맘에 든다고 인정했다. TV 방영 버전 고화질 풀버전 어찌보면 소련 지도자 시절 고르바초프의 행보를 요약한 광고라 할 수 있지만, 얄궂게도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인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자 서방의 반발로 인해 피자헛도 러시아에서 철수하고 Pitstsan으로 리브랜딩 되면서 그는 러시아 피자헛의 시작과 끝을 지켜봐야 했다.[7]
* 이오시프 스탈린 화성인과 싸운다는 정신나간 게임. <스탈린 VS 마샨>의 OST 중에는 러시아에 자유를 가져온 그를 찬양하는 헤비메탈 곡이 삽입되어 있다.[8]
  • 고르바초프의 이름을 딴 보드카도 있다. 사실 정치인 고르바초프와는 관계없이 레온토비치 고르바초프(Leontowitsch Gorbatschow)라는 러시아의 귀족이 러시아 혁명을 피해 외국으로 망명을 가서 1921년부터 생산하기 시작한 것. 러시아산일 것 같지만 실제로는 베를린, 독일산 보드카이다. 베를린에서는 마트나 24시간 매점 등에서 9유로 정도에 700ml 풀 보틀과 미니어처를 흔하 사먹을 수 있다. 홈페이지를 들어가면 마치 러시아에서 생산할 것 같은 분위기지만 실상은 독일산.
  • 24세 때의 고르바초프의 사진. 흔히 아는 이미지와 달리 젊은 시절에는 뚜렷한 이목구비와 각도 있는 얼굴을 가진 미남이었다. 게다가 비만을 매우 싫어하여 항상 다이어트를 하여 균형잡힌 몸을 가졌다.
  • 최근에는 릭 왜고너와 초상이 합성되어 밈으로 사용되는 듯 하다.
  • 고르바초프가 피터 몰리뉴의 '파퓰러스'란 게임에 푹 빠져 회의에도 늦은적이 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는데, 90년대엔 이 소문이 정설처럼 받아들여졌는지 당시의 게임잡지를 들춰보면 파퓰러스 시리즈와 연관된 기사엔 어김없이 '고르바초프도 즐긴 게임'이란 문구가 따라붙을 정도였다. https://www.gamet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240 현재 영문으로 구글에 검색을 해봐도 관련된 내용이 전혀 보이지 않는 사실로 미루어보아 '마이클 잭슨이 백인이 되려고 박피수술을 받았다'거나 '노주현의 아들이 개털때문에 목이 막혀 숨졌고, 이에 격분한 노주현이 반려견들을 모두 총으로 쏴 살처분했다'는 등의 유명한 헛소문들 처럼 당시 피시통신을 매개로 돌아다니던 낭설중 하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5. 대중매체에서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1. 영화

  • 록키 4 - 데이빗 로이드 오스틴이 분했다. 록키 4가 1985년에 나왔으니 사실상 소련 바깥의 매체에서 묘사된 첫번째 고르바초프. 실존인물과 상당히 싱크로율이 높다.
  • 총알탄 사나이(코미디 영화, 1988) - 1편 극초반부에 등장. 카다피, 이디 아민, 호메이니, 아라파트 등 여러 독재자들과 함께 미국을 엿 먹일 계획을 짜고 있었다. 하지만 차 나르는 하인으로 변장해있던 주인공 드레빈 형사에게 신나는 음악과 함께(1분 55초부터) 머리의 모반(북베트남 모양이다.)이 지워지고(드레빈 왈, "이럴 줄 알았어!") 벽에 처박혀 친구들과 함께 사이좋게 리타이어. 정신나간 코미디 영화 도입부다운 등장과 퇴장이었다.
  • 굿바이 레닌에서 자료화면으로 자주 등장하며, 크리스티안네가 사회주의 애국공로자 자격으로 고르바초프를 만날 수 있었지만 높은 사람들 사이에 있는게 부담스럽다고 리셉션 장소에 불참해서 약간 아쉬워하는 대사가 있다.
  • 타인의 삶에서 라즐로 작전 종료 직후 그루비츠가 비즐러에게 이제 끝장이라고 통보하기 직전 그루비츠가 읽고 있던 신문 1면에 고르바초프가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에 선출되었다는 기사를 싣고 있다. 하지만 왓챠판 자막에서는 1985년엔 있지도 않은 소련 대통령에 고르바초프가 당선됐다고 엉망으로 번역했다.
  • 테트리스(영화)(2023) - 매튜 마시가 분했다. 비중이 크진 않지만 초반부터 악역으로 나오는 로버트 맥스웰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언급되다가, 영화 최후반부에서 주인공을 간접적으로 돕는 역할로 나온다. 고르바초프 사후 처음으로 고르바초프가 등장하는 영화이다. 다만 영화 촬영 시기는 고르바초프가 생존해 있던 시기였다.

5.2. 게임

  • '고르비의 파이프라인 대작전' - 뿌요뿌요 시리즈로 유명했던 컴파일의 게임. 니이타니 마사미츠에 의하면 파이프라인을 잇는 게임 컨셉을 보고 일본이 소련과 파이프로 이어지면 재밌겠다고 생각해 그런 제목을 붙여줬다고 한다. 당시 페레스트로이카로 주목을 받고있던 고르비를 주인공으로 일본에서 모스크바까지 파이프라인을 연결한다는 스토리의 낙하물 퍼즐 게임. MSX와 패미콤(도쿠마 쇼텐 발매), FM-Towns로 발매되었다. MSX2판 영상 패미컴판의 경우 누군가가 고르바초프만 김정일로 바꾼 해킹롬도 만들어놓았다. 아마 중화권 업자의 불법 복제보단 일본쪽 해커가 풍자 목적으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후일 온라인 레트로 콘솔 게임 서비스 등지에서 재발매될때 민감할수도 있는지 고르바초프에 대한 언급을 전부 삭제한 그냥 '파이프라인 대작전'이라는 제목으로 재판매되는 모양이다.
  • 크레믈린의 위기(게임) - 고르바초프를 주인공으로 소련을 이끌어 갈 수 있다. 1992년 원작에서는 산전수전 다 겪으면서도 높은 지지율로 2017년 최종 엔딩까지 장기 집권이 가능하지만 2017년 리메이크작에서는 급격히 개혁했다가는 지지율이 떨어지고 정치적 안정성이 깎여나가 바닥을 기면서 쿠데타로 쫓겨나거나, 의회에서 다수를 차지하더라도 정책에 불만을 가지는 보수주의자 혹은 자유주의자들의 대대적인 시위로 쫓겨나거나, 선거에서 패배해 사임하면서 게임 오버되기 십상이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 이 게임의 캠페인에서 단역으로 등장한다. 서기장이 되기 이전인 1981년이 배경이라 그냥 정치국원으로서 KGB 본부에서 회의를 열고 있는 모습이 나온다. 다만 한국어판에선 서기장으로 오역되었다. 아이러니한 것은 나중에 냉전을 종식시키고 동유럽에 대한 소련의 내정 간섭을 끝내는 그가 소련과 러시아의 패권을 위해서 온갖 대형사고를 치는 인물을 플레이어에게 소개한다.
  • 하츠 오브 아이언 4 - 이 게임의 모드인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서는 러시아 공화국 평의회(좌익 농본주의, 진보주의 하위이념)의 지도자로 등장한다. 원래 고르바초프 또한 여타 러시아인들 처럼 무장봉기로 나치의 점령을 종식 시켜야 한다는 가치관이 있었으나, 서러시아 전쟁에서 소련 잔당들이 패배한 이후 독일에 대해 실용적인 협력을 추구하고 내부에선 기틀을 닦아 후일의 독립을 꿈꾼다.[9] 그 설정을 감안해 과거에는 모스코비엔 국가판무관부의 외무장관으로도 등장했었다.[10] 냉전모드(cold war)에서는 1985년중에 지도자로 등장한다.

5.3. 기타

  • 하우스 오브 사담 2화에서 걸프전쟁 직전 사담 후세인이 소련이 이라크를 지원할 것이라는 정신승리를 시전하면서 타리크 아지즈에게 고르바초프의 지지를 받아오라고 쪼아댄다. 하지만 역사대로 자기 코가 석자인 소련은 개입하지 못하고 이라크는 신명나게 미군에게 털린다.
  • 체르노빌(드라마) - 실화바탕. 서기장으로 등장한다. 배우는 스웨덴계 배우인 다비드 덴시크(David Dencik). 레가소프 교수의 경고에 제법 귀를 기울이는 몇 안 되는 인물이지만, 마냥 긍정적으로 나오지만은 않는다. 초면에 격앙된 어조로 말을 내뱉는 레가소프나 그런 레가소프를 얕잡아보는 셰르비나를 직위와 위엄으로 누르는 장면, 48시간에서 72시간 내로 러시아와 유럽 대륙의 절반이 파괴될 거란 보고를 듣고 충격 받는 모습, 레가소프가 빈정거리자 전화를 끊어버리는 모습 등이 나온다. 에필로그에선 실제 고르바초프가 2006년에 체르노빌 사건에 대해 남긴 글이 나온다.
  • 풀 메탈 패닉! - 고르바초프가 죽으면서 소련의 탈공산화가 실패하여 소련이 남아있게 된다는 냉전 지속 시나리오가 기본 설정으로써 나온다. 상당히 가능한 이야기다.
  • The World of Difference (해리 터틀도브의 대체역사소설) - 태양계의 4행성이 상당히 커서 대기가 있으며, 푸른 별이라고 해서 미네르바라 불리는 화성에는 생명체가 문명을 이루고 산다는 설정인데, 여기서는 고르바초프가 취임 후 9개월 만에 뇌졸중으로 사망해서 스탈린주의화 된 소련이 나온다. 극중 소련 우주비행사들의 대사로 봐서는 고르바초프의 사망은 함부로 말하면 안 된다는 설정.

6.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소련 공산당|]]
1957 - 1991 입당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1 - 2022 해산[11]
사망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 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 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 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 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 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 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 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인테르코스모스
}}}}}}}}} ||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CC0000> 파일:고르바초프 투명(1).svg 미하일 고르바초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cc0000>생애 <colbgcolor=#fff,#1f2023> 생애
가족 아버지 세르게이 안드레예비치 고르바초프 · 어머니 마리야 판텔레예브나 고르바초바 · 아내 라이사 막시모브나 고르바초바 · 딸 이리나 미하일로브나 비르간스카야
관련 인물 블라디미르 레닌 · 보리스 옐친
평가 평가
사건 · 사고 마티아스 루스트 사건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관련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1979~1989),
정책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기타 전략무기감축협정 · 주권국가연맹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 }}}}}}}}}

[1] 혼전성은 곱칼로(Гопкало). [2] 1932년 1월 5일생. 혼전성은 티타렌코(Титаренко). [3] 농업경제학 전공. [4] 실제로 러시아 정교회에서 세례를 받은 적이 있으며,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의 묘지에서 무릎을 꿇는 등 자신이 기독교인임을 증명하는 여러 증거가 있지만 아직 본인은 무신론자라며 생전 오랫동안 부정해왔다. 하지만 말년에 자신의 대변인을 통해 기독교 신자가 되는 여정 가운데 있다고 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정교도인을 선언하기 전에 사망함으로서 공식적으로 그의 종교는 무종교로 남았다. [5] 소련 대통령 취임은 서기장으로 취임한 1985년이 아닌 1990년 대통령제가 선포된후 당선된후에 취임선서이다. [6] 1989년 최고회의 상무회(Президиум) 주석에서 최고회의 주석으로 전환되었다. [7] 비슷한 시기 철수한 맥도날드도 부크스노 이 토치카로 리브랜딩 되었다. [8] 뮤직비디오 맨 마지막에 하늘에서 코카콜라와 함께 떨어지는 노란색 덩어리는 트윙키라 불리는 일종의 크림빵인데 굉장히 달고 기름진 걸로 유명하다. 한 번 단종된 적이 있었으나, 인수합병을 거쳐 다시 생산되기 시작했다. [9] 그러나 이도 저도 아닌 위치 때문인지 러시아 현지인에겐 부역자, 독일인에겐 배신자나 위험한 인물 취급받는다 [10] 현재는 괴벨스의 아들 하랄트 크반트로 대체됐다 [11] 소련 해체와 함께 정당 해산.